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712A -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712A
KR20160010712A KR1020140090376A KR20140090376A KR20160010712A KR 20160010712 A KR20160010712 A KR 20160010712A KR 1020140090376 A KR1020140090376 A KR 1020140090376A KR 20140090376 A KR20140090376 A KR 20140090376A KR 20160010712 A KR20160010712 A KR 20160010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nager terminal
unit
manag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9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712A/ko
Publication of KR2016001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08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lf-generating credentials, e.g. instead of receiving credentials from an authority or from another peer, the credentials are generated at the entity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관리자 단말기 및 피관리자 단말기를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말기등록부; 단말기등록부에 관리자 단말기 및 피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등록되면, 관리자 단말기에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하는 설정메뉴제공부; 및 설정메뉴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설정메뉴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가 피관리자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면, 관리자 단말기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Supporting Server and Method}
본 발명은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년이 소지한 통신단말기의 긍정적인 기능이 최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부정적인 기능이 이용될 가능성을 차단하고, 통신단말기의 용도가 부정적으로 확장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장치 및 그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본적인 음성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기능, 게임 플레이기능,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시청기능, 오디오 청취기능, 인터넷 검색기능 등의 기존의 컴퓨터에서 실행이 가능하였던 기능들의 대부분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청소년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교육방송을 시청하며 각종 학습정보를 검색하고 학습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기록 및 저장함으로써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는 교육방송의 시청, 학습정보 검색 및 기록 등의 긍정적인 기능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며, 성인정보의 검색, 과도한 엔터테인먼트의 이용과 같은 부정적인 기능으로도 이용이 가능하고,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각종 유틸리티의 설치 및 실행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유용한 기능이지만 과도한 사용으로 청소년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는 기능들도 있다.
따라서, 어떤 부모들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정적인 기능 또는 부정적인 면으로의 확장가능성으로 인하여 청소년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음성통화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만 이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육방송의 시청, 학습정보의 실시간 검색 등의 긍정적인 기능을 포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청소년의 학습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25544호 (등록일자: 2007. 05. 3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청소년이 소지한 통신단말기의 긍정적인 기능이 최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부정적인 기능이 이용될 가능성을 차단하고, 통신단말기의 용도가 부정적으로 확장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관리자 단말기 및 피관리자 단말기를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말기등록부; 단말기등록부에 관리자 단말기 및 피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등록되면, 관리자 단말기에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하는 설정메뉴제공부; 및 설정메뉴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설정메뉴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가 피관리자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면, 관리자 단말기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정메뉴제공부는, 피관리자 단말기의 주소록에 대한 통화가능범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또는 실행가능여부, 피관리자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에 대한 실행가능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분류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메뉴제공부는 단계분류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단계를 설정메뉴로 제공한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설정메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설정메뉴에 대응하여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에 대한 실행조건을 수신하는 실행조건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제어부는 실행조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실행조건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한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피관리자 단말기를 감시하는 단말기감시부; 및 단말기감시부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용시간, 접속되는 URL 및 접속시간, 통화상대 및 통화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기록하는 이용정보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이용정보기록부에 기록된 이용정보에 대한 열람신호를 수신하는 열람신호수신부; 및 열람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열람신호에 대응하여 이용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용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모니터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신호수신부; 모니터신호수신부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모니터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감시부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현재의 화면을 설정된 주기로 캡처(capture)하는 화면캡처부; 및 화면캡처부에 의해 캡처되는 화면을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기능제어부에 의한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실행상태판단부; 및 실행상태판단부에 의해 기능제어부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결과를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보고하는 판단결과보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는, 피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단말기등록부에 등록되는 경우,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우선순위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능제어부는 우선순위설정부에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 및 피관리자 단말기를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 등록단계에 관리자 단말기 및 피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등록되면, 관리자 단말기에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설정메뉴 제공단계에 의해 제공된 설정메뉴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가 피관리자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면, 관리자 단말기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정메뉴 제공단계는, 피관리자 단말기의 주소록에 대한 통화가능범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또는 실행가능여부, 피관리자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URL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에 대한 실행가능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설정메뉴 제공단계는 단계분류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각각의 단계를 설정메뉴로 제공한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설정메뉴 제공단계에 의해 제공되는 설정메뉴에 대응하여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에 대한 실행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 제어단계는 실행조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실행조건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한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피관리자 단말기를 감시하는 단계; 및 감시단계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용시간, 접속되는 URL 및 접속시간, 통화상대 및 통화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이용정보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된 이용정보에 대한 열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열람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열람신호에 대응하여 이용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모니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모니터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모니터신호가 수신되면, 감시단계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현재의 화면을 설정된 주기로 캡처(capture)하는 단계; 및 화면 캡처단계에 의해 캡처되는 화면을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기능 제어단계에 의한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단계에 의해 기능 제어단계에 의한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결과를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피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단말기등록부에 등록되는 경우,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 제어단계는 우선순위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년이 소지한 통신단말기의 긍정적인 기능이 최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년의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며, 성인사이트 접속과 같은 부정적인 기능을 차단하여 청소년이 유해정보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고, SNS와 같이 긍정적 기능인지 또는 부정적 기능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조건적으로 그 이용을 허용하고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의 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피관리자의 기능에 대한 실행조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관리자 단말기에서 피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을 모니터링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의 이용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10) 및 피관리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10) 및 피관리자 단말기(20)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하며, 인터넷의 접속이 가능하고, 외부의 통신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10) 및 피관리자 단말기(20)는 서로 다른 종류나 사양의 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는 유선망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단말기등록부(102), 설정메뉴제공부(104), 기능제어부(106), 단계분류저장부(108), 실행조건수신부(110), 단말기감시부(112), 이용정보기록부(114), 열람신호수신부(116), 이용정보전송부(118), 모니터신호수신부(120), 화면캡처부(122), 화면전송부(124), 실행상태판단부(126), 판단결과보고부(128) 및 우선순위결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등록부(102)는 관리자 단말기(10) 및 피관리자 단말기(20)를 매칭시켜 등록한다. 즉, 단말기등록부(102)는 관리자가 소지한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피관리자가 소지한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등록한다.
