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155A -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155A
KR20160010155A KR1020140091168A KR20140091168A KR20160010155A KR 20160010155 A KR20160010155 A KR 20160010155A KR 1020140091168 A KR1020140091168 A KR 1020140091168A KR 20140091168 A KR20140091168 A KR 20140091168A KR 20160010155 A KR20160010155 A KR 20160010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haul
terminal
base station
service
re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069B1 (ko
Inventor
정진섭
지승환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4009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0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TE 또는 LTE-A 무선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기지국에 연결된 일반 단말 및 백홀 단말에 연결된 일반 단말의 가변적인 트래픽 상태를 고려하여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도록 한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dynamic resource alloc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LTE wireless backhaul system}
본 발명은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LTE 또는 LTE-A 무선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기지국에 연결된 일반 단말 및 백홀 단말에 연결된 일반 단말의 가변적인 트래픽 상태를 고려하여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도록 한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펨토셀(Femto cell) 기지국(이하 간단히 '펨토 기지국'이라 한다)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 옥내에 설치된 브로드밴드 망을 통해 이동통신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초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이다. 이러한 펨토 기지국은 실내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유무선 융합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TE Advanced)(이하 LTE 및 LTE-A를 총칭하여 'LTE'라 한다)에서는 eNB(evolved NodeB) 및 home eNB(home evolved NodeB, HeNB)라는 기지국을 정의한 바 있다. 이중 eNB는 일반적인 매크로셀(macro cell)을 관장하는 매크로 기지국이며, home eNB는 펨토셀을 관장하는 펨토 기지국이다. 즉, 3GPP에서는 기존 매크로 기지국과 별도로 특정 사용자만 접속할 수 있는 펨토 기지국이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고 있다. 이때, 펨토 기지국은 사용자 혹은 사업자에 의해서 커버리지 증대, 용량(capacity) 증대 혹은 기타 차별화된 서비스의 제공 등을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커버리지는 최소 수 미터에서 최대 매크로 서비스 커버리지 정도까지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핵심망(core network)을 유선으로 연결하면 유선 설치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기지국들이 추가 설치될 때마다 추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과 핵심망 사이에 무선 백홀(backhaul) 중계기를 설치하여 무선 백홀 중계기와 핵심망 사이가 비록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기지국이 추가로 설치될 때마다 기지국을 위한 설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은, 예를 들어 댁내 또는 빌딩 내의 사용자 단말(60)과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WiFi AP(Access Point)(30), 3G 펨토 기지국(40) 또는 LTE 펨토 기지국(50), 무선 백홀 기능을 구비한 채로 핵심망에 연결되는 매크로 기지국(이하 '백홀 기지국'이라 한다)(10) 및 WiFi AP(Access Point)(30), 3G 펨토 기지국(40) 또는 LTE 펨토 기지국(50)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백홀 단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바, 백홀 기지국(10) 및 백홀 단말(20)이 백홀 망을 구성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백홀 단말(20)은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6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백홀 기지국(10)에 전송하거나 백홀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WiFi AP(Access Point)(30), 3G 펨토 기지국(40) 또는 LTE 펨토 기지국(50)을 경유하여 서비스중인 사용자 단말(6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 따르면, 먼저 백홀 단말(20)의 전원을 켜는 경우 백홀 단말(20)과 백홀 기지국(10) 사이에서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가 수행되고, 이어서 LTE 핵심망과의 사이에서 단말 인증 및 위치 등록 절차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위치 등록 과정에서 백홀 단말(20)은 LTE 핵심망에서 하나의 단말로 인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위치 등록이 수행된 이후에 LTE 핵심망이 백홀 기지국(10)에 S1 제어 메시지인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를 전송함으로써 LTE 핵심망은 백홀 단말(20)에 무선링크 자원을 할당하는데, 이러한 자원 할당시 종래에는 특별히 무선 자원에 대한 예약을 하지 않거나 고정된 자원을 할당한다.
다음으로 백홀 기지국(10)은 자신에게 접속된 사용자 단말과 백홀 단말(20) 모두에게 요구된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도록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데, 백홀 단말(20)의 경우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가 교환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자원이 고정적으로 할당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백홀 기지국(10)은 백홀 단말(20)과의 사이에서 RRC 절차를 통해 백홀 단말(10)로부터 그 능력 정보를 전달받고, 이렇게 전달받은 단말 능력 정보를 이용해서 RRC 연결 형상 변경(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수행하여 백홀 단말로부터 최신 단말 능력을 획득한다. 이후 백홀 기지국은 단말 능력 정보가 포함된 S1 제어 메시지인 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를 LTE 핵심망에 전달한다.
