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781A -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781A
KR20160008781A KR1020140088920A KR20140088920A KR20160008781A KR 20160008781 A KR20160008781 A KR 20160008781A KR 1020140088920 A KR1020140088920 A KR 1020140088920A KR 20140088920 A KR20140088920 A KR 20140088920A KR 20160008781 A KR20160008781 A KR 20160008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gas
management
analysis
energy
gas e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진
오동암
이동준
김병수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4008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781A/ko
Publication of KR2016000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비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받아 집계하는 에너지 사용량 집계부;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을 수행하는 에너지 사용량 분석부; 설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관리하는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 및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분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REENHOUSE GASES AND ENERGY INTEGRA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탄소 배출권 거래제에 사전 대응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유가 시대 및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 등의 요구에 따라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은 중요한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으며, 이중 전기 에너지의 절감은 자동차 등의 운송장비의 에너지 효율화 등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에너지 절감 방법으로는 전력계통과 공조기 관련 기술 분야에서 부분적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력분야에서는 에너지 고효율 조명시설, 고효율 전동기 등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공조기 분야에서는 고효율 공조기, 태양광 차단을 통한 복사열 차단 등과 같은 방식의 기술개발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전력분야에서 전력 사용현황 측정과 전동기 사용현황 측정 등의 기술은 이미 상당부분 진전을 이루고 있으나 이는 주로 사고 및 재해예방, 기기 안정성 위주로 개발되고 있어 전체적으로 전력 사용량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은 아직 본 궤도에 오르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별 장치별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건물이나 전력집중 시설의 전체적인 사용전력의 효율적인 분배, 낭비 전력의 절감, 공조설비 자체의 효율적인 운용, 전동기 사용 에너지의 효율적인 운용 등과 같이 기존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운영 자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전체적인 에너지를 절감하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고, 에너지 사용 현황 분석 및 에너지 관리를 위한 통계 분석 작업에 대한 체계가 잡혀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온실가스(Greenhouse Gas)란 지구표면에 도달한 태양열이 우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해하는 대기오염물질을 말한다. 즉, 석탄 및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대표적이다. 이산화탄소와 관련하여, 탄소 배출권이란 교토의정서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담국이 개도국 등에 온실가스배출 저감설비 등을 설치해주는 만큼 온실가스를 추가로 더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교토의정서에 따르면 의무 당사국들은 1990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2008년에서 2012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균 5%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 따라서 해당국가의 에너지 다소비업체들이 배출규제를 받게 된다. 석유화학이나 발전소 등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기업들은 이산화탄소 배출 자체를 줄이거나 탄소배출권을 확보한 기업으로부터 이 권리를 사야한다. 즉, 교토의정서에 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빌딩이나 가정 내에 복수 개의 실내기들을 설치하고 상기 실내기들과 연결되는 하나의 실외기를 외부에 설치하여 효율적인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건물 관리자들은 설비기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실내기들을 관리하게 된다.
