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551A - 골프 코스, 스포츠 필드 및 넓은 영역의 조명에 대한 눈부심 감소 및 상향조명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 코스, 스포츠 필드 및 넓은 영역의 조명에 대한 눈부심 감소 및 상향조명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551A
KR20160010551A KR1020157035549A KR20157035549A KR20160010551A KR 20160010551 A KR20160010551 A KR 20160010551A KR 1020157035549 A KR1020157035549 A KR 1020157035549A KR 20157035549 A KR20157035549 A KR 20157035549A KR 20160010551 A KR20160010551 A KR 2016001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arget area
illumination
light sourc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론 고딘
Original Assignee
무스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스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무스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1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5Outdoor lighting of arena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Y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골프 코스들을 비롯한 스포츠 필드들과 같은 것들을 위해 또는 다른 대면적의 프로젝트들을 위해 상향조명을 포함하여, 눈부심 감소와 효율적인 조명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뷰어들로부터 원래 지각되는 강도와 원래의 광 출력을 갖는 고체 상태 광원들의 세트는, 뷰어에 대한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해 뷰어들이 더 큰 광원으로 지각하도록 변경된다. 이러한 변경은, 다수의 기술들이 광원들의 원래의 출력에서 확산 또는 반사 표면들을 포함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변경된 광 출력은 추가로, 더욱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이것의 부분들을 차단하거나 또는 이것의 부분들을 재지향시킴으로써 변경된다. 예를 들어, 반사 표면을 갖춘 바이저는 타겟 영역으로 또는 상향조명을 위해 광을 재지향시킬 수 있다. 이는, 소스들을 뷰어들에 대한 눈부심을 감소시키고 또는 광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이점들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골프 코스, 스포츠 필드 및 넓은 영역의 조명에 대한 눈부심 감소 및 상향조명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LARE REDUCTION AND UPLIGHTING FOR GOLF COURSE, SPORTS FIELD AND LARGE AREA LIGHTING}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5월 20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시리얼 넘버 제61/825,370호를 35 U.S.C.§119/35 U.S.C.§120 하에서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로써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전반적으로 조명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LED 및 고체 상태 조명 기구(lighting fixture)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LED들은 스포츠와 넓은 영역의 조명에서 점점 더 인기를 끌고 있지만, 문제점들이 있다. 관찰자들이 볼 때 하나의 문제점은 LED 조명의 강도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스포츠 필드와 같은 타겟 영역이 조명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다. 임의의 타겟 영역은 거기를 비추는(fall) 특정량의 광을 필요로 한다. 이 광은 하나 이상의 LED들과 같은 핀포인트 소스로부터 올 수 있거나, 또는 태양이 가려지는 흐린 날에 하늘에서 오는 광과 같은 확산 소스로부터 올 수 있다. 핀포인트 소스의 경우, 소스 강도와 타겟 강도 간의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정밀한 소스의 경우에는, 보는 것이 매우 불편해질 수 있다. 이 비가 매우 높을 경우, 이것은 실제로 타겟 영역 또는 필드 상의 광의 지각(perception)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이후에 필드 상에 더 많은 광을 필요로 할 것으로 여겨지는 결과, 잠재적으로 매우 높은 광 레벨들을 발생시키지만 실제 시인성과 광 품질은 불량하다.
조명을 위한 LED들의 사용과 관련한 두 번째 문제점은 상향조명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야구, 축구, 및 골프와 같은 많은 스포츠에서, 때때로 볼이 공기 중에 높은 곳에 있을 것이고, 선수들과 관중들이 공기 중에 높이 있는 공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양호한 조명을 필요로 한다. 이는 주간 경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소스들의 그러한 타입들은, 광들이 필드 상으로 아래를 향해 조준된다하더라도 상향조명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많은 광이 유출되는 경향 때문에, HID 광원들과 같은 종래의 광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종래의 조명은 필드로부터의 반사에 의해 상향조명을 제공한다. 밤 배경이 본질적으로 흑색이기 때문에 많은 양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반사광에 의해 조명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지면 레벨로부터의) 높이까지 한계가 있다. 더욱이, 개선된 조명 및 현대 조명의 눈부심 제어, 특히 LED 조명은 무심코 상향조명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높은 곳에서 필드로 타겟팅되며 "지면 레벨"의 충분하지만 과도하지 않은 레벨의 상향조명을 제공하는 하향조명은 "플라이 존"(지면 위의 공간)의 반사성 조명 구역에서 상향조명을 거의 또는 전혀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동시에, 업라이트를 증가시키려는 시도는 LED 조명의 강도로 인해 원하지 않는 눈부심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향조명의 문제들이 미국 특허 출원 제12/939,838호에서 심도있게 논의되며, 이로써, 상기 출원이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특히 LED 조명이 갖는 상향조명의 문제점들은 "플라이 존"을 타겟으로 하는 LED 조명을 사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악화된다. 이러한 타입의 조명은, 눈부심이 광원의 강도에 기초하여 인식되기 때문에 눈부심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LED는 (최대 영역의 광원들에 비해) 매우 작고, 강렬한 광원이며, 이는 필드 또는 타겟 영역상에서의 동일한 레벨의 조명에 대해, 더 큰, 덜 강렬한 광원들보다 더 많은 눈부심(glare)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분야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
강도 및 상향조명 필요성들을 고려해 볼 때, 구상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기술의 상태를 개선하거나 발전시킨다. 특히, 실시예들은, 조명 효과의 예상치 못한 증가와 예상치 못한 눈부심 감소와 같은 이점들의 예상치 못한 조합을 제공한다.
본 기술의 문제점들 중 하나는 LED 조명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강도 및/또는 눈부심이다. 대형의 광원일수록 인간의 눈이 광에 적응하는 것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 때문에, 강렬한 LED 광원들 주위에 추가 광원들을 추가하는 것이 눈부심의 지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에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주어진 강도로 타겟이 조명될 경우, 소스가 더 큰 경우, 소스 강도는 더 낮아지고 따라서 눈부심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실시예들은 혁신적이고, 소중하고, 예상치 못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은 LED들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기들, 바이저들, 또는 서라운드들을 사용함으로써, 광원의 지각되는 사이즈를 증가시킨다. 이는 결과적으로, 타겟에 대한 광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 더 많은 광이 캡처되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필요로 되는 광 강도가 감소되고, 그리고/또는 반사기 또는 다른 컴포넌트 또는 표면(들)이 바이저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눈부심이 감소되는 것과 같은 여러가지 이점들이 있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주어진 타겟 영역 상에서 광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시적인 LED 소스들로부터의 조명을 재지향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확산 반사기들, 바이저들, 또는 서라운드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주어진 타겟 영역 상의 광을 증가시키기 위해 숨겨진 또는 부분적으로 숨겨진 LED 소스들로부터의 조명을 재지향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확산 반사기들, 바이저들, 또는 서라운드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LED 광원들로부터의 일부, 대부분 또는 모든 광을 차단하는 확산 렌즈 재료를 이용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의 이점들은 지각되는 눈부심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더 적은 눈부심과 필드와 관련하여 광원들의 더 양호한 배치, 개선된 광 차단, 및 개선된 상향조명과 같은 이점들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일부 영역들 상에 집중 조명을 그리고 다른 영역들 상에 확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존들을 생성하기 위해 부분 확산된 LED 광원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 실시예들은 확산되지 않은 조명과 비교하여 하쉬니스(harshness)가 감소되는 비행 구역에 상향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부분 확산된 LED 광원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 실시예들은, LED 광원들을 이용하여 기구로부터 광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확산시킴으로써, 과도한 눈부심없이 충분한 하향조명과 충분한 상향조명을 제공하는 스포츠 필드들과 골프 코스들과 같은 타겟 영역들에 LED 조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 실시예들은, 낮지만 충분한 레벨의 하향조명과 함께 낮지만 충분한 레벨의 상향조명을 제공하고 낮은 레벨의 눈부심을 갖고 하쉬니스가 감소되는, 골프 코스들의 LED 조명에 하향조명과 상향조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 실시예들은 LED 조명에, 하향조명과 상향조명을 위한 상이한 컬러 또는 컬러 온도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 실시예들은 반사성 바이저들 또는 서라운드들과 연관되는 기구로부터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된 광의 양을 유지하면서 LED 소스로부터 직접적으로 가시적인 광의 상대적인 양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 실시예들은, LED 기구로부터 타겟 영역으로 지향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키는 한편 타겟 영역에서 보게 되는 광 강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적절한 또는 개선된 실제 또는 지각되는 조명 레벨을 유지하는 한편 타겟 영역을 조명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추가 실시예들은 기구에 의해 발광되는 광의 약 50% 내지 5%의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확산 반사기들, 바이저들, 또는 서라운드들을 LED 조명에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또는 개선된 광의 레벨들을 제공하면서 지각되는 눈부심을 감소시킨다.