한편, LTE 핵심망은 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에 의거하여 접속된 단말이 백홀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백홀 단말인 경우에는 추가의 자원을 할당한다. 이를 위해 LTE 핵심망은 백홀 기지국(10)에 추가의 자원이 예약되는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 설정 요청(E-RAB Setup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어서 백홀 기지국(10)은 자원의 예약이 있는 추가 링크 설정을 위해 백홀 단말(20)과의 사이에서 RRC 연결 형상 변경 절차를 수행한 후에 그 결과로서 LTE 핵심망에 E-RAB 설정 응답(E-RAB Setup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 따르면, 백홀 기지국 및 LTE 핵심망의 기존 장비를 수정하지 않고도 백홀 망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을 예약하지 않거나 고정된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을 예약하지 않는 경우 백홀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열화가 발생하고, 이와는 반대로 백홀 단말에 많은 자원을 예약하는 경우 백홀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향상될지 모르나 백홀 기지국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 품질에 열화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 10-2014-0077327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의 자원 할당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LTE 또는 LTE-A 무선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기지국에 연결된 일반 단말 및 백홀 단말에 연결된 일반 단말의 가변적인 트래픽 상태를 고려하여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도록 한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LTE 또는 LTE-A 무선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기지국에 연결된 일반 단말 및 백홀 단말에 연결된 일반 단말의 가변적인 트래픽 상태를 고려하여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LTE 또는 LTE-A 무선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기지국에 연결된 일반 단말 및 백홀 단말에 연결된 일반 단말의 가변적인 트래픽 상태를 고려하여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종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은 백홀 단말을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별도의 백홀 망 구성과 관련된 동작이 포함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홀 에이전트 모듈을 구비하여 백홀 망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백홀 에이전트 모듈은 LTE 핵심망 또는 백홀 기지국에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이와는 별도의 장비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 따르면, 백홀 단말 활성화시 종래에는 자원이 예약되지 않는 기본 링크만 활성화되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백홀 에이전트가 활성화된 단말이 백홀 단말인 것을 체크한 후에 백홀 기지국에 추가의 자원이 예약되는 무선링크(E-RAB) 할당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 따르면, 먼저 백홀 단말의 전원을 켜는 경우 백홀 단말과 백홀 기지국 사이에서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가 수행되고, 이어서 LTE 핵심망과의 사이에서 단말 인증 및 위치 등록 절차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위치 등록 과정에서 백홀 단말(20)은 LTE 핵심망에서 하나의 단말로 인식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홀 에이전트는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과 관련하여 백홀 기지국에 DL(Down Link) NAS(Non-Access Stratum) 전송(transport) 절차를 통해 해당 단말에 대한 고유 ID를 요청한다. 이에 응하여 백홀 기지국은 백홀 단말과의 사이에서 NAS 전송(Transport) 절차를 수행하여 백홀 단말의 고유 ID를 획득한 후에 이를 UL(Up Link) NAS 전송(Transport) 절차를 통해 백홀 에이전트에 보고하는데, 백홀 에이전트는 전달받은 ID에 의거하여 현재 LTE 핵심망에 등록한 단말이 백홀 단말인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백홀 단말 확인 과정과는 별개로 LTE 핵심망은 백홀 에이전트를 경유하여 백홀 기지국에 S1 제어 메시지인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를 전송함으로써 백홀 단말에 무선링크 자원을 할당하는데, 이러한 최초 자원 할당시에는 무선 자원에 대한 예약을 하지 않거나 고정된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에서, 백홀 기지국은 자신에게 접속된 사용자 단말과 백홀 단말 모두에게 요구된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도록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데, 백홀 단말의 경우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가 교환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자원이 고정적으로 할당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백홀 기지국은 백홀 단말(20)과의 사이에서 RRC 절차를 통해 백홀 단말로부터 그 능력 정보를 전달받고, 이렇게 전달받은 단말 능력 정보를 이용해서 RRC 연결 형상 변경(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수행하여 백홀 단말로부터 최신 단말 능력을 획득한다. 이후 백홀 기지국은 단말 능력 정보가 포함된 S1 제어 메시지인 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를 백홀 에이전트를 경유하여 LTE 핵심망에 전달한다.
