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296A -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296A
KR20160007296A KR1020140087796A KR20140087796A KR20160007296A KR 20160007296 A KR20160007296 A KR 20160007296A KR 1020140087796 A KR1020140087796 A KR 1020140087796A KR 20140087796 A KR20140087796 A KR 20140087796A KR 20160007296 A KR20160007296 A KR 20160007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ipe
auxiliary
contact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876B1 (ko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102014008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8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는: 배관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진동전달부와, 배관의 타측면에 접촉되는 보조진동전달부와, 진동전달부와 보조진동전달부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와, 진동전달부 또는 보조진동전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ULTRASONIC VIBRATION APPARATUS FOR PIPE}
본 발명은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전달부와 보조진동전달부를 결합부를 이용하여 배관의 주변에 설치하고, 진동발생부의 진동을 배관에 골고루 전달하므로 배관 내부에 누적된 스케일링 및 녹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진동장치는, 약 20,000 Hz 정도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보통 산업계에서 공구나 공작물의 가공시에 이용되어 왔다.
특히, 초경합금과 같은 고강도의 공업용 재료나 도자기, 유리, 수정 및 보석와 같은 경질취성 물질은 일반적인 기계적 가공기법으로는 가공이 어렵지만,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면 연마, 천공, 절단 등과 같은 다양한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구조가 복잡한 기계부품이나 탄광에서의 세탄 과정에서도 이용하게 되며, 도금이나 용접 가공에도 이용되고 있는 등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업계에 국한적으로 사용되던 초음파 진동은 피부 마시지기나, 가정용 세탁기 등과 같이 가정용품에도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는데, 초음파 진동이 갖는 특성상 의류에 묻은 때나 피부에 형성되는 지질 등에 대해 분해능력이 있다는 것에 착안한 결과이다.
한편, 이와 같은 가정용품에 대한 적용과 더불어 앞에서 언급된 기계부품의 세척과정에서 볼 수 있었던 세척 능력에 대한 착안결과로서 씽크대의 씽크조에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기존의 초음파 장치는 주로 압전소자에 연결된 진동부재를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케이스에 접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노후 아파트 및 노후 건물들이 많아지면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할 때, 배관(파이프)에거 공급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배관이 부식되면서 스케일링 또는 녹이 형성되므로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저해시켜 온수와 냉수의 공급뿐만 아니라, 난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 및 난방온도를 높이기 위해 보일러를 최대한 가동하는 경우,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배관 내에 침적된 스케일링 및 녹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초음파 진동장치를 배관의 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배관에 부착된 진동전달부재가 지속적인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배관의 외측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93446호(발명의 명칭: 초음파 진동장치, 2012.08.22: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진동전달부와 보조진동전달부를 결합부를 이용하여 배관의 주변에 설치하고, 진동발생부의 진동을 배관에 골고루 전달하므로 배관 내부에 누적된 스케일링 및 녹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는, 배관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 상기 배관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보조진동전달부; 상기 진동전달부와 상기 보조진동전달부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진동전달부 또는 상기 보조진동전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배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배관에 전달하는 진동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접촉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수용부는, 상기 배관에 접촉되도록 설정각도 벌려지게 형성되는 제1접촉홈부; 및 상기 제1접촉홈부에 비해 더 큰 설정각도로 벌려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접촉홈부가 접촉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의 배관에 접촉되는 제2접촉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접촉홈부는 V자 형상의 홈이고, 상기 진동부재는 금속재질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진동전달부는, 상기 배관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배관에 전달하는 보조진동부재; 및 상기 보조진동부재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보조접촉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환다.
