KR20160011793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trunk us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trunk us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793A
KR20160011793A KR1020140092800A KR20140092800A KR20160011793A KR 20160011793 A KR20160011793 A KR 20160011793A KR 1020140092800 A KR1020140092800 A KR 1020140092800A KR 20140092800 A KR20140092800 A KR 20140092800A KR 20160011793 A KR20160011793 A KR 20160011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terminal
door
sensor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성
손영봉
이헌석
Original Assignee
(주)비전드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전드라이브 filed Critical (주)비전드라이브
Priority to KR102014009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793A/en
Publication of KR2016001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7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using a mobile terminal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uthenticating a mobile terminal placed in the vicinity of a vehicle; initializing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and driving the detection sensor,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to be driven when movement of a user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trunk using mobile termin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using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키 등 고급 옵션이 적용되지 않는 일반 차량에서 스마트 키 등의 조작 없이도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door of a vehicle is easily controll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차량(자동차)은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고, 출퇴근 뿐만 아니라 여행, 레저, 쇼핑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므로 차량의 보급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vehicles (automobiles) have already become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and they are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ravel, leisure, shopping as well as commuting, so the penetration rate of vehicles is increasing every year.

이러한 차량은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복수의 도어가 구비되는데,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는 앞 좌석, 뒷 자석 등의 실내 공간으로 들어가기 위한 도어(Door) 이외에도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어 간단한 짐이나 소형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에 사용되는 트렁크(Trunk)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을 의미한다. 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도어 또는 트렁크를 열기 위해서는 차량에 구비된 키를 도어의 일 측에 구비된 키 박스에 삽입하고 회전시켜야 하는데, 최근에는 스마트 키 등의 보급으로 인해 단순히 버튼을 이용하여 차량에 구비된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Such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oors for dividing the vehicle into an outer space and an inner space. Th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 addition to a door for entering an indoor space such as a front seat and a rear magnet, Or a trunk used in a space for loading a small cargo. In order to open each door or trunk of the vehicle, a key provided on the vehicle must be inserted into a key box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rotated. Recently, due to the spread of smart keys and the like, The user can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r the trunk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그러나, 차량에 구비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구비된 키를 조작해야 하므로 적어도 운전자 등 사용자의 한 손은 자유로워야 한다. 더욱이, 짐이나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인 트렁크는 적재 공간의 상부에 설치된 힌지를 이용해 반자동식으로 열고 닫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운전자 등 사용자가 짐이나 화물을 싣기 위해서 한 손 만으로는 부족하여 짐이나 화물을 바닥에 내려 두고 트렁크를 완전히 연 상태에서 다시 짐이나 화물을 들어 트렁크의 적재 공간에 실어야 했다.However, in order to open and close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a key provided on the vehicle must be operated, so that at least one hand of the user such as the driver must be free. Furthermore, since the trunk, which is a space for loading goods or cargo, has a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using a hinge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space, there is a case in which a user, such as a driver, Or the cargo wa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trunk was fully opened and the luggage or cargo was lifted again to be loaded in the loading space of the trunk.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는 스마트 키 등을 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차량의 트렁크를 자동으로 열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의 기술은 스마트 키 등이 적용되는 차량 등 고급 옵션이 적용되는 일부 극소수 차량에만 적용되는 기술로서, 대부분의 차량에서는 기존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recently released vehicles so as to automatically open the trunk of the vehicle eve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smart key and the like. However, the technology of such a vehicle is applied only to a very small number of vehicles to which an advanced option such as a smart key and the like is applied. In most vehicles,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can not be solved.

