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702A -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702A
KR20160008702A KR1020140088498A KR20140088498A KR20160008702A KR 20160008702 A KR20160008702 A KR 20160008702A KR 1020140088498 A KR1020140088498 A KR 1020140088498A KR 20140088498 A KR20140088498 A KR 20140088498A KR 20160008702 A KR20160008702 A KR 2016000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alue
setting value
nfc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주
차봉현
신언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702A/ko
Publication of KR2016000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차량내의 차량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가 제공된다. 이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통신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NFC 통신 모듈과,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리스트값과, 상기 리스트값에 맵핑되어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저장부를 조회하여, 상기 NFC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차량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기기에 디폴팅된 설정값을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WIRED/WIRELESS INTEGRATING GATEWAY FOR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GATEWAY AND METHOD FOR SETTING PERSONALIZED INFORMATION FOR VEHICLE USING THE GATEWAY}
본 발명은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을 활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및 차량용 개인화 정보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자동차 생산량 및 보급률은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함께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자동차 내의 각종 전자 제어 시스템과 스마트 폰을 연계시키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선행 문헌(공개 번호 10-2002-0062883)은, 차량 운전자 호출 및 차량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호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술한 선행 문헌에서 제안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호출 경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칩(110)과, RF 송/수신 모듈(120)과, RF 입/출력 모듈(130)과, 이동 단말기(140)와, 차량 시동장치 및 경보등 제어장치(150)과, 지문인식장치(160)와, 이미지 센서(170)와, 진동 감지 장치(180)와, 진동 센서(190) 및 상기 장치들을 각각 제어하여 블루투스 칩과 이동단말기 사이에 원만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블루투스 칩(11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핵심 모듈로서,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이를 제어하고 데이터 소스를 처리한다.
상기 RF 송/수신 모듈(120)은 상기 블루투스 칩(110)에 의해 만들어지는 무선 데이터를 충분한 전력을 가지고 일정범위(100m) 이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RF 입/출력 모듈(130)은 상기 RF 송/수신 모듈(1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출입을 제어한다.
상기 이동단말기(Display & Alarm)(140)는 일반 셀룰러 폰, PCS 폰, IMT-2000용 단말기 등을 말하며, 여기에는 블루투스 칩과 이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상기 차량 시동장치 및 경보등 제어장치(150)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에 의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만이 차량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단말기(140)에서의 원거리 차량 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강제 시동 시 경보등이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지문인식장치(16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지문 데이터와 현재 운전자의 지문 데이터를 비교 및 판독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로 판독되면, 운전시의 자동 인증과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하며,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 판독되면,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170)는 지문 인식을 하기 위해 센서 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올려지면, 여기에서 읽은 데이터를 상기 지문인식장치(160)에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80)는 차량의 일측(앞 유리)에 부착된 진동 센서에서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신호(충격)가 감지되면, 이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망을 동작시키고, 원거리에 있는 차량 운전자에게 전송하여 운전자를 호출한다.
