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449A -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449A
KR20160008449A KR1020150056025A KR20150056025A KR20160008449A KR 20160008449 A KR20160008449 A KR 20160008449A KR 1020150056025 A KR1020150056025 A KR 1020150056025A KR 20150056025 A KR20150056025 A KR 20150056025A KR 20160008449 A KR20160008449 A KR 20160008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er terminal
multimedia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혁
신휘용
Original Assignee
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혁 filed Critical 원혁
Publication of KR2016000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29/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의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아래의 설명은 범용성을 지닌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장치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영상 신호와 디지털 음성 신호를 5 Gbps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단일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전송하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규격이 개발 및 발표되었다. 상기 HDMI는 차세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고선명 영상 및 음성 신호의 지원이 가능하고, 그 커넥터의 케이블 수가 적고 크기가 작아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판매되는 영상 공유기의 경우, 이미 동영상 압축되어 있는 파일을 무선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주는 형태와 Wi-Fi를 지원하는 영상 기기에서 동영상으로 출력하여 영상 서버가 설치된 기기로 전송하여 보여주는 기능만을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스마트 폰의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TV 가 Digital Home 환경의 플랫폼 확장의 주요 축으로 부상하는 현 시점에서 실제 세부 구성요소는 거의 동일하나 단지 운영체계가 다름에 따라 새로운 고가의 장비를 구입해야 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9759호는 HDMI 커넥터 슬롯을 구비한 영상기기를 스마트 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HDMI 인터페이스를 슬라이딩 구조로 개발하여 편리한 휴대성 및 기능 최적화를 구현하여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독립적이면서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영상을 Wi-Fi로 전달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더 나아가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함으로써 휴대성과 범용성을 지닌 기술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성과 편의성을 지닌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가 연결된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에 적외선 모듈을 연결하여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yuv 방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를 마우스 신호, 키보드 신호 및 컨트롤 패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는,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동일한 속도로,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는 유선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미리 복사된 적외선 신호 중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는 프로세서 및 멀티미디어 장치에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어 메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제1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는,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제2 통신부는, 별도의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적외선 신호 수신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부에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동일한 속도로,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는 유선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모듈은,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 장치에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전달 받는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전달된 적외선 신호를 복사 및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여 상기 적외선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전달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어 메뉴를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의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신호를 마우스 신호, 키보드 신호 및 컨트롤 패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제어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은, 멀티미디어 장치와의 연결 포트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복사된 적외선 신호 중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적외선 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어 메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외선 모듈로부터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적외선 모듈로부터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응하는 컨트롤 패드를 사용자 단말에 에뮬레이션 함으로써 범용성을 지닐 수 있고, 휴대성과 편의성을 갖출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이면서 동시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연결 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적외선 모듈에 연결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 중 셋톱박스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해서 사물 인터넷 환경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영상 신호 전송의 레이턴시를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음성 신호 전송의 레이턴시를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2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장치(11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무선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장치(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110)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11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20)로 멀티미디어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110)가 컴퓨터인 경우, 컴퓨터의 출력 화면을 사용자 단말(120)에서 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신호를 컴퓨터에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이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110)가 콘솔 장치인 경우, 콘솔 장치의 출력 화면을 사용자 단말(120)에서 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신호를 콘솔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이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는, 제1 인터페이스부(101), 제2 인터페이스부(102), 프로세서(103) 및 무선 통신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인터페이스부(101)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출력 포트에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110)가 컴퓨터인 경우, 컴퓨터의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에 제1 인터페이스부(101)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110)가 콘솔 장치인 경우, 콘솔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에 제1 인터페이스부(10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는 HDMI 포트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출력 포트는 HDMI 포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인터페이스부(101)는 멀티미디어 장치(110)로부터 RGB 방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장치(110)는 출력 데이터로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장치용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 무선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로 스트리밍 할 경우, 고용량으로 인한 레이턴시가 발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HID 드라이버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신호를 소프트웨어 방식이 아닌 하드웨어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설치될 수 있다. HID 드라이버는 범용 마우스 드라이버, 범용 키보드 드라이버 및 범용 조이패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USB 연결 포트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범용 HID 칩을 통해 마우스, 키보드 및 제어 패드의 드라이버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00)의 제2 인터페이스부(102)를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연결하면, 범용 HID 드라이버가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USB 2.0 또는 USB 3.0 규격에 최적화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사용자 