따라서, 스마트 키 등 고급 옵션이 적용되지 않는 일반 차량에서 스마트 키 등의 조작 없이도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easily control driving of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without operating a smart key or the like in a general vehicle to which an advanced option such as a smart key is not appli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키 등 고급 옵션이 적용되지 않는 일반 차량에서 스마트 키 등의 조작 없이도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sensing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easily control driving of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without operating a smart key or the like in a general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using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uthenticating a mobile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itializing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driving the at least one sensor to detect a movement of a user by the at least one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이 때,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에 구비된 블루투스부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에 대해 등록된 페어링 정보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authenticating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through the pairing information registered for the vehicle And authenticating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구간을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step of initializing the at least one sensor may include driving the at least one sensor, determining at least one sensed interval in which the at least one sensor senses an oper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기 차량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발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i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and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senses the user's foot motion.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로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 구간을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initializing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may include generating ultrasonic waves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sensing a reflected wave returning to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Measuring the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determining the sensing interval using the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또한, 상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제1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1 기간 동안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인 제2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2 기간 동안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enerating of the ultrasonic waves may include generating ultrasonic waves having a first phas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for a first period of time and generating ultrasonic waves having a phase opposite to the first phas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And generating ultrasonic waves having a second phase during a second period.

한편,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oper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 and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is driven only when the vehicle is not op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이 때,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이 시동 상태인지 판단하거나, 상기 차량의 변속부 또는 속도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또는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drive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tarting stat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tarting state, State or not.

한편,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에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에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이전에 상기 차량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 and if the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And deactivating the im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prior to controlling driving to at least one door.

이 때, 상기 차량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된 신호 라인에 설치된 우회 회선(Bypass lin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ep of deactivating the e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 bypass line installed in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door of the vehicle .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을 인식하는 단말 인식부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단말 인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 및 상기 도어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단말 인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 및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terminal recognizing unit installed in a vehicle and recognizing a mobile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vehicle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a user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 door driving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the door driving unit driving the at least one door,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recognition unit,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and the door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terminal recognition unit,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and the door driving unit, And if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initialize the at least one sensor, and the at least one sensor And controls driving of the at least one door when a user's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ground sensor.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인식부가 상기 이동 단말에 구비된 블루투스부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차량에 대해 등록된 페어링 정보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recognizing un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through the pairing information registered for the vehicle, And authenticates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구간을 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the controller drives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and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determines a detection interval in which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senses the oper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one sensor is initializ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기 차량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발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i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and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senses the user's foot motion.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로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측정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 구간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generates an ultrasonic wav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detects a reflected wave returning to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measures a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installed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And the sensing interval is determined by using a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installed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제1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1 기간 동안 발생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인 제2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2 기간 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ultrasonic waves having a first phas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for a first period of time and transmit ultrasound waves having a second phase opposite to the first phas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Is generated during the second period.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per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and the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only when the vehicle is not op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이 시동 상태인지 판단하거나, 상기 차량의 변속부 또는 속도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또는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starting state or no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or connected to the speed changing unit or the speed measuring unit of the vehicle,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operating.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에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에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이전에 상기 차량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and if the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e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before the driving of the door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된 신호 라인에 설치된 우회 회선(Bypass line)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performs an e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us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 bypass line installed in a signal line connected to a door of the vehicle And inactivates the second transisto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키 등 고급 옵션이 적용되지 않는 일반 차량에서 스마트 키 등의 조작 없이도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driving of a door provided in a vehicle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smart key or the like in a general vehicle not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종류, 차량의 위치 등에 따라 감지 센서를 초기화함으로써,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할 때에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of th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initializing the sensor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운행되지 않을 때에만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할 때에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only when the vehicle is not in operation, The safety of the user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를 구현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초기화할 때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ntrol unit of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henticates a mobile terminal.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ntrol unit of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itializ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ntrol unit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itializ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ultrasonic wave is generated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itialize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8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do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que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는, 단말 인식부(110),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 도어(21) 구동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recognition unit 110,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a door driving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as shown in FIG.

단말 인식부(110)는 차량(20)에 설치되며,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을 인식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단말 인식부(110)는 블루투스부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을 인식할 수 있다.The terminal recognition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20 and can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1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2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recognition unit 110 can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10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20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는 차량(20)에 설치되며,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를 사용할 수 있다.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20 and can sense the operation of the user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2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may us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도어(21) 구동부(130)는 차량(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21)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도어(2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어(21) 구동부(130)는 차량(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2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21)를 구동시키기 위해 차량(20)에 구비된 모터,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The door driving unit 1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door 21 provided in the vehicle 20 and can drive at least one door 21. The door driving unit 1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door 21 provided in the vehicle 20 and may include a motor provided in the vehicle 20 to drive the at least one door 21,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 actuator such as a cylinder.

