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731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731A
KR20160007731A KR1020140078709A KR20140078709A KR20160007731A KR 20160007731 A KR20160007731 A KR 20160007731A KR 1020140078709 A KR1020140078709 A KR 1020140078709A KR 20140078709 A KR20140078709 A KR 20140078709A KR 20160007731 A KR20160007731 A KR 2016000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plate
disposed
optical sheet
opt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198B1 (ko
Inventor
최민규
김희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1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된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제1 확산판과, 상기 제1 확산판 상에 배치된 제1 광학시트와, 상기 광학 시트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광학시트 상부에 일정 두께 이상의 확산판을 배치시킴으로써, 격자 무늬의 무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광학시트 상부에 확산판을 배치시킴으로써, LED 소자의 열에 의해 광학시트에 발생되는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균일한 휘도를 발생시키기 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 등의 특징을 지닌 여러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이 연구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백라이트 유닛은 주로 LED 소자를 광원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광의 확산 효과 및 균일한 휘도를 발생시키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에는 확산판 및 프리즘 시트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패널의 대형화가 요구됨에 따라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크기도 함께 증가하도록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대형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주로 직하형 방식의 구조가 사용된다.
하지만, 직하성 방식에서는 LED 소자와 같은 광원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광을 상부로 발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수의 LED 소자에서 발생된 광의 중첩되는 영역에 의해 무라(Lattice Mura)가 발생되며, 특히, 초대형 구조에서는 무라에 의해 휘도 불균일이 발생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이 대형화됨에 따라 LED 소자의 개수도 늘어나게 되고, LED 소자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프리즘 시트들은 주름이 발생된다. 프리즘 시트들에 주름이 발생되면 휘도의 불균일을 유발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휘도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된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제1 확산판과, 상기 제1 확산판 상에 배치된 제1 광학시트와, 상기 광학 시트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광학시트 상부에 일정 두께 이상의 확산판을 배치시킴으로써, 격자 무늬의 무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광학시트 상부에 확산판을 배치시킴으로써, LED 소자의 열에 의해 광학시트에 발생되는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다수의 확산판을 배치함으로써, 초대형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격자 무늬의 무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다수의 확산판의 두께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초대형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격자 무늬의 무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확산판, 광학시트, 확산판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무라 개선 및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부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0)과,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가이드 패널(400), 사이드 프레임(700), 상부 커버(500) 및 하부 커버(600)를 포함한다.
액정패널(100)은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액정패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미도시)과, 상기 TFT 기판의 상부에 마련된 컬러 필터(Color Filter; CF) 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TFT 기판은 매트릭스 형태의 TFT 가 형성되어 상기 TFT 들의 소스 단자 및 게이트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각각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는 화소 전극이 접속된다. CF 기판은 일면에 컬러 필터와, 상기 컬러 필터 상부에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TFT 기판의 일측에는 구동 IC 예컨대, 데이터 구동 IC와 게이트 구동 IC가 배치되며, 데이터 구동 IC와 게이트 구동 IC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예컨대, 데이터 TCP 및 게이트 TCP 의해 TFT 기판의 일측과 접속된다. 구동 IC는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데이터 신호, 게이트 구동 신호, 그리고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게이트 구동 신호 및 데이터 구동 신호를 상기 액정패널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100)에 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210)와, 상기 광원부(210)의 하부에 배치된 반사판(230)과, 상기 광원부(210) 상에 배치된 광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210)는 LED 소자(212)와, LED 소자(212)가 실장된 LED 기판(214)을 포함할 수 있다.
LED 소자(212)는 R(Red), G(Green), B(Blue)의 단색광 발광하는 R,G,B 발광 다이오드 이거나 백색광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단색광을 발광하는 LED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 R,G,B의 단색광 LED 소자(212)를 교대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로부터 발광하는 단색광을 백색광으로 혼합한 후 액정패널(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 소자(212)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LED 소자(212)를 일정 간격 배치하여 백색광을 액정패널(100)로 공급할 수 있다.
