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731A -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of output terminal in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of output terminal in pow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731A
KR20160010731A KR1020140090538A KR20140090538A KR20160010731A KR 20160010731 A KR20160010731 A KR 20160010731A KR 1020140090538 A KR1020140090538 A KR 1020140090538A KR 20140090538 A KR20140090538 A KR 20140090538A KR 20160010731 A KR20160010731 A KR 20160010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power supply
extending portion
ben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9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731A/en
Publication of KR2016001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turn-bolt or screw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8Interlock mechanisms; Means for avoiding unauthorised use or function, e.g. tamperpro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ixing apparatus of an output terminal connector of a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apparatus comprises: a body; first/second extension portions and third/fourth extension portions individually extended in the sam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body, and individually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in the same direction; and two protrusion portion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where the first to fourth extension portions are extended, and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each other. The protrusion portions are combined with holes formed in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so the fixing apparatus is fixed into the power supply. Accordingly,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truding inward from a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can be fixed. Therefore, when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installed in a main body of the power supply, a vibration or a flow of the connector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and the power supply can stably play a role of supplying power.

Description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of output terminal in power supply}[0001] Apparatus for fixing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0002]

본 발명은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connector fixing device.

파워 서플라이는 주로 케이스로 프레스 철판을 많이 사용한다. 종래의 경우 파워 출력 단자 커넥터는 본체 샤시에 바로 끼워지고, 커넥터가 본체에 한번 장착되면 커넥터에 있는 후크에 의해 반대로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power supply is mainly used as a case and a large number of pressed steel plate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power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directly fitted to the main body chassis, and when the connector is once mounted on the main body, it is structured so as not to be deflected by the hook in the connector.

그러나 이 경우 파워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흔들림이나 유동이 발생하여 커넥터가 빠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워 공급이 차단되는 위험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that the connector may be dislodged due to vibration or flow when the power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mounted on the power supply main body, thereby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단자 커넥터를 안정적으로 파워 서플라이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stably fixing an output terminal connector to a power supply main body.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쪽 말단으로부터 각각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같은 방향으로 각각 90도 구부러지는 제1/제2 연장부와 제3/제4 연장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이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제2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중 하나는 파워 서플라이의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파워 서플라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하는 출력 단자 커넥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fixing a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including: a body; A first /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third / four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body and bent 90 degrees in the same direction; And a first / second protrusion that is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extensions extend and opposite to each other, wherein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disposed on an upper cas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fixing device is projected inward from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by being mounted on the power supply And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fix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추가로 연장되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다른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4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로부터 추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제4 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3 연장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연장부 사이, 상기 몸체와 제3 연장부 사이,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 및 상기 제3 연장부와 제4 연장부 사이가 같은 방향으로 90도 구부러져 상기 몸체와 상기 제2 연장부 및 제4 연장부가 서로 나란하게 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extension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the second extension further extends from the first extension, and the third extension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the first extension And the fourth extension further extends from the third extension, the first extension being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xtension extends from the body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away from the fourth extens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projects from the third extending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extends between the body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third ext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between the third extending portion and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are bent 90 degrees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body,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It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3 연장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출력 단자 커넥터의 수평 방향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마련된 절곡선을 따라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연장부 사이가 구부러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몸체가 구부러지고, 상기 제2 연장부와 제4 연장부에서 상기 몸체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마련된 절곡선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가 구부러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연장부와 제4 연장부가 구부러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re bent along a folding line provided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n the body,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ar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re bent along a folding line provided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body in the extending portion and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It can be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는, 제1 내지 제4 절곡면을 갖고 각 절곡면은 이웃하는 절곡면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1 절곡면과 상기 제3 절곡면은 나란하고 상기 제4 절곡면은 상기 제1 절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절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곡면의 양 끝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파워 서플라이의 후면 케이스에 형성되는 구멍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절곡면이 상기 후면 케이스에 밀착되고, 상기 제2 절곡면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하면 케이스에 밀착하고, 상기 제3 절곡면과 상기 제4 절곡면 사이에는 4각 형상의 복수 개의 개구가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출력 단자 커넥터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connector fixing apparatus having first to fourth bent surfaces, each bent surface being perpendicular to an adjacent bent surface, and the first bent surface and the third bent surface, And the fourth folded surface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folded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folded surface and two engaging portions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olded surface, The first folded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case, and the second folded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and the third bent surface and the fourth And a plurality of openings each having a quadrangular shap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 connectors projecting inwardly from the rear case between the bent surfaces It is go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절곡면의 높이는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출력 단자 커넥터의 하단의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fourth bent surface ma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jecting from the rear ca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절곡면의 길이는 상기 출력 단자 커넥터가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econd bent surface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ortion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truding from the rear ca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절곡면은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출력 단자 커넥터의 하단 후크의 말단보다 상기 후면 케이스에서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bent surface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ear case than the end of the lower end hook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jecting from the rear ca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의 폭은 상기 출력 단자 커넥터의 위와 아래에 마련된 후크의 폭과 같거나 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dth of the opening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hook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절곡면의 폭은 상기 후면 케이스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출력 단자 커넥터 중에서 첫 출력 단자 커넥터와 마지막 출력 단자 커넥터의 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dths of the first to fourth bent surfaces may be wid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connector and the last output terminal connector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 connectors arranged in the rear case.

