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474A - The smart phone case - Google Patents

The smart phon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474A
KR20160011474A KR1020140092613A KR20140092613A KR20160011474A KR 20160011474 A KR20160011474 A KR 20160011474A KR 1020140092613 A KR1020140092613 A KR 1020140092613A KR 20140092613 A KR20140092613 A KR 20140092613A KR 20160011474 A KR20160011474 A KR 20160011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smartphone
smart phone
display
prot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14009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474A/en
Publication of KR2016001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4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phone case having a smart phone mounted to protect the smart phone, comprising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wherein a transparent protection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cover to show a display of the smart phone. The transparent protection plate includes an impact absorption layer, and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otection plate, so a user not only can check displayed contents of the display of the smart phone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cover of the smart phone case, but also can input information to an input devic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even when the front cover of the smart phone case is closed. Further, the front cover of the smart phone case protects the display from an external impact.

Description

스마트폰 케이스{The smart phone case}The smart phone case {The smart phone case}

본 발명은 지갑 형태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앞면 커버를 열지 않고 닫은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스마트폰 케이스의 앞면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장치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in the form of a walle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display the contents of the smartphone display even when the front cover of the smartphone case is closed without opening the front co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to an input device provided at the top of a display even in a state of a display device.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폴더 타입의 휴대폰이 대세를 이루고, 또한 휴대폰에 장착되는 화면의 크기도 그리 크지 않은 형태를 가졌었다. 그러나, 몇년 전부터 휴대폰은 스마트폰의 방식을 가지면서 스마트폰이 휴대폰의 대세를 이루게 되었다.Only a while ago, folder-type mobile phones were popular, and the size of the screen mounted on the mobile phone was not so large. However, a few years ago, mobile phones became smart phones and smart phones became popular.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는 4 인치 이상에서 시작하여 6인지까지 그 크기가 다양해 지면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사용중에 디스플레이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며, 이에따라 스마트폰을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시장도 매우 발달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mounted on the smartphone is getting larger as the size of the display starts from 4 inches or more to 6 inches. Therefore, the display is often damaged during use of the smartphone, and thus the smartphone case market that can protect the smartphone is also developing.

하지만,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이 장착되면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스마트폰 케이스의 앞면 덮개를 일일이 열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게 된다.However, when a smartphone is installed in a smartphone case, it is inconvenient to open the front cover of the smartphone case when using the smartphone.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등록 특허 제 10 - 1192287 호)에서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연결되어 내측에 핸드폰을 수용하는 지갑형 핸드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 상에 핸드폰의 디스플레이창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개방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공에 투명재질의 투시창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핸드폰의 디스플레이창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후면커버의 뒷면에 종배열로 다수의 카드꽂이홈을 형성하고, 카드꽂이홈의 상부에 핸드폰의 후방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후방카메라용 제1통공을 형성하며, 카드꽂이홈의 하부에는 핸드폰의 후방스피커 위치에 대응되는 후방스피커용 제1통공(24)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이 마련된 지갑형 핸드폰 케이스."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Korean Patent No. 10-192287 discloses a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in which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are connected to house a mobile phone inside, A plurality of card slot openings are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rear cover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card slot openings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A first through hole for a rear camera corresponding to a rear camera position of a mobile phon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rd holder groove and a first through hole 24 for a rear speaker corresponding to a rear speaker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is formed below the card holder groove A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is provided.

그러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는 여전히 스마트폰 지갑의 앞면 커버를 열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However, when using a smartphone, there is still an inconvenience to open the front cover of the smartphone wallet.

그러므로, 스마트폰의 앞면 커버를 열지 않고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장치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to an input device provided at the top of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without opening the front cover of the smartphon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92287 호(2012년10월11일)Prior Art 1: Korean Patent No. 10-1192287 (October 11,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앞면 커버를 열지 않고 닫은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장치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which can display contents of a smartphone display even when the front cover of the smartphone case is closed without opening the cover, Phone case.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장착되어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앞면 커버와 후면 커버로 구비되며, 상기 앞면 커버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보호판이 구비되며, 상기 투명 보호판은 충격 흡수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호판 상부에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므로서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case for protecting a smartphone with a smartphone mounted thereon, wherein the smartphone case is provided with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The transparent protective plate is provided as an impact absorbing layer and a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케이스의 앞면 커버를 열지 않고 닫은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마트폰 케이스의 앞면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장치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를 외부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는 앞면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display content of the smartphone display can be confirmed even when the front cover of the smartphone case is closed without opening the cover, an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input device provided at the top of the display even when the front cover of the smartphone case is clo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phone case having a front cover that can be input and protect the display from an external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도면이다.
도 2는 앞면 커버가 스마트폰을 완전히 덮은 상태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앞면 커버에 구비되 보호판의 두께를 지정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은 보호판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보호판이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1 is a view of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smartphone.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thickness of a protection plate is provided on a front cover.
4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protective plate.
5 to 7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rotective plate is provided in a smartphone cas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때, 공지의 기술인 경우 상세 기술적 설명을 생략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구성에 적용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known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스마트폰(20)이 본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50)에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으로, 상기 스마트폰(20)은 후면 커버(70)에 장착된 고정부(71)(72)에 고정되어 스마트폰 케이스(50)에 장차된다.1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smartphone 20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cas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20 includes a fixing portion 71 72 and is placed in the smartphone case 50.