도 1a 내지 도 1i는 구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조명의 다양한 LED 기구들, 타겟 영역들, 및 조명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a 내지 도 4c는 구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일부 기구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LED 기구들의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구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LED 기구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6은 구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LED 기구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구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LED 기구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8은 구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LED 기구들의 상세 도면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구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LED 기구들을 구비한 골프 코스의 일 부분의 개략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구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기구들의 접해지는(subtended) 시야 각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1c는 조명기구의 이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1c의 선(A-A)을 따라 도 11a 내지 도 11c의 조명기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기본적인 섹션도를 도시한다. 도 12b는 바이저(300)(300A 및 300B를 참고)의 상이한 피벗팅 포지션들을 도시하는 도 12a의 섹션도를 도시한다. 도 12c는 상이한 장착 표면들(102A 및 102B)을 도시하는 도 12a의 섹션도를 도시한다. 도 12d는 도 12a의 섹션도에 내부 바이저(503)(503A-C를 참고)의 상이한 조준 각들을 보여주는 도시이다. 도 12e는 도 12a의 부분도에 선택적인 반사성 컴포넌트(305)가 추가된 것을 보여주는 도시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1a 내지 도 11c의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상향조명하기 위한 2가지 가능한 옵션들을 도시한다. 도 13a는 폴(pole)에 낮게 그리고 인버팅되어 장착된 기구를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폴 상에 높게 어레이 내부에 그리고 외부 피벗 바이저가 추가되어(300)(300A 및 300B를 참고) 장착된 기구를 도시한다. 도 13c는 도 13b의 A의 상세한 확대도이다.
배경
일반적으로, 광원이 확산되는 경우, 핀포인트 (더 적은 확산) 소스로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스포츠 조명용과 같은 영역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LED들은, 이들이 일반적으로, 광의 포인트 소스들에 가깝기 때문에 (많은 또는 대부분의 다른 넓은 광원들 또는 넓은 영역의 광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강한(harsh) 소스들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LED 광원을 확산시키는 장치들 및 방법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Hickcox, K. 등 (Hickcox, K. 등에 의해 2013년 2월 20일에 조명 연구 및 기술에서 출판된 "Effect of different coloured luminous surrounds on LED discomfort glare perception"(조명 Res. Techno. 2012;0:1-12), 상기 문헌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됨)은 뷰어가 보는 총 광의 일부 측정가능한 굴절에 기여하는 광원들을 지닌 주위의 LED 광들이 눈부심의 지각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들의 실험은 본 분야에서 구현하기 성가실 수 있는 별개의 루미너스 소스(통합 챔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반-원통형 조명 박스)를 사용한다.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는 유사한 이점들을 제공하는 방식이고, 따라서 본 기술을 개선한다.
LED 광을 확산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반투명, 프리즘, 회절, 렌즈 또는 다른 렌즈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LED 소스들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는 다른 방법은 반사 재료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광이 타겟으로 방출되는 넓은 영역이 존재하도록 반사가 부분적일 수 있거나, 또는 소스가 숨겨지도록 이것이 전체가 될 수 있다. 심지어 소스가 가시적인 상태로 남아 있는 동안 부분 반사는 눈의 적응 효과에 유익할 수 있는데, 더 넓은 영역이 눈의 광 적응을 유발하도록 돕고 핀포인트 조명들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을 위한 상향조명 솔루션들은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스포츠 필드(예를 들어, 필드의 사용자들이 볼 필요가 있는 공들 또는 오브젝트들이 이동하는 필드 위의 공간)의 '플라이 존'에 조명을 제공하는 필요성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는 특히, 필드를 조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광과는 별개로 전용 상향조명을 구비하지 못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들에서는 참이다. 마찬가지로, LED 조명들이 사용되는 경우, 관중(예를 들어, 필드 또는 타겟 영역에 떨어져 있는 뷰어)의 눈에 불편을 주거나 또는 눈부심 방지(disabling glare)의 원인이 되는 가능한 하쉬니스(harshness)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LED 소스들을 시야로부터 차단함으로써, 또는 LED보다 실질적으로 훨씬 더 큰 광원을 그 스스로 생성함으로써 하쉬니스 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하쉬니스를 줄일 수 있는 상향조명 솔루션들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광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광을 더욱 희망하는 위치로 재지향시키고 LED 광원들에 가깝게 또는 LED 광원들의 장소에서 발광 표면을 생성하는 반사기, 바이저 또는 서라운드(예를 들어, 소스의 적어도 일 부분 주위의 일부 표면 또는 표면들)를 이용하는 것은 실제로, 조명 산업분야에서 사전에 인식되지 않았던 효과를 갖는다. 이 솔루션은, 개별 효과들의 단순 합보다 더 많은 조명 효과를 증가시키는 조합으로, 사전에 예상치 못한 다수의 효과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들은, 광이 투영되는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이는 실제 강도 및 강도의 지각 둘 모두를 저감시킴)뿐만 아니라 필드로 광을 재지향시킴으로써 필드에 대한 광의 레벨을 높이는 것(이는 광원으로부터 요구되는 실제 밝기를 감소시킴)을 포함한다.
보다 일반적인 실시예
보다 일반적인 실시예를 위해,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원리들을 사용하여 특정 조명 조건들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LED들이 그들의 구성(construction) 및 운영 조건들에 기초하여 주어진 양의 광 에너지를 루멘 단위로 출력한다. 이 에너지는 당업자에 의해 쉽게 측정되고 계산될 수 있다. 그러나, 발광된 루멘들의 측정치는 광원의 강도를 수학적 관점이나 뷰어의 지각으로서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강도는 "밝기"로서 인식된다. 이는, 하나의 LED가 다른 광원들(이를 테면, 예를 들어, HID 또는 고 강도 방전 램프들)에 비해 낮은 수치의 루멘들을 방출할 수 있지만, 매우 강하거나 밝은 것으로 지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적으로, 강도는 주어진 면적 당 광의 측정치로서, 스테라디안(sr; steradian) 또는 칸델라(cd; candela) 당 루멘들로서 SI 단위로 표현된다. 주어진 LED는 100 루멘을 방출하지만, 광이 반구 지역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었다면, 그 밝기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반면에, 다른 LED는 10 루멘만을 방출하지만, 그 광이 예를 들어, 2°의 입체각을 덮는 타이트한 집속 빔으로 집중되었던 경우, 제 2 LED는 제 1 LED보다 훨씬 더 높은 강도이고, 훨씬 더 밝게 지각된다.
수학적으로, 복사 강도가 루멘/sr 단위로 측정되고 반구에서 2π 스테라디안인 경우, 상기 논의된 제 1 LED(100 루멘 출력)는 100/2π의 강도 또는 약 16 칸델라를 가질 것이다. 제 2 LED(10 루멘 출력)는 5°의 입체각, 또는 약 .087라디안(radians)으로 발광된다. 즉, 식 sr=2π(1-cos(θ/2))에 의해 sr로 변환되며, 여기서 θ는 빔 각도이다. 이와 같이, sr=2π(1-cos(0.87/2))=.0059sr이다.