따라서, 파워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본체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power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power supply main body.

또한, 파워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넥터의 흔들림이나 유동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되어, 파워 서플라이가 안정적으로 전원 공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mounted on the power supply main body, the shake and flow of the connector can be essentially blocked, so that the power supply can stably function as a power supply.

도 1은 광 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광 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에 채용되는 파워 서플라이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종래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본체의 외부와 내부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종래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본체에 장착될 때 유동이 발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가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장착되어 출력 단자 커넥터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가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장착되어 출력 단자 커넥터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illustrates an optical disk based archive system,
Figure 2 shows the appearance of a power supply employed in an optical disk based archive system,
FIGS. 3A to 3D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mounted on a power supply case from outside and inside of the main body,
4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low occurs when a conventional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mounted on a power supply main body,
5 shows a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veloped view of a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wer supply case and fixes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8 shows a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wer supply case and fixes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다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Further,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on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connector fixing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최근 광 디스크를 저장 매체로 하는 아카이브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는데, 광 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은 테이프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에 비해 검색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하드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에 비해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테이프나 하드디스크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cently, an archive system using an optical disk as a storage medium has emerged. An optical disk-based archive system is faster than a tape-based archive system and can store data more reliably than a hard disk-based archive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tape and the hard disk can be reduced.

광 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은, 좌와 우로 분리된 카트리지에 다수의 광 디스크를 보관하고, 좌우 카트리지 사이를 이동하는 피커 로봇이 광 디스크를 카트리지로부터 꺼낸 후 피커 로봇의 몸체인 디스크 취급 어셈블리에 고정한 상태로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로딩 시키거나 광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광 디스크를 언로딩 한 후 피커 로봇의 몸체에 고정한 상태로 이동하여 카트리지에 다시 넣고, 광 디스크 드라이브가 로딩 된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장치다.In the optical disc-based archive system, a plurality of optical discs are stored in left and right cartridges, and a picker robot moving between the right and left cartridges removes the optical disc from the cartridge, And then the optical disk is loaded on the optical disk drive or unloaded from the optical disk drive and then moved to a state fixed on the body of the picker robot and put back into the cartridge, Or reads data from the optical disc.

도 1은 광 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an optical disk based archive system.

광 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은, 복수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ODD)가 설치되는 드라이브 베이(10), 광 디스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피커 로봇(20), 복수의 광 디스크를 보관하기 위한 카트리지(30), 상기 피커 로봇(20)이 드라이브 베이(10)와 카트리지(3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고 안내하기 위한 로봇 이송부(40),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냉각 팬이 설치된 팬 모듈(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ptical disc-based archive system includes a drive bay 10 in which a plurality of optical disc drives (ODD) are installed, a picker robot 20 for moving the optical disc, a cartridge 30 for storing a plurality of optical discs, A robot transferring unit 40 for driving and guiding the picker robot 20 so as to move between the drive bay 10 and the cartridge 30 and a fan having a plurality of cooling fans for discharging heat generated from the optical disk drive Module 50 and the like.