단말(120)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장치(110)의 제어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사용자 단말(120)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가 소프트웨어 방식의 신호인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전송될 제어 신호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의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20)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가 문자 입력 신호인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전송될 제어 신호는 키보드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20)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가 화면 터치 입력 신호인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전송될 제어 신호는 마우스 클릭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20)의 터치 패드 메뉴로부터 콘솔 장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전송될 제어 신호는 제어 패드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무선 통신부(104)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가 하드웨어 신호인 경우, 하드웨어 신호 자체를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20)에 연결된 제어 패드로부터 콘솔 장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의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변환된 제어 명령을 게임 콘솔로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범용 HID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된 제어 명령을 멀티미디어 장치(110)에 전달할 경우, 제어 신호의 지연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에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게임 또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도 자연스럽게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멀티미디어 장치(110)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인터페이스부(102)는 USB 포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04)는 사용자 단말(12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MD)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MD)는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변환된, 스트리밍 영상 포맷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264 방식/720p/30fps의 멀티미디어 데이터(MD)를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04)는, 변환된 포맷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04)는 N혹은 5G의 최신 규격까지 지원할 수 있고, 하드웨어 호환성을 고려한 b, g 규격도 고려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04)는 변환된 다른 포맷의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Wi-Fi 무선망으로 송출할 수 있고, Wi-Fi 무선망을 통하여 송출된 데이터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브라우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04)는 사용자 단말(120)에 멀티미디어 장치(110)의 제어 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120)가 콘솔 장치인 경우, 무선 통신부(104)는 사용자 단말(1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솔 제어 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04)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110)의 제어 신호(CS)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110)가 컴퓨터인 경우, 제어 신호는 마우스 신호 또는 키보드 신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110)가 콘솔 장치인 경우, 제어 신호는 제어 패드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104)에서 수신하는 제어 신호(CS)는 소프트웨어 신호 또는 하드웨어 신호가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04)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제어 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콘솔 장치인 경우,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어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부(104)를 통해서 제어 메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다르면, 무선 통신부(104)는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된 제어 패드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제어 패드의 신호를 직접 처리하지 않고, 무선 통신 장치에 제어 패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부(104)는 하드웨어 신호 형태로 제어 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104)는 무선 공유기에 연결되어, 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무선 공유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만약 무선 통신 장치(100)가 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경우, 멀티 스트리밍을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 대 다의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 캐스트 스트리밍을 위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 자체에서 직접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멀티 캐스트/브로드 캐스트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공유기에 연결하여 스트리밍 영상 포맷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104)는 고정 IP가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스트리밍 영상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HDMI 데이터인 경우, HDMI 데이터를 다른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3)는 HDMI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및 디코딩된 HDMI 데이터를 다른 포맷의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3)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H.264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H.264는 영상 압축 표준의 하나로, 고선명 비디오의 녹화, 압축, 배포를 위한 일반적인 포맷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3)는, 스트리밍 영상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이 처리할 수 있는 해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해상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저해상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장치의 1080p 60fps 영상을 사용자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720p 30fps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3)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yuv 방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HDMI 데이터는 RGB 방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해당한다. 이때, RGB 방식으로 스트리밍할 경우, 레이턴시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00)의 프로세서(103)는 RGB 방식의 데이터를 YUV 방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는 수신된 제어 신호(CS)를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하드웨어 신호는 키보드 신호, 마우스 신호 및 컨트롤 패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제어 신호(CS)가 소프트웨어 신호인 경우, 프로세서(103)는 키보드 신호, 마우스 신호 및 컨트롤 패드 신호 중 대응하는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04)에서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는 유선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선 출력부는 제1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영상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의 본체에 무선 통신 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컴퓨터의 모니터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유선 출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니터에서의 출력 영상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속도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멀티미디어 장치(220)가 셋톱박스인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에 HID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주로 적외선 리모컨을 이용해서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220)에 적외선 통신을 적용하면 셋톱 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22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장치(21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10)는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장치(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230)의 적외선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200)에 복제할 수 있다. 