상기 진동센서(190)는 차량의 일측(운전석 앞 유리)에 부착하여 타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할 경우, 외부로부터 진동이 감지되면(다른 운전자에 의해 주차된 차량의 센서를 톡톡 두드리면), 상기 진동감지장치(180)에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200)는 상기한 블루투스 칩(110), RF 송/수신 모듈(120), 차량 시동장치 및 차량 경보등(150), 지문인식장치(160), 진동감지장치(180)들을 제어하고, 상기 각 장치 간에 원만한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이를 제어하며, 차량의 블루투스 모듈과 이동 단말기 간에 무선 신호의 송/수신 및 데이터 활용이 용이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선행 문헌에 의하면, 차량 내의 운전자별 기기 설정을 위하여 운전자별로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과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즉, 1 개의 스마트 폰에 1 명의 개인화 설정밖에 할 수 없다. 또한, 휴대폰이 교체된 경우에는, 개인화 설정을 휴대폰에게 다시 학습시켜야 하고, 블루투스의 활용에 따른 보안 및 페어링(Pairing) 절차의 복잡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하지 않고,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별로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이 가능한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는,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차량내의 차량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통신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NFC 통신 모듈과,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리스트값과, 상기 리스트값에 맵핑되어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저장부를 조회하여, 상기 NFC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차량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기기에 디폴팅된 설정값을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차량내의 차량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통신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리스트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NFC P2P 통신으로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차량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기기에 디폴팅된 설정값을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리스트값을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통신으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리스트값을 NFC P2P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차량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기기에 디폴팅된 설정값을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변경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NFC 통신과 지문 인식 기능을 활용한 보안성 향상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해 여러 사용자의 다양한 설정값을 저장함으로써, 편리한 개인화 설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개인 설정 학습 모듈에서 수행되는 개인설정 학습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개인화 설정을 위한 실행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과 차량에 설치된 지문 인식 장치에서 제공하는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종래와는 달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과 지문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보안 문제와 사용자의 지문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에 대한 사용자별 개인화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한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개인 맞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 시스템(300)은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는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 내의 차량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 간의 통신 연결(communication linkage)을 중계(또는 구성)한다. 여기서, 차량 네트워크는 차량 내의 각종 ECU 및 센서 등을 상호 연결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등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차량 네트워크와 상기 사용자 단말(200)간의 통신 연결을 중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과 같이 기기간 설정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NFC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연결 편의성을 위해 NFC 통신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00)과 NFC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통신 모듈(110), NFC 인증 모듈(120), 사용자 설정 저장부(130) 및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의 NFC 통신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NFC 통신 모듈(11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에서 학습된 차량의 초기 개인 설정값 및 상기 초기 개인 설정값 별로 설정된 리스트 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초기 개인 설정값은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ECU의 설정값이다. ECU는 좌석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룸미러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 AVN 라디오 등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일 수 있다. 따라서, 초기 개인 설정 값은 해당 제어 유닛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값과 상기 해당 제어 유닛이 수행할 수 있는 동작 설정값일 수 있다. 예컨대,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에 의해 룸미러의 각도가 45도로 설정된 초기 개인 설정값은 룸미러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식별하는 식별값과 상기 45도를 나타내는 동작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값은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와 같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 정보를 지시하는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초기 개인 설정값 및 리스트 값을 NFC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기 위해, 상기 NFC 통신 모듈(110)은 기본적으로 ISO 14443A, ISO 18092, ISO 14443 중 적어도 하나의 RF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기기 간 NFC P2P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FC 인증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모듈로서, NFC UID(Unique IDentifier) 또는 마이페어 클래식(Mifare Classic)와 같은 인증 알고리즘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저장부(130)는 상기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에서 학습된 차량의 초기 개인 설정값 및 상기 초기 개인 설정값 별로 설정된 리스트 값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초기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 이후에 차량의 개인 맞춤 설정을 위한 실행 동작이 수행되면, 사용자 설정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NFC 통신을 통해 수신된 리스트값에 맵핑되는 차량의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한다. 검색된 차량의 개인화 설정값은 사용자 별 개인 맞춤 설정값으로서 상기 차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해당 ECU로 전달된다.
해당 ECU는 전달받은 개인화 설정값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설정값을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개인화 설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NFC 기능 및 지문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가능한 단말로서, NFC 기능 및 지문 인식 기능을 지원한다.