한편, 백홀 에이전트는 현재 등록된 단말이 백홀 단말인 경우에 백홀 기지국에 자원을 추가로 할당하는데, 백홀 기지국에서 예약되는 자원의 양 및 특성은 QCI(QoS Class Identifier) 및 AMBR(Aggregated Maximum Bit Rate)에 의거하여 정해질 수 있다. 여기에서, QCI는 LTE 서비스에서 서비스 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서비스 품질 클래스 식별자 파라미로서, 게이트웨이 뿐만 아니라 트랜짓(transit) 구간에서 우선 순위에 기반한 트래픽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MBR은 사용집계 최대 비트율로서, LTE 서비스에서는 여러 개의 베어러가 네트워크 자원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AMBR을 통해 여러 개의 EPS 베어러의 대역폭 합이 일정수준을 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백홀 에이전트는 백홀 기지국에의 자원의 추가 할당을 위해 백홀 기지국에 E-RAB 설정 요청(E-RAB Setup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응하여 백홀 기지국은 자원의 예약이 있는 추가 링크 설정을 위해 백홀 단말과의 사이에서 RRC 연결 형상 변경 절차를 수행한 후에 그 결과로서 백홀 에이전트에 E-RAB 설정 응답(E-RAB Setup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백홀 에이전트는 예약된 자원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경우 후술하는 동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백홀 기지국에 이미 할당된 무선링크(E-RAB)에 대한 형상 변경(E-RAB Modif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데, 백홀 기지국에서 변경되는 자원의 양 및 특성은 초기 설정과 마찬가지로 QCI 및 AMBR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E-RAB 형상 변경 절차는,백홀 에이전트에서 백홀 기지국으로의 E-RAB Modification 요청, 백홀 기지국과 백홀 단말 사이에서의 RRC 연결 및 백홀 기지국에서 백홀 에이전트로의 E-RAB Modification 응답 과정을 거쳐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E-RAB 형상 변경 절차는 백홀 기지국 및 백홀 단말의 트래픽 상태 감시 결과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단말에 대한 동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은 시간, 백홀 단말의 위치 및 백홀 기지국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들과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의 수 및 데이터 전송율 등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먼저, 시간에 기반한 알고리즘은 특정 시간대 별로 백홀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달리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백홀 망을 외곽 공단 지역에 구성하는 경우 근무 시간 중에는 백홀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크게 유지하는 반면에 근무 시간 종료 후에는 작게 유지하는 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홀 에이전트는 시스템 타이머 및 시간대별 룩업 테이블을 구비하여 시간 기반으로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달리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시간 기반 가중치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래의 수학식 1 및 2는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시간 기반 동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위의 수학식 1 및 2에서 "RB_tot"는 백홀 기지국의 전체 무선링크 자원 양을 나타내고, "RB_tot_gue"는 백홀 기지국의 전체 무선링크 가운데 백홀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에 할당되는 전체 무선링크 자원 양을 나타낸다. "RB_tot_bue"는 백홀 기지국의 전체 무선링크 가운데 백홀 기지국의 백홀 단말에 할당되는 전체 무선링크 자원 양을 나타내고, "Ratio_t_gue"와 "Ratio_t_bue"는 특정 시간의 백홀 기지국과 백홀 단말의 비율을 나타내는바, 그 합은 1이다.
다음으로, 위치에 기반한 알고리즘은 백홀 기지국의 특정 위치 별로 백홀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달리하는 방법으로서, 백홀 단말의 위치는 위치 등록(Location Based Service) 절차에서 얻어지거나 백홀 단말이 연결된 백홀 기지국의 셀 ID(Cell ID) 정보를 통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홀 에이전트는 단말의 위치별 룩업 데이터를 구비하여 위치 기반으로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달리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위치 기반 가중치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래의 수학식 3 및 4는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동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위의 수학식 3 및 4에서 "Ratio_l_gue"와 "Ratio_l_bue"는 특정 위치에서의 백홀 기지국과 백홀 단말의 비율인바, 그 합은 1이다.