그런 다음, 10 루멘을 .0059로 제산하면 sr=약1700 칸델라이다. 이 결과는, 제 1 LED의 광 에너지의 1/10을 방사하는 제 2 LED가 100배 더 밝은 것으로 지각된다. 아래의 예에서, 수학은, 강도에 대한 임의의 값을 칸델라 단위로 그리고 광 출력을 루멘 단위로 가정하면 단순할 것이다; 그러나 포인트는, 비례의 원칙이 본 기술의 원리들에 따라 유지된다는 것이다 ― 따라서, 하나의 LED로부터의 광이 영역의 2배에 걸쳐 분산되는 경우, 그 강도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식이다. 마찬가지로, 주어진 빔 각으로 들어가는 주어진 LED 발광의 경우, 타겟에 도달하는 에너지의 연관되고 비례적인 양이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값들은 루미너스 강도(cd)와 무작위적으로 할당된 그러나 비례적인 루미너스 에너지(루멘) 값들 둘 모두를 나타내는 화살표들에 의해 도식적으로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아래의 예들에서, 40cd 루미너스 강도는 주어진 영역의 에너지의 (무작위로 할당된) 20 루멘을 나타내고; 20cd는 동일한 영역의 에너지의 10 루멘을 나타내는 식으로 간주될 것이다. 물론, 조도(루멘/m^2=lux)의 측정치는 실시예들의 설계 시에 관련될 것인데, 조명 설치를 위한 설계는 보통 요구되는 조도(통상적으로 lux 단위로 정량화됨)를 지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영역들 및 광원의 상대적인 거리들은 동일하게 유지되고 서로에 대해 비례하므로, 실제 조도 값들은 임의의 식들로부터 벗어날 것이다. 따라서, 본 기술의 원리들에 따르는 동안, 조도는 면적 당 광 에너지의 측정치이고, 강도는 입체각 당 광 에너지의 측정치이고, 루멘은 소스로부터의 총 광 에너지의 측정치이기 때문인데, 이 경우, 면적들은 단순하게 가정되고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되는데, 이 예의 경우 칸델라 대 루멘의 비례의 원칙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조도(lux), 강도(cd) 및 루멘이 단순히 상관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아래에 개략적으로 서술되는 소스의 확산 방법들은 하나의 LED로부터 다수의 소스들로 루미너스 소스를 효과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LED의 전체 에너지가 소스로 제공될 경우라 하더라도, 타겟의 관점에서 보면 2 이상의 소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명백히 강도가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당업자는, 타겟 영역에서 주어진 실제 LED를 타격하는 실제 광원 강도 및 루멘, 와트수, 렌즈, 반사율 등의 사양을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조건
도 1a의 LED 광원(10)의 보다 일반적인 실시예가 제 1 타입의 주렌즈(15)(LED 다이 우측의 렌즈)와 동작하는 제 1 조건으로 나타내어진다. LED(10)는 타겟 영역(20)을 타격하는(단순화된 광선(30)으로 도 1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광 에너지의 120루멘을 발광하고 있다. 광의 강도는 6개의 화살표들(40)로 나타내어지고(도 1b)(여기서, 각각의 화살표는 20 루멘을 나타내고), 타겟 영역(20)의 동일 부분들에 걸쳐 40cd의 강도로 발광된다. 본 기구의 관찰자의 뷰가 도 2a 내지 도 2c로 나타내어진다.
도 2a, 도 3a, 및 도 4a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LED 광원들(10)을 포함하고 폴(12)에 장착된 기구(11)의 다양한 구성들을 나타내며, 이들은 타겟 영역(20)(도 1b)를 비추는 것으로 나타내어 진다. 단순함을 위해서, 기구 내의 하나의 LED만 동작하는 것을 논의하거나 나타낼 것이다.
도 2b는, 상기 동작의 제 1 조건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6개의 광선들(40)(도 1b)에 대응하는 LED(10)로부터 방사되는 6개의 라인들을 도시하는 기구(11)의 부분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기구(1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2b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이 광을 보는 타겟 영역(20) 내의 관찰자는 포인트 소스(10)으로부터 불편함이나 고통스러운 40cd의 광의 강도를 발견할 수 있다.
제 2 조건
제 2 조건은 (상술된) 조건 1에 대한 응답이며, 조건 1의 조명의 하쉬니스를 감소시키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이 제 2 조건에서, 관찰자의 눈의 광의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이한 주렌즈(16)(도 1c)(즉, 도 1a에 도시된 것과 상이함)는, 더 넓은 영역에 걸쳐 분배되고 더 넓은 타겟 영역(도 1c 참조)을 타격하는 단순화된 광선들(31)에 의해 120 루멘 출력을 분배시키도록 선택된다. 광의 강도는 12개의 화살표들(41)(도 1d)로 나타내어지며, 여기서, 각각의 화살표는 타겟 영역들(20, 21 및 22)에 걸쳐 분배되는 광 에너지의 20cd의 강도에서 10 루멘을 나타내고, 타겟 영역들(20, 21 및 22)을 합하면 원래 타겟 영역(20) 사이즈의 약 2배이다. 6개의 화살표들(41)이 원래의 타겟 영역(20)을 타격하고, 3개의 광선들(41)이 추가 영역들(21 및 22) 각각을 타격한다. 이는 관측자가 경험하는 광의 강도를 감소시켜 관찰자에게 더 양호하지만, 원하는 타겟 영역(20) 상의 광을 50%까지 감소시켜 60루멘이 되게 한다. 이는, 스포츠 필드의 선수들에게는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광의 강도가 낮을 수 있고, 동시에, 선수들이 원하는 타겟 영역들이 아닌 경우에는 영역들(21 및 22)은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광의 강도가 높을 수 있다.
도 1c 및 도 1d의 기구의 관찰자의 시야가 도 3b에 나타내어지며, 여기서, LED(10)로부터 방사되는 12개의 짧은 라인들(41)은 12개의 화살표들(41)(도 1d)에 해당한다. 도 3a는, 멀리 있는 관찰자가 도 2a에 도시된 상기 제 1 조건의 기구로부터 본질적으로 구별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것에 대하여 제 2 조건의 변경된 기구를 나타낸다. 도 3b는 12개의 화살표들(41)(도 1d)에 대응하는 LED(10)로부터 방사되는 12개의 라인들(41)을 도시하는 기구(11)의 부분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기구(1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타겟 영역(20) 내에서 도 3b로 나타내어진 이 광을 보고 있는 관찰자는 포인트 소스(10)로부터 광의 강도를 발견하게 되고 20cd로 지각되는 강도에 관하여 허용가능하게 되지만, 잠재적으로는, 영역 내에서의 활동들을 보기에 이용가능한 광의 양으로서는 너무 어둡다. 마찬가지로, 몇몇 상황들 하에서 타겟 영역들(21 또는 22) 내의 관찰자들은 여전히 이 동일한 20cd의 조명 레벨을 발견하여, 영역들(21 또는 22)이 원하는 조명 영역 밖에 있는 경우에는 특히 불편함을 경험한다. 이와 같이, 추가 개선이 요구될 수 있다.
제 3 조건
제 3 조건에서, 바이저(13 및 14)(도 1e)가 조건 2로부터의 동일 렌즈(16)(도 1c)를 갖춘 광 기구(11) 상에 설치된다. 이는 영역들(21 및 22) 상으로 유출되는(spilling) 광을 방지하는 데에 유용하다. 그러나, 광 강도가 제 2 조건마다 감소되었을 경우, 광선들(31a 및 31b)에 의해 나타내어진 광이 차단되기 때문에, 원하는 타겟 영역(20) 내의 광은 여전히 불충분하다.