백색광 LED 소자(212)는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LED 소자(212)와 청색의 단색광을 흡수하여 황색 광을 발광하는 형광체로 구성되어, 청색 LED 소자(212)에서 출력되는 청색 단색광과 형광체에서 발광하는 황색 단색광이 혼합되어 백색광으로 액정패널(100)에 공급될 수 있다.
LED 기판(214)은 휘어짐이 우수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서, 내부에 회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로를 통해 LED 소자(212)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반사판(230)은 광원부(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230)은 LED 소자(2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230)의 하부에는 LED 기판(214)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230)은 반사율이 매우 높은 ESR(Enhanced Specular Reflector, ESR) 재질이 사용할 수 있다. ESR 재질의 반사판은 98% 반사율과 2%의 투과율을 가지는 은색 또는 백색으로서, 반사판으로 입사되는 광을 대부분 액정 패널을 향해 반사시키게 된다.
광학부(220)는 광원부(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부(220)는 광원부(210)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 및 집광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부(220)는 제1 확산판(221)과, 상기 제1 확산판(221) 상에 배치된 다수의 광학시트(222)와, 상기 광학시트(222)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2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확산판(221)은 내부에 확산 비드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은 광원부(2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은 초대형 모델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일정 두께(T1)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의 두께(T1)는 1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의 상부에는 다수의 광학시트(222)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222)는 광을 굴절시켜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시트(222)는 다수의 프리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프리즘이 x, y 축 방향으로 수직하는 교차하도록 2개 또는 x,y,z 축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3개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222)의 두께는 제1 확산판(22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산판(223)은 다수의 광학시트(2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확산판(223)은 광학시트(222)를 통과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제2 확산판(223)은 광을 더욱 확산시켜 초대형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격자 무늬의 무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제2 확산판(223)은 광학 시트(222)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열에 의한 광학시트(222)의 팽창 방향을 가이드하여, 광학시트(222)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확산판(223)은 제1 확산판(221)과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산판(223)의 두께(T2)는 1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 및 제2 확산판(223)의 총 두께(T1+T2)는 2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 및 제2 확산판(223)의 총 두께가 2T 이상으로 형성되면, 초대형 모델에서 광학부의 강성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초대형 모델의 표시장치는 격자 무늬의 무라가 발생되었다. 이와 다르게,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학시트 상부에 확산판을 더 배치시킴으로써, 격자 무늬의 무라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LED 소자의 열에 의해 광학시트에 발생되는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휘도가 출광되고,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액정 패널(100)은 가이드 패널(400)에 적층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가이드 패널(400) 및 사이드 프레임(700)이 적층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400)은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700)은 바닥부와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부(220)는 사이드 프레임(700)의 돌출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500) 및 하부 커버(600)는 가이드 패널(400) 및 사이드 프레임(700)에 적층된 액정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커버(5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60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부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는 제1 확산판(221)과, 상기 제1 확산판(221)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222)와, 상기 광학시트(222)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222)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1 확산판(221)은 내부에 확산 비드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은 초대형 모델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일정 두께(T1)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확산판(223)은 제1 확산판(22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산판의 두께(T2)는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과 제2 확산판(223)의 총 두께(T1+T2)는 2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의 두께(T1)는 제2 확산판(223)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의 두께(T1)와 제2 확산판(223)의 두께(T2)의 비는 1.1:1 내지 5:1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220)는 제1 확산판(221)의 두께(T1)와 제2 확산판(223)의 두께(T2)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초대형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격자 무늬의 무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는 제1 확산판(221)과, 상기 제1 확산판(221) 상에 배치된 제1 광학시트(222)와, 상기 제1 광학시트(222)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223)과, 상기 제2 확산판(223) 상에 배치된 제2 광학시트(224)와, 상기 제2 광학시트(224) 상에 배치된 제3 확산판(225)을 포함한다.