복제된 적외선 신호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에 의해 독출되어 멀티미디어 장치(210)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0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210)에 송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20)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210)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210)가 셋톱박스인 경우, 셋톱박스의 출력 화면을 사용자 단말(220)에서 볼 수 있고, 사용자 단말(220)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셋톱박스에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이 셋톱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01), 프로세서(202), 데이터베이스(DB; 203), 제1 통신부(204) 및 제2 통신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201)는, 멀티미디어 장치(21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210)가 셋톱박스인 경우, 셋톱박스의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에 인터페이스부(20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는 HDMI 포트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출력 포트는 HDMI 포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사용자 단말(22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MD) 및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메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제어 신호(CS)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사용자 단말(22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MD)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MD)는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변환된, 스트리밍 영상 포맷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264 방식/720p/30fps의 멀티미디어 데이터(MD)를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부(204)는, 변환된 포맷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부(204)는 N혹은 5G의 최신 규격까지 지원할 수 있고, 하드웨어 호환성을 고려한 b, g 규격도 고려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04)는 변환된 다른 포맷의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Wi-Fi 무선망으로 송출할 수 있고, Wi-Fi 무선망을 통하여 송출된 데이터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220)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브라우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사용자 단말(220)에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메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부(204)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의 데이터베이스(203)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통신부(204)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채널 변경 및 음량 조절을 제어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의 데이터베이스(203)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채널 변경 및 음량 조절을 제어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장치(210)를 제어하는 리모컨(230)의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리모컨(230)으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어 메뉴를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리모컨(230)을 이용하여 제2 통신부에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2)는 적외선 신호를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하고,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04)는 생성된 제어 메뉴를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204)는 블루투스 방식, WiFi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무선 공유기에 연결되어 리모컨(230)에서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어 메뉴를 무선 공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은 제어 메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무선 통신 장치의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 통신부(205)를 이용하면, 사용자 단말(220)은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200)가 멀티미디어 장치(210)에 연결되어, 거실의 가운데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거실에 있는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자 장치의 리모컨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04)는 저장된 리모컨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어 메뉴를 사용자 단말(2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제어 신호(CS)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110)가 셋톱박스인 경우, 제어 신호는 셋톱 박스의 리모컨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2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데이터베이스(203)에서 독출하여 멀티미디어 장치(210)에 제2 통신부(205)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20)은 제1 통신부(204)에서 제공된 제어 메뉴 중 원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부(204)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데이터베이스(203)에서 독출하여 멀티미디어 장치(210)에 제2 통신부(205)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204)는 무선 공유기에 연결되어, 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2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무선 공유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만약 무선 통신 장치(200)가 무선 공유기에 연결된 경우, 멀티 스트리밍을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어 메뉴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설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제어 메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203)는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신호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적외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신호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조사 별로 미리 설정된 적외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적외선 신호는 다른 전자 장치의 적외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203)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리모컨(230)으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신호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리모컨(203)으로부터 제2 통신부(205)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적외선 신호는 다른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2)는 리모컨(230)으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23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온(ON)을 명령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면,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외선 신호는 제2 통신부(205)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2)는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온(ON)을 명령하는 적외선 신호가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온(ON)을 명령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여, 제1 통신부(204)를 통해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에 제공된 제어 메뉴 중 하나의 제어 메뉴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2)는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 적외선 신호 중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온(ON)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203)에 미리 저장된 적외선 신호 중 온(ON)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205)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230)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230)의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230)에서 수신한 적외선 신호는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며, 프로세서(202)를 통해 저장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가 생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면, 사물 인터넷(IoT) 환경 서비스가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205)는 무선 통신 장치(200)의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적외선 신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제어 메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전자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세서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205)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에 프로세서(202)에서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부(205)는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의 적외선 송신부는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210)를 향해서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신호는 지향성 신호에 해당하며, 제2 통신부의 적외선 송신부는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적외선 수신부를 향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205)는 주변 전자 