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610A -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 Google Patents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610A
KR20160011610A KR1020150153738A KR20150153738A KR20160011610A KR 20160011610 A KR20160011610 A KR 20160011610A KR 1020150153738 A KR1020150153738 A KR 1020150153738A KR 20150153738 A KR20150153738 A KR 20150153738A KR 20160011610 A KR20160011610 A KR 2016001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lock
bath
circulation pip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석
강은
강찬
Original Assignee
강일석
강찬
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일석, 강찬, 강은 filed Critical 강일석
Priority to KR102015015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610A/ko
Publication of KR2016001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신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온수순환관을 수용하여 건식으로 반신욕을 할 수 있는 온수순환식 반신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는, 반신욕을 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 일부가 개방되는 반신욕 케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홀이 형성되며 블럭 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반신욕 케이스 내측면을 따라 적층되는 순환관수용블럭; 및 순환관수용블럭의 수용홀에 삽입 수용되어, 반신욕 케이스 내측 전면(全面)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온수순환관;을 포함하며, 온수순환관을 순환하는 온수의 열기가 순환관수용블럭에 열전달되고, 순환관수용블럭의 열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신욕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열전달되어 건식 반신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순환식 반신욕기{APPARATUS FOR BATHING LOWER-BODY BY HOT WATER CIRCULATION}
본 발명은 반신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온수순환관을 수용하여 건식으로 반신욕을 할 수 있는 온수순환식 반신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 분위기에 편승하여 사람의 건강증진을 꾀하는 각종 전기제품은, 돌침대, 옥매트, 의료기, 황토볼 찜질기, 원적외선 난방기구 등은 말할 것도 없고, 개인용 사우나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제품 가운데 반신욕기 또한 사람의 건강증진을 꾀하는 하나의 웰빙 제품으로서, 그 형태나 구조 그리고 욕기 내부의 히팅 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기술적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신욕기는 그 형태면에서 사람 한명이 들어가 앉을 수 있는 크기의 직육면체 혹은 그 이상의 다면체 박스형 구조물 형태로 되어 있고, 예외적으로 일반가정용 욕실에 사용하는 것처럼 둥근 욕조형태를 띤 것이 극히 일부 있다. 그 구조물의 재질도 목재가 주종을 이루고 일부 플라스틱 성형물 혹은 철재로 된 것도 있다.
박스형 반신욕기는 그 외부면에 욕기 내부로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개폐식 출입문이 있다. 또한, 사람의 하반신만을 한정된 욕기공간에 밀폐시킨 상태에서 뜨거운 열기로 반신욕을 하는 동안에는 상반신은 욕기 외부로 노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반신욕기의 상부면에는 일단의 개방부가 조성됨과 동시에 반신욕기 내부에는 사람이 편안하게 반신욕을 할 수 있도록 앉을 수 있는 의자가 조성되어 있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한편, 반신욕기 내부에서 열기를 발산시키는 방식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거의 예외 없이 전기열선, 세라믹히터, 필름형태의 전기발열체, 면상발열체 등 다양한 전기발열체를 반신욕기 내부에 설치한 다음 전기발열체에서 전기적 작용에 의해 발열되는 열기를 직접 욕기 내부에서 발산되게 하는 방식이었다. 극히 예외적으로는 반신욕기 외부에서 생성된 뜨거운 증기나 온수를 반신욕기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순환시켜서 반신욕기 내부에 간접적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방식이 일부 있을 뿐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반신욕기 내부에 열기를 발산시키는 방식은 나름대로 장점이 있는 한편 단점이 적지 않거나 미흡한 점이 많았다. 