드라이브 베이(10)와 카트리지(30)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로봇 이송부(140)의 가이드는 좌우 드라이브 베이(10) 사이와 좌우 카트리지(30) 사이에 설치되어 피커 로봇(20)이 카트리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드라이브 베이(10)와 카트리지(3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The drive bay 10 and the cartridge 30 are arranged symmetrically and the guide of the robot transferring unit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drive bays 10 a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artridges 30, 30 between the left and right drive bays 10 and the cartridge 30. [

드라이브 베이(10)에는, 복수 개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가 설치되고 각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광 디스크가 로딩되어 데이터 기록 또는 데이터 독출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In the drive bay 10, a plurality of optical disk drives are installed, and an optical disk is loaded in each optical disk drive, so that data recording or data rea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카트리지(30)에는, 수십 내지 수백 개의 광 디스크를 보관할 수 있어서 피커 로봇(20)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카트리지(30)에 2개의 카트리지 분량만큼의 광 디스크를 보관할 수 있고, 카트리지(30)는 아카이브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뒤가 열린 모양으로 카트리지 디스크 랙의 뒤에 간격을 갖고 있어서 피커 로봇(20)의 키커 암이 광 디스크를 피커 로봇(20)의 몸체에 밀어 넣을 수 있는 충분한 침투 공간이 있다.The cartridge 30 can store tens to hundreds of optical discs so that the optical discs of two cartridges can be stored in the left and right cartridges 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icker robot 20, May be detached from the archive system. The cartridge 30 has a space behind the cartridge disk rack in the rear opened shape, so that there is sufficient penetration space for the kicker arm of the picker robot 20 to push the optical disk into the body of the picker robot 20.

이와 같이 구성 및 동작하는 광 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은 기계적인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대용량의 직류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한다. 하나의 에스엠피에스(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유니트를 통해, 예를 들어 약 4,500W 이상의 대용량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대용량의 SMPS 유니트를 특수 제작해야 하지만, 대용량 구현을 위한 설계가 어렵고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작은 용량의 SMPS 유니트를 복수 개 사용하여 하나의 대용량 전원 공급 장치를 구현한다.The optical disk-based archive system constructed and operated in this way requires a large amount of DC power supply because of its large mechanical movement. In order to supply a large-capacity direct current power of, for example, about 4,500 W or more through a single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unit, a correspondingly large-capacity SMPS unit must be manufactured specially.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large-capacity power supply unit is implemented by using a plurality of small-capacity SMPS units, which are commonly used widely.

도 2는 광 디스크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에 채용되는 파워 서플라이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파워 서플라이는 도 1의 아카이브 시스템의 본체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FIG. 2 shows the appearance of a power supply employed in an optical disk based archive system, wherein the power supply of FIG. 2 can be mounted under the body of the archive system of FIG.

복수 개의 전원 공급 유니트(SMPS 유니트)가, 파워 서플라이(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샤시)의 내부에 병렬 형태로 나란히 삽입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SMPS 유니트와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단자들과 아카이브 시스템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출력 단자들이 구비된 다중 입출력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형태의 커넥터 보드가 파워 서플라이 본체에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개의 SMPS 유니트와 접속하기 위한 3개의 입력 단자들과 9개의 출력 단자들이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SMPS units) can be inserted in parallel in the inside of a power supply case (chassis) and extracted in a sliding manner. A connector board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having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for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SMPS units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archive system, For example, three input terminals and nine output terminals for connection with three SMPS units may be provided.

파워 서플라이에는 연결 보드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아카이브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 단자 커넥터 및 각 출력 단자 커넥터의 연결과 단속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may be provided with an output termin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nection board to supply DC power to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rchive system,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s.

도 3a 내지 도 3d는 종래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본체의 외부와 내부에서 도시한 것이다.FIGS. 3A to 3D illustrate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mounted on a power supply case from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main body.

파워 서플라이의 케이스(샤시) 후면에는 복수 개의 출력 단자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에 출력 단자 커넥터가 삽입되는데, 구멍에 출력 단자 커넥터가 삽입되면 출력 단자 커넥터의 위와 아래에 마련된 제1 후크에 의해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case (chassis) of the power supply is provided with a hole for mounting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 connectors,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hole. When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can be fixed to the power supply case.