제 4 조건
제 4 조건에서, 구상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르면, 반사성 재료(18)(도 8)가 바이저(13 및 14)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 재료는 그의 표면 마감으로 인해, 이것을 타격하는 광의 입사각에 의해,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질 다른 인자들에 의해 광을 확산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바이저는 광의 상부 및 하부 광선들(31a 및 31b)(도 1f)로 나타내어진 광을 반사한다. (내부 광선들은 간결함을 위해서 도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광이 바이저 표면(18)에 의해 확산되기 때문에, 반사된 광 에너지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키지 않고도 반사된 광의 강도가 상당히 감소된다; 이는 다수의 광선들(31d 및 31e)(도 1f)로 분리되는 각각의 광선(31a 및 31b)으로 나타내어진다. 이 나타내어진 경우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영역(20)을 타격하는 광의 양은 바이저를 위치시키지 않고 영역들(21 및 22)을 타격하게 되는 것과 사실상 동일하더라도, 반사되는 광 강도는 50%로 감소된다. 이는, 광선들(31a 및 31b)의 반사로부터 발생된 화살표들(42)이 각각 10cd 강도를 나타내는 도 1g에 도시된다. 이 결과는, 에너지의 60 루멘이 타겟 영역(20)에 대해 복원되었지만, 광원이 이제 확산되기 때문에, 관찰된 강도는 크게 감소된다는 것이다. 도 1h는 도 1f로부터의 도면에 대한 내부 광선들의 추가를 도시하며, 따라서, 외부 광선들(31a 및 31b) 및 내부 광선들(31c)이 모두 도시된다. 도 1i는, 도 1d에 원래 나타내어진 것에 도 1g로부터의 화살표들(42)이 함께 있는 것으로 남아있는 화살표들(41)을 나타낸다. 이는 타겟 영역(20) 어디에서도 광의 강도가 20cd를 초과하지 않는 반면, 전체 120 루멘이 타겟 영역(20)에서 복원되었다는 사실을 도시한다. 이는 유출되는 광을 영역들(21 및 22)로부터 제거하고 타겟 영역(20)을 타격하는 광이 너무 집중적인 것으로 지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a 및 도 12b 및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도 11a 내지 도 11c의 바이저(300)는 또한, 바이저(13 또는 14)의 다른 실시예들(도 1e)을 도시한다. U.S. 2013/0250566 A1의 도 4a 내지 도 4e 및 도 8a 내지 도 8c에도 도시되는, 도 2a 내지 도 2c의 바이저(300)(미국 공개 출원 U.S. 2013/0250566 A1)(이전에는 U.S. 출원 제13/897,979호였음)(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됨)는 바이저(13 또는 14)의 다른 실시예(도 1e)를 도시한다. 바이저들의 사이즈와 구성은 장소(site) 고려사항들 및 장착 위치들을 포함한 몇 가지 인자들의해 결정될 것이라는 것을 주목한다. 일반적으로, 광이 확산될 수 있는 영역이 넓을 수록, 개선사항들은 더욱 두드러질 것이다. 이는 LED 소스들과 관련하여 바이저들을 매우 크게 제조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폴들 상에 공중에 높게 장착된 조명기구들의 경우, 풍력에 저항하는 EPA(effective projected area)이 폴들에 대하여 인가된 힘들에 있어서 상당한 인자이다. 큰 EPA는 지지 구조물에 대하여 훨씬 더 많은 힘을 추가하고, 대형 바이저의 증가된 효과들의 이점들은 더 큰 풍하중을 고려하여 더 강한 지지 구조물들을 생성할 필요성에 대비하여 가중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면 레벨에 매우 가깝게 장착된 조명기구들의 경우, 바이저들 또는 확산기들을 매우 크게 제조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가능성이 클 것이며, 공기 중에 높게 장착된 폴들의 경우, 바이저들은, 설치 비용이 너무 많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더 작아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선수들이 예를 들어, 조명기구들(114)(도 9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상의 조명에 상당히 가까운 데에서 경기를 할 것이 요구되는 골프 코스의 경우, 눈부심을 가능한 한 많이 감소시키기 위해서 바이저들 또는 확산 엘리먼트들을 매우 크게 제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험은 최적의 서라운드 사이즈에 대한 보다 더 정확한 제안들을 산출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지만, 적어도 LED 소스만큼의 크기의 각도를 이루는 루미너스 서라운드 영역을 제공하는 히콕스(Hickox) 제안들로부터 인용된 연구는 지각되는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틸리티에 대한 하한으로 간주될 것이다. 루미너스 서라운드 영역이 LED 소스의 2배의 각도를 이루도록 2배로 하는 것은, 높게 장착된 광원들의 경우 풍하중을 고려한 최대치로 간주될 가능성이 크다.
도 4a는 바이저들이 추가된 기구를 나타낸다. 동작 시 기구의 관찰자의 시야가 도 4b로 나타내어지며, LED(10)로부터 발광되는 6개의 짧은 광선들(41 및 12) 및 더 짧은 광선들(42)이 광(41)의 6개의 광선과 광(42)의 12개의 광선들(도 4b)에 해당한다. 도 4c는 바이저들(13 및 14)이 추가되어 있는 기구(1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위의 4가지의 상정된 경우들 또는 조건들에서, LED로부터의 광의 총 량이 관찰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제 1 경우에서, 타겟 영역이 충분히 비춰지지만, 광 강도가 관찰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제 2 경우에서, 광 강도는 관찰자에게 허용가능하지만, 타겟 영역 조명이 스포츠 경기에 불충분할 수 있고 원하는 타겟이 아닐 수 있는 영역들로 유출되게 된다. 제 3 경우에서, 광 강도가 관찰자에게 허용가능하고 원하지 않는 영역으로 더 이상 유출되지 않지만(즉, 유출된 광이 제거되었음) 광 강도는 경기를 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광 출력의 절반(바이저(13 및 14)에 의해 차단되는 광(도 1e))이 낭비될 수 있다. 제 4 경우에서, 광 강도는 관찰자에게 불편하지 않을 수 있고, 소스가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유출된 광이 제거되었고, 전체 120 루멘이 타겟 영역으로 지향되었기 때문에 광의 량이 스포츠 경기를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스포츠-관련 추가 실시예
상기 일반적 기구는, 도 4a(기구(1i)의 일반적인 뷰어는 각각의 LED(10)의 직시선을 가질 것임)에서와 같이, 관찰자가 개별 LED 광 소스들을 볼 수 있는 각도에서 조명이 일반적으로 타겟팅되는 응용예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스포츠 조명에 대한 공통 응용예는 골프 코스, 풋볼장 또는 축구 피치와 같은 스포츠 필드에 대한 고도의 조명을 타겟으로 하지만, 많은(만일 있다면) 광이, 필드를 비추는 기구들로부터 사이드라인들(sidelines) 또는 관객 영역으로 타겟팅되게 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따라서, 필드에서 떨어져 있는 관객들이 광원들을 직접 보는 것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반사성 바이저 또는 서라운드의 유리한 효과는 사이드라인의 관찰자들을 타격하는 조명을 방지함으로써 설명된 조명의 효과를 개선하는 것이 훨씬 더 두드러질 수 있는 반면, 필드로 지향된 광을 간섭하지 않는다. 도 5a는 통상의 스포츠 필드에서의 광 설치의 단순화된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폴(12)에 장착된 기구(11)는 필드(50)로 지향된다. 많은 기구들이 광을 잘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구가 필드 상에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경우, 기구로부터의 일부 광이 관중 영역(55) 상으로 유출된다. 이는 종종 관중들의 눈에 불쾌한 눈부심을 발생시키며, 이는, 라인(43)위의 3개의 화살표들(41)로 도시되고, 각각은 20cd 광 강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일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가 사용될 경우, 이 불쾌한 눈부심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앞에서, 도 3b는, 관찰자가, 설명된 반사성 바이저들을 사용하지 않는 하나의 LED 광원을 구비할 수 있는 도면을 도시한다. 그러나, 기구는 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필드에서 조준되기 때문에, 상부 바이저(13)과 하부 바이저(14)의 추가(도 4a 및 도 4c)는 차폐되지 않는 LED 광을 보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도 5a는, 포인트(16)에서 LED(10)로 시선 화살표(43)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16)에 있는 관중이 LED(10)를 직접적으로 볼 수 있는 제 1 상황을 도시한다. 도 5b는, 포인트(16)에서 바이저(13)로 시선 화살표(4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11)가 아래로 회전되고 LED(10)가 상부 바이저(13)에 의해 시야에서 차단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 도 12a 내지 도 12e 및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라 바이저들이 설치되어 있는 기구(1011)를 도시한다. 현재 출원인에 의해 소유되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U.S. 2013/0250566 A1(이전에는 U.S. 특허 출원 제13/897,979호)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라 바이저들이 설치되어 있는 기구를 도시한다.