즉, 전기발열체에서 발열되는 열기를 직접 반신욕기 내부에서 발산되게 하는 방식은 반신욕기 내부를 신속히 히팅시킬 수 있는 점, 반신욕기 내부 열기의 온도조절이 용이한 점,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점, 제작이 간편한 점 등의 장점이 큰 반면에, 단점으로서 무엇보다도 반신욕기 내부에서 전기적 발열현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전위험이라는 크나큰 문제가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전기적 발열과정에 전자파가 그 양이 적든 많든 발생하여 사람의 하반신에 각종 폐해를 끼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7988호 “좌욕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반신욕사우나기”에 있어서, 핵심기술 내용인 발열코팅제가 도포된 필름히터 혹은 종이 세라믹발열체 중 어느 하나가 반신욕기 내부에서 전기적 발열반응에 의해 열기가 생성되게 하고, 열기가 반신욕기 내부에서 발산되게 하는 방식인바, 이 방식에 의한 반신욕기는 일단 반신욕기 내부에 강한 전류가 흐르는 상태이고 더군다나 반신욕기 내부에는 하반신에서 배출된 땀이나 수증기가 충만해 있기 때문에 감전이라는 치명적인 실체적 위험 내지 정신적 우려감과 더불어 전자파의 유해성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반신욕기 내부에서 전기적 발열반응을 일으켜 열기를 발산시키는 방식은 위 예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5402호 “건식 반신욕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746호 “담열기와 뜸질좌욕기가 구비된 원적외선 반신욕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9005호 “물이 순환되는 반신욕기”등 많은 기술이 즐비하게 시현되고 있지만 이들 역시 반신욕기 내부에서의 감전이라는 치명적인 실체적 위험 내지 정신적 우려감을 지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6979호 “개인용 반신 사우나”의 경우는, 일반적인 온수매트에서와 같은 원리로 반신욕기 내부에 온순순환관을 조성해 놓고 반신욕기 외부에서 생성된 온수를 온수순환관에 순환시켜 반신욕기 내부를 히팅시키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예에서와 같은 감전위험과 전자파의 유해성 문제가 해소된 크나큰 진전이 있었다. 즉, 전기매트가 감전이나 화재의 위험 그리고 전자파의 유해성 문제 때문에 온수매트 관련 기술이 개발되었듯이 향후 건강증진을 꾀하는 웰빙형 전기제품은 이처럼 반신욕기에도 반신욕기 외부에서 데워진 온수를 반신욕기에 공급하거나 순환시키는 방식을 적용하여 감전위험이나 전자파의 유해성을 회피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열선(감열선)이 아닌 온수순환관을 반신욕기 뿐만 아니라, 개인용 사우나돔(sauna dome), 돌침대, 의복 등의 내부면에 매설한 후 반신욕기 등의 외부에서 생성시킨 온수를 반신욕기 등의 내부면에 매설된 온수순환관에 순환시킴으로써 반신욕기 등의 내부를 히팅시키는 기술은 다양하게 시현된 바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써 일반적인 온수매트나 온수순환식 돌침대를 제조하는 방법과 같은 방식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6979호 “개인용 반신 사우나”의 경우처럼 견면이나 스티로품 등의 일측면에 온수순환관을 매설할 수 있는 홈통을 조성한 후 동 홈통에 온수순환관을 고정시켜서 동 온수순환관 내부를 순환하는 온수의 열기를 반신욕기나 개인용 사우나돔 혹은 돌침대의 돌판 또는 의복의 내부면에 발산시키는 방식이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6979호 “개인용 반신 사우나”의 경우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온수순환관을 매설한 다음 그 표면에 액상의 황토조성물을 수회 도포함으로써 반신욕기 내부에 원적외선을 발산시키는 기술까지 시현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그런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6979호“개인용 반신 사우나”에서는 반신욕기 내부에서의 열기발산방식 내지 발열방식의 기술부분에서 미흡한 부분이 있다. 즉, 보편적으로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 그대로 이 개인용 반신욕기에 적용함에 따른 문제점인바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면, 스티로품 또는 우레탄 스펀지의 일측면에 조성된 홈통에 온수순환관을 삽설하게 되면 홈통에서 온수순환관이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에서는 온수의 열기가 잘 발산되는데 반하여 홈통에서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홈통의 안쪽에 매설되는 부분에서의 열기는 잘 발산되지 않음으로써 결국 반신욕기 내부를 히팅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반신욕기 내부에 매설하는 온수순환관이 강한 철재로 된 순환관이고 이에 고온고압의 증기를 순환시킨다면 모르겠으나, 그렇지 않고 간편하면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수매트용 연질성수지로 된 호스에 온수를 순환시킨다면 반신욕기 내부에서 직접 전기열을 발산시키는 발열방식에 비해서 월등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7988호(2006.08.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9005호(2014.06.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6979호(2013.05.0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5402호(2013.02.1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746호(2013.04.