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061A -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061A
KR20160008061A KR1020140087723A KR20140087723A KR20160008061A KR 20160008061 A KR20160008061 A KR 20160008061A KR 1020140087723 A KR1020140087723 A KR 1020140087723A KR 20140087723 A KR20140087723 A KR 20140087723A KR 20160008061 A KR20160008061 A KR 2016000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elasticity
skin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154B1 (ko
Inventor
송혜진
김미선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8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1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외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 효능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TIMP-1, 및 PAI-1의 총량 증가과 라미닌 5의 발현을 촉진하는 효능이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도가 높다.

Description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Melandrii Herba extracts}
본 발명은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내부의 수분 및 유용 성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체온조절, 배설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는 나이의 증가와 외부 인자들이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써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노화가 되면 콜라겐 자체의 합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콜라겐을 포함한 결합조직을 분해하는 MMPs(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활성이 증가하여 피부조직 내의 콜라겐 분해를 촉진시켜 콜라겐의 함량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MMPs를 억제하는 내재성 억제제인 TIMP(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가 존재하는데 MMPs와 TIMP의 활성이 균형을 이루어 적절히 조절이 될 때에 생리적인 조직의 재구성과 항상성이 잘 유지되게 된다.
TIMP는 TIMP-1, TIMP-2, TIMP-3, 및 TIMP-4의 4종이 알려져 있는데, 이 중에서 특히 TIMP-1은 MMP-1 및 젤라티나아제(MMP-2, MMP-9) 등의 MMPs의 활성부위에 결합하여 MMPs의 분해능을 비가역적으로 저해한다.
즉, 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발생은 피부 속 콜라겐의 합성력 저하 뿐 아니라 콜라겐의 분해가 촉진되는 것이 그 원인인데, 이러한 항상성의 주요 기능을 MMPs와 TIMP가 담당하고 있으며, MMPs는 콜라겐을 포함한 결합조직을 분해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며 TIMP-1은 MMPs의 작용을 저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피부 기저막(skin basement membrane)은 표피세포의 지지 및 부착, 영양물질의 이동, 표피분화의 조절 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노화에 의해 피부 기저막이 손상되면 기저막의 평평화, 다중화, 단열 등이 일어나서 주름이 발생되며 피부가 쉽게 늘어지거나, 본연의 장벽 기능이 상실되면서 외부 환경의 오염물질을 걸러주지 못해 유해물질이 진피까지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져 피부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손상된 피부 기저막을 회복시키거나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려면 먼저 그 구성 성분들이 제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해야 한다. 피부 기저막을 이루는 단백질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데 이중에서도 콜라겐 타입 IV와 라미닌 5(Laminin 5) 등이 피부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라미닌 5는 피부 기저막에 다량으로 존재하고, 피부의 구조 및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라미닌 5가 녹아웃된 마우스는 표피와 진피가 분리되고, 수포를 형성하는 인간 유전성 질환인 표피 수포증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으로 보아 라미닌 5는 표피와 진피 접착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표피세포에서 생성되는 활성화 단백질 분해효소인 플라스민(Plasmin)은 유로카이네이즈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uPA,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에 의해 활성화되어, 라미닌 5의 분해에 관여하는데, 라미닌 5가 플라스민에 의해 분해되면, 각질세포와의 접착 능력 및 콜라겐과의 친화성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uPA 및 플라스민은 자외선 등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데,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노화는 uPA 및 플라스민의 활성 증가, 이에 의한 라미닌 5의 분해, 그리고 이로 인한 기저막의 기능 저하가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인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억제제 타입-1 (PAI-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은 섬유소 분해 시스템의 주요 억제제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PAI-1은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전환하는 효소인 uPA의 주요 생리학적 억제제이다. 따라서 라미닌 5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라미닌 5의 분해효소인 플라스민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플라스민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소인 PAI-1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고 주름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표피-진피의 경계면인 피부 기저막(skin basement membrane)의 구성성분의 생합성을 증가시키거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하여,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 자원들로부터 독성이 없고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왕불유행 추출물이 콜라겐, TIMP-1 및 PAI-1의 총량을 증가시키고, 라미닌 5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규명하여, 이를 활용한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95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왕불유행(Melandrii Herba)은 패랭이꽃과(Caryophyllacae)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인 장구채(Melandrium firmum) 및 애기장구채(Melandrium apricum)의 종자로서, 활혈, 통경, 최유 등의 효능이 있어 물월경, 유즙불통, 금창출혈 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왕불유행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해당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왕불유행(Melandrii Herba)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왕불유행(Melandrii Herba)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왕불유행을 추출하는 용매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또는 증류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왕불유행을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추출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왕불유행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왕불유행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Hexane),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클로로포름 (Chloroform),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왕불유행 추출물은 콜라겐, TIMP-1, 및 PAI-1의 총량을 증가시키고 라미닌 5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촉진시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콜라겐"은 인체 내에서 양적 및 기능적으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단백질로, 인체 내 모든 세포의 뼈대를 형성하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주요 구성 인자를 의미한다. 