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656A -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656A
KR20160010656A KR1020140089501A KR20140089501A KR20160010656A KR 20160010656 A KR20160010656 A KR 20160010656A KR 1020140089501 A KR1020140089501 A KR 1020140089501A KR 20140089501 A KR20140089501 A KR 20140089501A KR 20160010656 A KR20160010656 A KR 20160010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emperature
unit
time
temperatur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서혜민
허성환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656A/ko
Publication of KR2016001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프레셔(compressor)를 포함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부;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 및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컴프레셔의 동작시작시간 및 동작지속시간을 확인하는 동작시간 확인부; 및 온도 감지부의 감지 결과 및 동작시간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하는 품질 판단부; 를 포함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or examination}
본 발명은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및 정수기 등의 물건에 컴프레셔(compressor)가 포함되어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일 경우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므로,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가 요구된다.
그러나, 컴프레서가 포함된 물건의 공정상 발생하는 불량의 경우 실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기 전까지 불량 유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물건이 제조되기 전에 상기 컴프레셔의 테스트를 수행하여 정상임을 판단하더라도, 상기 물건이 제조된 이후에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건이 제조된 이후에 상기 컴프레셔를 검사할 수 있고, 상기 물건이 사용되는 중에도 수시로 상기 컴프레셔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컴프레셔(compressor)를 포함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 및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시작시간 및 동작지속시간을 확인하는 동작시간 확인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동작시간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하는 품질 판단부; 를 포함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증발기에서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가습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응축기에서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후 일정 시간을 주기로하여 온도를 반복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동작지속시간이 일정 시간일 때의 상기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동작 전 온도에서 상기 동작 후 온도를 감산한 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품질 판단부는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시간이 3분이고, 상기 일정 값은 5도일 수 있다. 하지만 제품의 구조적 특성과 온도센서의 위치에 따라 온도값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품질 판단부에서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한 횟수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동작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품질 판단부는 상기 컴프레셔가 최종적으로 불량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중단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는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및 정수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및 정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습 또는 가습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 단계;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시작시간 및 동작지속시간을 확인하는 동작시간 확인 단계; 상기 동작지속시간이 일정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 단계; 및 상기 제1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한 온도 및 제2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하는 품질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컴프레셔 검사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2 온도 감지 단계는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후 일정 시간을 주기로하여 온도를 반복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한 온도에서 상기 제2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한 온도를 감산한 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품질 판단 단계는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시간이 3분이고, 상기 일정 값은 5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한 횟수를 기억하는 검사횟수 기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컴프레셔 검사 방법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품질 판단단계는 상기 컴프레셔가 최종적으로 불량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중단하는 동작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프레셔가 포함된 물건을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의 컴프레셔를 검사할 수 있으며, 상기 물건이 사용되는 중에도 수시로 상기 컴프레셔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컴프레셔 검사 장치의 온도를 반복적으로 감지하고 검사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컴프레셔가 포함된 물건의 온도 특성에 따라 정밀하게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프레셔가 포함된 물건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온도감지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컴프레셔 검사 장치가 상기 물건에 포함되더라도 구성이 복잡해지지 않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검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검사 장치에 포함된 압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에 따른 컴프레셔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에 따른 컴프레셔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검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검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는, 압축부(110), 온도 감지부(120), 동작시간 확인부(130), 품질 판단부(140), 기억부(150), 동작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110)는, 컴프레셔(compressor)를 포함하여 공기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110)에 대해서는 도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온도 감지부(120)는,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 및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면, 상기 공기의 온도가 변화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공기의 온도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기의 온도는 변화하지 않거나 일정 온도 미만으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 및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면,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에 의한 온도 변화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후 일정 시간을 주기로하여 온도를 반복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을 일정 시간 간격의 구간으로 나눠서 공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의 온도는 컴프레셔의 동작 초반에 변화될 수 있고, 컴프레셔의 동작 후반에 변화될 수 있다. 즉, 동작하는 컴프레셔의 결함원인에 따라 상기 공기의 온도가 변화되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을 일정 시간 간격의 구간으로 나눠서 공기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컴프레셔의 결함원인을 알 수 있고, 더욱 정밀하게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동작시간 확인부(130)는, 컴프레셔의 동작시작시간 및 동작지속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시작시간은 상기 컴프레셔가 동작을 시작한 시간을 기준으로 잡기 위하여 확인될 수 있다. 동작지속시간은 상기 동작시작시간으로부터 상기 컴프레셔가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동작지속시간은 상기 온도 감지부(120)가 컴프레셔의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는 시간이 될 수 있다.