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고 안전하게 반신욕을 할 수 있는 온수순환식 반신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반신욕기 내부에서의 전기적 발열반응에 의한 열기의 생성은 일단 회피할 수 있도록, 소형 전기보일러와 같은 발열장치를 이용하여 반신욕기 외부에서 생성된 열기를 반신욕기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순환시켜, 반신욕기 내부에 있는 사람의 신체에 전기적 위험이나 전자파의 유해성으로부터 완전히 회피할 수 있는 온수순환용 반신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반신욕기의 경우 사용시간이 불과 1시간 내외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초기 히팅시간의 단축과 함께 반신욕기 내부에 열기를 머금고 있는 축열체의 물리적 비중이 얼마나 높은가 하는 부분은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가령, 반신욕기 외부에 설치한 소형 전기보일러를 반신욕기의 발열장치로 사용하고, 온수순환관 매설용 홈통이 조성된 견면이나 스티로폼에 온수순환관인 연질의 PVC 호스를 매설 또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온수를 온순순환관을 통해 반신욕기 내부를 히팅시킨다고 가정할 때, 호스 내부의 온수 열기가 반신욕기 내부의 공기 또는 호스 고정체 일단면과 접촉하면서 열전달과정을 거쳐 반신욕기 내부 전체를 최소 36℃ 이상 덥히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반신욕기 내부의 열기는 지속적으로 반신욕기 외부로 이탈하기 때문에 욕기 내부에 적당한 축열체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한 반신욕기 내부 온도를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반신욕기 외부에서 생성된 열기가 온수순환관을 통해 반신욕기 내부에 전달이 될 때, 반신욕기 내부에서 온수순환관과 접촉하는 물체는 물리적 비열이 높은 견면이나 스티로폼 등으로는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온수순환관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순환관수용블럭(120)는 비열이 최대한 낮고, 열비축성이 높은 어느 정도의 체적을 지닐 수 있으며, 이 순환관 수용블럭(120)이 온수순환관과 접하는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으며, 이 순환관 수용블럭(120)이 반신욕기 내의 공기와 접하는 면적도 최대화될 수 있도록 열효율이 향상된 온수순환식 반신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는, 반신욕을 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 일부가 개방되는 반신욕 케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홀이 형성되며 블럭 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반신욕 케이스 내측면을 따라 적층되는 순환관수용블럭; 및 순환관수용블럭의 수용홀에 접촉되어 수용되어, 반신욕 케이스 내측 전면(全面)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온수순환관;을 포함하며, 온수순환관을 순환하는 온수의 열기가 순환관수용블럭에 열전달되고, 순환관수용블럭의 열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신욕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열전달되어 건식 반신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순환관수용블럭은 육면체 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고, 일면에서 타면까지 한 쌍의 수용홀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순환관수용블럭은 황토 또는 고령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미세 분말 상태에서 압착성형 후 소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순환관수용블럭은 육면체 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고, 일면에서 타면까지 한 쌍의 수용홀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수용홀의 내부에는 은 재질, 구리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파이프가 밀착 수용되고, 금속파이프에 온수순환관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신욕 케이스와 순환수용블럭 사이에는 외부로의 열단을 위한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또는 스티로폼(styrofoa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차단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온수순환식 반신욕기는 사용자가 크게 3가지의 이점을 누리면서 반신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첫째, 반신욕기 외부에서 생성된 열기를 온수순환을 통해서 반신욕기 내부로 순환시켜 반신욕기에 열기를 공급함으로써 반신욕기 자체에는 전기적 요소가 완전히 배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기적 위험이나 전자파의 유해성 때문에 갖게 되는 실체적 위험 내지 정신적 우려감에서 완전히 해방된 상태에서 반신욕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반신욕기 내부를 히팅시키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반신욕기 내부에 온수순환관을 통해서 열기를 공급하되 온수순환관이 비열이 낮은 석재나 금속재 혹은 목재 블럭의 온수순환관 수용홀에 접촉되게 관통함으로써 온수순환관의 열기가 동 블럭을 통해서 반신욕기 내에서 최대한 빨리 발산될 수 있도록 하여 반신욕기 내부를 비교적 빨리 히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연해서 설명하자면, 온수매트가 전자파의 유해성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이유로 전기매트보다 더 선호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온수매트가 전기매트의 장점을 극복하지 못한 가장 중요한 기술적 부분이 곧 매트의 초기 히팅시간이 더 길다는 문제점이다. 직접 가열방식과 간접가열방식의 차이 때문인데 반신욕기에 있어서 이 문제점의 보완을 위하여 반신욕기 내부를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여 히팅시키는데 착안하게 된 것이다.