장치에 프로세서(202)에서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제2 통신부(205)는 전(全) 방향으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200)가 거실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제2 통신부에서 송신된 적외선 신호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는 모든 전자 장치에 사물 인터넷 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실에 있는 에어컨의 리모컨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해두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제어 메뉴를 통해 집 밖에서도 에어컨의 작동 제어를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205)는 별도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부(205)는 무선 통신 장치(200)에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장치(210)의 적외선 신호 수신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통신부(205)는 다른 전자 장치의 적외선 신호 수신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부(205)는 원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적외선 신호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하여 전(全) 방향으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 통신부(204)에서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는 유선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선 출력부는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영상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셋탑박스에 무선 통신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은 무선 통신 장치(200)의 유선 출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화면에서의 출력 영상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속도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연결 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으로, 예를 들면, USB 메모리 스틱과 같은 외형을 가지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인터페이스 포트(310), 제2 인터페이스 포트(320) 및 적외선 모듈 연결 포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장치(예를 들면, TV, PC, 셋톱박스, 콘솔 등)의 출력 포트에 무선 통신 장치(300)의 제1 인터페이스 포트(310)를 연결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장치의 출력 포트는 HDMI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 장치(300)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300)의 프로세서는 HDMI 데이터를 다른 포맷(예를 들면, H.264)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HDMI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HDMI 데이터를 다른 포맷의 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300)는 유선 출력 포트(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출력 포트(340)는 제1 인터페이스 포트(310)를 통하여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터페이스 포트(310) 및 유선 출력 포트(340)는 720P(progressive) 이상을 지원하는 규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위 기기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버전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유선 출력 포트(340)를 통한 출력 영상과 무선 통신부를 통한 출력 영상은 동일한 속도로 출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선 출력 포트(340)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출력되는 스트리밍 포맷의 데이터는 서로 동기화되어 동일한 속도로 출력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30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제어 명령을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하고, 무선 통신 장치의 제2 인터페이스 포트(320)를 통하여 변환된 하드웨어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모듈 연결 포트(330)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300)와 적외선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면,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주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모듈에 연결된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해서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도 6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적외선 모듈에 연결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420)는 멀티미디어 장치(410)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43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420)는 적외선 모듈(421)의 연결 포트(422)와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420)는, 멀티미디어 장치(41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430)에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 무선 통신 장치(420)는 사용자 단말(430)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4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적외선 모듈(421)을 통해 적외선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4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모듈(421)을 통해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는 멀티미디어 장치(410)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430)이 멀티미디어 장치의 채널 조절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4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420)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채널 조절 명령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여, 적외선 모듈(421)을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41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모듈(421)을 통해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는 적외선 모듈(421)의 신호 송신 가능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430)이 주변에 있는 에어컨의 온도 조절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4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420)는 에어컨의 온도 조절 명령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여, 적외선 모듈(421)을 통해 에어컨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에어컨은 적외선 모듈(421)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 및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420)는 주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420)는 적외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유무선 전송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모듈(421)은 복수의 송신부(Tx), 복수의 수신부(Rx) 및 연결 포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42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클라이언트 소프트에 의해서 전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모듈(421)의 수신부(Rx)는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적외선 신호는 연결 포트(422)를 통해서 무선 통신 장치(420)에 전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부(Tx)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전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4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연결 포트(422)를 통해서 적외선 모듈(42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모듈(421)의 송신부(Tx)는 적외선 신호를 전자 장치에 송신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리모컨을 지원하는 모든 전자 장치에 추가적인 작업 없이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42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430)은 사물 인터넷 환경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주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리모컨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복제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포트(422)는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달하고,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모듈(421)은 적외선 모듈(421)의 모든 방향으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고, 적외선 모듈(421)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모듈(421)은 원 형태로 제작되며, 3개의 송수신부(TxRx) 쌍이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일 뿐, 적외선 모듈(421)의 형태나, 송수신부(TxRx)의 배치 형태 및 개수는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410)는, 적외선 모듈(421)로부터 전달받은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410)는, 사용자 단말(4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여 상기 적외선 모듈(421)에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410)는, 전달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410)에 생성된 제어 메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 