품질 판단부(140)는, 상기 온도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 및 상기 동작시간 확인부(130)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프레셔의 품질은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인지 불량인지 구분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부(120)가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을 구분하여 반복적으로 온도를 감지할 경우, 상기 컴프레셔가 어느 정도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도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상기 동작지속시간이 일정 시간일 때의 상기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에서 상기 동작 후 온도를 감산한 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품질 판단부(140)는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시간 및 상기 일정 값은 상기 컴프레셔가 포함되는 물건의 온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컴프레셔 동작의 경우, 상기 일정 시간이 3분이고, 상기 일정 값은 5도일 수 있다. 하지만 제품의 구조적 특성과 온도센서의 위치에 따라 온도값은 조정될 수 있다.
기억부(150)는, 상기 품질 판단부(140)에서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한 횟수를 기억할 수 있다. 즉, 컴프레셔 검사는 복수 횟수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프레셔의 첫번째 검사에서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으로 판단되더라도, 다음 검사에서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컴프레셔 검사 환경에 따라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의 판단에 오류가 생길 수 있는데,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 및 장기간 미사용 등이 원인일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셔 검사시 환경적인 요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컴프레셔 검사를 복수 횟수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기억부(150)는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횟수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컴프레셔가 최종적으로 불량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으로 판단되거나 최종적으로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기억부(150)는 기억한 상기 횟수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동작 제어부(160)는, 상기 품질 판단부(140)에서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한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컴프레셔의 동작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중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에 의해 변화된 온도를 다시 변화 이전의 온도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컴프레셔가 포함되는 물건의 온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컴프레셔가 포함되는 물건의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1분일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는,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및 정수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감지부(120)는 상기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및 정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습 또는 가습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상기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및 정수기 등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일반적인 온도 감지 기능과 상기 컴프레셔 검사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가 상기 물건들에 포함되더라도 구성이 복잡해지지 않을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검사 장치에 포함된 압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검사 장치에 포함된 압축부(110)는, 컴프레셔(111), 증발기(112) 및 응축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컴프레셔(111)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가 품질을 검사할 대상이 되고, 상기 압축부(110)에서 공기의 압축 기능을 수행하여 증발기(112) 또는 응축기(113)를 보조할 수 있다.
증발기(112)는, 상기 컴프레셔(111)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111)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면, 상기 증발기(112)에 인접한 공기는 냉각기에 의해 온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면 상기 공기의 상대습도는 높아져서 상기 증발기(112)에 결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증발기(112)에 생긴 결로는 외부의 물탱크 등에 따로 보내짐으로써, 상기 증발기(112)는 지속적으로 외부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112)는, 온도 감지부(120)와 인접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112)에서 온도의 변화가 가장 클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상기 증발기(112)에서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의 변화는 상기 증발기(112)와 인접하지 않은 공간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의 어느 부분에라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가 포함된 물건의 온도 및 배치 특성에 따라 상기 온도 감지부(120)가 배치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다.