셋째, 물리적 비중이 높고 어느 정도 체적을 지닌 온수순환관수용블럭을 반신욕기 내부 벽면 거의 전부와 의자의 윗면에 부착 내지 부설함으로써 동 블럭에 많은 열이 축열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신욕 중 다른 용무를 위하여 출입문을 몇 차례 여닫더라도 반신욕기 내부 열기는 어느 정도의 항상성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반신욕기 내부온도에 대해 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타, 온수순환관수용블럭이 소재면에서 황토나 게르마늄 함유물인 경우의 원적외선 효과, 편백나무나 소나무인 경우의 피톤치드 효과, 옥이나 숯 함유물인 경우의 음이온효과나 탈취효과 등이 있겠고, 온수순환관수용블럭이 모양면에서 구슬처럼 되어 있거나 지압을 할 수 있는 요철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 지압효과 등 다양한 건강기능성 반신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재질의 순환관수용블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의 순환관수용블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재질의 순환관수용블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의 순환관수용블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는, 반신욕 케이스(110), 순환관수용블럭(120) 및 온수순환관(140)을 포함한다.
반신욕 케이스(110)는 반신욕을 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 일부가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반신욕 케이스(110)는 직육면체 또는 그 이상의 다면체로 형성 가능하며, 그 내측면에는 순환관수용불륵(120)이 촘촘하게 부착된다.
순환관수용블럭(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홀이 형성되며 블럭 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반신욕 케이스(110) 내측면을 따라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관수용블럭(120)은 육면체 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고, 일면에서 타면까지 한 쌍의 수용홀(121, 122)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순환관수용블럭(120)은 황토 또는 고령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미세 분말 상태에서 압착성형 후 소성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관수용블럭(130)은 육면체 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고, 일면에서 타면까지 한 쌍의 수용홀(131, 132)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수용홀의 내부에는 은 재질, 구리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파이프(133)가 밀착 수용되고, 금속파이프(133)에 온수순환관(140)이 수용된다.
이와 같이, 순환관수용블럭(120)의 재질은 세라믹 재질, 목재, 특히 고비중 내습성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석재 또는 철재의 순환관수용블럭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순환관수용블럭(120)에는 온수순환관(140)이 관통하여, 전체 면에서 봤을 때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온수순환관(140)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이웃하는 순환관수용블럭(120) 사이에는 수용홀과 수용홀이 서로 마주보게 배열된 상태로 촘촘하게 반신욕 케이스(110)의 안쪽 전체면과 사용자가 앉게 되는 의자의 윗면에 부착한다.
온수순환관(140)은 순환관수용블럭(120)의 수용홀에 접촉되어 수용되어, 반신욕 케이스(110) 내측 전면(全面)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온수순환관(140)을 순환하는 온수의 열기가 순환관수용블럭(120)에 열전달되고, 순환관수용블럭(120)의 열기가 표면으로부터 반신욕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으로 열전달되어 건식 반신욕이 가능하다. 즉, 반신욕 케이스(110) 내 모든 순환관수용블럭(120)을 관통하는 온수순환관(140)은 반신욕 케이스(110) 외부에 있는 발열순환장치, 즉 소형 전기보일러(160)에 연결되어져서 소형 전기보일러(160)에서 가열된 온수가 반신욕 케이스(110) 내부의 온수순환관(140)을 모두 순환하고 나서 다시 소형 전기보일러(160)로 회수되는 순환과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신욕 케이스(110)와 순환수용블럭(120) 사이에는 외부로의 단열을 위한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또는 스티로폼(styrofoa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차단재(15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에 관한 제조 방법, 동작특성 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반신욕 케이스(110)를 조립하기 위한 나무판 육면 중 상부면에는 사람의 상반신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는 개방부가, 측면부에는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출입문이 각각 조성된 상태로, 육면의 나무판을 바닥에 2차원의 평면으로 전개시킨 다음, 육면 중 상부면의 개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측면 네 방향의 벽면 전체 및 바닥면에 모두 열차단을 위한 얇은 폴리에틸렌 폼을 넓게 부착하도록 한다.
다음, 온수순환관(140)이 관통할 순환관수용블럭(120)으로써, 가로, 세로, 높이 각각 2.5cm, 2.5cm, 1.8cm 정도의 크기의 수평방향(가로*높이 면을 관통하는 방향) 중앙에 지름 0.85cm 크기의 온수순환관(140) 관통용 수용홀(121, 122)이 뚫려 있는 직육면체 세라믹 블럭을 마련한다.