설정메뉴제공부(104)는 단말기등록부(102)에 관리자 단말기(10) 및 피관리자 단말기(20)가 매칭되어 등록되면, 관리자 단말기(10)에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한다. 이때, 설정메뉴제공부(104)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주소록에 대한 통화가능범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또는 실행가능여부, 피관리자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설정메뉴제공부(104)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저장된 주소록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제공하며, 그 중에서 통화가 가능한 연락처, 통화가 불가능한 연락처 등을 관리자가 설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설치 또는 실행에 대한 가능여부를 관리자가 설정하고, 접속이 가능한 URL을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메뉴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메뉴제공부(104)가 제공하는 설정메뉴의 종류는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설정메뉴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기능제어부(106)는 설정메뉴제공부(104)에 의해 제공된 설정메뉴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10)가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면, 관리자 단말기(10)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게임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관리자 단말기(10)에 의해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 기능제어부(106)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서 해당 게임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단계분류저장부(108)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에 대한 실행가능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분류저장부(108)는 1단계로 가족간의 통화, 112, 119 등과 같은 긴급,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만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2단계는 전술한 1단계와 함께 사전관련 URL, 검색관련 URL 등에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며, 3단계는 전술한 2단계와 함께 유해 URL을 제외한 모든 URL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4단계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모든 기능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메뉴제공부(104)는 단계분류저장부(108)에 저장된 각각의 단계를 설정메뉴로 관리자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실행조건수신부(110)는 설정메뉴제공부(104)에 의해 제공되는 설정메뉴에 대응하여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에 대한 실행조건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1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하여 교육방송 어플리케이션, 강좌 어플리케이션 등만 설치될 수 있도록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어플리케이션만 실행될 수 있도록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고,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주소록 중에서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연락처만 통화가 가능하도록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실행이 가능한 날짜, 요일, 시간 등의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행조건수신부(110)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해당 실행조건을 수신하며, 기능제어부(106)는 실행조건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실행조건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을 제어한다. 여기에 기재된 조건들은 예시일 뿐이며, 관리자 단말기(1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행조건의 설정이 기능하다.
단말기감시부(112)는 피관리자 단말기(20)를 감시한다. 이때, 단말기감시부(112)는 설정된 주기로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상태를 감시하며,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실행여부, 통화여부, URL 접속여부 등을 감시할 수 있다.
이용정보기록부(114)는 단말기감시부(112)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용시간, 접속되는 URL 및 접속시간, 통화상대 및 통화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기록한다. 즉, 이용정보기록부(114)는 피관리자 단말기(20)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용시간을 기록하고, 피관리자 단말기가 URL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URL 및 접속시간을 기록하며, 다른 통신단말기와 통화를 하는 경우 통화상대 및 통화시간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이용정보기록부(114)는 기록된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이용정보를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람신호수신부(116)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이용정보기록부(114)에 기록된 이용정보에 대한 열람신호를 수신한다. 즉, 관리자 단말기(10)는 이용정보기록부(114)에 기록된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이용정보의 열람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열람신호수신부(116)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해당 열람신호를 수신한다.
이용정보전송부(118)는 열람신호수신부(116)에 의해 수신되는 열람신호에 대응하여 이용정보기록부(114)에 기록된 이용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이용정보전송부(118)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열람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이용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용정보전송부(118)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열람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설정된 주기로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이용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모니터신호수신부(120)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20)의 화면에 대한 모니터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모니터신호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현재 화면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10)가 직접 감시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신호를 말한다.