응축기(113)는, 상기 컴프레셔(111)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111)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면, 상기 응축기(113)에 인접한 공기는 방열기에 의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처럼,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 상기 공기의 상대습도는 낮아지는데, 외부에서 습기를 제공하여 상대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후, 높아진 공기를 냉각기로 냉각시키면서 가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13)는, 온도 감지부(120)와 인접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기(113)에서 온도의 변화가 가장 클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상기 응축기(113)에서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의 변화는 상기 응축기(113)와 인접하지 않은 공간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부(120)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의 어느 부분에라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가 포함된 물건의 온도 및 배치 특성에 따라 상기 온도 감지부(120)가 배치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검사 장치에서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에 따른 컴프레셔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컴프레셔가 정상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초반에 온도가 급격히 하락하고, 일정 온도만큼 하락한 이후로 온도의 변화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중반에 온도가 급격히 하락하고, 일정 온도만큼 하락한 이후로 온도의 변화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이경우, 외부 환경에 기인할 수 있고,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이 불안정적임에 기인할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셔 검사를 복수 횟수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을 더욱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이 포함되는 물건의 온도 특성에 따라 특정 시간부터 온도가 급격히 하락하는 현상이 정상일 수 있다. 또한, 컴프레셔의 동작 후 특정 시간이 아닌 특정 온도 이하부터 온도가 급격히 하락할 수도 있다. 즉, 컴프레셔 검사 장치(100)이 포함되는 물건의 온도 특성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온도 감지부(120) 및 동작시간 확인부(130)로부터 많은 정보를 받을수록 품질 판단부(140)에서 더욱 정밀하게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에 따른 컴프레셔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컴프레셔가 불량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가 동작하더라도 온도가 변화하지 않거나 일정 온도 미만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컴프레셔가 이송 또는 조립중 고장나거나(단품의 불량) 공정상 불량(용접 등)에 기인할 수 있고, 인접한 장치(방열기 또는 응축기)의 불량에 기인할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셔 검사를 복수 횟수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을 더욱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프레셔가 불량인 경우, 상기 컴프레셔가 동작한 후 3분 경과하였을 때 온도가 5도 이하의 크기로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검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컴프레셔 검사 방법은, 제1 온도 감지 단계(S10), 동작시간 확인 단계(S20), 제2 온도 감지 단계(S30), 품질 판단 단계(S40), 검사횟수 기억 단계(S50) 및 동작 제어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 감지 단계(S10)에서는,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가,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시간 확인 단계(S20)에서는,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가, 컴프레셔의 동작시작시간 및 동작지속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시작시간은 컴프레셔가 동작을 시작한 시간을 기준으로 잡기 위하여 확인될 수 있다. 동작지속시간은 상기 동작시작시간으로부터 상기 컴프레셔가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동작지속시간은 상기 제2 온도 감지 단계(S30)에서 컴프레셔의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제2 온도 감지 단계(S30)에서는,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가, 컴프레셔의 동작지속시간이 일정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면, 상기 공기의 온도가 변화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공기의 온도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기의 온도는 변화하지 않거나 일정 온도 미만으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 및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면,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에 의한 온도 변화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 감지 단계(S30)에서는,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가,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후 일정 시간을 주기로하여 온도를 반복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을 일정 시간 간격의 구간으로 나눠서 공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의 온도는 컴프레셔의 동작 초반에 변화될 수 있고, 컴프레셔의 동작 후반에 변화될 수 있다. 즉, 동작하는 컴프레셔의 결함원인에 따라 상기 공기의 온도가 변화되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을 일정 시간 간격의 구간으로 나눠서 공기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컴프레셔의 결함원인을 알 수 있고, 더욱 정밀하게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품질 판단 단계(S40)에서는,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가, 상기 제1 온도 감지단계(S10)에서 감지한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감지단계(S30)에서 감지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프레셔의 품질은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인지 불량인지 구분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온도 감지단계(S30)에서 컴프레셔의 동작시간을 구분하여 반복적으로 온도를 감지할 경우, 상기 컴프레셔가 어느 정도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도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에서 상기 동작 후 온도를 감산한 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품질 판단 단계(S40)에서는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시간 및 상기 일정 값은 상기 컴프레셔가 포함되는 물건의 온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컴프레셔 동작의 경우, 상기 일정 시간이 3분이고, 상기 일정 값은 5도일 수 있다. 하지만 제품의 구조적 특성과 온도센서의 위치에 따라 온도값은 조정될 수 있다.
검사횟수 기억 단계(S50)에서는,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한 횟수를 기억할 수 있다. 즉, 컴프레셔 검사는 복수 횟수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프레셔의 첫번째 검사에서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으로 판단되더라도, 다음 검사에서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컴프레셔 검사 환경에 따라 품질의 판단에 오류가 생길 수 있는데,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 및 장기간 미사용 등이 원인일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셔 검사시 환경적인 요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컴프레셔 검사를 복수 횟수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검사횟수 기억 단계(S50)에서는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횟수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컴프레셔가 최종적으로 불량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가 정상으로 판단되거나 최종적으로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기억한 상기 횟수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동작 제어 단계(S60)에서는,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한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컴프레셔의 동작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중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에 의해 변화된 온도를 다시 변화 이전의 온도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컴프레셔가 포함되는 물건의 온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컴프레셔가 포함되는 물건의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1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컴프레셔 검사 장치 110: 압축부
111: 컴프레셔 112: 증발기
113: 응축기 120: 온도 감지부
130: 동작시간 확인부 140: 품질 판단부
150: 기억부 160: 동작 제어부
S10: 제1 온도 감지 단계 S20: 동작시간 확인 단계
S30: 제2 온도 감지 단계 S40: 품질 판단 단계
S50: 검사횟수 기억 단계 S60: 동작 제어 단계

Claims (15)

  1. 컴프레셔(compressor)를 포함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 및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시작시간 및 동작지속시간을 확인하는 동작시간 확인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동작시간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하는 품질 판단부; 를 포함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증발기에서의 온도를 감지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가습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응축기에서의 온도를 감지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후 일정 시간을 주기로하여 온도를 반복적으로 감지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동작지속시간이 일정 시간일 때의 상기 동작 후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동작 전 온도에서 상기 동작 후 온도를 감산한 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품질 판단부는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이 3분이고, 상기 일정 값은 5도인 컴프레셔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판단부에서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한 횟수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검사 동작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품질 판단부는 상기 컴프레셔가 최종적으로 불량임을 판단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중단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 검사 장치는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및 정수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제습기, 가습기, 냉장고 및 정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습 또는 가습 동작에 이용되는 컴프레셔 검사 장치.