상향조명 추가 실시예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중요한 양상은 경기장 위의 영역으로 광을 높이는 능력이다.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미국 특허 출원 제12/939,838호는 스포츠 조명에서 상향조명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관중들의 눈에 과도한 광 강도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약간의 상향조명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관중 영역(55)에 부딪치는(도 5a)) '플라이 존'에서 필요로 될 수 있는 광이 하부 바이저(14)(도 5b)로부터 확산되며, 아크(70)(도 5b)로 묘사된 영역(3차원 공간)은 LED(10)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명되지만, 아크(75)(도 5b)로 묘사된 영역(공간)은 하부 바이저(14)로부터 반사된 확산된 광에 의해 조명된다. 이와 같이, 관중 섹션 내 관찰자는 확산 광원(14)을 보거나 또는 지각할 것인데, 여기서, LED(10)가 효과적으로 숨겨질 수 있는 반면, 경기장은 상부 바이저(13)와 LED(10)으로부터의 광 둘 모두에 의해 비춰질 수 있다. 이는, 일부 원하는 광을 필드를 벗어나서 제공하는 한편 LED 광원의 강도에 의해 유발된 불편함으로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 모두에 대해, 하나의 폴(12)과 하나의 관중 영역(55)이 도시되지만, 설명된 실시예는 필드를 둘러싸는 관중 영역들을 갖고 다수의 폴들과 기구들을 갖는 공통적인 설치들에 적용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주목한다. 도 5c는, 기구(11)가 보다 수평으로 배향되고 일부 조명은 관중 영역(55)으로 지향되는 한편, 아크(71)로 묘사된 플라이 존(공간) 상에는 더 강한 광을 그리고 아크(76)에 의해 설명된 존(공간)에는 덜 강한 광을 제공하는 다른 유사한 배열을 도시한다.
다른 선택적인 구성(도 5d)에서, 기구(11)는 또한, 플라이 존으로 조명을 윗방향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상향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폴(12) 상의 하부에서) 배향시켜 폴(12)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아크(80)에 의해 묘사된 영역(공간)은 반사성 바이저로부터 간접광에 의해 조명되고, 아크(85)로 묘사된 영역은 LED(10)에 의해 직접 조명된다.
본 실시예의 이점들은 LED들이 관중들에게 일부 직접 보이는 것을 차단하는 것, 추가 광을 타겟 영역의 일부 부분들로 제공하고, 확산 광을 타겟 영역의 부분으로 제공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들은, 앞서 설명된 이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부 바이저(13) 또는 하부 바이저(14)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반사율 백분율은 이론적인 것이고; 광 에너지의 실제 반사율은 100% 미만일 것이지만,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재료들을 이용하는 것은 총 광의 매우 높은 백분율을 반사시킬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하나의 반사기, 바이저, 또는 LED들이 숨겨진 또는 부분적으로 숨겨진 서라운드
다른 실시예는 기구(8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LED 광원들(10)을 포함한다(도 6). 반사기(82)는 LED 광원들로부터의 광을 타겟 영역(55) 또는 공간으로 재지향시키고 확산시킨다. LED 광원들은, 시선 화살표(45)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포인트(83)(도 6)와 같은 시야각들의 대부분 또는 전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숨겨진다. 이는 LED 광원으로부터 관찰자가 강한 광, 눈부심 등을 경험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하는데, 이는 매우 고도의 광 제어를 요구하는 위치들에 대해서는 이러한 타입의 광이 매력적이다. 바이저 또는 반사기가 직선이거나 곡선, 예를 들어, 설치의 필요에 따라 원통형, 포물선, 포물면, 또는 자유형 곡선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로서, 바이저(82)가 단순함을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형상과 크기는, 이들이 수직 평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형상은 도면들의 페이지 안과 밖으로 확장될 수 있다(도면이 가장자리(edge) 도시였던 경우). 그러나, 이들은 또한 기준 포인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곡면들일 수 있고 덮개가 더 있을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6의 반사기(82)와 유사하게, 바이저(300)를 구비한 기구를 도시한다. U.S. 2013/0250556 A1(U.S. 특허 출원 제13/897,979호)의 도 2a 내지 도 2c는 본 출원의 도 6의 반사기(82)와 유사하게, 바이저(300)를 갖춘 기구를 도시한다.
실시예-확산 렌즈
도 7a 내지 도 7f는 부분 또는 전체 확산 렌즈들을 구비한 선택적인 실시예들의 표현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확산 렌즈(92)(도 7a)를 이용하는 것, 기구(11)에 장착된 LED 광원(10)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거나 확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 광선들(40)은 LED(10)의 확산되지 않은 출력을 나타내고 광선들(42)은 LED(10)의 확산된 출력을 나타낸다. 또한 도 7c를 참고한다. 이는, 일부는 LED 광원(10)으로부터 직접 광 출력을, 그리고 일부는 확산되는 출력을 갖는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일부는 직접 광을 갖는 것이 수용가능한 장소이지만 일부는 확산된 광을 원하는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기구의 도시가 도 7c에 도시된다. 본 기구의 관찰자의 시야의 확대된 개략적인 표현이 도 7d에 도시되며, 여기서 광선들(40)은 LED(10)의 확산되지 않은 출력을 나타내고 광선들(42)은 LED(10)의 확산된 출력을 나타낸다.
도 7b는, LED 광원(10)이 시야에서 완전히 숨겨지도록 LED 광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차단하는 확산 렌즈(102)를 도시한다. 이는 매우 높은 정도의 눈부심 및 하쉬니스 감소를 제공할 것이다. 이 도면에서, 광선들(42)은 LED(10)의 확산 출력을 나타낸다. 본 기구의 도시가 도 7e에 도시된다. 본 기구의 관찰자의 시야의 확대된 개략적인 표현이 도 7f에 도시되며, 여기서, 광선들(42)은 LED(10)의 확산된 출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형의 기구는, 앞서 실용적이지 않은 위치들, 이를 테면, 야구의 다이아몬드의 에지에서 2루의 위치 바로 뒤에 조명 기구들을 배치할 수 있게 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이 위치는 보통, 대부분의 광들이 타자의 눈들에 너무 많은 눈부심을 유발하기 때문에 피하게 된다.
실시예들-스포츠 필드들, 골프 코스들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많은 위치들 중에서도, 공중에 공이 있는 경기, 이를 테면, 풋볼장, 축구장, 야구장, 테니스 코트 등의 스포츠 필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구들은 하향조명에 약간의 상향조명을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상향조명에 약간의 하향조명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응용예들, 스포츠 및 넌스포츠 둘 모두가 가능하다.
골프 코스 사용에 대한 응용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골프 코스 조명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c는 예시적인 골프 코스의 하나의 홀의 고도를 나타낸다. 도 9b는 동일한 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지형이 그린을 향해 경사진 것으로 도시지만, 골프 코스는 통상적으로 그 지역의 기존의 지세를 따르며, 그 결과 조명의 필요성이 상당히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골프 코스들은 하향조명 및 상향조명 둘 모두를 필요로 하는데, 공중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골프공을 보고 지면까지 이 골프공을 따라가도록 눈부심을 방지하고 충분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세심한 주의가 있어야 한다.