출력 단자 커넥터는 아카이브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파워 커넥터와 결합하여(출력 단자 커넥터에 끼워짐) 해당 구성 요소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데, 출력 단자 커넥터에서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좌우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된 제2 후크에 의해 파워 커넥터와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The output connector is connected to another power connector (which is plugged into the output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of the archive system and supplies DC power to the component. The output connec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wer supply case The power connector and the coupling can be fixed by the second hook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right and left por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출력 단자 커넥터에는 예를 들어 4개의 구멍이 마련되고 각 구멍에는 예를 들어 그라운드, +12V, -12V, 스위치 연결선 또는 그라운드, +24V, -24V, +5V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커넥터 보드로부터 연장되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provided with four holes, for example, a ground, a + 12V, a -12V, a switch connection line or a ground, a terminal for supplying +24 V, -24V, And can be inserted and mounted.

도 4는 종래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장착될 때 유동이 발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low occurs when a conventional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mounted in a power supply case.

출력 단자 커넥터는 수직 방향이 수평 방향보다 긴 형태이고 제1 후크가 위와 아래에 마련되어 출력 단자 커넥터를 파워 서플라이 본체에 고정하기 때문에, 출력 단자 커넥터와 파워 서플라이 본체의 수평 방향으로 고정력이 약하게 작용하여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 본체와 별개로 흔들리거나 유동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hook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fix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to the power supply main body. Therefore, the fixing force is wea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and the power supply main body, The terminal connector is likely to shake or drift separately from the power supply body.

파워 서플라이의 후면 케이스에서 출력 단자 커넥터가 삽입될 구멍에 출력 단자 커넥터를 지지하기 위한 둘 이상의 리브가 파워 서플라이 내부를 향해 형성되어 출력 단자 커넥터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줄이기는 하지만 후면 케이스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리브가 큰 힘을 발휘하지는 못한다.In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two or more ribs for supporting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are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power supply in the hole into which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is inserted, thereby reducing the horizontal shaking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Reeve can not exert great power.

이러한 흔들림이나 유동에 의해 아카이브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파워 커넥터가 빠져 해당 구성 요소에 전원이 차단될 가능성도 있다.Such shaking or flow may also cause the power connector to disconnect to connect to the components of the archive system to shut off power to that component.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홀더를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여 출력 단자 커넥터가 흔들리는 것을 막는데, 커넥터 홀더에는 파워 서플라이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마련된 구멍에 대응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가 구멍에 끼워진 상태로 파워 서플라이 본체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커넥터 홀더에 의해 파워 서플라이의 후면 케이스에 고정된 출력 단자 커넥터가 유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holder is mounted inside the case to prevent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from being shaken. In the connector holder,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provided i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are formed, And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fixed to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y the connector holder by being firmly fixed to the main body.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5 shows a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n exploded view of a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110)는 일대일로 출력 단자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or holder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to be fixed on a one-to-one basi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110)는 몸체(111), 몸체(111)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1), 제1 연장부(121)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22), 몸체(111)의 다른 쪽 말단으로부터 제1 연장부(12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131), 제3 연장부(131)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132), 제1 연장부(121)가 몸체(111)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이고 제4 연장부(13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연장부(122)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123) 및 제3 연장부(131)가 몸체(111)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이고 제1 연장부(1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상기 제1 돌출부(123)와 반대 방향으로 제3 연장부(131)로부터 돌출하는 제2 돌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holder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1, a first extension 121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111, and a second extension 121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121 A third extending portion 131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21 and a third extending portion 131 extending further from the third extending portion 131 A fourth extension 132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12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xtension 121 extends from the body 111 and away from the fourth extension 132, The third protrusion 123 and the third protrusion 131 ar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23 extends from the body 111 a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a second projecting portion 133 project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131. [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110)에서, 제1 연장부(121)와 제2 연장부(122) 및 제3 연장부(131)과 제4 연장부(132)의 경계에, 제1 연장부(121) 또는 제3 연장부(131)이 몸체(111)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절곡선(141)이 형성되고, 제1 연장부(121)와 몸체(111) 및 제3 연장부(131)와 몸체(111)의 경계(또는 사이) 또는 경계에 가까운 위치에 제1 절곡선(141)과 나란한 제2 절곡선(142)이 형성되는데, 제1 절곡선(141)과 제2 절곡선(142)은 구부러지는 방향이 같고 구부러지는 각도는 약 90도 정도이다. 제1 절곡선(141)과 제2 절곡선(142)에서 구부러짐에 의해 커넥터 홀더(110) 몸체(111)는 제2 연장부(122)와 제4 연장부(132)와 서로 나란하게 되고, 제1 연장부(121)와 제3 연장부(131)는 몸체(111), 제2 연장부(122) 및 제4 연장부(132)와 수직이 된다.In the connector holder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1,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2,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31, and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132 A first folding line 141 is formed in the boundary at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21 or the third extending portion 131 extends from the body 111, A second folding line 142 parallel to the first folding line 141 at a position close to (or between) the boundary (or between) the body 111 and the body 111 and between the third extension 131 and the body 111 The first curved line 141 and the second curved line 142 have the same bending direction and a bent angle of about 90 degrees. The body 111 of the connector holder 110 is aligned wit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2 and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132 by bending in the first curve line 141 and the second curve curve 142,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1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31 are perpendicular to the body 111,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2, and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132.