  10. 컴프레셔의 동작 전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 단계;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시작시간 및 동작지속시간을 확인하는 동작시간 확인 단계;
    상기 동작지속시간이 일정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 단계; 및
    상기 제1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한 온도 및 제2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컴프레셔의 품질을 판단하는 품질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컴프레셔 검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감지 단계는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 후 일정 시간을 주기로하여 온도를 반복적으로 감지하는 컴프레셔 검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한 온도에서 상기 제2 온도 감지 단계에서 감지한 온도를 감산한 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품질 판단 단계는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하는 컴프레셔 검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이 3분이고, 상기 일정 값은 5도인 컴프레셔 검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가 불량임을 판단한 횟수를 기억하는 검사횟수 기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컴프레셔 검사 방법을 다시 수행하고,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품질 판단단계는 상기 컴프레셔가 최종적으로 불량임을 판단하는 컴프레셔 검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가 일정 횟수 이하일 경우, 상기 컴프레셔의 동작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중단하는 동작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프레셔 검사 방법.
KR1020140089501A 2014-07-16 2014-07-16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60010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501A KR20160010656A (ko) 2014-07-16 2014-07-16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501A KR20160010656A (ko) 2014-07-16 2014-07-16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656A true KR20160010656A (ko) 2016-01-28

Family

ID=5530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501A KR20160010656A (ko) 2014-07-16 2014-07-16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6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50665A (zh) * 2023-03-10 2023-04-11 合肥通用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干燥器的综合试验台及综合测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50665A (zh) * 2023-03-10 2023-04-11 合肥通用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干燥器的综合试验台及综合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0560B (zh) 冷媒泄漏检测方法、冷媒泄漏检测系统和空调器
US201701599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mmissioning and self-diagnostics
CN107356444B (zh) 用于变频空调器的测试方法及测试系统
US92795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mper performance diagnostics
US11762003B2 (en) Environment forming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ower fan
US11407287B2 (en) Refrigerant leak sensor pre-trip sequence and diagnostics
CN110736184B (zh) 空调器及其异常类型的检测方法和装置
CN110469953A (zh) 空调器的排气温度传感器的检测方法、空调器及介质
EP3477409B1 (en)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 computer program, and an apparatus for the diagnosis of anomalies in a refrigeration system
US8967858B2 (en) Method for monitoring at least two temperature sensors of a turbomachine
JP5984909B2 (ja) 自動車の冷却循環路内の欠陥を検知する方法および診断テスタ
CN104807146A (zh) 防冻结保护检测方法和装置
JP2005257219A (ja) 空気調和機
KR20160010656A (ko) 컴프레셔 검사 장치 및 방법
JP6952622B2 (ja) 性能評価方法、性能評価装置、及び性能評価システム
JP2017536530A5 (ko)
JPH11183361A (ja) 高温高湿試験装置及びその加温加湿方法
CN110594182A (zh) 一种风扇风向检测方法及系统
KR20210022278A (ko)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불량 부품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6016619B (zh) 一种中央空调智能检测方法
CN106152410B (zh) 空调控制装置、控制方法及空调器
US10890624B2 (en) Testing fixture, testing system for cell temperature probe and method for testing cell temperature probe
JP2009299934A (ja) 冷凍サイクル機器に用いられる故障診断装置
CN109357364B (zh) 空调的运行能力检测方法及系统
CN109695942B (zh) 用于操作空调柜的方法和空调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