콜라겐을 다량 함유하는 인체 조직으로는 피부(skin), 뼈 및 연골 등의 골(bone) 조직, 건(tendon), 인대(ligament) 등이 있다. 상기 조직들의 노화로 인해 피부 주름 및 처짐, 골다공증 등의 인체 노화 질환들이 비롯되며, 이는 조직의 콜라겐 합성 감소로 인한 체내 콜라겐 양 및 기능 감소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피부섬유아세포의 주된 기능으로 세포외기질 합성과 증식을 통한 손상된 피부 조직 재생 등을 들 수 있는데, 광노화와 같은 외인성 노화 요인 또는 유리 산소에 의한 손상 누적, 텔로미어 단절로 인한 세포 노화 등에 따른 내인성 노화 요인들은 진피층 내에 있는 피부섬유아세포의 생리 활성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피부 세포외기질 중 95% 이상을 차지하고, 세포의 부착분자(adhesion molecule) 및 세포 골격(cytoskeleton) 등과의 상호 작용과 신호 교류를 통해 섬유아세포의 생리 활성에 매우 주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제I형 콜라겐의 합성이 저하될 경우, 피부 조직 내 콜라겐 양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표면 장력이 감소되어 피부 주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증식 및 재생 기능을 포함하는 생리 활성 기능이 감소하는 악순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피부섬유아세포의 콜라겐은 피부 노화, 피부 주름 형성 및 피부 손상 시 조직의 수복 또는 재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피부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또는 프로콜라겐의 합성이 촉진되면, 피부 주름을 예방 및 개선하며, 상처를 치유하고, 손상된 피부 조직을 수복 및 재생하며, 피부 노화를 방지 및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왕불유행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기본배지를 사용한 것보다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총량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특히, 본 발명의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전혀 정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인 비타민 C와 비교하여 섬유아세포에서 더 적은 농도에서 동등 이상의 매우 강력한 콜라겐 총량 증가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왕불유행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기본배지를 사용한 것보다 인간 유래의 각질형성세포에서 TIMP-1의 총량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특히, 본 발명의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전혀 정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TIMP-1 합성 촉진물질인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와 비교하여 각질형성세포에서 동등 이상의 매우 강력한 TIMP-1 총량 증가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왕불유행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기본배지를 사용한 것보다 인간 유래의 각질형성세포에서 라미닌 5의 발현량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왕불유행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기본배지를 사용한 것보다 인간 유래의 각질형성세포에서 PAI-1의 총량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특히, 본 발명의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전혀 정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PAI-1 합성 촉진물질인 레티노산(retinoic acid)과 비교하여 각질형성세포에서 동등 이상의 매우 강력한 PAI-1 총량 증가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왕불유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에센스를 이용하여 패널 테스트를 통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에센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6).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왕불유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에센스를 이용하여 영상분석을 통한 에센스의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에센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스에 의한 피부 자극이나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실시예 7).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탄력"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탄력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고, 또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 온다. 또한, 탄력섬유는 엘라스틴이라는 무정형의 기질에 미원섬유(microfibrils)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엘라스틴은 라이신에서 유래한 데스모신(desmosine)과 아이소데스모신(isodesmosine)이라는 탄력섬유에서만 발견되는 아주 톡특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이러한 데스모신과 아이소데스모신 등은 긴 펩타이드사슬안에서 가교(cross-links)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엘라스틴으로 하여금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탄력 증진"이란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가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이 유지 또는 증가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주름"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감소, 외부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왕불유행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이점이 있으며,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외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소독 청결제,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청소용 세정제, 치약, 가글제,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 워시, 헤어세정제, 헤어 유연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방법에서, 상기 조성물은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 효능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TIMP-1, 및 PAI-1의 총량을 증가시키고 라미닌 5의 발현을 촉진하는 효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로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왕불유행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왕불유행 50g에 증류수 1L를 넣고 4시간 동안 끓인 다음 여과하고, 이를 건조하여 파우더 8.5g을 얻었다.