제1 확산판(221), 제2 확산판(223), 제3 확산판(225)은 내부에 확산 비드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 제2 확산판(223), 제3 확산판(225)의 총 두께(T1+T2+T3)는 2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의 두께(T1), 제2 확산판(223)의 두께(T2) 및 제3 확산판(225)의 두께(T3)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확산판(221)의 두께(T1), 제2 확산판(223)의 두께(T2) 및 제3 확산판(225)의 두께(T3)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221)의 두께(T1)는 제2 확산판(223)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산판(223)의 두께(T2)는 제3 확산판(225)의 두께(T3)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학시트(222)는 제1 확산판(221)과 제2 확산판(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학시트(222)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시트(222)는 다수 예컨대, 3개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학시트(224)는 제2 확산판(223)과 제3 확산판(2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학시트(224)는 다수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220)는 다수의 확산판을 배치함으로써, 초대형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격자 무늬의 무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220)는 제1 확산판(221)과, 상기 제1 확산판(221)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222)와, 상기 광학시트(222)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223)과, 상기 제2 확산판(223) 상에 배치된 패턴부(223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부(223a)를 포함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한다.
패턴부(223a)는 제2 확산판(223)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턴부(223a)는 제2 확산판(223)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턴부(223a)는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223a)는 제2 확산판(223) 상에 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패턴부(223a)는 제2 확산판(223) 상에 불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패턴부(223a)를 렌즈 형상으로 형성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턴부(223a)는 프리즘 형상, 반구 형상,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패턴부(223a)를 제2 확산판(223)의 상부면에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턴부를 제2 확산판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는 제2 확산판 상에 패턴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초대형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격자 무늬의 무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220)는 제1 확산판(221)과, 상기 제1 확산판(221)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222)와, 상기 광학시트(222)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223)과, 상기 제2 확산판(223) 상에 배치된 제1 패턴부(223a)와, 제1 확산판(221)의 상부에 형성된 제2 패턴부(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부를 포함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한다.
제1 패턴부(223a)는 제2 확산판(223)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턴부(223a)는 렌즈 형상, 프리즘 형상, 반구 형상, 다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턴부(221a)는 제1 확산판(221a)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턴부(221a)는 렌즈 형상, 프리즘 형상, 반구 형상, 다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부(223a)와 제2 패턴부(221a)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패턴부(223a)와 제2 패턴부(221a)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턴부(223a)와 제2 페턴부(221a)의 크기 및 배치 관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는 제1 확산판 및 제2 확산판 상에 패턴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초대형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격자 무늬의 무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0)과,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원부(210)와, 상기 광원부(210)의 하부에 배치된 반사판(230)과, 상기 광원부(210)의 상부에 배치된 광학부(22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가이드 패널(400), 사이드 프레임(700), 상부 커버(500) 및 하부 커버(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학부를 제외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광학부(320)는 제1 확산판(321)과, 상기 제1 확산판(321)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322)와, 상기 광학시트(322)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323)과, 제1 확산판(321)과 제2 확산판(323) 사이에 배치된 갭 유지 수단(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산판(321) 및 제2 확산판(323)은 내부에 확산 비드가 형성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321) 및 제2 확산판(323)의 총 두께(T1+T2)는 2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산판(321)의 두께(T1)와 제2 확산판(323)의 두께(T2)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확산판(321)의 두께(T1)와 제2 확산판(323)의 두께(T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갭 유지 수단(324)은 제1 확산판(321)과 제2 확산판(3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갭 유지 수단(324)은 광학시트(3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갭 유지 수단(324)은 수지 재질의 실란트일 수 있다. 갭 유지 수단(324)은 제1 확산판(321)과 제2 확산판(323)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갭 유지 수단(324)은 광학부(32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학부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집광 효과가 좋아지고 슬램화 구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320)는 제1 확산판(321)과, 상기 제1 확산판(321)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322)와, 상기 광학시트(322)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323)과, 상기 제2 확산판(323) 상에 형성된 패턴부와(323a), 상기 제1 확산판(321)과 제2 확산판(323) 사이에 배치된 갭 유지 수단(3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부를 제외한 구성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패턴부(323a)는 제2 확산판(323)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턴부(323a)는 제2 확산판(323)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턴부(323a)는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323a)는 제2 확산판(323) 상에 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패턴부(323a)는 제2 확산판(323) 상에 불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패턴부(323a)를 렌즈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리즘 형상, 반구 형상,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패턴부(323a)를 제2 확산판(323)의 상부면에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확산판(323)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는 제2 확산판 상에 패턴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초대형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격자 무늬의 무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320)는 제1 확산판(321)과, 상기 제1 확산판(321) 상에 배치된 광학시트(322)와, 상기 광학시트(322)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323)과, 제1 확산판(321)과 제2 확산판(323) 사이에 배치된 갭 유지 수단(3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갭 유지 수단을 제외한 구성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갭 유지 수단(324)은 제1 확산판(321)과 제2 확산판(3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갭 유지 수단(324)은 광학시트(3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갭 유지 수단(324)은 수지 재질의 실란트일 수 있다. 