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298A -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 Google Patents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298A
KR20160008298A KR1020140088272A KR20140088272A KR20160008298A KR 20160008298 A KR20160008298 A KR 20160008298A KR 1020140088272 A KR1020140088272 A KR 1020140088272A KR 20140088272 A KR20140088272 A KR 20140088272A KR 20160008298 A KR20160008298 A KR 20160008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ap body
dispenser
spring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0900B1 (en
Inventor
김건무
Original Assignee
김건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무 filed Critical 김건무
Priority to KR102014008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900B1/en
Publication of KR2016000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ontain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umping having a double dispenser, which has two dispensers and/or a compartmen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umping,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umping according to the request of a user and obtaining the desired amount of pumping even if the amount of pumping is reduced.

Description

이중 디스펜서를 구비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djusting a discharge amount with a dual dispenser,

본 발명은 샴푸, 린스, 로션, 향수 등(이하, '샴푸 등'이라 함)의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디스펜서를 구비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따라 내용물의 배출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for shampoo, rinse, lotion, perfume,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ampoo or the lik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al dispen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controlling a discharge amount.

현재 사용 중인 샴푸 등의 보관 용기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손잡이 등을 눌러서 안에 든 것을 펌핑(pumping)으로 뽑아 쓸 수 있는 디스펜서(dispenser)가 하나 구비된 형태를 하고 있다.A storage container such as a shampoo which is currently in use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which can be pumped by pushing a handle or the like at an upper end of a container body capable of containing contents.

그런데, 종래 샴푸 등의 보관 용기는 디스펜서에 기 설정된 양만큼 획일적으로 내용물을 토출시키고 있어,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요구 조건에 만족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어 왔다.However, conventionally, storage containers such as shampoos are uniformly discharging the contents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dispenser, and it has been difficult to meet different requirements for each us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10451호에서는 디스펜서의 일부분에 스트로크 조절유닛을 제공하여, 디스펜서의 누름부가 피조절부재에 의하여 설정된 유효 스트로크만큼만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일회 토출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65548호에서는 용기뚜껑에 다수의 용량 스토퍼를 구비하여 누름 돌기가 해당 스토퍼에 걸리도록 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10451 discloses a technique of providing a stroke adjusting unit in a part of a dispenser so that the pushing portion of the dispenser is lowered by only the effective stroke set by the member to be adjust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65548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plurality of capacity stoppers are provided on a container lid so that the pushing protrusion is caught on the stopper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모두 하나의 디스펜서를 사용함에 따라 토출량을 줄일 경우 원하는 토출량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all of the prior art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discharge amount when the discharge amount is reduced by using one dispenser.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 개의 디스펜서 및/또는 하나의 토출량 조절용 격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토출량을 줄일 경우에도 원하는 토출량을 얻을 수 있는 이중 디스펜서를 구비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dispenser capable of obtaining a desired discharge amount even when the discharge amount is reduc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by providing two dispensers and /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구비된 캡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 사이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제 1 디스펜서; 및 상기 제 1 디스펜서와 연결되어 상기 캡 본체의 상부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for controlling a discharge amount, comprising: a container body capable of containing contents; A cap body provided above the container body; A first dispenser installed through the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ap body; And a second dispenser connected to the first dispenser and extending through the upper wall of the cap body.

상기 캡 본체는 2개 이상의 격실로 나누고, 상기 제 2 디스펜서의 흡입구가 있는 격실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부피조절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cap main body further includes volume adjusting means for dividing the cap main body into two or more compartments and adjusting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having the suction port of the second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제 2 디스펜서에 체결되어 내벽을 따라 기밀하게 슬라이딩하며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격리판으로 내부 공간을 상하 2개 격실로 나누고, 상기 부피조절수단은 상기 캡 본체를 실린더로 하고, 상기 격리판을 피스톤으로 하여, 상기 캡 본체의 상부 벽에 관통하며 체결된 격리판 상승 조절봉으로 상기 제 2 디스펜서의 흡입구가 있는 상기 캡 본체의 하부 격실의 부피를 조절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cap body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ompartments by a separator provided on the second dispenser and slidable along the inner wall to move up and down. The volume of the lower compartment of the cap main body having the suction port of the second dispenser is regulated by the separator ascending adjustment rod penetrating the upper wall of the cap main body using the separator as a piston, It is another feature of the control container.