제어부(140)는 단말 인식부(110),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 및 도어(21) 구동부(130)에 연결되며, 단말 인식부(110),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 및 도어(21) 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recognition unit 110,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and the door driving unit 130 and includes a terminal recognition unit 110,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30 can be controlled.

이러한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10)을 인증하고, 이동 단말(10)이 인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하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도어(21)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uthenticates the mobile terminal 10 and initializ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authenticat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ser by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to at least one door 21. [0050]

즉, 제어부(140)는, 단말 인식부(110)가 이동 단말(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차량(20)에 대해 등록된 페어링 정보를 통해 식별 정보가 페어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식별 정보가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경우, 이동 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10)이 인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구동하고, 차량(20)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구간을 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rminal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through the pairing information registered for the vehicle 20 And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0 can be authentic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authenticated, the control unit 140 drives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and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2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sensor section 120 may initialize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by setting a sensing interval for sensing the sensing interval.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는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제어부(140)에서 처리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40)에서 처리된 각종 데이터를 외부의 원격 서버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원격 서버로부터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에 필요한 제어 명령 등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various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various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40 to an external remote serv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control commands.

이상,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part " used in this embodiment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or an ASIC, and " part "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의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showing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40)는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S210). 즉, 제어부(140)는, 단말 인식부(110)에서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을 인식하면, 단말 인식부(110)에 의해 인식된 이동 단말(10)이 차량(20)의 도어(21)를 제어하도록 등록된 이동 단말(10)인지 확인하여 차량(20)의 도어(21)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40 can authenticate the mobile terminal 1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20 (S210). That is, when the terminal recognizing unit 110 recognizes the mobile terminal 10 located around the vehicle 20,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 recognized by the terminal recognizing unit 110 is a vehicle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the mobile terminal 10 so as to control the door 21 of the vehicle 20 by confirm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 is registered to control the door 21 of the vehicle 20.

그리고, 제어부(140)는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을 인증한 후(S210), 이동 단말(10)이 인증된 경우에는 차량(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할 수 있다(S220). 즉,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가 차량(20)의 종류, 차량(20)의 위치 등에 상관 없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하는 방법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authenticated, the control unit 140 authenticates the mobile terminal 10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20 (S210) (Step S220).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initializ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so that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can detect the user's oper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vehicle 20, the position of the vehicle 20, can do. The method by which the control unit 140 initializes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그리고, 제어부(140)는 차량(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한 후(S220),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구동시키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230). 이 때,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동안만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안 등을 위해, 제어부(140)가 이동 단말(10)을 인증하고 난 후, 일정 기간 동안만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이동 단말(10)의 인증(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trol unit 140 initializ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20 at step S220 and driv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to detect the operation of the user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sens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a time point at which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is initialized, thereby sensing the user's operation. For security and the like, after the controller 140 authenticates the mobile terminal 10, the mobile terminal 10 senses the user's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releases authentication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마지막으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21)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S240).Finally, when the user's operation is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driving of at least one door 21 provided in the vehicle 20 (S240 ).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의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제어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oor, for example, an example of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를 구현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9에서는 이동 단말(10)의 일 예로 스마트 폰(10)을 사용하고, 차량(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의 일 예로 차량(2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를 사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가 사용자의 발 동작을 감지하여 차량(20)의 트렁크를 오픈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3 to 9 illustrate one example of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20 using the smartphone 10 as an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20 A case wher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is used and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senses a user's foot motion and opens the trunk of the vehicle 20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40)는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도 2의 S210).As described above, first, the control unit 140 can authenticate the mobile terminal 1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20 (S210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ntrol unit of a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henticates a mobile termina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을 인증하기 위해, 먼저 이동 단말(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11)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21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마트 폰(10)은 블루투스부(블루투스 모듈)(11)를 구비하며, 단말 인식부(110)는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스마트 폰(10)을 인식하기 위해 내부에 블루투스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부의 식별 정보는 블루투스부의 고유 주소(BD_ADDR)를 이용할 수 있다.4, in order to authenticate the mobile terminal 10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20, the control unit 140 firstly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1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 (S211). 3, the general smartphone 10 includes a Bluetooth module 11, and the terminal recognizer 110 recognizes the smartphone 1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20, And a Bluetooth unit 111 may be provided therein for recognition.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can use the unique address (BD_ADDR) of the Bluetooth unit.