중 셋톱박스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520)는 셋톱박스(510)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530)의 셋톱박스(510)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셋톱박스(510)는 디스플레이 장치(511)에 연결되며, 리모컨(512)에 의해 채널 변경, 음량 조절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520)는 셋톱박스(510)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포트와 USB 포트에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520)는 멀티미디어 장치(510)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포트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520)는 USB 포트를 통해서 셋톱박스(5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520)는 사용자 단말(5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경하여 적외선 모듈(521)을 통해서 셋톱박스(510)에 전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520)는 적외선 모듈(521)을 이용해서 셋톱박스의 리모컨(512)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520)는 저장된 적외선 신호를 제어 메뉴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5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520)는 리모컨의 적외선 신호를 복제하여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530)이 무선 통신을 통해서 무선 통신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무선 통신 장치(520)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여 적외선 모듈(521)의 송신부를 통해서 셋톱박스(510)에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해서 사물 인터넷 환경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적외선 모듈(62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650)을 통해 주변 전자 장치(예를 들면, 에어컨(6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모듈(620)은 수신부 및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 및 송신부는 적외선 신호를 모든 방향에서 수신하고 모든 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외선 모듈(620)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TV(611), 에어컨(630), 인터넷 공유기(640) 및 셋톱박스(6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어떠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적외선 모듈(620)을 통해서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통해 리모컨을 복제할 수 있다. 이때, 복제된 리모컨은 무선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650)에 제어 메뉴 형태로 에뮬레이션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650)을 이용해서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에뮬레이션 된 제어 메뉴를 통해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여 적외선 모듈(620)을 통해 전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영상 신호 전송의 레이턴시를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720)는 멀티미디어 장치(710)에서 영상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730)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656 포트(721), 인코더(722) 및 RTSP 어플리케이션(723)을 통해서 스트리밍 포맷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656 포트(721)는 RGB 형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YUV 형식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656 포트는 ITU 656 표준을 지원하는 포트로, ITU 656 표준은 압축되지 않은 PAL 또는 NTSC 표준 텔레비전을 스트리밍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프로토콜을 말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656 포트(721)는 CSI 656 포트, CI 656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722)는 656 포트(721)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RTSP 어플리케이션(723)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들어서 사용자 단말(730)에 전달할 수 있다. RTSP는 Real-Time Streaming Protocol의 약어로,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규약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음성 신호 전송의 레이턴시를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820)는 멀티미디어 장치(810)에서 음성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830)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오디오 인터페이스(821), 인코더(822) 및 RTSP 어플리케이션(823)을 통해서 스트리밍 포맷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인터페이스(821)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로,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822)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RTSP 어플리케이션(823)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들어서 사용자 단말(8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컴퓨터의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에 제1 인터페이스부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콘솔 장치인 경우, 콘솔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에 제1 인터페이스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는 HDMI 포트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출력 포트는 HDMI 포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변환된, 스트리밍 영상 포맷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264 방식/720p/30fps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변환된 포맷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변환된 다른 포맷의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Wi-Fi 무선망으로 송출할 수 있고, Wi-Fi 무선망을 통하여 송출된 데이터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브라우징될 수 있다.
단계(93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제어 신호는 마우스 신호 또는 키보드 신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콘솔 장치인 경우, 제어 신호는 제어 패드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제어 신호는 소프트웨어 신호 또는 하드웨어 신호가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소프트웨어 신호인 경우,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 신호는 마우스 신호, 키보드 신호 및 컨트롤 패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USB 연결 포트를 통해서 제어 신호 및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를 멀티미디어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범용 HID 칩을 통해 마우스, 키보드 및 제어 패드의 드라이버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의 USB 연결 포트를 멀티미디어 장치에 연결하면, 범용 HID 드라이버가 멀티미디어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HID 드라이버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신호를 소프트웨어 방식이 아닌 하드웨어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HID 드라이버는 범용 마우스 드라이버, 범용 키보드 드라이버 및 범용 조이패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가 소프트웨어 방식의 신호인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에 전송될 제어 신호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의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가 문자 입력 신호인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에 전송될 제어 신호는 키보드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가 화면 터치 입력 신호인 경우, 멀티미디어 장치에 전송될 제어 신호는 마우스 클릭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의 터치 패드 메뉴로부터 콘솔 장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멀티미디어 장치에 전송될 제어 신호는 제어 패드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계(94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101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와의 연결 포트를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컴퓨터의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에 제1 인터페이스부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콘솔 장치인 경우, 콘솔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에 제1 인터페이스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및 음성 출력 포트는 HDMI 포트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출력 포트는 HDMI 포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변환된, 스트리밍 영상 포맷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264 방식/720p/30fps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변환된 포맷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변환된 다른 포맷의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Wi-Fi 무선망으로 송출할 수 있고, Wi-Fi 무선망을 통하여 송출된 데이터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브라우징될 수 있다.