상기 제 1 디스펜서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 사이 벽에 관통하며 수직하게 장착된 단차진 내경을 갖는 스프링 안착용 제 1 실린더, 상기 제 1 실린더의 단차진 내경 입구에 구비된 제 1 볼 밸브, 상기 제 1 볼 밸브를 내포하며 상기 제 1 실린더의 단차진 턱에 안착 설치된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의 상부를 누르며 상기 제 1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 1 피스톤 관과 상단 일측에 제 1 토출부를 갖는 제 1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펜서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 사이 벽 또는 상기 제 1 실린더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흡입구를 구비한 가이드용 흡입관, 상기 가이드용 흡입관의 출구에 구비된 제 2 볼 밸브, 상기 캡 본체의 상부 벽을 관통하며 수직하게 장착된 단차진 내경을 갖는 스프링 안착용 제 2 실린더, 상기 제 2 실린더의 단차진 턱에 안착 설치된 제 2 스프링, 상기 제 2 실린더 및 상기 제 2 스프링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격리판과 체결 고정되는 제 2 피스톤 관, 상기 제 2 피스톤 관의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스프링의 상부를 누르는 단턱을 가지며 상기 제 2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 3 피스톤 관, 상기 제 3 피스톤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 일측에 제 2 토출부를 갖는 제 2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dispenser has a first spring-loaded first cylinder having a stepped inner diameter vertically mounted through a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ap body, a first ball valve provided at the stepped inner diameter entrance of the first cylinder, A first spring accommodating the first ball valve and seated on a stepped step of the first cylinder, a first piston tube inserted into the first cylinder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ring, and a first discharge portion Wherein the second dispenser includes a suction pipe for guiding a guide, which is fastened to a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ap body or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and has the suction port, an outlet of the guide suction pipe A second ball valve mounted on the cap body, a second spring-loaded second cylinder having a stepped inner diameter vertically mounted through the upper wall of the cap body, A second pist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ylinder and the second spring and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separator, and a second piston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ston tube And a second operating member having a stepped portion for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ylinder, and a second operating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third piston and having a second discharging portion at an upper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other feature of the discharge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 1 작동부재는 상단 타측으로 체결공을 갖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제 2 피스톤 관에 체결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ctua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fastening hole on the upper end side and the fastening hole is fastened to the second piston tub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용기 본체는 상부에 상기 캡 본체가 내측으로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 돌출부에 삽입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단턱진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container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so that the cap body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body is stepped outwardly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 .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펜서 및/또는 하나의 토출량 조절용 격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토출량 조절이 가능하고 토출량을 줄일 경우에도 원하는 토출량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dispensers and / or one discharge amount controlling compartm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and to obtain the desired discharge amount even when the discharge amount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동작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동작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량 조절용 용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구비된 캡 본체(20);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 사이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제 1 디스펜서(30); 및 상기 제 1 디스펜서와 연결되어 상기 캡 본체의 상부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제 2 디스펜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container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10 capable of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 cap body (2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 first dispenser (30) installed through the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ap body; And a second dispenser (40) connected to the first dispenser and penetrating the upper wall of the cap body.

여기서, 상기 캡 본체(20)는 2개 이상의 격실로 수직 또는 수평으로 나눌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수직하게 2개의 격실이 나누어진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2개 이상의 격실 중 상기 제 2 디스펜서의 흡입구가 있는 격실이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이 된다.Here, the cap body 20 can be vertically or horizontally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artments, which are shown in FIG. 1 as two vertically divided compartments. The compartment having the suction port of the second dispenser among the two or more compartments becomes the discharge volume control compartment 21.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제 2 디스펜서(40)의 작동으로 이에 연결된 상기 제 1 디스펜서(30)가 함께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디스펜서(30)에 의하여 용기 본체(10)의 내부 공간(11)에 담겨있는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에 채움과 동시에 또는 이미 채워진 상태에서는 선행적으로 상기 제 2 디스펜서(40)에 의하여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에 채워진 내용물을 용기 밖으로 펌핑되도록 하여, 상기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의 부피에 따른 일정량만 토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dispenser 30 connected to the second dispenser 4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ispenser 40 so that the internal space 11 of the container body 10 Is filled into the discharge volume control compartment 21 or the contents filled in the discharge volume control compartment 21 are pumped out of the container by the second dispenser 40 in advance , It is possible to discharge only a predetermined amount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discharge amount controlling compartment 21.