그리고, 제어부(140)는 차량(20)에 대해 등록된 페어링 정보를 통해 이동 단말(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11)의 식별 정보가 페어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2). 여기서 차량(20)에 대해 등록된 페어링 정보는 단말 인식부(1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111)에 저장된 페어링 정보를 의미하며,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를 차량(20)의 내부에 최초 설치할 때에 초기화 과정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can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11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through the pairing information registered for the vehicle 20 (S212) . Here, the pairing information registered for the vehicle 20 means the pai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Bluetooth unit 111 provided in the terminal recognizing unit 110, and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is initially It can be set through the initialization process at the time of installation.

즉, 단말 인식부(1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111)가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스마트 폰(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11)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제어부(140)는 단말 인식부(1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111)에 저장된 페어링 정보를 검색한 후,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스마트 폰(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11)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luetooth unit 111 provided in the terminal recognizing unit 11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11 provided in the smartphone 1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20, The mobile terminal 20 searches for the pai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Bluetooth unit 111 of the terminal recognition unit 110 and then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ir of the smart phones 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11 coincides with each other.

이 때,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에 저장된 페어링 정보 내의 블루투스부의 식별 정보는 1 개인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1 개 이상의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20)에 대해 등록된 페어링 정보는 단말 인식부(110)에 구비된 블루투스부(111)에 저장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에 구비된 메모리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in the pai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vehicle door control device 100 is preferably one, but one or more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as nee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ing information registered for the vehicle 20 is stored in the Bluetooth unit 111 of the terminal recognition unit 110. However, (Not shown).

마지막으로, 제어부(140)는, 단계 S212에서의 판단 결과, 식별 정보가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경우, 이동 단말(10)을 인증할 수 있다(S213).Final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12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authenticate the mobile terminal 10 (S213).

이와 같이, 제어부(140)가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10)을 인증한 후(도 2의 S210), 이동 단말(10)이 인증된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차량(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할 수 있다(도 2의 S220). 본 발명에서 차량(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해야 하는 이유는, 차량(20)의 종류 등에 따라 차량(20) 내에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차량(20)의 위치, 예를 들어, 차량(20)이 주정차하는 위치에 따라 차량(20)의 주변 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즉, 제어부(140)는 차량(20)의 위치 등의 조건에 따라 차량(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할 수 있다.2),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 has been authenticated by the control unit 140. When the control unit 140 authenticates the mobile terminal 1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20 (S210 in FIG. 2) At least one sensor 120 installed in the sensor 20 may be initialized (S220 of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20 must be initialized because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door control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20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ehicle 20 or the like This is because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20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20, for example,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20 travels regularly.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20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20, such that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user Can be initialized.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구동한 후, 차량(20)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구간을 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to determine a sensing period in which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senses the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20. [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ntrol unit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itializ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FIG. Is an example of initializing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차량(20)의 주변에 위치하는 스마트 폰(10)을 인증한 후, 차량(2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를 초기화하기 위해,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를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S221). 그리고,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S222). 마지막으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이용하여 감지 구간을 정할 수 있다(S223).3 and 5, the controller 140 authenticates the smartphone 10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20 and then transmits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not shown) install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20 The control unit 140 may generate ultrasonic waves through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S221). The control unit 140 may sense reflected waves returning to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and measure the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at step S222. Fin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sensing interval using the sens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S223).