그리고, 스마트폰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되며, 본발명에서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스마트폰을 제어하게 된다. 물론 스마트폰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지만, 일반적으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단의 보호판(입력장치가 구비된 보호판)에 접촉하거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가지게 된다.The smart phone has a display 21, which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n input device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to input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or to control the smart phone through the input device. Of course, various methods of inputting information to a smart phone have various forms, but in general, a smartphone user touches a protective plate (a protection plate provided with an input device) at the top of the display or touches a display substrate constituting the display, .

한편, 본발명의 전면 커버(60)에는 창(65)이 구비되고, 상기 창(65)에는 투명 재질의 보호판(80)이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8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2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만들어진다.The front cover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ndow 65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plate 80 is attached to the window 65. The size of the protection plate 8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isplay 21.

물론 스마트폰 케이스의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디스프레이(21)의 크기보다 더 작게 만들어 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smartphone case, it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display 21.

아울러, 앞면 커버(60)에는 스마트폰의 스피커와 스마트폰의 마이크가 구비된 위치에 맞게 스피커 창(61)과 마이크 창(62)이 만들어져 구비된다.In addition, a speaker window 61 and a microphone window 62 are formed in the front cover 6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speaker of the smart phone and the microphone of the smart phone.

이때, 도 1의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열러진 상태를 나타낸 모양이지만, 스마트폰의 케이스의 앞면 커버(60)를 완전히 닫아, 스마트폰 케이스(50)의 앞면 커버가 디스플레이(21)를 완전히 덮을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투명 보호판(8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시 내용을 볼 수가 있게 된다.1, the front cover 60 of the smartphone case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front cover of the smartphone case 50 is attached to the display 21 And at this time, the display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can be viewed through the transparent protection plate 80. [0054]

또한, 도 1에서는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케이스 장차되는 하나이 방법을 나타낸 예일 뿐이며, 실제로는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할 수가 있다.Also, in FIG. 1, the smartphone is only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a smartphone case is to be introduced. In fact, there are various ways in which a smartphone is mounted in a smartphone case.

도 2는 앞면 커버가 스마트폰을 완전히 덮은 상태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smartphone.

즉, 도 2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닫은 상태로, 그렇게 되면 스마트폰 케이스의 보호판(80)이 디스플레이(21)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도 2는 상기 보호판(80)이 디스플레이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실제로는 디스플레이(21)와 보호판(80) 사이에는 유리나 플라스틱 소재로 된 디스플레이의 보호판(본원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이 위치할 수 있다.That is,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case is closed, so that the protection plate 80 of the smartphone case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21. Of course, FIG. 2 is a view for showing that the protection plate 80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and actually a protective plate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of a display made of glass or plastic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21 and the protection plate 80, This location can be.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앞면 커버(60)에 구비된 보호판(8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내용을 볼 수도 있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88) 혹은 손가락을 사용하여 앞면 커버(60)에 구비된 보호판(80)을 통하여 스마트폰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20 can be viewed through the protective plate 80 provided on the front cover 60, and the bar 88 or the front cover 60 can control the smartphone or input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protection plate 80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즉, 상기 보호판(80)에 접촉하므로서 스마트폰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That is, by contacting the protection plate 80, information can be input to the smart phone and the smart phone can be controlled.

도 3은 앞면 커버에 구비되 보호판의 두께를 지정한 실시예의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thickness of a protection plate is provided on a front cover.

현재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방식 혹은 저항막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실시예에서처럼 보호판(80) 상단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보호판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안된다.Currently, a smart phone inputs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device, and the input device generally uses a capacitive type or a resistive type. Therefore, in order to input information at the top of the protection plate 80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on plate should not be too large.