제1 연장부(121)와 제3 연장부(131)가 몸체(111)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방향으로의 길이, 즉 제1 절곡선(141)과 제2 절곡선(142) 사이의 거리는 출력 단자 커넥터의 수평 방향의 폭에 대응하고, 제2 연장부(122)와 제4 연장부(132)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와 몸체(111)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는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고정되는 출력 단자 커넥터가 파워 서플라이의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하는 길이와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1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31 extend from the body 111,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olding line 14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142, The length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22 and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132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body 111 in the first direction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terminal connect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xed output terminal connector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truding inward from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110)에서, 몸체(111)에서 제1 연장부(121) 또는 제2 연장부(122)에서 먼 위치에 제1 절곡선(141)과 나란한 제3 절곡선(14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연장부(122)와 제4 연장부(132)에서 몸체(111)에서 먼 위치에 제1 절곡선(141)과 나란한 제4 절곡선(144)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절곡선(143)과 제4 절곡선(144)은 구부러지는 방향이 같지만 제1 절곡선(141)과 제2 절곡선(142)이 구부러지는 방향과는 반대이고 구부러지는 각도는 30도 이내로 작을 수 있다. 이는 커넥터 홀더(110)가 파워 서플라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출력 단자 커넥터(180)가 커넥터 홀더(11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를 넓히는 역할을 한다.In the connector holder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olding line 14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141 are provid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21 or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22 in the body 111. [ A third folding curve 143 may be formed and a fourth folding curve 14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body 111 in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22 and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132 in parallel with the first folding line 141 144 and the fourth folding curve 144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folding line 14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142 are bent, The opposite and bending angle can be as small as 30 degrees. This serves to widen the inlet so that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der 110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holder 110 is mounted on the power supply 100.

파워 서플라이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는 각각 제1 돌출부(123)와 제2 돌출부(133)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돌출부와 구멍이 결합하여 커넥터 홀더(110)가 파워 서플라이 본체(또는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파워 서플라이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는 각각 제2 돌출부(133)와 제1 돌출부(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have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23 and 133 so that the protrusion and the hol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or holder 110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main body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may have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jections 133 and the first projections 123, respectively.

제1 돌출부(123)와 제2 돌출부(133)가 몸체(111)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파워 서플라이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구멍도 길쭉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141)에서 제2 연장부(122)가 약 90도 구부러져 제2 연장부(122)가 제1 연장부(121)와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제2 연장부(122)에서 돌출하는 제1 돌출부(123)와 제1 연장부(121)와 평행인 제3 연장부(131)에서 돌출하는 제2 돌출부(133)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구멍은 파워 서플라이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보았을 때 구멍의 긴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게 된다.Since the first protrusion 123 and the second protrusion 133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body 111, the holes formed i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may be elongated. Since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22 is bent by about 90 degrees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22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21 in the first bent portion 141, The hole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jecting portions 123 projecting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s 121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s 133 projecting from the third extending portions 131 parallel to the first extending portions 121 are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power supply When viewed, the long direction of the hole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따라서, 제1 돌출부(123)와 제2 돌출부(133)가 파워 서플라이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구멍과 결합함으로써, 서로 직각인 방향으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engaging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23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133 with the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the fixing force can be improv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가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장착되어 출력 단자 커넥터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wer supply case and fixes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출력 단자 커넥터(180)는 수직 방향이 수평 방향보다 긴 형태로 수직 방향으로 위와 아래에 마련된 제1 후크(181)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100)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유동을 억제할 수 있고, 커넥터 홀더(110)가 파워 서플라이(100)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로 출력 단자 커넥터(180)를 고정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유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can be fixed to the power supply 100 through the first hook 181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suppress the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holder 110 is coupled with the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so that the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suppress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가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에 장착되어 출력 단자 커넥터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8 illustrates a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ower supply case to fix an output terminal connector will be.