화면캡처부(122)는 모니터신호수신부(120)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모니터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감시부(112)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의 현재의 화면을 설정된 주기로 캡처(capture)한다.
화면전송부(124)는 화면캡처부(122)에 의해 캡처되는 화면을 관리자 단말기(1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관리자 단말기(20)의 현재의 화면을 관리자 단말기(10)의 화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화면으로 그대로 표시함으로써 피관리자 단말기(10)가 현재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거나 특정 URL에 접속한 경우에 실시간으로 그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실행상태판단부(126)는 기능제어부(106)에 의한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설정된 주기로 판단한다. 이때, 실행상태판단부(126)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설정된 주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피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기능제어부(106)의 정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보고부(128)는 실행상태판단부(126)에 의해 기능제어부(106)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결과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실시간으로 보고한다. 예를 들어, 피관리자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다른 기능제어 차단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등에 의해 기능제어부(106)에 의한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실행상태판단부(126)는 그에 따라 기능제어부(10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음을 판단하며, 판단결과보고부(128)는 그 판단결과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실시간으로 보고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관리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우선순위설정부(13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10)가 매칭되어 단말기등록부(102)에 등록되는 경우,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10)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 경우, 기능제어부(106)는 우선순위설정부(130)에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등록부(102)는 청소년 한 명의 통신단말기에 대응하여 부모 모두의 통신단말기를 관리자 단말기(10)로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설정부(130)는 어머니의 통신단말기를 최우선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제어부(106)는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설정신호나 실행조건이 서로 상충되는 경우 등에 우선순위설정부(130)에 저장된 우선순위에 따라 최우선의 관리자 단말기(10)에 대응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관리자 단말기(10) 및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각각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에 대한 실행가능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S102). 예를 들어,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1단계로 가족간의 통화, 112, 119 등과 같은 긴급,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만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2단계는 전술한 1단계와 함께 사전관련 URL, 검색관련 URL 등에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며, 3단계는 전술한 2단계와 함께 유해 URL을 제외한 모든 URL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4단계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모든 기능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10) 및 피관리자 단말기(20)를 매칭시켜 등록한다(S104). 즉,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가 소지한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피관리자가 소지한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등록한다. 이때,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10)를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10)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한다(S106).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10)에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한다(S108). 이때,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주소록에 대한 통화가능범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또는 실행가능여부, 피관리자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가 설정메뉴의 각각의 기능설정에 대응하여 실행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실행조건 입력 윈도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10)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설정메뉴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기능에 대하여 통화가능범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실행가능 여부, 접속 가능한 URL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S110), 설정된 각각의 기능에 대한 실행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S112).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1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하여 교육방송 어플리케이션, 강좌 어플리케이션 등만 설치될 수 있도록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어플리케이션만 실행될 수 있도록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1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주소록 중에서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연락처만 통화가 가능하도록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실행이 가능한 날짜, 요일, 시간 등의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제공되는 설정메뉴에 대응하여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에 대한 설정정보, 실행조건 등을 수신한다(S114).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에 대한 설정정보, 실행조건 등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를 감시한다(S116). 이때,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설정된 주기로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상태를 감시하며,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실행여부, 통화여부, URL 접속여부 등을 감시할 수 있다.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감시에 기초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용시간, 접속되는 URL 및 접속시간, 통화상대 및 통화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기록한다(S118). 즉,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용시간을 기록하고, 피관리자 단말기가 URL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URL 및 접속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가 다른 통신단말기와 통화를 하는 경우 통화상대 및 통화시간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기록된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이용정보를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단말기(1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이용정보의 열람을 요청할 수 있다(S120).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이용 로그정보의 열람신호가 수신되면(S122), 수신되는 열람신호에 대응하여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이용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S124). 여기서,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열람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이용 로그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열람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설정된 주기로 피관리자 단말기(20)의 이용 로그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1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현재의 화면상태를 요청하는 모니터요청신호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으며(S126),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피관리자 단말기(20)의 화면에 대한 모니터신호를 수신한다(S128).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모니터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현재의 화면을 설정된 주기로 캡처(capture)한다(S130).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설정된 주기로 캡처되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화면을 관리자 단말기(1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132). 이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1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현재의 화면을 관리자 단말기(10)의 화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화면으로 그대로 표시함으로써 피관리자 단말기(10)가 현재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거나 특정 URL에 접속한 경우에 실시간으로 그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에 대한 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설정된 주기로 판단한다(S134). 이때,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설정된 주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피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피관리자 단말기(20)에 대한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36), 그 판단결과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실시간으로 보고한다(S138). 예를 들어, 피관리자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다른 기능제어 차단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등에 의해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100)는 그에 따라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음을 판단하며, 판단결과를 관리자 단말기(10)에 실시간으로 보고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피관리자 단말기(20)의 관리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관리자 단말기 및 피관리자 단말기를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말기등록부;