도 6에서는 차량(2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를 이용하여 초음파 센서를 초기화하여 감지 구간을 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는 차량(20)의 후륜(22) 사이에 트렁크(21)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FIG. 6 shows an example of initializing the ultrasonic sensor using three ultrasonic sensors S1, S2, and S3 install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20 to determine the sensing period. In this case, the three ultrasonic sensors S1, S2, S3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trunk 21 between the rear wheels 22 of the vehicle 20. [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를 통해 각각 초음파(↓)를 발생시킨 후, 각각의 초음파 센서 S1, S2, S3로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하여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 d1, d2, d3를 측정할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어부는 인식 거리 d1, d2, d3를 이용하여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에 대한 감지 구간 A1, A2, A3를 정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A, the controller 140 generates ultrasonic waves ↓ through three ultrasonic sensors S1, S2, and S3, respectively, and then outputs the ultrasonic waves to the respective ultrasonic sensors S1, S2, and S3 And the recognition distances d1, d2, and d3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three ultrasonic sensors S1, S2, and S3 can be measured. 6 (b), the chair section can determine the sensing periods A1, A2, and A3 for the three ultrasonic sensors S1, S2, and S3 using the recognition distances d1, d2, and d3

만약,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의 후륜(22) 사이의 중앙부에 장애물(B)(예를 들어, 과속 방지턱, 주차용 블록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 중 중앙부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 S2는 인식 거리 d2가 초음파 센서 S1, S3의 인식 거리 d1, d3보다 짧게 되므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 S2에 대한 감지 구간 A2의 높이는 초음파 센서 S1, S3에 대한 감지 구간 A1, A3의 높이보다 높게 정해질 수 있다.6 (a), when an obstacle B (for example, an overspeed control block, a parking block, or the like) exists in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he rear wheels 22 of the vehicle 20, 6 (b), the ultrasonic sensor S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hree ultrasonic sensors S1, S2, and S3 has the recognition distance d2 shorter than the recognition distances d1 and d3 of the ultrasonic sensors S1 and S3. The height of the sensing zone A2 with respect to S2 can be se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nsing zones A1 and A3 with respect to the ultrasonic sensors S1 and S3.

한편, 도 6의 (b)에서는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의 인식 거리 d1, d2, d3에 따라 감지 구간 A1, A2, A3가 서로 다르게 정해진 예를 들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c)에서와 같이,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의 인식 거리 d1, d2, d3에 상관 없이 가장 짧은 인식 거리 d2를 기준으로 모두 동일한 높이의 감지 구간 A(A1+A2+A3)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6B, the detection intervals A1, A2, and A3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distances d1, d2, and d3 of the three ultrasonic sensors S1, S2, and S3. However, Can be set different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c), all of the sensed intervals A ((1, 2, 3)) of the same height on the basis of the shortest recognition distance d2 regardless of the recognition distances d1, d2, d3 of the three ultrasonic sensors S1, A1 + A2 + A3).

또한, 도 6에서는 차량(20)의 후륜(22) 사이에 트렁크(21)와 인접하여 3 개의 초음파 센서 S1, S2, S3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초음파 센서의 개수, 설치 위치,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ultrasonic sensors S 1, S 2 and S 3 are provided between the rear wheels 22 of the vehicle 20 and adjacent to the trunk 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arrangement type, and the like can be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한편,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를 차량(20)의 후방 하단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와 바닥 사이의 거리가 짧아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에서 초음파 발생을 중단하는 경우에도 발생된 초음파가 잔존하여 초음파 센서로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When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is install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20, the distance between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and the floor is short, so that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generates ultrasonic wav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enerated ultrasonic waves remain and the reflected wave returned to the ultrasonic sensor can not be detec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1 기간 동안 발생시키고,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인 제2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2 기간 동안 발생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40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ultrasonic wave having a first phase for a first period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The ultrasonic wave having the second phase, which is opposite in phase to the ultrasonic wave, can be generated during the second perio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초기화할 때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ultrasonic wave is generated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itialize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도 7의 (a)에서는 제어부(140)가 초음파 센서에서 t0 ~ t1 동안 제1 위상의 초음파를 발생시킨 후 t1에서 중단시켰을 때의 초음파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고, 도 7의 (b)에서는 제어부(140)가 초음파 센서에서 t0 ~ t1 동안 제1 위상의 초음파를 발생시킨 후, t1 ~ t2 동안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인 제2 위상의 초음파를 발생시켰을 때의 초음파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제1 기간 동안 초음파 센서를 통해 제1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킨 후, 제2 기간 동안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인 제2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잔존하는 초음파를 제거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와 바닥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반사파를 정확하게 감지해 낼 수 있다.7A shows waveforms of ultrasonic waves when the controller 140 generates ultrasonic waves of a first phase during t0 to t1 and then stops at t1 in the ultrasonic sensor. In FIG. 7B, 140 generates ultrasonic waves of a first phase during t0 to t1 in the ultrasonic sensor and then generates ultrasonic waves of a second phase that is opposite in phase to the first phase during t1 to t2. In this manner, the controller 140 generates the ultrasonic wave having the first phase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during the first period, generates the ultrasonic wave having the second phase opposite to the first phase during the second perio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reflected wav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and the bottom is short.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차량(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한 후(도 2의 S220),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구동시키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도 2의 S230). 즉, 제어부(140)는 차량(2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를 구동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의 감지 구간 내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를 초기화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동안만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120)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발 동작이 있느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2, the control unit 140 initializes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20 (S220 in FIG. 2), drives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peration (S230 in FIG. 2).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drive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install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20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user's foot motion is present within the sensing interval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can do.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140 drive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ased on a time point at whic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120 is initialized, Can be detected.