실시예 2: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에 의한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에서 왕불유행 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1㎍/ml, 10㎍/ml가 되도록 하였다. 왕불유행 추출물을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의 배양배지(DMEM 배지)에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의 총량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대조군)와 비타민 C(양성 대조군)를 최종농도 52.8㎍/ml가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의 총량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총량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총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왕불유행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왕불유행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를 발휘하였다.
특히, 왕불유행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를 적용한 경우보다 더 적은 농도로 더 뛰어나게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발휘하였다.
시료(㎍/ml) 콜라겐 총량 (ng/ml) 대조군 대비 증가율(%)
무처리 150.2 -
비타민 C 52.8㎍/ml 246.8 64.3
왕불유행 1㎍/ml 199.1 32.5
왕불유행10㎍/ml 263.59 32.5
(반복횟수=4)
실시예 3: TIMP -I의 총량 증가 효과 조사
왕불유행 추출물을 인간 유래 각질형성세포(human HaCaT)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TIMP-1의 총량 증가 효과를 실험하였다. TIMP-1의 총량 측정은 인간 TIMP-1 ELISA kit(R&D Systems,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서 왕불유행 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0.1㎍/ml, 1㎍/ml, 10㎍/ml가 되도록 하였다. 왕불유행 추출물을 인간 유래의 각질형성세포(human HaCaT)의 배양배지(DMEM 배지)에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TIMP-1 ELISA 키트로 각 농도에서 TIMP-1의 총량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대조군)와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양성 대조군)를 최종농도 10㎍/ml가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TIMP-1의 총량을 측정하였다.
TIMP-1의 총량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TIMP-1 총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시료(㎍/ml) TIMP-1의 총량(pg/ml) 증가율(%)
왕불유행
무처리 3851.6
TGFβ10㎍/ml 4958.6 28.7
0.1㎍/ml 5087.5 32.0
1㎍/ml 5384.1 39.8
10㎍/ml 5782.6 50.1
(반복횟수=4)
상기 표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왕불유행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왕불유행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TIMP-1 총량 증가 효과를 발휘하였다.
왕불유행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TIMP-1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를 적용한 경우보다 더 적은 농도로 더 뛰어나게 TIMP-1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발휘하였다.
실시예 4: 라미닌 5의 발현 증가 조사
왕불유행 추출물을 인간 유래 각질형성세포 (human HaCaT)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라미닌 5의 발현 촉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인체 유래의 각질형성세포를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후에 배양된 세포를 인산완충용액(PBS)로 세척하였다. 이 후, 우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첨가된 왕불유행 추출물을 12시간 동안 각각 1㎍/ml, 10 ㎍/ml의 농도로 교체하여 처리하였다.
12시간 경과 후 세포를 회수하여 인산완충용액(PBS)로 세척하고, RNA 분리 시약(Tri-reagen, Bibco BRL)을 1ml 첨가하여 총 RNA를 추출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정량적인 역전사 PCR을 수행하였다. 1㎍의 총 RNA를 역전사 시스템(Promega사, 미국)을 이용하여 역전사하여 cDNA를 얻었으며, 이후 역전사 반응 용액 2㎕를 50mM KCl, 10mM tri-HCl(pH 8.3), 5mM MgCl2 및 0.16 mM dNTP의 PCR 반응 완충액 50㎕에 섞고, 10pmol의 프라이머와 1.25 U의 Taq DNA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94℃에서 60초, 60℃에서 120초, 72℃에서 120초의 28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라미닌 5의 서브유닛인 β3 및 GAPDH의 PCR 수행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3과 같다.