도 5 내지 도 7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는 출력 단자 커넥터를 개별적으로 고정하는 구조이지만, 도 8과 도 9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는 복수 개의 출력 단자 커넥터를 고정하는 구조이다.The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5 to 7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s are individually fixed, but the connector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S. 8 and 9 has a structure to b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150)는 4개의 절곡면(151, 152, 153, 154)을 갖고 각 절곡면은 이웃하는 절곡면과 수직을 이루는데, 제1 절곡면(151)은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 밀착되고 제2 절곡면(152)은 파워 서플라이(100)의 하면 케이스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제3 절곡면(153)은 제1 절곡면(151)과 나란하고 제4 절곡면(154)은 파워 서플라이(100)의 상면 케이스 또는 제2 절곡면(152)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절곡면(1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connector holder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r folded surfaces 151, 152, 153, and 154, and each folded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adjacent folded surfaces. The first folded surface 151 And the third folded surface 153 is disposed on the first folded surface 151 and the second folded surface 152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wer supply 100, And the fourth folded surface 154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case or second folded surface 152 of the power supply 100 and away from the first folded surface 151.

제1 절곡면(151)의 양 끝은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제3 절곡면(153)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과 결합하기 위한 2개의 결합부(155)가 형성될 수 있는데,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한 결합부(155)를 구부려 커넥터 홀더(150)를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rst bent surface 151 ar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hird bent surface 153 to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e two engaging portions 155 for engaging with the holes formed in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 A coupling portion 155 protruding from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is bent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to connect the connector holder 150 to the power supply 100 In the rear case.

또한, 제1 절곡면(151)에는 원 형태의 복수 개의 구멍(156)이 형성될 수 있는데,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서 구멍(156)에 대응되는 위치에 같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면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서로 대응되는 쌍의 구멍(156)에 관통시켜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와 커넥터 홀더(15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A plurality of circular holes 156 may be formed in the first bent surface 151. When holes of the same siz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les 156 in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A coupling means such as a screw can be passed through the pair of holes 156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and the connector holder 150.

제3 절곡면(153)과 제4 절곡면(154) 사이에는 4각 형상의 복수 개의 개구(157)가 형성될 수 있는데, 각 개구(157)는 출력 단자 커넥터(180)가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구(157)의 폭은 출력 단자 커넥터(180)의 제1 후크(181)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openings 157 having a quadrangular shape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rd bent surface 153 and the fourth bent surface 154. Each of the openings 157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00 To the inside of the case. The width of the opening 157 may be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hook 181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제3 절곡면(153)의 길이 또는 제4 절곡면(154)의 높이, 즉 파워 서플라이(100)의 하면 케이스로부터의 높이는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출력 단자 커넥터(180)의 하단의 위치(파워 서플라이(100)의 하면 케이스로부터 높이)에 상응하는 값이 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third bent surface 153 or the height of the fourth bent surface 154, that is, the height of the power supply 100 from the bottom case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The height from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150)가, 제1 절곡면(151)이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 밀착되고 제2 절곡면(152)이 파워 서플라이(100)의 하면 케이스에 밀착되어, 파워 서플라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한 하나 이상의 출력 단자 커넥터(180)는, 그 하단이 제4 절곡면(154)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이 억제되고, 상하로 형성된 2개의 제1 후크(181) 중에서 하단의 제1 후크(181)가 제3 절곡면(153)과 제4 절곡면(154)에 걸쳐 마련된 개구(157)에 삽입되고 개구(157)에 구속되어 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The connector holder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folded surface 1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and the second folded surface 15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One or more output terminal connectors 180 protruding inward from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power supply 100 are supported by the fourth bent surface 154 at the lower ends thereof, The first hook 181 at the lower end of the two first hooks 181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blocked by the opening 157 provided at the third folding face 153 and the fourth folding face 154 And is constrained to the opening 157 to restrict the flow in the lateral direction.