골프 코스는 티(tee) 위치(110), 페어웨이 및 러프(115), 및 그린(120)에 조명이 필요하다. 하향조명은 영역(공간)(130) 및 빔 부분(공간)에서 확산된 광(135)(도 9a)에서 직접 광을 제공하는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다. 이 조명은 통상적으로 공을 쳤을 때 티(110)에서 그린(120)을 향하는 궤도(145)를 전적으로 비추지 않을 것인데, 그렇게 하면, 뷰어들이 티 위치에서 또는 코스 중의 다른 위치들에서 뒤를 볼 때 과도한 눈부심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이 공중을 통과하여 높게 이동함에 따라 공에 조명을 제공하는 추가 기구(들)(114)(도 9b 참고)로부터 상향조명(140)(도 9c)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동시에, 기구(114)(도 9c)로부터 일부 수평 광(141)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수평 광은 앞의 설명에 따라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선수와 관중의 시인성과 시각적 편안함을 위해 최적화되는 다양한 위치들에서, 하향조명들(111)(도 9a 및 도 9b) 및 상향조명들(114)(도 9b 및 도 9c)을 배치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일부 상향조명들(114)은 페어웨이들을 따라 (예를 들어, 뒷편) 갓길 위치들(117 및 118)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들은 특히, 강한 LED 조명으로부터의 선수 또는 관중의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일부 확산 형태를 갖는 상향조명들의 사용으로부터 유익할 것이다. 골프 코스 지형이 각각의 코스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그레이드 및 다른 코스 특징들에서의 변화들에 대해 조명을 적응시킬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반사기들, 바이저들, 서라운드들, 또는 확산기들을 이용한 하향조명 및 상향조명은 모두 골프 코스 조명에 대한 이점들을 잠재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옵션은, 상이한 컬러 온도를 갖는 하향조명(130) 및 상향조명(140)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는데, 상향조명이 순전히 비행 중인 공을 조명하는 동안, 조명되는 그 영역에 대해 명확하게 주의를 기울임으로 인해 하향조명이 유리할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기구를 도시한다. LED 기구(211)는 지면으로부터 20피트의 높이로 폴(12) 상에 장착된다. 이것은, 보조 렌즈(210) 및 서라운드들 또는 바이저들(213 및 214)을 갖춘 LED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 거리로는 20 피트이고 수직 거리로는 14피트의 기구를 위치(230)에서 보게 된다. 위치(230)에서 접하게 되는 각도(220)는 약 1도인데, 이중 1/3은 보조 렌즈를 갖춘 LED이고 2/3은 바이저 또는 루미너스(확산형) 서라운드이다.
도 10b는 도 10a와 유사한 기구를 도시하지만, 기구(241)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골프 코스에서 상향조명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지면에서 4피트의 높이로 구조물(212) 상에 장착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 거리로는 10 피트이고 수직 거리로는 2피트의 기구를 위치(231)에서 보게 된다. 위치(231)에서 접하게 되는 각도(221)는 약 5.7도인데, 이중 1/3은 보조 렌즈(240)를 갖춘 LED이고 1/3은 상부 바이저 또는 루미너스 서라운드(243)이고, 1/3은 하부 바이저 또는 루미너스 서라운드(244)이다.
도 10a 및 도 10b 둘 모두는, 근거리-포인트 소스 LED들의 확산에 의해 이용가능한 광의 상당한 부분을 제공하는 반사기들, 바이저들, 확산기들, 또는 서라운드들을 이용하는 실시예가 어떻게 관측자가 경험하는 눈부심의 강도와 지각을 감소시키는 데에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이는, 골퍼가 광원에 상당히 매우 근접해 있는 볼의 위치에서 경기를 하도록 강제될 경우, 코스에 있는 골퍼가 LED 광을 볼 수 있는 도면을 도시하는 도 10b에 대해서는 특히 명백하다. 본 실시예 외에도, 눈부심은 골퍼가 경기를 할 수 없게 할 만큼 용인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광이 여전이 불쾌할 수 있지만, 광원에 그렇게 매우 가까운 곳에서도 경기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조명기구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기구들(1011)이, 어레이(1000)의 다른 기구들과 달리, 폴(1002)(도 13a) 상에 낮게 뒤집어져서 장착될 수 있다. 피벗팅 너클(knuckle)(200)(도 13c)에 의해, 바이저, 예를 들어, 300을 피벗팅시킨다. 또한, 도 11a, 또는 300B 및/또는 300A(도 13c)를 참고하면, 상이한 LED 조준각을 생성하기 위해 표면(102)의 경사를 변경(도 12c)(102A 대 102B를 비교)하는 것, LED 모듈들(500)에 대한 반사성 스트립(503)의 각을 변경(503A 대 503B를 비교(도 12d))하는 것, 또는 추가 광 재재향 수단(예를 들어, 도면 부호 305(도 12e))의 추가에 의해, 임의의 원하는 광 확산이 거의 달성될 수 있다; 각도 A를 참고한다(도 13a).
옵션들 및 대안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앞의 예들은 소수의 예들과 본 발명이 택할 수 있는 형태들의 예시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변형예들이, 본원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될 것이다.
예를 들어, U.S. 2013/0250556은, LED 광원(들), 세트 또는 어레이, 또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기구들의 타입의 일 예일 뿐이다. 이는, 선형 어레이의 복수의 LED 소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선형 어레이에 대한 상부 및/또는 하부 바이저들이 확산 표면들이 되도록 기능하여 고강도의 LED 개별 소스들로부터의 눈부심의 지각을 감소시키고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재지향시킬 수 있다. 상기 예들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나의 공통 실시예는, 기구가, 길이가 긴(tall) 폴과 같은 승강(elevating) 구조물 상에서 승강될 경우 하향조명을 위해 기구는 상부 바이저/확산성 및 반사성 표면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도 13c와 같은 더 낮은 바이저의 추가는 하향조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들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부 바이저를 갖춘 기구가 반전될 수 있어 독립적인 기구로서 상향조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상들은, 동일한 기구가 하향조명 및 상향조명 둘 모두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원리들은 상기 예들에 설명되어 있다.
도 11a 내지 도 13c의 특정 기구들의 예들은 또한, 원하는 경우 또는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특징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바이저들 중 임의의 바이저가 기구의 상이한 시야 각들에 대해 눈부심을 감소시키는 미세 조정뿐만 아니라 광의 차단 및 재지향을 용이하게 조정하기 위해 조정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특징은 동일한 기구 내에 복수의 반사기들 및 광 차단 부재들(둘 모두 광을 전방으로 투영시키고 광을 후방으로 투영시키는 것에 관한 것임)과 같은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논의된다. 다른 예는 렌즈들을 포함하는 부분 확산형 광학 컴포넌트들이다. 특정 실시예들의 중요한 양상은, 상향조명이 필요할 경우, 통상적으로, 타겟 영역을 조명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것과 관련하여 광의 양의 소부분만이 실질적인 상향조명을 위해 필요로 된다는 것이다. 이는, 설계자가, 분리된 단독형 상향조명 기구들 또는 가능하게는, 하향조명을 생산하는 동일한 기구들로부터 더 적은 양의 광을 얻어내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바이저들, 기구들, 확산 또는 반사 사운드들의 다른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이 LED들의 다른 구성들(타입, 전력, 컬러, 배열 또는 구성, 주렌즈 등)이 본 발명의 양상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 구성들은 이 예들의 구성들과 관련하여 확대 및 축소될 수 있다. US 2013/0250556의 도 11a 내지 도 13c는 광 블럭들, 추가 바이저들, 반사 표면들 등에 관한 대안들을 제공한다. 다른 것들이 가능하다. 바이저들의 구성, 반사 또는 확산 표면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이 원하는 바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개별 기구들은 공통 전력 컴포넌트들 및 제어들을 갖춘 복수의 기구들/승강 구조물들의 시스템에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U.S. 2006/0176695 A1을 참고한다. 설계자는, 실질적인 조명에 대해 그 변경된 출력의 차단 또는 재지향의 양 또는 본질(nature), 및 더 적은 눈부심에 대해 더 큰 소스로서 지각되게 그 출력을 변경하는 것과 같이, 광원들의 타입 및 이들의 원래의 구성 및 출력과 같은 인자들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 설계자는, 본원에서 앞서 설명된 예들 및 원리들에 의해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효과적인 조명을 유지하면서 운영 비용의 면에서 더 적은 광원들 또는 더 저렴한 광원들, 더 적은 기구들, 더 적은 승강 구조물들, 이를 테면, 폴 등, 그리고 더 적은 에너지의 잠재성을 포함한다.