그리고, 상기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토출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Further, when the volume of the discharge amount controlling compartment 21 can be adjusted, the discharge amount according to the user's demand can be reduced.

상기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부피조절수단을 상기 캡 본체(20)에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volum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discharge amount controlling compartment 21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the cap body 20,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과 같이, 상기 캡 본체(20)에 내벽을 따라 기밀하게 슬라이딩하며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격리판(22)을 위치시켜 캡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상하 2개 격실로 나누고, 상기 격리판(22)은 제 2 디스펜서(40)의 끝에 체결시켜, 캡 본체(20)를 실린더로 하고, 격리판(22)을 피스톤으로 하여, 상하 피스톤 작동으로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을 가압함으로써, 이에 채워진 내용물을 용기 밖으로 펌핑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inner space of the cap body 20 is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compartments by locating the separator 22 so that the cap body 20 slides along the inner wall and moves up and down. The separator 22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second dispenser 40 so that the discharge volume control compartment 21 is pressed by the upper and lower pistons using the cap body 20 as a cylinder and the separator 22 as a piston , And the filled contents are pumped out of the container.

특히, 도 1과 같이, 상기 캡 본체(20)의 상부 벽에 관통하며 체결된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으로 상기 격리판(22)의 상승 범위를 제한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2 디스펜서(40)의 흡입구(41a)가 있는 캡 본체(20)의 하부 격실, 즉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의 부피를 조절하게 하여 상기 부피조절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1, by limiting the rising range of the separator plate 22 by the separator ascending adjustment rod 50 penetrating the upper wall of the cap body 20, the second dispenser 40 The volume of the lower compartment of the cap body 20, that is, the volume of the discharge volume control compartment 21, can be adjusted.

다음은, 도 2를 참조하며, 상기 제 1 디스펜서(30) 및 상기 제 2 디스펜서(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dispenser 30 and the second dispenser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 1 디스펜서(30)는 상기 용기 본체(10)와 상기 캡 본체(20) 사이 벽에 관통하며 수직하게 장착된 단차진 내경을 갖는 스프링 안착용 제 1 실린더(33), 상기 제 1 실린더의 단차진 내경 입구에 구비된 제 1 볼 밸브(35), 상기 제 1 볼 밸브를 내포하며 상기 제 1 실린더의 단차진 턱에 안착 설치된 제 1 스프링(36), 상기 제 1 스프링의 상부를 누르며 상기 제 1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 1 피스톤 관(37)과 상단 일측에 제 1 토출부(39)를 갖는 제 1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dispenser 30 includes a spring inner first cylinder 33 having a stepped inner diameter vertically mounted through a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cap body 20, A first ball valve (35)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stepped inner diameter, a first spring (36) containing the first ball valve and seated on a stepped step of the first cylinder, And a first operation member having a first piston tube (37) inserted into the first cylinder and a first discharge portion (39)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상기 제 2 디스펜서(40)는 상기 용기 본체(10)와 상기 캡 본체(20) 사이 벽 또는 상기 제 1 실린더의 상부(34)에 체결되고(전자의 실시예는 미도시) 상기 흡입구(41a)를 구비한 가이드용 흡입관(41), 상기 가이드용 흡입관의 출구에 구비된 제 2 볼 밸브(43), 상기 캡 본체(20)의 상부 벽을 관통하며 수직하게 장착된 단차진 내경을 갖는 스프링 안착용 제 2 실린더(45), 상기 제 2 실린더의 단차진 턱에 안착 설치된 제 2 스프링(47), 상기 제 2 실린더(45) 및 상기 제 2 스프링(47)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격리판(22)과 체결 고정되는 제 2 피스톤 관(46), 상기 제 2 피스톤 관의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스프링(47)의 상부를 누르는 단턱을 가지며 상기 제 2 실린더(45)에 삽입되는 제 3 피스톤 관(48), 상기 제 3 피스톤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 일측에 제 2 토출부(44)를 갖는 제 2 작동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dispenser 40 is fastened to the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cap body 20 or the upper portion 34 of the first cylinder (not shown in the former embodiment) , A second ball valve (43) provided at an outlet of the guide suction pipe, and a spring having a stepped inner diameter vertically mounted through the upper wall of the cap body (20) A second spring 47 mounted on a stepped step of the second cylinder 45, a second cylinder 45, and a second spring 47 inserted through the second cylinder 45, A second piston tube 46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piston 45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ston tube and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47, A third piston tube 48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piston tube, and a second discharge section 44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piston tube, And a second actuating member (42)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용 흡입관(41)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 중앙에, 상기 제 2 실린더(45)는 상기 캡 본체(20)의 상부 중앙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실린더(33)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 중앙에서 약간 편심된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실린더(33)의 하부 작은 내경 부위(32)에는 흡입 튜브(31)가 끼워져 있고, 상기 흡입 튜브(31)의 끝단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은 상기 흡입 튜브(31)의 끝단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suction pipe (41) is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second cylinder (45) is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cap body (20) (33) is mounted at a slightly eccentric position in the upper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a suction tube (31) is fitted in a lower inner diameter portion (3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33) The bottom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is inclined toward the end of the suction tube 31.