또한, 상기 보조접촉수용부는 상기 배관의 곡률에 대응되는 원호홈이고, 상기 보조접촉수용부는 상기 접촉수용부의 반대측에 마주 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진동전달부에 구비된 진동부재 또는 상기 보조진동전달부에 구비되는 보조진동부재에 형성된 결합공; 상기 보조진동부재 또는 상기 진동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연결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진동부재 또는 상기 보조진동부재의 전체 두께에 걸쳐 형성되는 나사공이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부위에 각각 헝성되며, 상기 연결축부재는 상기 배관의 다양한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진동전달부에 구비된 진동부재에 연결되고, 일측면에 제1단자가 접촉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제1압전소자; 상기 제1단자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면에 제2단자가 접촉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제2압전소자; 상기 제2압전소자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제2압전소자를 관통하여 상기 진동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호 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에는 상기 제1,제2압전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제2압전소자를 덮어주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하여 상기 커버본체를 상기 진동부재에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진동부재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제1,제2단자에 전원 공급하는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협소부위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외측플랜지부; 및 상기 외측플랜지부의 직각방향에서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는, 진동전달부와 보조진동전달부를 배관의 주변에 설치하고, 진동발생부의 진동을 배관에 골고루 전달하므로 배관 내부에 누적된 스케일링 및 녹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전달부 및 보조진동전달부를 결합부를 이용하여 배관외측에 고정하므로 기존의 초음파 진동장치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쉽게 분리하는 것과 달리, 배관 외측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접촉수용부 및 보조접촉수용부를 이용하여 모두 수용하므로 배관의 크기가 따른 초음파 진동장치를 각각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압전소자를 커버부를 이용하여 보호하므로 물이 제1,제2압전소자에 유입되어 오작동 또는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저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작은 사이즈의 배관이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큰 사이즈의 배관이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세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저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서 작은 사이즈의 배관이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큰 사이즈의 배관이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100)는, 진동전달부(10), 보조진동전달부(20), 결합부(30) 및 진동발생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100)는, 배관(2)의 내부에 침적된 스케일링 및 녹 등의 이물질을 진동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장치로서, 배관(2)의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진동전달부(10)는 배관의 적어도 일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접촉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진동전달부(10)는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매질(medium)로 작용하여 배관(2)에 전달하게 된다.
진동전달부(10)는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을 그대로 배관(2)에 전달한다.
이로써, 진동전달부(10)에서 전달된 진동이 배관(2)의 내부에 침적된 이물질에 반복적으로 전달되면서 배관(2)의 내측면으로 부터 이물질을 이탈시켜 분리한다.
진동전달부(10)는, 배관(2)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배관(2)에 전달하는 진동부재(12)와, 진동부재(12)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고, 배관(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접촉수용부(14)를 포함한다.
진동부재(12)는 금속 등의 강체로 이루어져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배관(2)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진동부재(12)는 금속재로서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진동부재(12)는 배관(2) 주면에 물 등의 액체가 많이 존재하는 것을 감안하여 녹이 잘 발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계통의 금속 또는 도색이 잘 이루어진 철계통의 금속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부재(12)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계통의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접촉수용부(14)는 배관(2)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접촉수용부(14)는 다각홈 또는 원호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수용부(14)는 다각홈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접촉수용부(14)는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배관(2)에 최대한 전달하도록 접촉면적을 넓혀주거나 접촉부위의 개소를 늘려 진동 발생부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접촉수용부(14)는 배관(2)에 접촉되도록 설정각도 벌려지게 형성되는 제1접촉홈부(16)와, 제1접촉홈부(16)에 비해 더 큰 설정각도로 벌려지게 형성되어 제1접촉홈부(16)가 접촉되는 배관(2)의 직경에 비해 더 큰 배관(2)의 직경에 접촉되는 제2접촉홈부(18)를 포함한다.
제1,제2접촉홈부(16,18)는 V자 형상의 홈이다.
특히, 제1,제2접촉홈부(16,18)는 중심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대칭인 V자 형상의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제1,제2접촉홈부(16,18)는 중심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비대칭인 V자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접촉수용부(14)가 V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므로 진동부재(12)는 다양한 크기의 배관(2)을 모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촉수용부(14)는 제1,제2접촉홈부(16,18) 등 2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제2접촉홈부(18)가 벌려진 설정각도보다 더 큰 설정각도로 벌려지는 제3접촉홈부 및 그 이상의 접촉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부의 걸림을 감안하여 좌우 양측의 결합부(30)의 간격이 더 커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보조진동전달부(20)는 배관(2)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보조진동전달부(20)는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매질(medium)로 작용하여 결합부(30)를 거쳐 배관(2)에 전달하게 된다.
보조진동전달부(20)는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을 그대로 배관(2)에 전달한다.
이로써, 보조진동전달부(20)에서 전달된 진동이 진동전달부(10)와 더물어 배관(2)의 내부에 침적된 스케일링 및 녹 등의 이물질에 반복적으로 전달되면서 배관(2)의 내측면으로 부터 이물질을 이탈시켜 분리한다.
보조진동부재(22)는 금속 등의 강체로 이루어져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배관(2)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보조진동부재(22)는 배관(2) 주면에 물 등의 액체가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감안하여 도색이 잘 이루어진 철계통의 금속재이거나 녹이 잘 발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계통의 금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보조진동부재(22)는 도색이 이루어진 철 계통의 금속재를 적용하도록 한다.