즉, 보호판(80)의 두께 T는 0.3 mm 이상은 되어 디스플레이 보호 기능을 갖도록 하지만, 상기 보호판(80)의 두께 T는 1mm 는 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보호판(80) 상단에서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lthough the thickness T of the protection plate 80 is 0.3 mm or more, the thickness T of the protection plate 80 is not more than 1 mm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input even at the top of the protection plate 80 .

도 4는 보호판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Fig. 4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protective plate.

보호판(80) 상부(외부로 노출되는 층)에 하드코팅층(80a)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보호판 하부(디스플레이에 가깝게 위치하는 부분)에는 기능층(80b)이 형성된다.The hard coat layer 80a can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on plate 80 (the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unctional layer 80b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on plate (the portion close to the display).

이때, 상기 기능층(80b)은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거칠기를 제어한 층이다. 즉 거칠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낮은 층이다.At this time, the functional layer 80b is a layer in which the surface is smooth and the roughness is controlled. That is, the layer has a lower roughness than a certain level.

도 5 내지 도 7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보호판이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5 to 7 ar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rotective plate is provided in a smartphone case.

도 5는 보호판의 두께를 1mm(혹은 0.8mm) 이상 혹은 4mm 이하로 했을 때에, 앞면 커버(60)를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보호판으로 대체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보호판의 재질로 앞면 커버(60)의 역할까지 하도록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ront cover 60 is replaced with the protection plate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whe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on plate is 1 mm (or 0.8 mm) or more or 4 mm or less. In other words, it is a view of the embodiment provided so as to serve as the front cover 60 as a material of the protection plate.

이를 위해서는 상기 앞면 커버(60)은 후면 커버(70)와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연결 구조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To this end, the front cover 6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cover 70. Since such a connection structure uses a conventional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앞면 커버(60)에는 스피커와 마이크에 대응되는 창(61)(62)가 더 구비되게 된다. 즉, 투명 재질의 보호판에 상기 창(61)(62)가 직접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ront cover 60 is further provided with windows 61 and 62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That is, the windows 61 and 62 are directly provided 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plate.

도 6은 프레임 형태의 앞면 커버(60)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프레임 형태 즉, 창 틀 형태의 앞면 커버(60)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보호판(80)이 구비된다.6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frame-shaped front cover 60 is provided. A front cover 60 in the form of a frame, that is, a window frame is provided, and the protection plate 80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is provided therein.

여기서 프레임 형태라는 것은 앞면 커버(60)의 폭이 얇다는 것이며, 양 가장자리 측면에 형성된 앞면 커버(60)의 폭은 1mm 에서 5mm 정도로 얇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견고성을 위해 앞면 커버(60)의 재질을 금속재로 할 수 있다.Here, the frame shape means that the width of the front cover 60 is small, and the width of the front cover 60 formed on both side edges can be as thin as 1 mm to 5 mm. Therefore, in this case, the front cover 6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robustness.

도 7은 상하와 양 측면의 앞면 커버의 폭을 달리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앞면 커버(60)에 스마트폰이 스피커와 마이크에 대응되는 창(610(62)이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서, 앞면 커버(60)의 상하 부분의 폭은 두껍게 형성된다.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widths of the front cover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both sides are different.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to provide a window 610 (62) corresponding to a speaker and a microphone in the front cover 60,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cover 60 is thick.

그리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21)가 모두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앞면 커버(60)의 양 측면의 폭은 1mm 에서 5mm 정도로 얇게 형성된다.In order to make all of the displays 21 of the smartphone visible, the width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cover 60 is thinned from 1 mm to 5 mm.

- 물질-- matter-

본 발명에서는 투명한 보호판(80)에 도전성 성질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plate 80 is intended to have a conductive property.

1) 도전성 폴리머 사용1) Use of conductive polymer

본 발명에서는 보호판(80)을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폴리머는 투명하면서 전기를 흐르는 설질을 가지는 통상의 것이면 본원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plate 80 may be a conductive polymer. The conductive polymer is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 usual one having transparency and electricity-permeable surface.

2) 하드 코팅층2) Hard coating layer

본원 발명에서는 보호판의 표면에 하드 코팅층을 사용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으로는 산화규소나 아크릴 수지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원 발명에서는 하드코팅층을 특정지어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투명한 소재이면서 하드코팅층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은 본원 발명의 하드코팅층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ard coat layer may be us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plate. As the hard coat layer, silicon oxide or acrylic resin may be us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coat layer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Therefore, a conventional method which is a transparent material and used as a hard coat layer can be applied to the hard coa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충격 흡수층3) The shock absorbing layer

본원 발명의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보호판(80)을 얇게 하므로서 보호판(80)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보호판이 너무 얇게 되면 보호 효과가 작으므로 충격 흡수층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보호판을 만들 수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protection plate 80 by thinning the protection plate 80 is proposed. However, if the protection plate is too thin, the protection effect is small, so the protection plate can be made by using the shock absorption layer.