상기 부피조절수단의 한 구성인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은, 도 2와 같이, 상기 캡 본체(20)의 상부 벽에 관통하며 상부 벽과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 되어,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의 회전으로 상부 벽 위 아래로 승강하면서, 상기 격리판(22)의 상승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의 하부 끝단에는 아무런 체결 없이 구성될 수도 있으나, 소정의 면적을 갖는 너트(52)가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eparator ascending adjustment rod 50,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volume adjusting means, passes through the upper wall of the cap body 20 and is screwed with the upper wall, It is possible to limit the ascending range of the separator 22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on the upper wall by the rotation of the separator plate 50. A nut 52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eparator lifting bar 50 without any fastening.

상기 용기 본체(10)는, 도 2와 같이, 상부(12)에 상기 캡 본체(20)가 내측으로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돌출부(1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캡 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 돌출부(14)에 삽입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단턱진 삽입부(23)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3)가 상기 체결 돌출부(14)에 강제끼움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고, 상기 삽입부(23) 및 상기 체결 돌출부(14)의 마주 접하는 각 면에 나사 산을 만들어 나사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캡 본체(20)의 내측에 격리판(22)의 상승 제어 돌기를 만들게 되면, 상술한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에 의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상기 부피조절수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2, a fastening protrusion 14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12 so that the cap body 2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12.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body 20 A stepped inserting portion 2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 14 so that the inserting portion 23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4 in a forced fitting manner,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facing surfaces of the fastening protrusion 2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4 so as to be fastened by a screw method. In the latter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f the rising control protrusion of the separator 22 is formed inside the cap body 20, the volume control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f the separator lifting bar 50 is not use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means can be implemented.

상기 제 1 디스펜서(30)와 상기 제 2 디스펜서(40) 사이의 연결은 상기 제 1 실린더(33)의 상부(34)와 상기 가이드용 흡입관(41)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도 2와 같이, 상기 제 1 작동부재(37, 39)의 상단 타측으로 체결공을 갖는 돌출부(38)를 더 형성하여, 상기 연결 이외에 선택적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체결공에 상기 제 2 피스톤 관(46)이 삽입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2 피스톤 관(46)의 끝 부분, 즉, 상기 격리판(22)의 관통공(26)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부분(46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기 제 1 작동부재(37, 39)의 돌출부(38)와 결합된 후에는 소정의 너트(49)로 조여 상기 각 구성(22)(38)의 체결을 확고히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ispenser 30 and the second dispenser 40 may be realized by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34 of the first cylinder 3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uction pipe 41, 2, a protruding portion 38 having a fastening hol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first actuating member 37, 39 so that the second piston tube (not shown) may be selectively or additionally provided, 46 are inserted and fastened. At this time, threads are formed in the end portions of the second piston tube 46, that is, the through holes 26 of the separator 22 and the portions 46a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It is more preferable to tighten the respective components 22 and 38 by tightening with a predetermined nut 49 after the engagement with the projections 38 of the first actuating members 37 and 39 desirable.