건물 관리자들이 실내기들을 관리하는 경우, 실외기와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실외기로 실내기 제어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실내기들 외의 다양한 설비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증대되고, 실내기들 및 설비 기기들의 운전상황을 한눈에 모니터링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6380호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0709호는 "온실 가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설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 및 에너지 부하 분석을 수행하여, 에너지 사용량 변화에 대한 설비 원인 분석 등 관련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설계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산정 결과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통계 분석하여, 온실가스 배출원 경계, 영역 규명 및 배출량 산정 등 같은 온실가스 관리 목록을 구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는 설비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받아 집계하는 에너지 사용량 집계부;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을 수행하는 에너지 사용량 분석부; 설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관리하는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 및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는,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저위 발열량, 연소율, 생산 제품별 비에너지 소비량, 비에너지 탄소할량, 제품 생산량, CO2 배출계수, N20 배출계수, 원단위 배출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산정식을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을 설정하는 온실가스 감축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품질 관리를 수행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에 해당하는 탄소배출권의 매매처리 또는 갱신하는 탄소배출권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목표 실적 분석, 연도별 분석, 월별 분석, 상세 분석, 설비군별 분석, 용도별 분석, 생산량 추이 분석, 사업소 원단위 분석, 사업소 종합표, 설비별 세부실적 및 에너지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온실가스 통계 분석부; 및 생성된 통계 정보를 토대로, 전사원 단위, 사업소 원단위, 시계열 분석 및 시계열 및 회귀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온실가스 배출 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설정된 운영 계획을 토대로 법규 관리, 교육 관리, 구매 관리, 문서 관리, 기록 관리, 심사 기준 수립, 내부 심사, 심사 결과 처리 및 경영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에너지 경영 계획을 수립하는 에너지 경영 계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석된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토대로 기 설정된 운영 계획 대한 온실가스 배출대비 실적, 목표 관리, 경영자 정보 및 할당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분석 보고서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성된 분석 보고서를 출력하는 분석 보고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은 에너지 사용량 집계부에 의해, 설비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받아 집계하는 단계; 에너지 사용량 분석부에 의해,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에 의해, 설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관리하는 단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에 의해,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에 의해,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는,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저위 발열량, 연소율, 생산 제품별 비에너지 소비량, 비에너지 탄소할량, 제품 생산량, CO2 배출계수, N20 배출계수, 원단위 배출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산정식을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 이후에,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부에 의해,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온실가스 감축 설정부에 의해,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데이터 품질 관리부에 의해,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탄소배출권 관리부에 의해, 데이터 품질 관리를 수행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에 해당하는 탄소배출권의 매매처리 또는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목표 실적 분석, 연도별 분석, 월별 분석, 상세 분석, 설비군별 분석, 용도별 분석, 생산량 추이 분석, 사업소 원단위 분석, 사업소 종합표, 설비별 세부실적 및 에너지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통계 정보를 토대로, 전사원 단위, 사업소 원단위, 시계열 분석 및 시계열 및 회귀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에너지 경영 계획부에 의해, 기 설정된 운영 계획을 토대로 법규 관리, 교육 관리, 구매 관리, 문서 관리, 기록 관리, 심사 기준 수립, 내부 심사, 심사 결과 처리 및 경영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에너지 경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분석 보고서 작성부에 의해, 분석된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토대로 기 설정된 운영 계획 대한 온실가스 배출대비 실적, 목표 관리, 경영자 정보 및 할당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설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 및 에너지 부하 분석을 수행하여, 에너지 사용량 변화에 대한 설비 원인 분석 등 관련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설계함으로써, 설비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관리 체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산정 결과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통계 분석하여, 온실가스 배출원 경계, 영역 규명 및 배출량 산정 등 같은 온실가스 관리 목록을 구축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 형태를 시스템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에 채용되는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원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의 구축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에 채용되는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원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100)는 크게 운영 계획부(110), 에너지 사용량 집계부(120), 에너지 사용량 분석부(130),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140),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150),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부(160), 데이터 품질 관리부(163), 탄소배출권 관리부(165),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170), 온실가스 감축 설정부(180), 분석 보고서 작성부(190) 및 분석 보고서 출력부(193)를 포함한다.
운영 계획부(110)는 정부에서 기 설정한 에너지 관리 목표를 토대로 사업소의 에너지 운영계획을 수립한다.
에너지 사용량 집계부(120)는 설비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받아 집계한다.