출력 단자 커넥터(180)의 하단이 제4 절곡면(154)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2 절곡면(152)의 길이는 출력 단자 커넥터(180)가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한 부분의 길이보다 짧아야 하는데, 여기서 제2 절곡면(152)의 길이는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서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길이를 가리킨다.The length of the second folded surface 152 is such that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protrudes inward from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can be supported by the fourth folded surface 154. [ Where the length of the second bending face 152 refers to the length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vertically.

또한, 출력 단자 커넥터(180)의 하단 제1 후크(181)가 개구(157)에 의해 구속될 수 있도록, 제3 절곡면(153)은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한 출력 단자 커넥터(180)의 하단 제1 후크(181)의 말단보다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folded surface 153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power supply 100 from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so that the lower first hook 181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can be constrained by the opening 157. [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than the end of the lower first hook 181 of the terminal connector 180. [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150)가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출력 단자 커넥터(180)를 고정할 수 있도록, 4개의 절곡면(151, 152, 153, 154)의 폭은 파워 서플라이(100)의 후면 케이스에 배열되는 첫 출력 단자 커넥터(180)와 마지막 출력 단자 커넥터(180)의 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홀더(150)에서 폭은 복수 개의 출력 단자 커넥터(180)가 나열되는 방향의 길이를 가리킨다.The connector holder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four folded surfaces 151, 152, 153, and 154 so as to fix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 connectors 180 arranged in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May be wid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and the last output terminal connector 180 arranged in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100. Here, the width in the connector holder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dicates the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 connectors 180 are arranged.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파워 서플라이 110: 커넥터 홀더
111: 몸체 121: 제1 연장부
122: 제2 연장부 123: 제1 돌출부
131: 제3 연장부 132: 제4 연장부
133: 제2 돌출부 141: 제1 절곡선
142: 제2 절곡선 143: 제3 절곡선
144: 제4 절곡선 150: 커넥터 홀더
151: 제1 절곡면 152: 제2 절곡면
153: 제3 절곡면 154: 제4 절곡면
155: 결합부 156: 구멍
157: 개구 180: 출력 단자 커넥터
181: 제1 후크
100: Power supply 110: Connector holder
111: body 121: first extension
122: second extension part 123: first protrusion
131: third extension part 132: fourth extension part
133: second projection 141: 1st section curve
142: Section 2 Curve 143: Section 3 Curve
144: Section 4 Curve 150: Connector holder
151: first bent surface 152: second bent surface
153: third bending face 154: fourth bending face
155: engaging portion 156: hole
157: opening 180: output terminal connector
181: first hook

Claims (10)