상기 제 2 디스펜서(40)의 제 2 작동부재(42)는 내부로 토출 노즐이 형성되기만 하면 되므로, 손잡이, 누름 수단 등의 기능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actuating member 42 of the second dispenser 40 needs only to form a discharge nozzle therein,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by the function of a handle, a pressing means,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격리판(22)은 상기 캡 본체(20)에 내벽을 따라 기밀하게 슬라이딩하여야 하므로, 바깥 둘레로 밀폐용 O-링(24)이 더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Since the separator 22 should slide airtightly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ap body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O-ring 24 is further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기타, 도면의 미설명된 부호 25는 제 2 실린더(45)의 삽입용 관통공, 27은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의 나사 체결공, 29는 캡 본체의 상부를 가리킨다.Reference numeral 25 denotes a through hole for insertion of the second cylinder 45. Reference numeral 27 denotes a screw fastening hole of the separator ascending adjustment rod 50. Reference numeral 29 denotes an upper portion of the cap body.

다음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며, 도 1 및 도 2의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and 2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먼저, 도 3과 같이,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조절봉(50)의 끝단에 체결된 너트(52) 위치가 승강하게 되어, 이를 통해 격리판(22)의 상승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3, the position of the nut 52 fastened to the end of the control rod 50 is raised and lowered, thereby moving the separator plate 22 upward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ange.

그리고,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으로 격리판(22)의 상승범위를 제한시킨 다음, 도 4(a)와 같이, 액상의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상기 제 2 디스펜서(40)의 제 2 작동부재(42)를 눌러주게 되면, 제 2 피스톤 관(46)과 제 3 피스톤 관(48) 사이에 형성된 단턱으로 제 2 스프링(47)을 압축시키며 제 2 피스톤 관(46)의 하부에 체결된 격리판(22) 및 제 1 작동부재(37, 39)를 하강하게 된다.4 (a), the separation plate 22 is restrained by the separator lifting bar 50. Then,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of the liquid phase is filled as shown in Fig. 4 (a) 2 dispenser 40 compresses the second spring 47 with the step formed between the second piston tube 46 and the third piston tube 48 while the second piston 47 compresses the second piston 47, The separator 22 and the first actuating members 37 and 39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46 are lowered.

이때, 상기 격리판(22)의 하강으로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을 가압하게 되어 제 1 볼밸브(35)는 처음 닫힌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제 2 볼밸브(43)은 상승하며 열리게 되고 그 결과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은 제 2 토출부(44)로 나오게 된다.At this time, the separating plate 22 pressurizes the discharge amount controlling compartment 21 so that the first ball valve 35 keeps being closed for the first time, while the second ball valve 43 is opened and opened. The contents of the liquid phase filled in the resulting discharge amount controlling compartment 21 are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ing portion 44. [

한편, 상기 제 1 작동부재(37, 39)의 하강으로 제 1 피스톤 관(37)은 제 1 스프링(36)를 가압하여 압축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iston 37 presses the first spring 36 by pressing down the first actuating members 37 and 39.

상기 동작은 제 2 작동부재(42)를 눌러주는 힘에 의하여, 격리판(22)이 설정된 하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 2 작동부재(42)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4(c)와 같이, 제 1 스프링(36) 및 제 2 스프링(47)의 복원력에 의하여 격리판(22)을 상승시키게 된다.The operation is performed until the separator 22 reaches the set lowering position by the force pressing the second operation member 42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operation member 42 is removed The separator 22 is lif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36 and the second spring 47 as shown in FIG. 4 (c).