단계(103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제어 신호는 마우스 신호 또는 키보드 신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장치가 콘솔 장치인 경우, 제어 신호는 제어 패드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제어 신호는 소프트웨어 신호 또는 하드웨어 신호가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소프트웨어 신호인 경우,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 신호는 마우스 신호, 키보드 신호 및 컨트롤 패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4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미리 저장된 적외선 신호 중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ON)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적외선 신호 중 온(ON)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적외선 신호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조사 별 대표 적외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미리 저장된 적외선 신호는 제어 신호 수신 전에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미리 수신하여 복사된 적외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5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는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송신부는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멀티미디어 장치를 향해서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111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적외선 모듈을 통해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리모컨은 무선 통신 장치가 연결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리모컨은 적외선 모듈의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전자 장치의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12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적외선 신호 및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제어 메뉴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적외선 신호가 멀티미디어 장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신호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적외선 신호와 멀티미디어 장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여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이 무선 통신을 통해서 무선 통신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여 셋톱박스에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113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제어 메뉴 중 하나의 제어 메뉴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무선 통신 장치
101: 제1 인터페이스부
102: 제2 인터페이스부
103: 프로세서
104: 무선 통신부

Claims (23)

  1.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yuv 방식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마우스 신호, 키보드 신호 및 컨트롤 패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는 유선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미리 저장된 적외선 신호 중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제2 통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어 메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별도의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적외선 신호 수신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이패스하여 출력하는 유선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적외선 모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 장치에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전달 받는 연결 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전달된 적외선 신호를 복사 및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여 상기 적외선 모듈에 전달하는
    적외선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전달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어 메뉴를 송신하는
    적외선 모듈.
  17.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의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마우스 신호, 키보드 신호 및 컨트롤 패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패드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제어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
  20.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장치와의 연결 포트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적외선 신호 중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적외선 신호를 적외선 모듈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어 메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상기 적외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외선 모듈의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적외선 모듈로부터 적외선 신호가 송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리모컨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어 메뉴가 입력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제어 방법.
KR1020150056025A 2014-07-14 2015-04-21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08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41 2014-07-14
KR20140088541 2014-07-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449A true KR20160008449A (ko) 2016-01-22

Family

ID=5530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025A KR20160008449A (ko) 2014-07-14 2015-04-21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4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8992B2 (en)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commander, remote control server
US9686579B2 (en) Television tuner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audiovisual content
US2012011404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high resolution multimedia data and method thereof
US9794634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viewing and controlling audio video content in a home network
US9420329B2 (en) Multistream tuner stick device for receiving and streaming digital content
EP2840858A1 (en) Methods for content sharing utilising a compatibility notification to a display forwarding function and associated devices
US20130154812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remote control instructions
US958299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devices to accept and process remote control commands
KR20210098971A (ko) Tv 및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텔레비전 수신기 애플리케이션
CN205490969U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多媒体播放系统
KR101582801B1 (ko) Hdmi 동글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30097648A1 (en) Internet-enabled smart television
WO2017160404A1 (en) User input based adaptive streaming
CN105578232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多媒体播放系统及播放方法
US2018026790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US8233802B2 (en) Portable infrared control liaison
KR20160008449A (ko)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01377A1 (zh) 处理装置、显示装置以及多媒体系统
KR102051419B1 (ko) 방송 프로그램 다중표시를 위한 셋톱박스
KR102269520B1 (ko) 무선 av 시스템에서 세컨드 장치를 이용한 연속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718965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CN105913626A (zh) 一种实现从源端显示屏到目的端显示屏的镜像功能的设备
WO2023273992A1 (zh) 无线传输系统、方法及装置
KR101337952B1 (ko) 개인용컴퓨터와 텔레비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CN100591119C (zh) 网络视讯播放系统与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