몸체;
상기 몸체의 양쪽 말단으로부터 각각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같은 방향으로 각각 90도 구부러지는 제1/제2 연장부와 제3/제4 연장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이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제2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중 하나는 파워 서플라이의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파워 서플라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하는 출력 단자 커넥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Body;
A first /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third / four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body and bent 90 degrees in the same direction; And
And a first / second projec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extension portions extend,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upper case of the power supply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jecting inward from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is fixed by being mounted on the power supp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추가로 연장되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다른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4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로부터 추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제4 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3 연장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연장부 사이, 상기 몸체와 제3 연장부 사이,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 및 상기 제3 연장부와 제4 연장부 사이가 같은 방향으로 90도 구부러져 상기 몸체와 상기 제2 연장부 및 제4 연장부가 서로 나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xtension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the second extension further extends from the first extension and the third extension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extension And the fourth extension further extends from the third extensio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projects from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s from the body and away from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projec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Projecting from the third extending por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third ext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between the third extending portion and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are bent 90 degrees in the same direction Wherein the body, the second extension part, and the fourth extension part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3 연장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출력 단자 커넥터의 수평 방향의 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length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thir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corresponds to a width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마련된 절곡선을 따라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연장부 사이가 구부러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몸체가 구부러지고, 상기 제2 연장부와 제4 연장부에서 상기 몸체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마련된 절곡선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가 구부러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연장부와 제4 연장부가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re bent along a folding line provided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n the body,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the fourth extending portion ar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re bent along a folding line provided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body in the extending portion.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connector.
제1 내지 제4 절곡면을 갖고 각 절곡면은 이웃하는 절곡면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1 절곡면과 상기 제3 절곡면은 나란하고 상기 제4 절곡면은 상기 제1 절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절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곡면의 양 끝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파워 서플라이의 후면 케이스에 형성되는 구멍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절곡면이 상기 후면 케이스에 밀착되고, 상기 제2 절곡면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하면 케이스에 밀착하고,
상기 제3 절곡면과 상기 제4 절곡면 사이에는 4각 형상의 복수 개의 개구가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출력 단자 커넥터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Where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bent surfaces is perpendicular to the adjacent bent surface, the first bent surface and the third bent surface are in parallel, and the fourth bent surface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bent surface A second folded surface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folded surface,
Two engaging portions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olding surfac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engages with the hole formed in the rear case of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first folding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case, The folded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ase of the power supply,
Wherein a plurality of openings of a quadrangular shape are formed between the third bent surface and the fourth bent surfac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 connectors projecting inward from the rear case. Connector fixing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절곡면의 높이는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출력 단자 커넥터의 하단의 위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height of the fourth bent surface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jecting from the rear cas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면의 길이는 상기 출력 단자 커넥터가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length of the second bent surface is shorter than a length of a portion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truding from the rear cas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곡면은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출력 단자 커넥터의 하단 후크의 말단보다 상기 후면 케이스에서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rd bent surface is disposed closer to the rear case than the end of the lower end hook of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protruding from the rear cas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폭은 상기 출력 단자 커넥터의 위와 아래에 마련된 후크의 폭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hook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output terminal connecto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절곡면의 폭은 상기 후면 케이스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출력 단자 커넥터 중에서 첫 출력 단자 커넥터와 마지막 출력 단자 커넥터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 출력 단자 커넥터 고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idths of the first to fourth bent surfaces are wid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connector and the last output terminal connector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 connectors arranged in the rear case.
KR1020140090538A 2014-07-17 2014-07-17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of output terminal in power supply KR201600107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538A KR20160010731A (en) 2014-07-17 2014-07-17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of output terminal in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538A KR20160010731A (en) 2014-07-17 2014-07-17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of output terminal in power supp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31A true KR20160010731A (en) 2016-01-28

Family

ID=5530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538A KR20160010731A (en) 2014-07-17 2014-07-17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of output terminal in powe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7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6886B2 (en) Solid state storage system
JP5296771B2 (en) Computer system
TW201311118A (en) Apparatus and systems having storage devices in a side accessible drive sled
JP6066159B2 (en) Mounting adapt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519318B2 (en) Carrier with multiple storage devices having different form factors
USRE48588E1 (en) Storage unit combining module capable of loading several storage units, storage unit moving suit and related server apparatus having several storage unit combining modules
JP2006163695A (en) Storage device, memory part for storage device, and dummy unit
JP6164035B2 (en) Hard disk drive mou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856725B2 (en) Device carriers
JP2006164006A (en) Disk array device
JP4361033B2 (en) Disk array device
TWI536178B (en) Server
US7675744B2 (en) Air distribution system compatible with disparate data storage systems
KR20170006240A (en) Ssd doubler
US20120262874A1 (en) Motherboard and server using the same
KR20160010731A (en)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of output terminal in power supply
US8599558B2 (en) Controller
JP2019061660A (en) Assembly for ssd and ssd assembly
US20140301034A1 (en) Storage cartridge dock system
US20080062558A1 (en) Automated Tape Library for Docking Within a Server Docking Station
US8824131B2 (en) Disk drive mounting assembly
JP2007004885A (en) Hard disk device for mirroring
KR100609376B1 (en) Connection apparatus of external Hard Disc Drive
KR101385775B1 (en) digital video recorder
KR200440658Y1 (en) Case of USB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