    상기 단말기등록부에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등록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하는 설정메뉴제공부; 및
    상기 설정메뉴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설정메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메뉴제공부는,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주소록에 대한 통화가능범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또는 실행가능여부,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에 대한 실행가능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분류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메뉴제공부는 상기 단계분류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단계를 설정메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메뉴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설정메뉴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에 대한 실행조건을 수신하는 실행조건수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제어부는 상기 실행조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실행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를 감시하는 단말기감시부; 및
    상기 단말기감시부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용시간, 접속되는 URL 및 접속시간, 통화상대 및 통화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기록하는 이용정보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정보기록부에 기록된 이용정보에 대한 열람신호를 수신하는 열람신호수신부; 및
    상기 열람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열람신호에 대응하여 이용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용정보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모니터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신호수신부;
    상기 모니터신호수신부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모니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감시부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현재의 화면을 설정된 주기로 캡처(capture)하는 화면캡처부; 및
    상기 화면캡처부에 의해 캡처되는 화면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부에 의한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실행상태판단부; 및
    상기 실행상태판단부에 의해 상기 기능제어부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보고하는 판단결과보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상기 단말기등록부에 등록되는 경우,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우선순위설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설정부에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10.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 및 피관리자 단말기를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단계에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등록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메뉴 제공단계에 의해 제공된 설정메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메뉴 제공단계는,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주소록에 대한 통화가능범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또는 실행가능여부,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URL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대한 설정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에 대한 실행가능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메뉴 제공단계는 상기 단계분류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각각의 단계를 설정메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메뉴 제공단계에 의해 제공되는 설정메뉴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에 대한 실행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 제어단계는 상기 실행조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실행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단계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용시간, 접속되는 URL 및 접속시간, 통화상대 및 통화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정보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된 이용정보에 대한 열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열람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열람신호에 대응하여 이용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모니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모니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감시단계에 의한 감시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현재의 화면을 설정된 주기로 캡처(capture)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캡처단계에 의해 캡처되는 화면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단계에 의한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 의해 상기 기능 제어단계에 의한 기능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가 매칭되어 상기 단말기등록부에 등록되는 경우,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 제어단계는 상기 우선순위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피관리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관리 지원방법.
KR1020140090376A 2014-07-17 2014-07-17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 KR20160010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76A KR20160010712A (ko) 2014-07-17 2014-07-17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76A KR20160010712A (ko) 2014-07-17 2014-07-17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132A Division KR102129070B1 (ko) 2016-07-14 2016-07-14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12A true KR20160010712A (ko) 2016-01-28

Family

ID=5530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76A KR20160010712A (ko) 2014-07-17 2014-07-17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7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429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4-웨이 토크 컨버터
KR20190024430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4-웨이 토크 컨버터
KR20190024427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4-웨이 토크 컨버터
KR20190024428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4-웨이 토크 컨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544B1 (ko) 2006-05-01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유해정보 차단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544B1 (ko) 2006-05-01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유해정보 차단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429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4-웨이 토크 컨버터
KR20190024430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4-웨이 토크 컨버터
KR20190024427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4-웨이 토크 컨버터
KR20190024428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4-웨이 토크 컨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536B1 (ko)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11620347B2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collect and uploads implicit analytic data
US201602415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malicious website
JP2019092147A (ja) 情報交換方法、装置、オーディオ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WO2020207371A1 (zh) 数据处理系统和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WO2015176448A1 (zh) 一种终端智能分屏方法及装置
CN108055575B (zh) 一种面向小区基于模拟投屏的网络视频共享系统
US11188863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ioritizing mobile network trouble tickets based on customer impact
CN104066009A (zh) 节目识别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系统
US1118441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log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10097895B2 (en) Content provid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KR20160010712A (ko) 단말기 관리 지원서버 및 그 지원방법
US20130097179A1 (en) Crowd-sourced problem solving
US12015733B2 (en) Do-not-disturb method and terminal
CN110677684B (zh) 视频处理、视频访问方法及分布式存储、视频访问系统
CN10460137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云端服务器
US20180365081A1 (en) Method for Application Action Synchronization,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5184984A1 (en) Client application adapt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CN103532945A (zh) 分享控制方法和相关设备及通信系统
EP3780700B1 (en) Power consumption anomaly prompting method, server, and terminal
CA295152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2671897A (zh) 分布式系统的访问方法、装置、存储介质、设备和产品
US20150149629A1 (en) User online state querying method and apparatus
US102105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grouping devices in a same space for cross-device marketing
US9922094B1 (en) Sharing data based on user ran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1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14

Effective date: 2018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