에너지 사용량 분석부(130)는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을 수행한다.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140)는 설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관리한다.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가스 배출원을 Scope 1 배출원, Scope 2 배출원, Scope 3 배출원으로 구분한다. 이때, Scope 1 배출원은 기업이 소유하고 통제하는 발생원에서 발생한 온실가스에 대한 것으로, 그 대상은 보일러, 화로, 터빈, 운송수단, 소각로, 온실가스 발생 화학공정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Scope 2 배출원은 기업이 구입하여 소비한 전기와 스팀 생산으로 말미암은 온실가스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Scope 3 배출원은 기업활동의 결과이지만 기업이 소유하거나 통제하지 않은 시설에서 발생한 온실가스에 대한 것으로, 그 대상은 임대한 자산, 프렌차이즈, 아웃소싱 활동, 판매된 생산품과 용역의 이용, 폐기물 처리, 직원의 이동 등이 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150)는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150)는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저위 발열량, 연소율, 생산 제품별 비에너지 소비량, 비에너지 탄소할량, 제품 생산량, CO2 배출계수, N20 배출계수, 원단위 배출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산정식을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보다 자세하게.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150)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온실가스 배출량(tCO2e/yr)=연료 소비량×저위 발열량×연소율×(CO2 배출계수+21×CH4 배출계수+310×N20 배출계수)
[수학식 2]
온실가스 배출량(tCO2e/yr)=∑생산 제품별 비에너지 소비량(ton/Nm3/ℓ)×비에너지 내탄소함량(ton/ton/Nm3/ℓ)×(1-함몰율/100)×(1-재활용율/100)
[수학식 3]
온실가스 배출량(tCO2e/yr)=비에너지 소비량(ton/Nm3/ℓ)×비에너지 내탄소함량(ton/ton/Nm3/ℓ)×(1-함몰율/100)×(1-재활용율/100)
[수학식 4]
온실가스 배출량(tCO2e/yr)=제품생산량(ton/Nm3/ℓ)×원단위 배출계수(1-방지시설가동율/100×방지효율/100)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부(160)는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데이터 품질 관리부(163)는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한다.
탄소배출권 관리부(165)는 데이터 품질 관리를 수행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에 해당하는 탄소배출권의 매매처리 또는 갱신처리를 수행한다.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170)는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한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170)는 온실가스 통계 분석부(171) 및 온실가스 배출 예측부(173)를 포함한다.
온실가스 통계 분석부(171)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목표 실적 분석, 연도별 분석, 월별 분석, 상세 분석, 설비군별 분석, 용도별 분석, 생산량 추이 분석, 사업소 원단위 분석, 사업소 종합표, 설비별 세부실적 및 에너지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자세하게, 온실가스 통계 분석부(171)는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실적 및 달성율을 분석하고, 배출원의 연도별 또는 월별 실적을 분석하고, 에너지 종류별, 설비군별, 건물용 또는 차량용과 같은 용도별로 실적을 분석하고, 생산량을 연도별로 비교분석하고, 전사 및 본부 원단위와 사업소 원단위로 실적을 분석하고, 관리소별 원단위로 실적을 분석하고, 사업소의 용도 또는 에너지원별로 목표 및 실적을 분석하고, 세부설비별 실적을 분석하고, 각 사업소의 모든 배출원 및 세부설비의 에너지 사용량과 사용비율을 분석한다. 이때, 원단위 란, 생산물 1개 또는 일정량의 생산물을 만들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원재료나 연료, 또는 소요시간 등의 수량을 의미한다.
온실가스 배출 예측부(173)는 생성된 통계 정보를 토대로, 전사원 단위, 사업소 원단위, 시계열 분석 및 시계열 및 회귀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한다. 보다 자세하게, 온실가스 배출 예측부(173)는 전년도 원단위 또는 과거 2년 평균 원단위 또는 과거 3년 평균 원단위에 전사판매량계획을 곱하여 전사원단위의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고, 사업소의 전년도 원단위 또는 과거 2년 평균 원단위 또는 과거 3년 평균 원단위에 사업소 생산량 계획을 곱하여 사업소의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고, 과거 데이터들의 패턴을 분석하여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고, 분석기간에서 선택한 기간 동안의 원인요인과 결과요인(에너지 사용량)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상관식을 도출한 후, 에측기간 동안의 원인요인들의 값을 시계열 예측법으로 예측하여 도출한 상관식에 대입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합니다. 여기서, 사업소에서 생산기지의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할 경우, 해수온도, 외기온도 및 생산량이 원인요인이 될 수 있고, 사업소에서 지역본부의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할 경우, 주배관온도, 외기온도 및 생산량이 원인요인이 될 수 있다.