광의 과학은 미묘하고 때때로 애매한 특성들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광의 생산은 에너지 사용을 요구한다. 광범위한 또는 넓은 영역의 야간 조명은 상당한 광의 양을 필요로 한다. 스포츠와 같은 이벤트, 주차장, 도로들 등의 조명은 최소의 강도와 이러한 광범위한 또는 넓은 영역들에 걸친 광의 균일성을 요구하고, 이들 위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여러 번 요구한다. 이러한 조명 기구들이 광범위한 또는 넓은 타겟 영역 외부에 여러 번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한 것들 모두가 고-강도 소스들 및 기구들 및 전력 컴포넌트들의 사용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광원들, 기구들 및 승강 구조물들의 수와 관련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또한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공동 소유의 U.S. 2006/0176695 A1에서와 같이, 이는 다른 문제점을 암시한다. 예를 들자면, 눈부신 광, 유출되는 광, 에너지 비용, 및 이러한 조명 시스템들을 위한 자본 및 유지 비용들이다. 타겟 또는 그 위의 공간에 충분한 광을 얻는데 필요한 팩터들 중 일부는 눈부심, 유출에 대해 그리고 운영 및 자본 비용들에 대해 길항적이다. U.S. 2006/0176695 A1은 이러한 인자들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이 얼마나 본질적으로 예측가능하지 않은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자신의 방법들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지만 U.S. 2006/0176695 A1과 유사한 결과들을 갖는다. 당신이 멀리 있는 타겟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원할 때 광을 확산시키는 것은 직관에 반대된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그렇게 하여 눈부심 문제들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방법으로 타겟 또는 타겟 위의 공간에서 필요한 강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광을 차단하고 재지향시킬 수 있다. 이는 더 많은 이점들로 이어질 수 있다. 더 적은 광원들이 필요하고 따라서 자본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더 적은 승강 구조물들 또는 더 적은 강인한 승강 구조물들을 의미할 수 있다; 거기에다 비용 절약의 가능성을 포함한다. 또한, 에너지 비용의 절감들로 이어질 수 있다. 반대되는 직관은, 타겟 영역 또는 공간에서 조명에 대한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 실현될 수 있는 한편 자본 비용과 운영 비용들이 더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Claims (35)

  1. 조명 기구(lighting fixture)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LED 소스들의 어레이로부터 직접적으로 가시적인 광의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b.상기 기구로부터 발광된 광의 거의 동일한 양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그에 따라, 상기 조명은, 조명의 시각적인 성능을 증가시킴으로써 타겟 영역 또는 공간을 조명하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어레이 및 기구로부터 지각되는 광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에서 상기 기구로부터의 상대적으로 일정한 레벨의 조명을 유지하는,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LED 소스들의 어레이와 함께 가시적인 루미너스 서라운드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루미너스 서라운드는, 타겟 영역 내 관찰자의 관점에서,
    a.LED들의 어레이가 접하는 각도와 거의 동일한 각도;
    b.상기 LED들의 어레이가 접하는 각도의 약 50%의 각도; 또는
    c.상기 LED들의 어레이가 접하는 각도의 약 200%의 각도
    중 하나로 접하는,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타겟 영역에서 볼 때,
    a.0.25°;
    b.0.5°;
    c.1°;
    d.2°; 또는
    e.4°
    중 하나의 각 주위의(around) 시야각으로 접하는,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타겟 영역 또는 공간에서 비행 중인 공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조명은 낮지만 충분한 레벨의 하향조명과 함께 낮지만 충분한 레벨의 상향조명을 제공하고 낮은 레벨의 눈부심을 갖고 하쉬니스(harshness)가 감소되는,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역 또는 공간은 스포츠 필드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필드는 골프 코스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를 이용하여 조명하기 위한 방법.
  9. 조명 장치로서,
    a.광 출력을 갖는 LED;
    b.상기 LED의 상기 광 출력의 보조 렌즈; 및
    c.상기 보조 렌즈의 상기 광 출력의 확산 반사성 서라운드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반사성 서라운드는, 보조 렌즈를 갖춘 상기 LED의 영역과 비교하여,
    10%;
    20%;
    50%;
    100%; 또는
    200% 또는 그 초과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타겟 영역 또는 공간에서 비행 중인 공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조명은 낮지만 충분한 레벨의 하향조명과 함께 낮지만 충분한 레벨의 상향조명을 제공하고 낮은 레벨의 눈부심을 갖고 하쉬니스(harshness)가 감소되는, 조명 장치.
  11.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하나 이상의 고체 상태 광원들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원들 각각은 동작 시 상기 광원들을 보는 사람이 원래 지각하는 크기와 상기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준하는 원래의 광 출력을 가짐―;
    b.하나 이상의 광원들 각각의 원래 지각되는 크기를 상기 원래의 광 출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산시킴으로써,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투영하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더 큰 광원으로 변경시키는 단계;
    c.유출되는(spill) 광 및 눈부심을 제어하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산된 광 중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 및
    d.부분적으로 확산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재지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상태 광원은 LED를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시키는 단계는
    a.총 반사 또는 부분 반사에 의해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반사시키는 단계;
    b.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확산시키는 단계; 또는
    c.상기 광원을, 상기 광원 광 출력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컬러 또는 컬러 온도의 루미너스 소스로 둘러싸는 단계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인,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차단하는 단계는
    a.반사 표면; 또는
    b.차단 표면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인,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재시향시키는 단계는
    a.상기 광원들로부터의 광의 적어도 일 부분을 하나 이상의 존들로 재지향시키는 반사 표면; 또는
    b.렌즈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인,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하는 것은
    a.타겟 영역;
    b.상기 타겟을 위해 사용되는 광의 부분(fraction)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 또는
    c.타겟 영역 및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
    을 조명하는 것인,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역은 스포츠 필드인,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필드는,
    a.야구장;
    b.소프트볼 경기장;
    c.축구장;
    d.풋볼 경기장; 또는
    e.골프 코스를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시키는 단계는 각각의 광원 위와 아래 중 적어도 하나에 바이저를 갖춘 조명 기구의 하나 이상의 광원들의 세트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바이저는 광 확산 또는 반사 표면을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
  21.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로서,
    a.하나 이상의 고체 상태 광원들의 세트 ―상기 광원들 각각은 동작 시 상기 광원들을 보는 사람들이 원래 지각하는 크기와 원래의 광 출력을 가짐―;
    b.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투영하는 영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광 출력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광원들 각각과 연관되는 제 1 컴포넌트; 및
    c.변경된 광 출력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고 그리고/또는 재지향시키기 위한 제 2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d.따라서, 상기 광원의 지각되는 사이즈는 효과적으로, 광원을 보는 사람들에 대해서 눈부심을 감소시키도록 증가되고 광이 원하는 영역 또는 공간에 도달하도록 광 출력이 변경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포넌트는,
    a.바이저;
    b.반사기;
    c.확산기;
    d.상기 광원 광 출력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컬러 또는 컬러 온도의 광원을 둘러싸는 루미너스 소스; 또는
    e.렌즈를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컴포넌트는
    a.바이저;
    b.반사기;
    c.렌즈;
    d.조명 블럭; 또는
    e.상기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상기 제 2 컴포넌트는 상기 광원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바이저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저들의 각각은 확산 및/또는 반사 표면을 가지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공간은 스포츠 필드인,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의 세트는 조명 기구 내에 하우징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추가적인 기구들과 결합하여 상기 타겟 영역에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주위에 포지셔닝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들 각각을 위한 승강 구조물 및 전력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기구들 및 파워 컴포넌트들을 위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구 내에 있는 상기 광원들의 세트는 선형 방식으로 배열되는, 타겟 영역 또는 상기 타겟 영역 위의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
  31. 스포츠 필드를 조명하는 방법으로서,
    a.복수의 고체 상태 광원들로부터 상기 스포츠 필드에 하향 조명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고체 상태 광원은,
    ⅰ.상기 광원을 보는 사람들에 대해 상기 광원의 지각되는 크기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변경되는 광 출력;
    ⅱ.상기 스포츠 필드로 유출되었을 광을 차단하고 재지향시키기 위해 변경되는 광 출력을 가짐―;
    b.상기 복수의 고체 상태 광원들 또는 다른 복수의 고체 상태 광원들로부터 상기 스포츠 필드 위의 공간에 상향조명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고체 상태 광원은
    ⅰ.광원을 보는 사람들에 대해 상기 광원의 지각되는 크기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변경되는 광 출력을 가짐―를 포함하고,
    c.그에 따라서, 상기 광원들을 보는 사람들에 대한 눈부심이 감소되고, 유출되는 광이 감소되고, 광은 상기 스포츠 필드와 관련하여 하향조명과 상향조명을 위해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스포츠 필드를 조명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조명과 상기 상향조명은 고체 상태 광원들의 동일한 세트로부터 비롯되는, 스포츠 필드를 조명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고체 상태 광원들은, 일부의 하향조명 및 일부의 상향조명 둘 모두를 생산하는, 스포츠 필드를 조명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체 상태 광원들은 하향조명과 상향조명 사이에서 광을 분리시키는 광학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스포츠 필드를 조명하는 방법.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조명과 상기 상향조명은 고체 상태 광원들의 별개의 세트들로부터 비롯되는, 스포츠 필드를 조명하는 방법.