갭 유지 수단(324)은 제1 확산판(321)과 제2 확산판(323)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갭 유지 수단(324)은 광학부(32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갭 유지 수단(324)의 내측에는 홈(324a)이 형성될 있다. 상기 홈(324a)은 갭 유지 수단의 내측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324a)은 다수의 광학시트(324)들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홈(324a)은 광학시트(324)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광학부는 광학 시트들을 홈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열화 시 변형이 덜 일어나게 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액정패널 210: 광원부
220: 광학부 221: 제1 확산판
222: 광학시트 223: 제2 확산판
230: 반사판 300: 가이드 패널
500: 상부 커버 600: 하부 커버

Claims (20)

  1.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된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제1 확산판;
    상기 제1 확산판 상에 배치된 제1 광학시트; 및
    상기 제1 광학시트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판 및 제2 확산판의 총 두께는 2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판의 두께와 제2 확산판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산판의 일면에는 제1 패턴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판의 일면에는 제2 패턴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 및 제2 패턴부는 렌즈, 프리즘, 반구, 다각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산판의 상부에는 제2 광학시트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부에는 제3 확산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판 내지 제3 확산판의 총 두께는 2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판의 두께와 제2 확산판의 두께와 제3 확산판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판과 제2 확산판의 사이에는 갭 유지 수단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갭 유지 수단은 제1 광학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갭 유지 수단은 제1 광학시트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갭 유지 수단은 수지 계열의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4. 액정 패널;
    상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된 제1 확산판, 상기 제1 확산판 상에 배치된 제1 광학시트, 상기 제1 광학시트 상에 배치된 제2 확산판으로 이루어진 광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판 및 제2 확산판의 총 두께는 2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산판의 일면에는 제1 패턴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산판의 상부에는 제2 광학시트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부에는 제3 확산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산판과 제2 확산판의 사이에는 갭 유지 수단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갭 유지 수단은 제1 광학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갭 유지 수단은 제1 광학시트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40078709A 2014-06-26 2014-06-26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52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709A KR102152198B1 (ko) 2014-06-26 2014-06-26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709A KR102152198B1 (ko) 2014-06-26 2014-06-26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731A true KR20160007731A (ko) 2016-01-21
KR102152198B1 KR102152198B1 (ko) 2020-09-07

Family

ID=5530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709A KR102152198B1 (ko) 2014-06-26 2014-06-26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1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317A (ko) * 2009-08-01 2011-02-09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개선된 성질을 가진 다층 발광 유닛 및 그의 용도
JP2012018880A (ja) * 2010-07-09 2012-01-26 Panasonic Corp 面状照明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光学シート
JP2014026820A (ja) * 2012-07-26 2014-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面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317A (ko) * 2009-08-01 2011-02-09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개선된 성질을 가진 다층 발광 유닛 및 그의 용도
JP2012018880A (ja) * 2010-07-09 2012-01-26 Panasonic Corp 面状照明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光学シート
JP2014026820A (ja) * 2012-07-26 2014-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面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198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280B1 (ko) 곡면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US8908124B2 (en) Light guid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47711A (ko) 표시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US20170153499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9000037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8239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63653B1 (ko) 표시장치
KR20120078234A (ko)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US9482813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223716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66349B1 (ko) 곡면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곡면 표시장치
JP2009037946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KR20120047715A (ko) 발광소자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및 액정표시장치
KR20130071925A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6000773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23115B1 (ko) 표시장치
KR102236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405948B1 (ko) 표시장치
KR102480230B1 (ko) 표시장치
KR102240013B1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200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35957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1010359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6123B1 (ko) 표시장치
KR10213045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