마지막으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21)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도 2의 S240). 즉, 제어부(140)는 차량(2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의 감지 구간 내에서 사용자의 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20)에 구비된 트렁크를 오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driving of at least one door 21 of the vehicle 20 when the user's operation is detected by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2, S240). That is, the controller 140 can open the trunk of the vehicle 20 when the user's foot motion is sensed within the sensing period of the ultrasonic sensor installed at the lower rear of the vehicle 2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10)이 인증된 경우, 차량(20)의 운행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 차량(20)이 운행되지 않는 경우에만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구동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authenticated, the control unit 140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20 is operated, 20 can not be operated,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can be drive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do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의 다른 예는, 이동 단말(10)이 인증된 경우, 제어부(140)가 차량(20)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40)는 차량(20)의 운행 여부를 판단한 결과, 차량(20)이 운행되지 않는 경우에만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는 차량(20)의 운행되는 순간에 차량(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21)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에 위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20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40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authenticated The control unit 140 may driv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0 only when the vehicle 20 is not operated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20 is operated or not. This is because it may pose a safety risk to the user when controlling driving of at least one door 21 provided in the vehicle 20 at the moment when the vehicle 20 is operated.

이 때, 제어부(140)는, 차량(20)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차량(20)이 시동 상태인지 판단하거나, 차량(20)의 변속부 또는 속도 측정부에 연결되어 차량(20)의 주행 상태 또는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20)의 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20)의 시동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차량(20)의 주행 상태 또는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연결되는 변속부(도시되지 않음)는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의 설치와는 상관 없이 차량(20)의 내부에 이미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차량(20)의 주행 상태 또는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연결되는 속도 측정부(도시되지 않음)는 차량(2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에 내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속도 측정부가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차량(20)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20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20 is in the starting state or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20 is running Or whether the vehicle 20 is in operation or not. At this time, a power supply (not shown) connected to judge whether the vehicle 20 is in a starting state and a transmission portion (not shown) connected to judge whether the vehicle 20 is in a running state or an idling state May be already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20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However, the speed measuring unit (not shown) connected to judge whether the vehicle 20 is in the traveling state or the idling state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20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separately . When the speed measur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20 is operating.