프라이머 이름 서열
Laminin5beta3 Forward primer 5'-TACCCATACGACGTACCAGATTACGCTCAAACAAACTTGAGAGTCAATTTCACCAG-3'
Laminin5beta3 Reverse primer 5'-CGGGTGGAATTCACTGGCCTCCATGGCCAAGGTCCGGTCTGGACACTG-3'
GAPDH forward primer 5'-CTGATGCCCCCATGTTCGT-3'
GAPDH reverse primer 5'-TGTGAGGAGGGGAGATTCA-3'
PCR 산물을 아가로스 젤에 전기영동하고 이를 Fluoro-S MultiImager(BioRad)로 분석하였다.
왕불유행 추출물을 각각 1㎍/ml, 10㎍/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에 따른 라미닌 5 서브유닛β3 유전자의 발현정도(Laminin5β3 mRNA의 양)를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GAPDH는 유전자 발현변화를 정량적 역전사 PCR 방법으로 확인할 때 내부 지표 유전자(internal control)로 사용하는 유전자로서, GAPDH의 변화에 대한 특정 유전자, 여기에서는 Laminin5β3 의 상대적 양을 나타냄으로써 시료간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다. 하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1㎍/ml, 10㎍/ml의 농도에서 각각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Laminin5β3의 발현이 30%, 95% 정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료(㎍/ml) Laminin5β3 의 발현증가율(%)
왕불유행
무처리
1㎍/ml 30
10㎍/ml 95
(반복 횟수=3)
실시예 5: PAI -I의 총량 증가 효과 조사
왕불유행 추출물을 인간 유래 각질형성세포 (human HaCaT)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PAI-1의 총량 증가 효능을 평가하였다. 증가된 PAI-1의 총량의 측정은 인간 PAI-1 ELISA kit(R&D Systems, 미국)를 이용하였다.
실험에서 왕불유행 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0.1㎍/ml, 1㎍/ml, 10㎍/ml가 되도록 하였고 양성 대조군인 레티노산(retinoic acid)은 최종농도 10ng/ml가 되도록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PAI-1의 총량을 측정하였다. 왕불유행 추출물은 인간 유래의 각질형성세포(human HaCaT)의 배양배지(DMEM 배지)에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AI-1 ELISA 키트로 각 농도에서 PAI-1의 총량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PAI-1의 총량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PAI-1 총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시료(㎍/ml) PAI-1의 총량(ng/ml) 증가율(%)
왕불유행
무처리 1106.6
RA (10ng/ml) 1321.4 19.4
0.1㎍/ml 1205.2 9.0
1㎍/ml 1362.5 23.1
10㎍/ml 1659.4 50.0
(반복횟수=4)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왕불유행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왕불유행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1㎍/ml와 10㎍/ml에서 우수한 PAI-1 총량 증가 효능을 발휘하였으며, 왕불유행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PAI-1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레티노산(retinoic acid)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 적은 농도로 더 뛰어나게 PAI-1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발휘하였다.