이때, 상기 격리판(22)의 상승으로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은 감압하게 되어 제 1 볼밸브(35)는 상승하여 열리게 되고, 제 2 볼밸브(43)은 닫히게 되어 그 결과로 용기 본체(10)의 내용물이 흡입 튜브(31)를 통하여 제 1 토출부(39)로 배출되어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을 다시 채우게 되고, 제 2 토출부(44)로는 원하는 양(A)만큼 토출하게 된다. 즉, 격리판 상승 조절봉(50)으로 격리판(22)이 상승되는 범위를 제한하여 내용물이 채워지는 토출량 조절용 격실(21)의 부피를 조절하여 원하는 양(A)만큼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due to the rising of the separator 22, the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compartment 21 is depressurized, so that the first ball valve 35 is lifted up and the second ball valve 43 is closed. As a result, 10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ion 39 through the suction tube 31 to refill the discharge amount adjustment compartment 21 and to discharge the desired amount A to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44 . That is, the separating plate 22 can be raised by the separator lifting bar 50 to regulate the volume of the discharging amount controlling compartment 21 filled with the contents, and discharged by the desired amount A.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일부 구성을 등가성 있는 구성으로 대체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나, 이로 인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에 제한적으로 작용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by replacing some configurations with equivalent configurations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10: 용기 본체
11: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
12: 용기 본체의 상부
14: 체결 돌출부
20: 캡 본체
21: 토출량 조절용 격실
22: 격리판
23: 캡 본체의 삽입부
30: 제 1 디스펜서
31: 흡입 튜브
33: 제 1 실린더
35: 제 1 볼밸브
36: 제 1 스프링
37: 제 1 피스톤 관
39: 제 1 토출부
40: 제 1 디스펜서
41: 가이드용 흡입관
42: 제 2 작동부재
43: 제 2 볼밸브
44: 제 2 토출부
45: 제 2 실린더
46: 제 2 피스톤 관
47: 제 2 스프링
48: 제 3 피스톤 관
49: 체결 너트
50: 격리판 상승 조절봉
10:
11: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ody
12: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4: fastening protrusion
20: cap body
21: Discharge volume control room
22: separator plate
23: insertion portion of the cap body
30: First dispenser
31: Suction tube
33: First cylinder
35: first ball valve
36: first spring
37: first piston tube
39: First discharge portion
40: first dispenser
41: guide suction pipe
42: second operating member
43: second ball valve
44: second discharge portion
45: second cylinder
46: second piston tube
47: second spring
48: Third piston tube
49: Clamping nut
50: diaphragm lift control rod

Claims (6)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구비된 캡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 사이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제 1 디스펜서; 및
상기 제 1 디스펜서와 연결되어 상기 캡 본체의 상부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용 용기.
A container body capable of containing contents;
A cap body provided above the container body;
A first dispenser installed through the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ap body; And
And a second dispenser connected to the first dispenser and extending through an upper wall of the cap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2개 이상의 격실로 나누고, 상기 제 2 디스펜서의 흡입구가 있는 격실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부피조절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 body further comprises volume adjusting means for dividing the cap body into two or more compartments and adjusting a volume of the compartment having the suction port of the second dispen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제 2 디스펜서에 체결되어 내벽을 따라 기밀하게 슬라이딩하며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격리판으로 내부 공간을 상하 2개 격실로 나누고,
상기 부피조절수단은 상기 캡 본체를 실린더로 하고, 상기 격리판을 피스톤으로 하여, 상기 캡 본체의 상부 벽에 관통하며 체결된 격리판 상승 조절봉으로 상기 제 2 디스펜서의 흡입구가 있는 상기 캡 본체의 하부 격실의 부피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용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p main body is a separator which is fastened to the second dispenser and slid airtightly along the inner wall and can move up and down, and divides the inner space into two compartments,
Wherein the volume adjusting means includes a separator raising and lowering rod penetrating the upper wall of the cap body with the cap body as a cylinder and the separator as a piston, And the volume of the lower compartment is regulat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펜서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 사이 벽에 관통하며 수직하게 장착된 단차진 내경을 갖는 스프링 안착용 제 1 실린더, 상기 제 1 실린더의 단차진 내경 입구에 구비된 제 1 볼 밸브, 상기 제 1 볼 밸브를 내포하며 상기 제 1 실린더의 단차진 턱에 안착 설치된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의 상부를 누르며 상기 제 1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 1 피스톤 관과 상단 일측에 제 1 토출부를 갖는 제 1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펜서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 본체 사이 벽 또는 상기 제 1 실린더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흡입구를 구비한 가이드용 흡입관, 상기 가이드용 흡입관의 출구에 구비된 제 2 볼 밸브, 상기 캡 본체의 상부 벽을 관통하며 수직하게 장착된 단차진 내경을 갖는 스프링 안착용 제 2 실린더, 상기 제 2 실린더의 단차진 턱에 안착 설치된 제 2 스프링, 상기 제 2 실린더 및 상기 제 2 스프링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격리판과 체결 고정되는 제 2 피스톤 관, 상기 제 2 피스톤 관의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스프링의 상부를 누르는 단턱을 가지며 상기 제 2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 3 피스톤 관, 상기 제 3 피스톤 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 일측에 제 2 토출부를 갖는 제 2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용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dispenser has a first spring-loaded first cylinder having a stepped inner diameter vertically mounted through a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ap body, a first ball valve provided at the stepped inner diameter entrance of the first cylinder, A first spring accommodating the first ball valve and seated on a stepped step of the first cylinder, a first piston tube inserted into the first cylinder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ring, and a first discharge portion And a second actuating member,
The second dispenser may include a suction pipe for a guide, which is fastened to a wall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ap body or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and has the suction port, a second ball valve provided at an outlet of the guide suction pipe, A second spring mounted on the stepped jaw of the second cylinder, a second spring mounted on the stepped jaw of the second cylinder, a second spring mounted on the second cylinder and the second spring, A third piston tu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ston tube and having a step for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ylinder, And a second actuating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piston tube and having a second discharge por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thereof. Grou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부재는 상단 타측으로 체결공을 갖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제 2 피스톤 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용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ctuating member is further form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fastening hole on an upper end side thereof,
Wherein the fastening hole is fastened to the second piston tub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부에 상기 캡 본체가 내측으로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 돌출부에 삽입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단턱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용 용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container body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cap body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cap body is stepped outwardly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KR1020140088272A 2014-07-14 2014-07-14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KR101600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72A KR101600900B1 (en) 2014-07-14 2014-07-14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72A KR101600900B1 (en) 2014-07-14 2014-07-14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298A true KR20160008298A (en) 2016-01-22
KR101600900B1 KR101600900B1 (en) 2016-03-08