다음으로, 단말의 수에 기반한 알고리즘은 백홀 기지국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들과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의 수에 기반하여 백홀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달리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백홀 에이전트는 백홀 기지국 내의 사용자 단말의 수를 감시하여 백홀 기지국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들과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의 수의 비율을 계산한 후에 그 결과를 기초로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달리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단말수 기반 가중치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래의 수학식 5 내지 8은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단말수 기반 동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위의 수학식 5 내지 8에서 "UE_tot_n_benb"는 백홀 기지국이 서비스 중인 전체 사용자 단말의 수를 나타내고, "UE_tot_n_bue"는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전체 사용자 단말 수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전송율에 기반한 알고리즘은 백홀 기지국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들의 전체 전송율과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들의 전송율에 기반하여 백홀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달리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백홀 에이전트는 백홀 기지국과 백홀 단말 내의 사용자 단말의 전송율을 감시하여 양자 사이의 비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백홀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달리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단말 데이터율 기반 가중치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래의 수학식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데이터율 기반 동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2
위의 수학식 9 내지 12에서 "UE_tot_r_benb"는 백홀 기지국이 서비스 중인 전체 사용자 단말 전송율의 합을 나타내고, "UE_tot_r_bue"는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전체 사용자 단말 전송율의 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백홀 기지국 내 사용자 단말 및 백홀 단말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가변적인 트래픽 상태에 기반하여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 단말들의 서비스 요구사항 만족 및 자원 사용 효율 향상이 기대된다. 나아가, 본 발명을 적용하여 LTE 및 LTE-A 기술에 기반한 백홀 망 구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LTE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이동통신 핵심망과 연결된 매크로 기지국인 백홀 기지국 및 백홀 기지국과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WiFi AP와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백홀 기지국과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WiFi AP 사이에서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백홀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핵심망 또는 백홀 기지국에 구비된 백홀 에이전트에 의해 수행되되,
    백홀 기지국과 통신하여 백홀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이 사용자 단말인지 또는 백홀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백홀 단말인 경우에는 추가 자원을 할당하는 (a) 단계;
    백홀 단말의 서비스 상황을 확인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따라 백홀 단말에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백홀 단말인지 여부의 확인은 단말 인증 및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백홀 단말의 고유 ID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추가 자원 할당은 QCI(QoS Class Identifier) 또는 AMBR(Aggregated Maximum Bit Rate)에 의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홀 단말의 상기 서비스 상황은 백홀 단말의 서비스 시간으로서,
    백홀 에이전트는 서비스 시간에 기반하여로 백홀 기지국의 전체 무선링크 자원을 백홀 기지국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과 백홀 단말에 동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홀 단말의 상기 서비스 상황은 백홀 단말의 서비스 위치로서,
    백홀 에이전트는 백홀 단말의 위치별 룩업 테이블을 구비하여 위치 기반으로 백홀 기지국의 전체 무선링크 자원을 백홀 기지국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과 백홀 단말에 동적으로 할당하되,
    백홀 단말의 서비스 위치는 상기 위치 등록 절차에서 확인하거나 백홀 단말이 연결된 백홀 기지국의 셀 ID 정보에 의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홀 단말의 상기 서비스 상황은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의 수로서,
    백홀 에이전트는 백홀 기지국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과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의 수의 비율을 계산한 후에 그 결과에 의거하여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홀 단말의 상기 서비스 상황은 백홀 단말의 전송률로서,
    백홀 에이전트는 백홀 기지국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들의 전체 전송율과 백홀 단말이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들의 전송율에 기반하여 백홀 단말에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적 자원 할당 방법.
KR1020140091168A 2014-07-18 2014-07-18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KR10161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68A KR101610069B1 (ko) 2014-07-18 2014-07-18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68A KR101610069B1 (ko) 2014-07-18 2014-07-18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55A true KR20160010155A (ko) 2016-01-27
KR101610069B1 KR101610069B1 (ko) 2016-04-20

Family

ID=5530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168A KR101610069B1 (ko) 2014-07-18 2014-07-18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0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45A (ko) * 2018-02-20 2019-08-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 기반 협력 백홀 방법 및 장치들
KR102589831B1 (ko) * 2022-12-27 2023-10-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9916A (ja)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キューセルネットワークス 無線バックホールシステムの動的資源割当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327A (ko)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의 자원 할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2387B2 (ja) * 2012-09-24 2017-04-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中継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327A (ko)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백홀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의 자원 할당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945A (ko) * 2018-02-20 2019-08-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 기반 협력 백홀 방법 및 장치들
KR102589831B1 (ko) * 2022-12-27 2023-10-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인밴드백홀 기지국의 백홀링크 접속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069B1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7396B2 (en) Uplink data splitting
JP6450488B2 (ja) 装置間通信リソースの管理
US11374647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terminal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relay communications
CN102883440B (zh) 一种无线宽带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02883441B (zh) 一种无线宽带通信方法和装置
EP3562180B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virtual share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EP3086589B1 (en) Core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device, data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JP6305481B2 (ja) 無線端末、プロセッサ及び基地局
US202002967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scheduling related to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130065002A (ko) 단말간 직접 통신 제어 방법
CN107079382B (zh) 支持多无线电接入技术的方法和装置
US20160128066A1 (en)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 to d2d link,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d2d link
EP3473045B1 (en)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backhaul and access link
JP6435399B2 (ja) 参照信号を用いるセルラ通信リンクと装置間(d2d)通信リンクとの間の選択
TW201445959A (zh) 建立直接通訊的方法及用於此方法的基地台、閘道器及裝置
JP2017175348A (ja)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に関する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11116646A1 (zh) 一种无线资源调度方法和设备
KR101610069B1 (ko) 무선 백홀 시스템의 동작 자원 할당 방법
JP6482677B2 (ja) 無線端末、プロセッサ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EP3439362A1 (en) Method of allocating dynamic radio resources for lte backhaul system
KR101665934B1 (ko) 다중 무선전송기술이 적용된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라우팅 방법
KR20240008346A (ko) 사이드링크 전송 기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