제조예 1 및 비교예 1: 피부 외용연고의 제조
하기 표 6의 조성과 같이 왕불유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유효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조한 피부 외용연고를 비교예 1로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제조예 1 비교예 1
왕불유행 추출물 0.3 -
디에틸 세바케이트 8 8
경납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6
벤조산 나트륨 1 1
바셀린 to 100 to 100
제조예 2 및 비교예 2: 에센스의 제조
왕불유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에센스의 제형을 제조예 2로,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화장료 에센스를 제조한 것을 비교예 2로 하였다. 상세한 조성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조성(중량%) 제조예 2 비교예 2
왕불유행 추출물 0.5 -
글리세린 10.0 10.0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0.1
향료 0.05 0.05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6: 패널 테스트를 통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조사
상기 제조예 2와 비교예 2의 에센스에 대해서 건강한 35세에서 5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35세에서 50세까지의 여성 30명을 15명씩 2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왕불유행 추출물을 0.5% 포함하는 제조예 2의 에센스를, 2군은 비교예 2의 에센스를 안면부에 1일 1회 3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피부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명)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제조예 2 1 7 7
비교예 2 9 4 2
상기 표 8에서 볼 수 있듯이, 왕불유행 추출물 0.5%를 포함한 제조예 2의 에센스를 사용한 경우,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에센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영상분석을 통한 화장료 에센스의 주름 개선 효과 조사
영상분석을 통하여 상기 제조예 2 및 비교예 2의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고(Xantopren, Bayer), 실험이 종료된 직후 레플리카를 눈 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피부 주름의 2차원적 분석을 통해 피부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 분석에 의한 피부 주름 밀도의 감소율은 에센스의 사용전 피부 주름 밀도에 대한 사용 후 피부 주름 밀도의 비를 평균한 값이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9에 정리하였다.
피부 주름 밀도 감소율 (%)
비교예 2 10
제조예 2 55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한 제조예 2의 에센스를 사용한 경우,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에센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 과정에서 제조예 2의 에센스에 의한 피부 자극이나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110> LG Household & Health Care Co., Ltd.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Melandrii Herba extracts <130> KPA140627KR <160> 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Primer <400> 1 tacccatacg acgtaccaga ttacgctcaa acaaacttga gagtcaattt caccag 56 <210> 2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Primer <400> 2 cgggtggaat tcactggcct ccatggccaa ggtccggtct ggacactg 48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Primer <400> 3 ctgatgcccc catgttcgt 19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Primer <400> 4 tgtgaggagg ggagattca 19

Claims (10)

  1.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왕불유행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상기 추출물은 왕불유행의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은 콜라겐 총량 증가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은 TIMP-1의 총량 증가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은 라미닌 5의 발현 촉진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은 PAI-1의 총량 증가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외약외품 조성물.
  10. 왕불유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 방법.
KR1020140087723A 2014-07-11 2014-07-11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723A KR101668154B1 (ko) 2014-07-11 2014-07-11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723A KR101668154B1 (ko) 2014-07-11 2014-07-11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061A true KR20160008061A (ko) 2016-01-21
KR101668154B1 KR101668154B1 (ko) 2016-10-21

Family

ID=5530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723A KR101668154B1 (ko) 2014-07-11 2014-07-11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13B1 (ko) * 2016-10-24 2018-07-1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10044021A (ko) * 2019-10-14 2021-04-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637B1 (ko) 2017-03-02 2018-11-27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400A (ja) * 2003-04-23 2004-11-18 Mikimot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KR20140019536A (ko) 2012-08-06 2014-02-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400A (ja) * 2003-04-23 2004-11-18 Mikimot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KR20140019536A (ko) 2012-08-06 2014-02-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13B1 (ko) * 2016-10-24 2018-07-1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10044021A (ko) * 2019-10-14 2021-04-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154B1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6597B2 (ja) 低分子rnaオニユリ抽出物を含む局所組成物および加齢に関する皮膚の徴候を低減するための美容ケア方法
US8722108B2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arob as active agent for activating aquaporin expression
EP2862600B1 (en) Compounds with Anti-aging activities
KR20060087817A (ko)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9152724B (zh) 掌状红皮藻和茉莉的协同提取物、包含该协同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US8809276B2 (en) Activator peptides for synthesizing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and cosmetic compositions including same
US20100189675A1 (en) Cosmetic use of an imidopercarboxylic acid derivative as desquamating agent
KR20210011964A (ko) 피부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
KR101900748B1 (ko)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668154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9322B1 (ko) 주름 개선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JP6077560B2 (ja) シロバナシマカンギク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20060124044A (ko) 피부세포 재생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45349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1753874B1 (ko) 데카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8736B1 (ko)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261731B1 (ko) 콜라겐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9029329B2 (en) Caspase-14 activator peptid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peptides
KR101886123B1 (ko) 주름 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8125B1 (ko)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131774B1 (ko) 옷솔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0745B1 (ko)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