온실가스 감축 설정부(180)는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을 설정한다.
에너지 경영 계획부(185)는 기 설정된 운영 계획을 토대로 법규 관리, 교육 관리, 구매 관리, 문서 관리, 기록 관리, 심사 기준 수립, 내부 심사, 심사 결과 처리 및 경영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에너지 경영 계획을 수립한다.
분석 보고서 작성부(190) 분석된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토대로 기 설정된 운영 계획 대한 온실가스 배출대비 실적, 목표 관리, 경영자 정보 및 할당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다.
분석 보고서 출력부(195)는 작성된 분석 보고서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의 구축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는 설비 관리, 에너지 관리 및 온실가스 관리로 프로세스를 구축될 수 있다.
우선, 설비 관리 프로세스는 다수개의 설비의 계측기로부터 전기 사용량, 가스 사용량 및 기타 사용량을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에너지 사용량을 집계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토대로, 에너지 관리 프로세스는 에너지원 및 에너지원 사용설비 관리를 수행하고, 설비별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하고, 기간별 또는 사업장별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이루어진다.
그 다음, 온실가스 관리 프로세스는 파악한 온실가스 배출원과 에너지 관리 프로세스에서 계산된 에너지 소비량을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식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토대로 기 설정된 운영 계획 대한 온실가스 배출대비 실적, 목표 관리, 경영자 정보 및 할당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정부에서 기 설정한 에너지 관리 목표를 토대로 사업소의 에너지 운영계획을 수립한다(S100).
다음, 설비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받아 집계한다(S110).
다음,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을 수행한다(S120).
다음, 설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관리한다(S130).
다음,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S140). S140 단계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는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저위 발열량, 연소율, 생산 제품별 비에너지 소비량, 비에너지 탄소할량, 제품 생산량, CO2 배출계수, N20 배출계수, 원단위 배출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산정식을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다음,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S150).
다음,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한다(S160).
다음, 데이터 품질 관리를 수행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에 해당하는 탄소배출권의 매매처리 또는 갱신처리를 수행한다(S170).
다음,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운영 관리를 수행한다(S180). S180 단계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목표 실적 분석, 연도별 분석, 월별 분석, 상세 분석, 설비군별 분석, 용도별 분석, 생산량 추이 분석, 사업소 원단위 분석, 사업소 종합표, 설비별 세부실적 및 에너지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통계 정보를 토대로, 전사원 단위, 사업소 원단위, 시계열 분석 및 시계열 및 회귀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한다.
다음,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을 선정한다(S185).