도 8에서는 제어부(140)가 이동 단말(10)을 인증한 다음에 바로 차량(20)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20)를 초기화한 후, 차량(20)의 운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20 is operating immediately after authenticating the mobile terminal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initialize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120 and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20 is operatin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10)이 인증된 경우, 차량(20)에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 차량(20)에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는, 차량(20)의 도어(21)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이전에 차량(20)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an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20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authenticated If the e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e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20 is deactivated before the driving of the vehicle 20 to the door 21 is controlled .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은 일종의 차량(20) 도난 방지를 위한 기능으로, 스마트 키와 같은 자동차 열쇠에 내장된 암호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차량(20)의 운행 등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지원하는 차량(20)의 경우, 스마트 키를 사용하여 차량(20)의 도어(21)를 잠근 경우, 스마트 키를 사용하여 차량(20)을 오픈하지 않는 경우 경고음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100)는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지원하는 차량(20)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차량(20)의 도어(21)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이전에 차량(20)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immobilizer function is a function for preventing a kind of vehicle 20 from being stolen and means a function for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20 when the password embedded in a car key such as a smart key is not used .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vehicle 20 supporting the emobilizer function, when the door 21 of the vehicle 20 is locked using the smart key, and the vehicle 20 is not opened using the smart key A beep sounds.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vehicle 20 that supports the immobilizer function even when the vehicle 2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21 of the vehicle 20. [0033]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장치의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vehicle do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의 다른 예는, 이동 단말(10)이 인증된 경우, 제어부(140)는 차량(20)에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5)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40)는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차량(20)에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21)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이전에 차량(20)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is such that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authenticated,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e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20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20. When the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20,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at least one door 21, It is possible to deactivate the im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20 prior to controlling the drive for the vehicle 20.

이 때, 제어부(140)는, 차량(20)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차량(20)의 도어(21)에 연결된 신호 라인에 설치된 우회 회선(Bypass line)을 이용하여 차량(20)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차량(20)의 도어(21)가 오픈되는 등 도어(21)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경우에 우회 회선을 이용하여 전자 제어 장치에 차량(20)의 도어(21)가 구동되지 않는 것처럼 인식시킴으로써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uses a bypass line provided in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provided in the vehicle 20 and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door 21 of the vehicle 20 Thereby deactivating the im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20. [ That is, when the door 21 of the vehicle 20 is opened,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oor 21 of the vehicle 20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by using the bypass circuit, It is possible to deactivate the emobilizer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경우,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키 등 고급 옵션이 적용되지 않는 일반 차량에서 스마트 키 등의 조작 없이도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종류, 차량의 위치 등에 따라 감지 센서를 초기화함으로써,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할 때에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운행되지 않을 때에만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에 구비된 도어의 구동을 제어할 때에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driving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without operating a smart key or the like in a general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when the drive of th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initializing the senso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like. Further,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only when the vehicle is not operated, the safety of the user can be achieved when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10: 단말 인식부 120: 감지 센서
130: 도어 구동부 140: 제어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Vehicle door control device
110: terminal recognition unit 120:
130: Door driving unit 140:

Claims (20)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Authenticating a mobile terminal located around the vehicle;
If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initializing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at least on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when the oper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oor using a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에 구비된 블루투스부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대해 등록된 페어링 정보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uthenticating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luetooth uni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through the pairing information registered for the vehicle; And
And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authenticating th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구간을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itializing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comprises:
Driving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And
And determining a sensing interval in which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senses an oper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기 차량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발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i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and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senses the foot operation of the us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로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 구간을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itializing th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comprises:
Generating ultrasonic waves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Sensing a reflected wave returning to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and measuring a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installed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And
And determining the sensing period using a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installed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제1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1 기간 동안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인 제2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2 기간 동안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ultrasonic waves comprises:
Generating ultrasonic waves having a first phas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during a first period; And
And generating ultrasonic waves having a second phase opposite to the first phas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during a second period of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oper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Wherein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is driven only when the vehicle is not op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이 시동 상태인지 판단하거나, 상기 차량의 변속부 또는 속도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또는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tarting state or not and is connected to a speed changing unit or a speed measuring unit of the vehic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or an idling state.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에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에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이전에 상기 차량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im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prior to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t least one door when the e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Control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된 신호 라인에 설치된 우회 회선(Bypass lin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deactivating the emo- vil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comprises:
Wherein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 bypass line provided in a signal line connected to a door of the vehicle are used.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을 인식하는 단말 인식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단말 인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 및 상기 도어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단말 인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 및 상기 도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A terminal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recognizing a mobile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t least one sensing sensor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sensing an operation of a user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 door driver connected to at least one door of the vehicle and driving the at least one door;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recognizing unit, the at least one detecting sensor, and the door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terminal recognizing unit, the at least one detecting sensor, and the door dri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authenticates the mobile terminal, initializes the at least one senso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 and transmits the at least one sensor to the at least one door when the oper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hic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인식부가 상기 이동 단말에 구비된 블루투스부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차량에 대해 등록된 페어링 정보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un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uni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airing information through the pairing information registered for the vehicle,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by the mobile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구간을 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or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And the vehicle door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vehicle do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기 차량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발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i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vehicle, and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senses the foot operation of the us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로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측정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인식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 구간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rein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detects ultrasonic waves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and senses a reflected wave returning to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to measure a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installed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Wherein the sensing interval is determined using a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installed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제1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1 기간 동안 발생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위상과 반대 위상인 제2 위상을 가지는 초음파를 제2 기간 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n ultrasonic generator for generating an ultrasonic wave having a first phas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for a first period and an ultrasonic wave having a second phase opposite to the first phase through th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The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이 운행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oper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 and then drives the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only when the vehicle is not op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이 시동 상태인지 판단하거나, 상기 차량의 변속부 또는 속도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또는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not by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or in an idling state by being connected to a speed changing unit or a speed measuring unit of the vehicle, Wherein the vehicle door is a vehicle doo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에 이모빌라이져(immobilizer) 기능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에 이모빌라이져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이전에 상기 차량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if the mobile terminal is authentic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mmobilizer func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im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prior to the control of the vehicle doo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된 신호 라인에 설치된 우회 회선(Bypass line)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적용된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Characterized in that the emobilizer function applied to the vehicle is deactivated by us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 bypass line provided in a signal line connected to a door of the vehicle A vehicle door control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KR1020140092800A 2014-07-22 2014-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trunk using mobile terminal KR201600117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00A KR20160011793A (en) 2014-07-22 2014-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trunk us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00A KR20160011793A (en) 2014-07-22 2014-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trunk using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793A true KR20160011793A (en) 2016-02-02

Family

ID=5535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800A KR20160011793A (en) 2014-07-22 2014-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trunk using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79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0026A1 (en) * 2021-02-23 2022-08-26 Psa Automobiles S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YSTEM FOR LOCKING A VEHICLE REAR SEAT BACKREST
KR102657087B1 (en) * 2023-07-28 2024-04-12 채상민 Method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sport utility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0026A1 (en) * 2021-02-23 2022-08-26 Psa Automobiles S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YSTEM FOR LOCKING A VEHICLE REAR SEAT BACKREST
WO2022180313A1 (en) * 2021-02-23 2022-09-01 Psa Automobiles S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ystem for locking a rear seat backrest in a vehicle
KR102657087B1 (en) * 2023-07-28 2024-04-12 채상민 Method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sport utility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6993B2 (en) Automatic power door opening on sustained presence
KR101428240B1 (en) Handsfree power tailgat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9988016B1 (en) Authentication of mobile devices for vehicle communication
US10384641B2 (en) Vehicle driver locator
US9193331B2 (en)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door control method
JP6781538B2 (en) Open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mart tailgate for automobiles
US10894528B2 (en) Vehicle smart ke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96102B2 (en) Start system for a car, car having a star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tart system for a car
CN109080580A (en) Ignition systems for vehicles and method
WO2018003345A1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and occupant detection device
US10328896B2 (en) Vehicle theft avoidance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10589674B2 (en) System for sensing height of obstacle for parking assistance
US20180328094A1 (en) Intelligent Vehicle Access Point Opening System
KR201900693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 object
US20140292483A1 (en) Hands-free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trunk
CN1126600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of vehicle
KR201600117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trunk using mobile terminal
KR101562124B1 (en) Process for driving tailgate according to motion direction recognition
KR20170045591A (en) Automatic Car Door Opening-and-Closing System Using AVM and Method thereof
KR1014075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vasion of vehicle
EP1591976B1 (en) Intrusion detection device for spaces
KR20160133222A (en) A black box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owner of a vehicle
JP2012112196A (en) Electronic key system
WO2016063310A1 (en) Locking and unlocking control unit,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and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control method
JP6179430B2 (en) Electronic key takeout alarm system and electronic key takeout alarm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