Family

ID=5530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272A KR101600900B1 (en) 2014-07-14 2014-07-14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9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203B1 (en) * 2018-08-17 2020-02-06 (주)아모레퍼시픽 Dispenser having two discharging mo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24Y1 (en) * 2000-01-17 2000-06-15 정상열 A pumping type vessel for washing agent
KR20040053054A (en) * 2004-05-31 2004-06-23 윤석관 Pumping Apparatus for Vessel of Cosmetics
KR200419746Y1 (en) * 2006-03-13 2006-06-23 (주)민진 Packing container with the courage structure in this where pressurization type pumping equipment was applied
KR20100011352A (en) * 2008-07-25 2010-02-03 하일권 Liquid container able to control the discharge volu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24Y1 (en) * 2000-01-17 2000-06-15 정상열 A pumping type vessel for washing agent
KR20040053054A (en) * 2004-05-31 2004-06-23 윤석관 Pumping Apparatus for Vessel of Cosmetics
KR200419746Y1 (en) * 2006-03-13 2006-06-23 (주)민진 Packing container with the courage structure in this where pressurization type pumping equipment was applied
KR20100011352A (en) * 2008-07-25 2010-02-03 하일권 Liquid container able to control the discharge volu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203B1 (en) * 2018-08-17 2020-02-06 (주)아모레퍼시픽 Dispenser having two discharging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900B1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7505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an adjustable discharge quantity
US9199257B2 (en) Press type spray head assembly
US9234781B2 (en) Automatic filling up spuit
KR101631827B1 (en) Pump type Compact case
KR101928640B1 (en)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US10758924B2 (en) Receptacle for mixing of different materials
EP3622848A1 (en) Mixing container for different materials
US9486056B2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and discharging two kinds of contents
KR200453458Y1 (en) Dispenser having dual pump structure
US11317695B2 (en) Cosmetic dropper
KR102017318B1 (en) Dispenser pump
KR101600900B1 (en) Container having double dispensers for adjusting a pumping amount
CN209846379U (en) Essence packing bottle
JP5090517B2 (en) Extrusion container
JP6215117B2 (en) Double container
KR101565769B1 (en) Fixed container discharge part
KR101904381B1 (en) Water proofing pump-dispenser for liquid bottle
JP2003191999A (en) Fixed amount liquid applicator
EP2918346B1 (en) Press type spray head assembly
JP2007069931A (en) Storing container for content
CN211168086U (en) Portable press type adjustable liquid suction device
JP7086549B2 (en) Pump container
KR102383637B1 (en) Cosmetic container
JP3711393B2 (en) Dispensing container
JP6676473B2 (en) Measuring dropp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