다음, 기 설정된 운영 계획을 토대로 법규 관리, 교육 관리, 구매 관리, 문서 관리, 기록 관리, 심사 기준 수립, 내부 심사, 심사 결과 처리 및 경영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에너지 경영 계획을 수립한다(S190)
다음, 분석된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토대로 기 설정된 운영 계획 대한 온실가스 배출대비 실적, 목표 관리, 경영자 정보 및 할당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분석 보고서를 출력한다(S195).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설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 및 에너지 부하 분석을 수행하여, 에너지 사용량 변화에 대한 설비 원인 분석 등 관련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설계함으로써, 설비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관리 체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산정 결과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통계 분석하여, 온실가스 배출원 경계, 영역 규명 및 배출량 산정 등 같은 온실가스 관리 목록을 구축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 형태를 시스템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110 : 운영 계획부 120 : 에너지 사용량 집계부
130 : 에너지 사용량 분석부 140 :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
150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 160 :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부
163 : 데이터 품질 관리부 165 : 탄소배출권 관리부
170 :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 180 : 온실가스 감축 설정부
185 : 에너지 경영 계획부 190 :분석 보고서 작성부
195 : 분석 보고서 출력부

Claims (19)

  1. 설비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받아 집계하는 에너지 사용량 집계부;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을 수행하는 에너지 사용량 분석부;
    설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관리하는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 및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는,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저위 발열량, 연소율, 생산 제품별 비에너지 소비량, 비에너지 탄소할량, 제품 생산량, CO2 배출계수, N20 배출계수, 원단위 배출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산정식을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을 설정하는 온실가스 감축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품질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데이터 품질 관리를 수행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에 해당하는 탄소배출권의 매매처리 또는 갱신하는 탄소배출권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목표 실적 분석, 연도별 분석, 월별 분석, 상세 분석, 설비군별 분석, 용도별 분석, 생산량 추이 분석, 사업소 원단위 분석, 사업소 종합표, 설비별 세부실적 및 에너지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온실가스 통계 분석부; 및
    생성된 통계 정보를 토대로, 전사원 단위, 사업소 원단위, 시계열 분석 및 시계열 및 회귀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온실가스 배출 예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운영 계획을 토대로 법규 관리, 교육 관리, 구매 관리, 문서 관리, 기록 관리, 심사 기준 수립, 내부 심사, 심사 결과 처리 및 경영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에너지 경영 계획을 수립하는 에너지 경영 계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생성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와 예측된 온실가스 배출전망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운영 계획 대한 온실가스 배출대비 실적, 목표 관리, 경영자 정보 및 할당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분석 보고서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작성된 분석 보고서를 출력하는 분석 보고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11. 에너지 사용량 집계부에 의해, 설비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받아 집계하는 단계;
    에너지 사용량 분석부에 의해,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부에 의해, 설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관리하는 단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부에 의해,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온실가스 운영 관리부에 의해,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는,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저위 발열량, 연소율, 생산 제품별 비에너지 소비량, 비에너지 탄소할량, 제품 생산량, CO2 배출계수, N20 배출계수, 원단위 배출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산정식을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집계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 설정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 이후에,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부에 의해,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온실가스 감축 설정부에 의해,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데이터 품질 관리부에 의해,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추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탄소배출권 관리부에 의해, 데이터 품질 관리를 수행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그에 해당하는 탄소배출권의 매매처리 또는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목표 실적 분석, 연도별 분석, 월별 분석, 상세 분석, 설비군별 분석, 용도별 분석, 생산량 추이 분석, 사업소 원단위 분석, 사업소 종합표, 설비별 세부실적 및 에너지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통계 정보를 토대로, 전사원 단위, 사업소 원단위, 시계열 분석 및 시계열 및 회귀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에너지 경영 계획부에 의해, 기 설정된 운영 계획을 토대로 법규 관리, 교육 관리, 구매 관리, 문서 관리, 기록 관리, 심사 기준 수립, 내부 심사, 심사 결과 처리 및 경영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에너지 경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분석 보고서 작성부에 의해, 생성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통계 정보와 예측된 온실가스 배출전망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운영 계획 대한 온실가스 배출대비 실적, 목표 관리, 경영자 정보 및 할당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방법.