NFC 기능 및 지문 인식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NFC 통신 모듈(210), 지문 인식 모듈(220) 및 개인 설정 학습 모듈(230)을 포함하며, 이러한 모듈들은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앱 형태의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210)은 상기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와 NFC 통신 연결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상기 지문 인식 모듈(220)은 사용자 별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 별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 별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리스트 값을 등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문 인식 모듈(220)은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센서 및 지문 인식 센서에 의해 인식된 지문을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지문 인식 처리 로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인 설정 학습 모듈(23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ECU 예컨대, 차량의 좌석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룸미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AVN 라디오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 등의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개인 설정 학습 모듈(230)은 상기 설정된 개인화 설정값과 상기 지문 인식 모듈(220)에 의해 등록된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리스트 값을 맵핑시키는 개인 설정 학습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개인 설정 학습 동작에 따라 상호 맵핑된 상기 리스트값과 상기 개인화 설정값은 NFC 통신으로 상기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의 사용자 설정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연동을 통해 차량 내의 기기들에 대한 개인화 설정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도 4를 참조하여 개인화 설정 학습에 따라 학습된 개인화 설정값을 기반으로 개인화 설정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개인 설정 학습 모듈에서 수행되는 개인화 설정 학습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를 활용한 개인화 설정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개인 설정 학습 모듈(230)에서 수행하는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또는 초기 개인 설정)을 통해 학습된 정보들을 유무선 통합 게이트(100)의 사용자 설정 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아래의 각 단계의 주체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사용자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200) 내의 개인 설정 학습 모듈(230)로 가정한다.
우선, 단계 S310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유무선 통합 게이트(100)에 대한 NFC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반대로 유무선 통합 게이트(100)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NFC 인증을 수행한다. 즉, 상호 간의 NFC 인증이 동시에 수행된다.
상호 NFC 인증이 성공하면, 단계 S320에서, 유무선 통합 게이트(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NFC P2P 통신 연결을 구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NFC P2P 통신 연결을 구성이 성공하면, 단계 S330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별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을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개인화 설정이란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 기기(또는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ECU)의 초기 개인 설정값에 대한 설정을 의미한다. 예컨대, 차량 기기가 좌석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룸미러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 AVN 라디오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인 경우, 초기 개인 설정 값은 해당 제어 유닛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값과 상기 해당 제어 유닛이 수행할 수 있는 동작 설정값일 수 있다. 예컨대, 룸미러의 각도가 45도로 설정된 초기 개인 설정값은 룸미러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식별하는 식별값과 상기 45도를 나타내는 동작 설정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별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이 완료되면, S340에서, 사용자 단말(200)에서 지원하는 지문 인식 기능(지문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실행)되고, S350에서, 활성화된 지문 인식 기능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 지문을 리스트화하고, 리스트 형태의 사용자 지문(이하, 리스트 값)을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60에서, 등록된 리스트값과 상기 초기 개인 설정값을 맵핑시키고, 맵핑된 리스트값과 초기 개인 설정값을 유무선 통합 게이트(100)로 NFC로 전송하여, 상기 유무선 통합 게이트(100)의 사용자 설정 저장부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화 설정 학습에 대한 일련의 과정이 종료된다.
개인화 설정 학습이 완료된 이후, 개인화 설정을 실행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개인화 설정을 실행하는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가 NFC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예컨대,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NFC 고유 ID(NFC UID(Unique IDentifier))와 NFC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NFC 고유 ID(NFC UID(Unique IDentifier))를 비교하거나, 마이페어 클래식(Mifare Classic) 카드의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이 성공하면, 단계 S420에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가 사용자 단말(200)과 NFC P2P 통신 연결을 구성한다.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NFC P2P 통신 연결이 구성되면, 단계 S4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지문 인식 기능(또는 지문 인식 애플리케이션)이 활성(또는 실행)되고, 활성화된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상에서는 지문 입력창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제공된 지문 입력창에 자신의 지문을 접촉시킴으로써,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지문 인식이 완료되면, 단계 S44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지문 인식 모듈에서 상기 지문 인식에 따른 리스트값을 생성하고, 이를 NFC 통신을 통해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
단계 S450에서,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가 상기 리스트값을 수신하면,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에서 학습된 개인화 설정값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한다.