보조접촉수용부(24)는 배관(2)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보조접촉수용부(24)는 원호홈 또는 다각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접촉수용부(24)는 원호홈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보조접촉수용부(24)는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배관(2)에 최대한 전달하도록 접촉면적을 넓혀주거나 접촉부위의 개소를 증가시켜 진동 발생부위를 증가키도록 한다.
보조진동전달부(20)는, 배관(2)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진동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배관(2)에 전달하는 보조진동부재(22)와, 보조진동부재(32)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고, 배관(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보조접촉수용부(24)를 포함한다.
보조진동부재(22)는 브라켓 형태로 구부려서 형성하도록 한다. 이 경우, 보조접촉수용부(24)는 배관(2)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구부려서 원호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보조진동부재(22)는 진동부재(2)와 같이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접촉수용부(24)인 원호홈은 배관(2)의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 접촉면적이 점차 줄어들면서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배관(2)을 모두 수용하면서 배관(2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원호홈은 배관(2)의 곡률에 대응되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접촉수용부(24)가 배관(2)의 곡률에 대응되는 경우, 배관92)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보조진동부재(24)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보조접촉수용부(24)가 배관(2)의 곡률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하는 경우, 배관(2)의 크기를 어느 정도 수용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접촉수용부(24)는 접촉수용부(1)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V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보조접촉수용부(24)는 접촉수용부(14)의 반대측에 마주 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재(12)의 길이는 보조진동부재(22)의 길이보다 더 길게 또는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진동부재(12)의 길이와 보조진동부재(22)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진동부재(12)의 길이와 보조진동부재(22)의 길이가 같은 경우, 진동부재(12))에서 발생된 진동과 보조진동부재(24)에서 발생된 진동이 배관(2)을 기준으로 서로 상쇄되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결합부(30)는 진동전달부(10)와 보조진동전달부(20)를 상호 결합한다.
결합부(30)는 진동전달부(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연결하여 보조진동전달부(20)에 전달함으로써, 진동전달부(10)에 의한 배관(2)의 일측과 보조진동전달부(20)에 의한 배관(2)의 타측에서 진동이 발생하고, 이 진동들이 동시에 양측에서 발생하는 효과를 유빌하므로 진동이 일측에서만 발생되는 경우에 비해 스케일링 및 녹 등의 이물질 제거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이로써, 배관(2)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물질 제거 작업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접촉수용부14) 및 보조접촉수용부(24) 중 어느 하나가 다각홈이면, 다른 하나는 원호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접촉수용부(14) 및 보조접촉수용부(24)가 모두 원호홈이거나 모두 다각홈인 경우, 배관(2)에 대칭되게 배치된 접촉수용부14) 및 보조접촉수용부(24)에서 각각 마주보게 전달되는 진동이 대칭됨에 따라 서로 상쇄되어 진동이 줄어들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접촉수용부(14)의 형상과 보조접촉수용부(24)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이물질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결합부(30)는, 진동전달부(10)에 구비된 진동부재(12) 또는 보조진동전달부(20)에 구비되는 보조진동부재(22)에 형성된 결합공(32)과, 보조진동부재(24) 또는 진동부재(12)에 형성되는 삽입공(34)과, 삽입공(32)을 관통하여 결합공(32)에 결합되는 연결축부재(36)를 포함한다.
결합공(32)은 진동부재(12) 또는 보조진동부재(22)의 전체 두께에 걸쳐 형성되는 나사공일 수 있다.
결합공(32)은 배관(2)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부위에 각각 헝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결합공(32)이 양측에 각각 2개 씩 모두 4개 형성된 상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결합공(32)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연결축부재(36)는 배관(2)의 다양한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축부재(36)는 길이가 긴 나사축일 수 있다.
진동발생부(40)는 진동전달부(10) 또는 보조진동전달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구성이다.
진동발생부(40)는, 진동전달부(10)에 구비된 진동부재(12)에 연결되고, 일측면에 제1단자(43)가 접촉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제1압전소자(42)와, 제1단자(43)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면에 제2단자(45)가 접촉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제2압전소자(44)와, 제2압전소자(44)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지지부재(46)와, 지지부재(46)와 제1,제2압전소자(42,44)를 관통하여 진동부재(12)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8)를 포함한다.