KR1020157035549A 2013-05-20 2014-05-20 골프 코스, 스포츠 필드 및 넓은 영역의 조명에 대한 눈부심 감소 및 상향조명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0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5370P 2013-05-20 2013-05-20
US61/825,370 2013-05-20
PCT/US2014/038810 WO2014189945A1 (en) 2013-05-20 2014-05-20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lare reduction and uplighting for golf course, sports field and large area ligh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551A true KR20160010551A (ko) 2016-01-27

Family

ID=5189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549A KR20160010551A (ko) 2013-05-20 2014-05-20 골프 코스, 스포츠 필드 및 넓은 영역의 조명에 대한 눈부심 감소 및 상향조명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40889A1 (ko)
EP (1) EP2999917A4 (ko)
KR (1) KR20160010551A (ko)
CN (1) CN105408677A (ko)
WO (1) WO20141899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405B1 (ko) * 2019-10-07 2020-02-17 이상균 능동형 골프장 조명 시스템
KR20220041944A (ko) * 2017-06-06 2022-04-01 무스코 코포레이션 정밀한 led 조명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3540B2 (en) * 2014-02-06 2018-02-27 Appalachian Lighting Systems, Inc. LE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both reflected and diffused subassemblies
JP6601798B2 (ja) * 2015-11-20 2019-1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WO2017106759A1 (en) * 2015-12-18 2017-06-22 Musco Corportion Lighting optimized for melanopic vision
WO2017210461A1 (en) 2016-06-03 2017-12-07 Musco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unable circadian lighting at constant perceived brightness and color
WO2018019590A1 (en) * 2016-07-28 2018-02-01 Philips Lighting Holding B.V. Adaptive lighting based on skill level
US10267491B1 (en) 2016-10-17 2019-04-23 Musco Corporation Sharp cutoff LED lighting fixture and method of use
US10337680B1 (en) 2016-10-18 2019-07-02 Musco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ed aerial lighting
CN106439622A (zh) * 2016-10-28 2017-02-22 清华大学 用于体育场馆的照明装置
CN110630933A (zh) * 2019-09-26 2019-12-31 福建鼎坤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二次配光系统且光照角度可调的体育场馆用led灯
US10976030B1 (en) * 2020-02-21 2021-04-13 Francis J. Henkel Portable beach volleyball lighting system
US11274809B2 (en) * 2020-02-21 2022-03-15 Francis J. Henkel Portable beach volleyball lighting system
US11754260B2 (en) 2020-07-10 2023-09-12 Musco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ecise LED light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8317A (en) * 1996-05-29 1999-08-17 Hubbell Incorporated Lighting fixture with internal glare and spill control assembly
US8770796B2 (en) * 2004-02-24 2014-07-08 Musco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high intensity lighting fixture and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effective, and energy saving high intensity lighting
TWI391600B (zh) * 2005-09-27 2013-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發光二極體之照明燈具
US8523397B1 (en) * 2006-06-15 2013-09-03 Musc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up-light for aerial viewing and effectively control glare and spill light
US7753537B1 (en) * 2007-10-18 2010-07-13 Beverly Bristow Glare reduction device
US8356916B2 (en) * 2008-05-16 2013-01-22 Musco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highly controlled light distribution from light fixture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LEDS)
WO2010094141A1 (en) * 2009-02-20 2010-08-26 Phoster Industries Glare reduction in led lighting systems
WO2010141721A2 (en) * 2009-06-03 2010-12-09 Material Werks, Llc Lamp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US9267663B2 (en) * 2010-08-12 2016-02-23 Japan Applied Optics Co., Ltd. Illumination device
KR101561506B1 (ko) * 2011-02-25 2015-10-19 무스코 코포레이션 콤팩트하고 조절 가능한 led 조명 장치 및 그러한 조명 장치를 장기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789967B2 (en) * 2011-06-02 2014-07-29 Musco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ndependent aiming and cutoff steps in illuminating a target are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944A (ko) * 2017-06-06 2022-04-01 무스코 코포레이션 정밀한 led 조명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078405B1 (ko) * 2019-10-07 2020-02-17 이상균 능동형 골프장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9917A4 (en) 2016-11-23
CN105408677A (zh) 2016-03-16
EP2999917A1 (en) 2016-03-30
WO2014189945A1 (en) 2014-11-27
US20140340889A1 (en)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0551A (ko) 골프 코스, 스포츠 필드 및 넓은 영역의 조명에 대한 눈부심 감소 및 상향조명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8944617B2 (en) Lighting system with combined directly viewable luminous or transmissive surface and controlled area illumination
US9206950B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sports lighting luminaire assembly
CA2557447C (en) Apparatus for forming an asymmetric illumination beam pattern
US852339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up-light for aerial viewing and effectively control glare and spill light
JP2010534908A (ja) 街路照明装置
CN102150079A (zh) 拍摄的方法和系统
US20180231199A1 (en) LED Light Has Image And/Or Patterns Projection
CN109416167A (zh) 用于增强光束控制的多部分遮护和光学系统的设备、方法及系统
US7467880B2 (en) Visor with translucent or transparent opening to provide light above the field
US10267491B1 (en) Sharp cutoff LED lighting fixture and method of use
ES2860073T3 (es) Proyectores de iluminación LED de alto rendimiento, así como sistemas de proyección de iluminación que utilizan dichos proyectores para la iluminación de campos de deporte
JP2017156316A (ja) 照明環境の評価方法
US20200041096A1 (en) Luminaire with spatially separated solid state lighting elements
KR20160050526A (ko) Led 반사판을 이용한 눈부심 방지 조명 장치
US11408592B2 (en) Integrated louvres for beam control in an LED lighting device
Salis et al. Lighting Design of An Indoor Sports Facility-A Case Study
US10738967B2 (en) Venue light including variable LED array size etched lens and segmented reflector
CA2389941A1 (en) Full cut-off high-mounted outdoor lighting system
WO2017051553A1 (ja) 照明環境の評価方法
JP6886234B2 (ja) 照明方法
Croll Bright future
JP2017098028A (ja) 照明器具
JPH0636605A (ja) 室内競技場用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