단계 S460에서, 상기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개인화 설정값(ECU별 설정값)이 검색되면, 검색된 상기 개인화 설정값(ECU별 설정값)을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해당 차량 기기의 ECU에게 전달한다. 상기 개인화 설정값(ECU별 설정값)을 전달받은 해당 차량 기기의 ECU는 해당 차량 기기에 디폴팅된 설정값을 전달받은 상기 개인화 설정값(ECU별 설정값)으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내의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NFC로 통신 연결을 구성한다.
이후, 지문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지문 인식 결과(예컨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리스트값)를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의 NFC P2P 통신으로 전송을 해주면, 해당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100)는 NFC P2P 통신으로 수신된 지문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개인화 설정 학습 과정에서 저장된 개인 맞춤 설정값(또는 개인화 설정값)을 차량의 각 ECU에게 전송해 주어 사용자별로 개인 맞춤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기간 설정이 필요한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기간 설정이 불필요한 NFC 통신을 이용해 다수의 사용자 별로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차량내의 차량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통신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NFC 통신 모듈;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리스트값과, 상기 리스트값에 맵핑되어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저장부를 조회하여, 상기 NFC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차량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기기에 디폴팅된 설정값을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변경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해 인식된 다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리스트화한 값인 것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설정값은,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차량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의 식별값과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저장된 상기 차량 기기의 동작 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4. 제1항에 있어서, NFC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NFC 인증 모듈은,
    보유하고 있는 NFC 고유 아이디와 NFC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고유 아이디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5. 제1항에 있어서, NFC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NFC 인증 모듈은,
    마이페어 클래식(Mifare Classic) 카드의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6.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차량내의 차량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통신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리스트값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NFC P2P 통신으로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하는 과정;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차량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기기에 디폴팅된 설정값을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변경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해 인식된 다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리스트화한 값인 것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값을 수신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별로 설정된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과, 상기 개인화 설정값에 맵핑되는 사용자 별 지문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리스트값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개인화 설정값과 상기 개인화 설정값에 맵핑되는 상기 리스트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9.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리스트값을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통신으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리스트값을 NFC P2P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수신된 리스트값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기기의 개인화 설정값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상기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차량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기기에 디폴팅된 설정값을 상기 검색된 개인화 설정값을 변경하는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해 인식된 다수의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리스트화한 값인 것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설정값은,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상기 차량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의 식별값과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저장된 상기 차량 기기의 동작 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KR1020140088498A 2014-07-14 2014-07-14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KR20160008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498A KR20160008702A (ko) 2014-07-14 2014-07-14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498A KR20160008702A (ko) 2014-07-14 2014-07-14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702A true KR20160008702A (ko) 2016-01-25

Family

ID=5530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498A KR20160008702A (ko) 2014-07-14 2014-07-14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7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174A (ko) * 2017-09-12 201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174A (ko) * 2017-09-12 201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44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key fob base station enabling remote car access using a nomadic device
CN105635245B (zh) 车辆计算系统与装置通信的方法和系统
CN107117121B (zh) 实现对车辆特征进行姿势控制的方法和系统
CN107182035B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US20140357248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ng with a Vehicle and a Device in a Vehicle
CN104137480A (zh) 对网络装置的基于传感器的配置和控制
JP5966718B2 (ja) 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近距離無線通信端末
US9126545B2 (en) Vehicle systems activ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KR102412896B1 (ko) 단말의 설비 제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21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vehicle function control
US20170075366A1 (en) Methods and Systems to Synchronize Vehicle Settings Via a Home Network Connection
US20160132029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smart home products
KR102545375B1 (ko)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6209962B (zh) 车辆计算系统启动应用的方法和系统
US10964205B2 (en) Remote vehicle system configuration, control, and telematics
EP3716668B1 (en) Method for installing subscriber profi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JP201915398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KR20090047144A (ko)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통신 방법
KR101405554B1 (ko) 블루투스 자동 페어링 시스템
KR101602341B1 (ko)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8702A (ko) 차량용 유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개인화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법
US102852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tor vehicle
JPWO2017134816A1 (ja) 車載装置及び車内の通信方法
KR20150060109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간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4173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키 탐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