투명하면서도 충격 완충이 가능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소서 우레탄계열,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열, 아크릴계열, 실리콘계열, 고무계열 등 이나 감압성 점착제(PSA)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재료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투명하면서도 충격을 완충 시킬 수 있는 소재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Materials for Producing Transparent and Shock Absorbing Film Substrates Urethane series, urethane acrylate series, acrylic series, silicone series, rubber series or the like may be used, 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may be used. More precisely, silicone rubber ), An acrylic copolymer or the like can be used.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use only limited materials, and it is natural that materials that can be transparent and buffer shock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 층 내부에 작은 기포(제조 공정에서 교반할 때 기포를 주입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 존재한다.)를 형성하므로서, 충격 흡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충격 흡수층을 여러겹 사용하므로서 충격 흡수 효과를 더 높일 수가 있다. 이때, 상기의 본원 발명의 충격 흡수 층 제작 방법은, 통상의 스마트폰 액정 화면에 직접 부착하는 보호필름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방법을 본원 발명의 스마트폰 지갑에 적용하므로서도 가능할 수 있다.Further, by forming small bubbles (there is a usual method of injecting bubbles when stirr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impact-absorbing layer, the impact absorption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In addition, by using the multiple layers of the shock absorbing layer, the shock absorbing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At this tim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hock absorb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tective film directly attached to a conventional smartphone liquid crystal screen, by applying the method to the smartphone purse of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보호판(80)을 1mm 이하로 얇게 형성하지만 충격흡수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다.As a result, the protection plate 80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1 mm, but the impact absorption effect is maximized.

20 : 스마트폰 21 : 디스플레이
50 : 스마트폰 케이스 60 : 전면 커버
70 : 후면 커버 80 : 보호판
81 : 수지 82, 83 : 도전성 물질
84b : 도전성 물질 85 : 도전성 와이어
20: Smartphone 21: Display
50: Smartphone Case 60: Front Cover
70: rear cover 80: shield plate
81: Resin 82, 83: Conductive material
84b: conductive material 85: conductive wire

Claims (1)

스마트폰이 장착되어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앞면 커버와 후면 커버로 구비되며, 상기 앞면 커버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보호판이 구비되며,
상기 투명 보호판은 충격 흡수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호판 상부에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In a smartphone case that is equipped with a smartphone and protects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case is provided with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The front cover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plate for viewing the display of the smart phone,
Wherein the transparent protective plate is formed as an impact absorbing layer, and a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plate.
KR1020140092613A 2014-07-22 2014-07-22 The smart phone case KR201600114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13A KR20160011474A (en) 2014-07-22 2014-07-22 The smart phon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13A KR20160011474A (en) 2014-07-22 2014-07-22 The smart phone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74A true KR20160011474A (en) 2016-02-01

Family

ID=5535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613A KR20160011474A (en) 2014-07-22 2014-07-22 The smart phon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47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287B1 (en) 2012-05-24 2012-10-17 서경진 Wallet type handphone case with see through wind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287B1 (en) 2012-05-24 2012-10-17 서경진 Wallet type handphone case with see through wind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71076A1 (en) Touch panel with function of fingerprint identification
US9232674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168743B2 (en) Casing and frame for touch display apparatus
US2012020445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88067A (en) Prot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60061078A (en) Prot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50001663U (en) Plate for protecting a displaying screen of mobile device
CN105045432B (en) Display screen component and terminal
KR101530520B1 (en) Protecting cover for a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205551A (en) Translucent panel mounting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9513735B2 (en) Touch display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adhesive assemblies
CN103345316A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control function
KR101246026B1 (en)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CN107835271B (en) Mobile terminal
US2015033869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56429B1 (en) Window assembly for protec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KR20160011474A (en) The smart phone case
KR101546867B1 (en) Jelly type surface protection case for mobile phone
TWM551125U (en) Protective film structure of mobile phone featuring simultaneous coating
CN210380944U (en) Electronic device
KR101255559B1 (en)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TWM455398U (en) Composite molding viewing window protec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osed therewith
KR20120081701A (en) Screen protective film and attaching method thereof
KR101364493B1 (en) Flip case for mobile phone having cover with veiwing window for lcd
KR20130096885A (en) Protection cover of portable terminal using tempered glass and it's manufactur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