약 500~1,000개 정도의 세라믹 블럭들에서 도 4와 같이 불럭의 수용홀들을 관통하는 내경 0.5cm 정도 및 외경 0.8cm 정도인 굵기의 연질성 PVC호스로 된 한 가닥의 온수순환관(140)에 의해 직렬로 모두 연결되어 있고, 일련의 세라믹 블럭들을 수용홀을 관통하는 호스에 의해 연결된 채로 앞서 설명한 폴리에틸렌 폼의 표면과 의자의 상부면에 세라믹 블럭간 간격이 1mm 정도 되도록 촘촘히 그리고 반신욕 케이스(110)의 외부 나무판이 완전히 조립이 끝난 상태에서도 호스가 꺾기는 부분이 없도록 세라믹 접착제를 이용하여 점접착한다. 이와 같이, 순환관수용블럭을 반신욕 케이스의 내벽면에 부착하는 방법은 순환관수용블럭을 일일이 실리콘 접착제로 접착할 수도 있고, 철망을 절곡하여 순환관수용블럭을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성형한 블록수납망(브래킷 bracket)을 반신욕 케이스 내벽면에 고정한 후 블럭수납망에 일렬로 연결된 순환관수용블럭을 끼워서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세라믹 블럭들과 폴리에틸렌 폼 그리고 반신욕 케이스(110)의 외부 나무판이 세 겹의 집성패널들로 형성된 상태에서 3차원 목재구조물인 정상적인 반신욕기의 모습으로 조립하고, 모든 세라믹 블럭들을 관통한 호스의 양 끝단은 반신욕 케이스(110)의 외부로 빼내어 이를 소형 전기보일러(160)의 출수구와 회수구에 각각 연결시키면 본 발명이 실시하는 반신욕기가 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 온수순환관(140)이 관통할 순환관수용블럭(120)으로써는 황토나 고령토 등의 미세분말을 고압프레스로써 압착성형 후 소성시킨 세라믹 블럭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옥을 절단 연마한 구슬모양으로도 가능하다. 즉, 옥돌을 연마해서 둥근 구슬형태 혹은 육면체 블럭으로 만들어 그 속에 구멍을 뚫어 온수순환관을 관통시킬 수 있으며, 금이나 은과 구리의 합금 등 금속으로 된 블럭도 가능하다. 또한, 블럭의 크기도 상술한 실시예보다 10배 이상 큰 블럭도 가능하겠지만 이 큰 블럭에는 보다 많은 호스 관통용 구멍이 뚫려 있어야 한다.
한편, 편백나무와 같은 목재로써 순환관수용블럭(130)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목재의 비열이 크다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한 금속파이프(133) 수단이 필요하다. 즉, 온수순환관(140)인 호스와 일차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부분의 온수 열기를 목재 블럭에 최대한 신속히 열전달시키기 위해서는 목재 블럭의 수용홀을 상술한 세라믹 블럭보다 크게 뚫은 다음 그 속에 알루미늄과 같은 내경 0.85cm 크기의 비열이 낮은 금속파이프(133)를 목재 블럭의 수용홀에 밀착되게 끼워서, 금속파이프(133)를 호스가 관통하면서 호스의 열기가 일차적으로 금속파이프(133)에 쉽게 전달되고, 또한 금속파이프(133)와 밀착되어 열전달률이 보강된 목재 블럭에 이차적으로 열전달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신욕기에서는 반신욕기 외부에 있는 소형 전기보일러로 연결되는 호스에 열차단목적의 단열커버가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형 전기보일러에 대한 온도조절 등은 리모콘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순환식 반신욕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고 안전하게 반신욕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신욕기 외부에서 생성된 열기를 반신욕기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순환시켜, 반신욕기 내부에 있는 사람의 신체에 전기적 위험이나 전자파의 유해성으로부터 완전히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반신욕기 외부에서 생성된 열기가 온수순환관(140)을 통해 반신욕기 내부에 전달이 될 때, 비열이 최대한 낮고, 열비축성이 높은 어느 정도의 체적을 지닐 수 있으며, 온수순환관과 접하는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으며, 반신욕기 내의 공기와 접하는 면적도 최대화될 수 있도록 순환관수용블럭을 마련하여 열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반신욕 케이스
120, 130 : 순환관수용블럭
121, 122, 131, 132 : 수용홀
133 : 금속파이프
140 : 온수순환관(140)
150 : 열차단재
160 : 소형 전기보일러

Claims (5)

  1. 반신욕을 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 일부가 개방되는 반신욕 케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홀이 형성되며 블럭 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반신욕 케이스 내측면을 따라 적층되는 순환관수용블럭; 및
    상기 순환관수용블럭의 수용홀에 삽입 수용되어, 상기 반신욕 케이스 내측 전면(全面)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온수순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온수순환관을 순환하는 온수의 열기가 상기 순환관수용블럭에 열전달되고, 상기 순환관수용블럭의 열기가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신욕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열전달되어 건식 반신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수용블럭은 육면체 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고, 일면에서 타면까지 한 쌍의 수용홀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수용블럭은 황토 또는 고령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미세 