제1단자(43) 및 제2단자(45) 중 어느 하나는 양극이고, 다른 하나는 읍극이다.
제1,제2압전소자(42,44)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호간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46)은 제2압전소자(44)에 비해 두께는 증가하고,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부재(46)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48)는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고정부재(48)가 볼트일 경우, 렌치홈으르 갖는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부재(12)에는 제1,제2압전소자(42,44)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50)는 제1,제2압전소자(42,44)에 수분이 유입되어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50)는 제1,제2압전소자(42,44)를 덮어주는 커버본체(52)와, 커버본체(5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부(54)와, 플랜지부(54)에 관통하여 커버본체(52)를 진동부재(12)에 결합하는 체결부재(58)를 포함한다,
플랜지부(54)와 진동부재(12)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부재(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본체(52)에는 제1,제2단자(53,55)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6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60)는 커버본체(52) 상측에서 중심부를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커버본체(52)의 중심부 하측에는 제1,제2압전소자(42,44)가 위치하므로 상호 간에 산섭을 줄이기 위함이다.
플랜지부(54)는, 커버본체(52)의 협소부위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외측플랜지부(56)와, 외측플랜지부(56)의 직각방향에서 커버본체(5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플랜지부(57)를 포함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59)는 외측플랜지부(56)과 내측플랜지부(57)에 접촉되도록 제1,제2압전소자(42,44)가 배치되는 부위(사각형상)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 접촉되어 플랜지부(54)와 진동부재(12) 사이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52)의 너비방향에는 진동부재(12) 상측에 좁은 부위가 배치되므로 커버본체(5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플랜지(56)가 구비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52)의 길이방향에는 진동부재(12) 상측의 길이와 일치하는 긴 부위가 배치되므로 커버본체(52)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플랜지(57)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100)는, 진동전달부(10)와 보조진동전달부(20)를 배관(2)의 주변에 설치하고, 진동발생부(40)의 진동을 배관(2)에 골고루 전달하므로 배관(2) 내부에 누적된 스케일링 및 녹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전달부(10) 및 보조진동전달부(20)를 결합부(30)를 이용하여 배관(2) 외측에 고정하므로 기존의 초음파 진동장치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쉽게 분리되는 것과 달리, 배관(20) 외측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2)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접촉수용부(14) 및 보조접촉수용부(24)를 이용하여 수용하므로 배관(2)의 크기에 따른 초음파 진동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압전소자(42,44)를 커버부(50)를 이용하여 보호하므로 물이 제1,wp2압전소자(42,44)에 유입되어 오작동 또는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디.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배관 10 : 진동전달부
12 : 진동부재 14 : 접촉수용부
16 : 제1접촉수용부 18 : 제2접촉수용부
20 : 보조진동전달부 22 : 보조진동부재
24 : 보조접촉수용부 30 : 결합부
32 : 결합공 34 : 삽입공
36 : 연결축부재 40 : 진동발생부
42 : 제1압전소자 44 : 제2압전소자
46 : 지지부재 48 : 고정부재
50 : 커버부 52 : 커버본체
54 : 플랜지부 56 : 내측플랜지부
58 : 외측플랜지부 58 : 체결부재
59 : 패킹부재 100 : 베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Claims (12)

  1. 배관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
    상기 배관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보조진동전달부;
    상기 진동전달부와 상기 보조진동전달부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진동전달부 또는 상기 보조진동전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배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배관에 전달하는 진동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접촉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용부는,
    상기 배관에 접촉되도록 설정각도 벌려지게 형성되는 제1접촉홈부; 및
    상기 제1접촉홈부에 비해 더 큰 설정각도로 벌려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접촉홈부가 접촉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에 비해 더 큰 직경의 배관에 접촉되는 제2접촉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접촉홈부는 V자 형상의 홈이고,
    상기 진동부재는 금속재질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진동전달부는,
    상기 배관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배관에 전달하는 보조진동부재; 및
    상기 보조진동부재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보조접촉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촉수용부는 상기 배관의 곡률에 대응되는 원호홈이고,
    상기 보조접촉수용부는 상기 접촉수용부의 반대측에 마주 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진동전달부에 구비된 진동부재 또는 상기 보조진동전달부에 구비되는 보조진동부재에 형성된 결합공;
    상기 진동부재 또는 상기 보조진동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연결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진동부재 또는 상기 보조진동부재의 전체 두께에 걸쳐 형성되는 나사공이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배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부위에 각각 헝성되며,