KR1020140088920A 2014-07-15 2014-07-15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8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20A KR20160008781A (ko) 2014-07-15 2014-07-15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20A KR20160008781A (ko) 2014-07-15 2014-07-15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781A true KR20160008781A (ko) 2016-01-25

Family

ID=5530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920A KR20160008781A (ko) 2014-07-15 2014-07-15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78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633A (ko) * 2017-11-24 2019-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KR102129133B1 (ko) 2019-11-19 2020-07-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20114683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탄소배출권 문서 자동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78050B1 (ko) * 2022-06-14 2022-1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배출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시스템
WO2023033832A1 (en) * 2021-09-03 2023-03-09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reenhouse gas emission quantification and reduction
KR102536241B1 (ko) * 2022-11-22 2023-05-26 주식회사 에코앤파트너스 탄소배출 관리 시스템
CN116933045A (zh) * 2023-09-15 2023-10-24 山东益来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温室气体的碳排放监测系统
US11927581B2 (en) 2020-09-03 2024-03-12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Greenhouse gas emissio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WO2024086376A1 (en) * 2022-10-21 2024-04-25 Aveva Software, Llc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controlling emissions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633A (ko) * 2017-11-24 2019-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KR102129133B1 (ko) 2019-11-19 2020-07-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US11927581B2 (en) 2020-09-03 2024-03-12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Greenhouse gas emissio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20220114683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탄소배출권 문서 자동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033832A1 (en) * 2021-09-03 2023-03-09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reenhouse gas emission quantification and reduction
GB2624602A (en) * 2021-09-03 2024-05-22 Schlumberger Technology Bv Systems and methods for greenhouse gas emission quantification and reduction
KR102478050B1 (ko) * 2022-06-14 2022-1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배출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서버 및 시스템
US11881021B2 (en) 2022-06-14 2024-01-23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of providing carbon emission management information, and ser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WO2024086376A1 (en) * 2022-10-21 2024-04-25 Aveva Software, Llc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controlling emissions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KR102536241B1 (ko) * 2022-11-22 2023-05-26 주식회사 에코앤파트너스 탄소배출 관리 시스템
CN116933045A (zh) * 2023-09-15 2023-10-24 山东益来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温室气体的碳排放监测系统
CN116933045B (zh) * 2023-09-15 2023-12-05 山东益来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温室气体的碳排放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8781A (ko) 온실가스 및 에너지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Thiede et al. Environmental aspects in manufacturing system modelling and simulation—State of the art and research perspectives
EP43071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d predicting forecasts for carbon emissions
Rogage et al. Assessing building performance in residential buildings using BIM and sensor data
Zheng et 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evaluations of building energy retrofits: Case study of a commercial building
KR101814124B1 (ko) 확률론적 분석 방법을 이용한 건축물 전과정 지속가능성 평가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Yuan et al. Temporal discounting in life cycle assessment: a critical review and theoretical framework
Stegnar et al. Information needs for progressive BIM methodology supporting the holistic energy renovation of office buildings
AlRafea et al. Cost-analysis of health impacts associated with emissions from combined cycle power plant
Hale et al. The demand-side grid (dsgrid) model documentation
Ahn et al. Lessons learned from utilizing discrete-event simulation modeling for quantifying construction emissions in pre-planning phase
Dalmazzone et al. Multi-scale environmental accounting: Methodological lessons from the application of NAMEA at sub-national levels
Dawood et al. Development of a visual whole life-cycle energy assessment framework for built environment
KR102388098B1 (ko) 바이오매스 활용 삼중열병합발전 플랜트에 연동된 에너지 수요처 및 본 플랜트 모니터링 플랫폼
Denwigwe et al. A technical review on methods and tools for evaluation of energy footprints, impact on buildings and environment
Alshakhshir et al. Data driven energy centered maintenance
Millar et al. Evaluating human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matter part II: Modeling
Ghaleb et al. Evidence-based study of the impacts of maintenance practices on asset sustainability
Wilby et al. ENERGY EFFICIENCY LANDSCAPES: AN ENERGY EFFICIENCY VISUAL TOOL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IN BUILDINGS.
Gupta et al. Evaluating retrofit performance: A process map
Grassie et al. Feedback and feedforward mechanisms for generating occupant datasets for UK school stock simulation modelling
Fowler et al. Building cost and performance measurement data
Ho et al.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Evaluation of Commercial Building Retrofits: Shortlisting via an Industry Survey. Energies 2021, 14, 7327
Denwigwe et al. A Technical Review on Methods and Tools for Evaluation of Energy Footprints, Impact on Buildings
Wu et al. Review of building maintenance practices and sustainability at the government le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