분말 상태에서 압착성형 후 소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수용블럭은 육면체 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고, 일면에서 타면까지 한 쌍의 수용홀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홀의 내부에는 은 재질, 구리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파이프가 밀착 수용되고, 상기 금속파이프에 상기 온수순환관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신욕 케이스와 상기 순환수용블럭 사이에는 외부로의 열단을 위한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또는 스티로폼(styrofoa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차단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KR1020150153738A 2015-11-03 2015-11-03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KR20160011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38A KR20160011610A (ko) 2015-11-03 2015-11-03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38A KR20160011610A (ko) 2015-11-03 2015-11-03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772A Division KR20160011525A (ko) 2014-07-22 2014-07-22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610A true KR20160011610A (ko) 2016-02-01

Family

ID=5535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38A KR20160011610A (ko) 2015-11-03 2015-11-03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6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2592A (zh) * 2019-10-24 2020-02-07 天津金力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散热效果好且安装方便的散热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988B1 (ko) 2004-06-03 2006-09-08 에이네트 주식회사 좌욕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반신욕 사우나기
KR200465402Y1 (ko) 2011-03-22 2013-02-18 김용후 건식 반신욕 장치
KR20130046979A (ko) 2011-10-29 2013-05-08 김정이 개인용 반신 사우나
KR200466746Y1 (ko) 2011-06-23 2013-05-31 셀루스 주식회사 담열기와 뜸질좌욕기가 구비된 원적외선 방출 반신욕기
KR101409005B1 (ko) 2013-09-12 2014-06-18 신경하 물이 순환되는 반신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988B1 (ko) 2004-06-03 2006-09-08 에이네트 주식회사 좌욕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반신욕 사우나기
KR200465402Y1 (ko) 2011-03-22 2013-02-18 김용후 건식 반신욕 장치
KR200466746Y1 (ko) 2011-06-23 2013-05-31 셀루스 주식회사 담열기와 뜸질좌욕기가 구비된 원적외선 방출 반신욕기
KR20130046979A (ko) 2011-10-29 2013-05-08 김정이 개인용 반신 사우나
KR101409005B1 (ko) 2013-09-12 2014-06-18 신경하 물이 순환되는 반신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2592A (zh) * 2019-10-24 2020-02-07 天津金力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散热效果好且安装方便的散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KR101395236B1 (ko) 전신 돔 사우나 장치
US3772714A (en) Whirlpool bath for limb extremities
KR200400923Y1 (ko) 유체 온열매트
KR20200029728A (ko) 황토침대
KR20160011610A (ko)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KR20160011525A (ko) 온수순환식 반신욕기
KR20080005710U (ko) 족열기
KR101686422B1 (ko) 돔형 사우나 장치
KR20080005291U (ko) 족열기
KR101066259B1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KR101239660B1 (ko) 건식 족열기
KR20130116587A (ko) 온수순환 매트리스
KR101280197B1 (ko) 전신온열 가온기
KR100257380B1 (ko) 침대용 온돌식매트
JP2001070463A (ja) 温熱ベット
KR200384533Y1 (ko) 황토판넬을 이용한 반신욕기기
KR20130046979A (ko) 개인용 반신 사우나
KR101248348B1 (ko) 각부마다 분리된 공급 기능이 있는 온수 순환 방식의 찜질 사우나기
KR101788568B1 (ko) 온열 매트
KR20140077003A (ko) 개똥쑥을 내장시킨 온열매트
KR20080040254A (ko) 족열 찜질기
JP4716504B2 (ja) 岩盤浴用人工石盤及び岩盤浴ベッド
JP2007130409A (ja) マイナスイオン・遠赤外線・高湿度・発生装置及び省エネ抗菌床暖房ユニットバス付やく石の癒。
KR20150086800A (ko) 온수판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