    상기 연결축부재는 상기 배관의 다양한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9.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진동전달부에 구비된 진동부재에 연결되고, 일측면에 제1단자가 접촉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제1압전소자;
    상기 제1단자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면에 제2단자가 접촉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제2압전소자;
    상기 제2압전소자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제2압전소자를 관통하여 상기 진동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호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에는 상기 제1,제2압전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제2압전소자를 덮어주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하여 상기 커버본체를 상기 진동부재에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진동부재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제1,제2단자에 전원 공급하는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협소부위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외측플랜지부; 및
    상기 외측플랜지부의 직각방향에서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KR1020140087796A 2014-07-11 2014-07-11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KR10161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796A KR101613876B1 (ko) 2014-07-11 2014-07-11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796A KR101613876B1 (ko) 2014-07-11 2014-07-11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96A true KR20160007296A (ko) 2016-01-20
KR101613876B1 KR101613876B1 (ko) 2016-04-20

Family

ID=5530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796A KR101613876B1 (ko) 2014-07-11 2014-07-11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8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6147A (zh) * 2018-03-29 2018-09-14 潘建峰 一种混凝土泵
CN109365420A (zh) * 2018-10-18 2019-02-22 南安冠玲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磁场声波振动脱落砂辊除锈板材砂光机
CN110102535A (zh) * 2019-05-09 2019-08-09 广东仁开科技有限公司 一种高温锡熔体输送管道的在线除渣方法
CN111396659A (zh) * 2020-05-09 2020-07-10 胡令江 一种用于污水处理的粘稠液专供拼装式动力输送管道组件
WO2022117909A1 (en) * 2020-12-01 2022-06-09 Altum Technologies Oy A system and a method for cleaning a pi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621B1 (ko) * 2016-10-06 2018-09-13 이문현 증류수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941B2 (ja) * 1991-05-08 2000-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布線機
KR200442124Y1 (ko) * 2007-05-31 2008-10-10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초음파 배관세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6147A (zh) * 2018-03-29 2018-09-14 潘建峰 一种混凝土泵
CN109365420A (zh) * 2018-10-18 2019-02-22 南安冠玲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磁场声波振动脱落砂辊除锈板材砂光机
CN110102535A (zh) * 2019-05-09 2019-08-09 广东仁开科技有限公司 一种高温锡熔体输送管道的在线除渣方法
CN111396659A (zh) * 2020-05-09 2020-07-10 胡令江 一种用于污水处理的粘稠液专供拼装式动力输送管道组件
WO2022117909A1 (en) * 2020-12-01 2022-06-09 Altum Technologies Oy A system and a method for cleaning a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876B1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876B1 (ko) 배관용 초음파 진동장치
AU2151200A (en) Cleaning product which uses sonic or ultrasonic waves
US2980123A (en) Ultrasonic apparatus
WO2002040099A3 (en) Transducer mounting assembly
EP2443981B1 (en) A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laundry washing machine
KR101033010B1 (ko) 일체형 초음파 스케일 방지 및 제거장치
KR102056809B1 (ko) 초음파 세척기
KR200442124Y1 (ko) 초음파 배관세정기
KR102282608B1 (ko) 압전 초음파 발생장치
KR20110005178A (ko) 초음파 배관세정기
CZ278192A3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removing deposits from pipelines and the use of ultrasound for cleaning the installed pipelines
KR100521474B1 (ko) 수조에 체결되는 주방용 초음파진동장치
FI129018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laitteen puhdistamiseksi
CN111118824B (zh) 超声波发生器和清洁装置
KR102110160B1 (ko) 초음파 세척기
JP2018507780A (ja) ス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渦電流スクリーニングマシン、およびス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または渦電流スクリーニングマシンの使用
KR101743677B1 (ko) 지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내부 부산물 부착 방지 장치
ES2170591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desinfeccion de superficies planas que forman parte de recintos, con utilizacion de vapor de agua.
KR20150056286A (ko) 초음파 진동장치
KR101045963B1 (ko) 초음파 세정장치
KR101440418B1 (ko) 반도체, lcd 설비 배관 내의 파우더 퇴적 방지를 위한 앤티-파우더 시스템
CN215355054U (zh) 一种单侧3振子并列式管道超声波去污装置
KR20210050794A (ko) 양방향 초음파 세척장치
KR200254688Y1 (ko) 연수기를 갖는 샤워기
AU2015100566A4 (en) Portable clea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