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178A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178A
KR20160007178A KR1020140087467A KR20140087467A KR20160007178A KR 20160007178 A KR20160007178 A KR 20160007178A KR 1020140087467 A KR1020140087467 A KR 1020140087467A KR 20140087467 A KR20140087467 A KR 20140087467A KR 20160007178 A KR20160007178 A KR 20160007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vehicle
receiving groove
unit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4008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7178A/en
Publication of KR2016000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1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storing a portable device in a vehicl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storing a portable device in a vehicle, which stores a portable device within a vehicle, comprises: a housing unit formed in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and having a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wherein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to be accommodated; and an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adjusting an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by stages.

Description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0001]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most people are carrying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mobile phones, PDAs, MP3s, PMPs, and tablet PCs. However, Is often not provided separately. Even if a separate device that can mount the portable device in the vehicle is provided, only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and the utilization is reduced.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86호(2012.08.21)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5886 (Aug. 21, 201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 portable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enhance space utilization in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기기의 삽입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accommodating a portable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adjust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in a stepwise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 및 살균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accommodating a portable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wirelessly charge and sterilize a portabl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storing a portable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display the charging state and the receiv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 구조물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accommodating a portable device for a vehicle that houses a portable device in a vehicle, the device comprising: a housing, which is formed in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part; And an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portable device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in a stepwise manner.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comprises: a seating part o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seated;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at portion so that the seat portion can be moved in an insertion direction or a draw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돌기;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안착부의 일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의 타단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having one end hing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recess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first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nd guiding a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상기 제 1 돌기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 1 돌기의 타단은 제 1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되어 복수 개의 상기 걸림부 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height differen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When a pressur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seating par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is moved along the first guide part And can be guided and position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안착부의 일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 2 돌기;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2 돌기의 타단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projection having one end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seating part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recess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portable device and guiding a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상기 제 2 돌기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roject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 2 돌기의 타단은 제 2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되어 복수 개의 상기 걸림부 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guid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that are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recess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at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has a second And may be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to be position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position fix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housed.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에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in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portable device.

상기 살균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ultraviolet ray irradiating portion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n 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ons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nd an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One can be included.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에어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 상기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오존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어 상기 에어 홀을 통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로 각각 자외선, 이온 또는 오존을 조사하거나 발생시킬 수 있다.The ion generator, and the ozone generator are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ultraviolet ray, the ion generator, and the ozone generator are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through the air hole, Ions or ozone can be irradiated or generated.

상기 살균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벽에 코팅되어 마련되고 상기 자외선에 반응하여 살균 물질을 발생시키는 광 촉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hotocatalyst unit coated on an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portable device and generating a sterilizing substance in response to the ultraviolet ray.

상기 광 촉매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벽에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및 산화텅스텐 중 적어도 하나의 광 촉매가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hotocatalytic unit may be formed by coating at least one photocatalys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dioxide, zinc oxide, cadmium sulfide, and tungsten oxide o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ular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ntrance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상기 입구 커버는, 자외선 차단재로 이루어지거나 자외선 차단 물질이 코팅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inlet cover may be formed of an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or coated with an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어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wireless charging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and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And a wire connection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in a wired manner to charge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위치,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lighting unit provided on an entranc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a charg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receiv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조명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의 수납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can display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of the vehicl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소리로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for notifying at least one of a charged state and an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with a sound.

상기 알림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의 수납 여부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may aloudify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of the vehicl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은, 상기 휴대 기기에서 발생하는 음압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소정 크기 이상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may have a spac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increase the sound pressure generated in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적어도 일 내면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기기 수납홈에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이 차량 내부 구조물에 형성됨으로써,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명부 및 알림부를 통해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휴대 기기를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 발생기, 오존 발생기를 통해 휴대 기기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자외선 조사부를 통해 휴대 기기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근처에 전자파 차폐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삽입 시 위치 고정부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서 휴대 기기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있더라도 휴대 기기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charged while accommodating the portable device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At this time, sinc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vehicle can be enhanced. By informing the user of the charging state and the reception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illumina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incoming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is received, etc., do. 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can be purified through the ion generator and the ozone generator, and the bacteria can be removed from the portable device by sterilizing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ultraviolet irradiation portion. Further, by providing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charging portion for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portion from being transmitted outside the vehicle-facing device storage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influence on the human body. Further, when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the portable device is fix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through the position fixing portion, so that the portable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ut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even if there is external shock or vibr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삽입 깊이 조절부를 통해 휴대 기기 삽입되는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insertion depth adjuster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so that various sizes of portable devices can be stably recei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에 의해 휴대 기기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제 2 가이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에 의해 휴대 기기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 및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의 도어(door)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vehicle portab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by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guide portion of Fig. 4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by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riliz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sition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riliz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riliz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fix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in which a vehicle-mounted-device accommo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12 is a view showing that a vehicle-mounted-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of a vehic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50)를 수납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우징부(102), 휴대 기기 수납홈(104), 조명부(106), 알림부(108), 유선 접속부(110), AUX 케이블 삽입구(112), 삽입 깊이 조절부(202, 204, 206, 208, 402, 404), 입구 커버(502), 위치 고정부(504), 살균부(506, 518, 522), 에어 홀(508), 무선 충전부(509), 전자파 차폐부(510), 안테나(512), 보호 패드(516), 송풍팬(520) 및 오존 발생기(522)를 포함한다. 휴대 기기(5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부 구조물, 예를 들어 센터 콘솔, 센터페시아,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등에 설치될 수 있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vehicle-mounted-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mounted-device accommodation device 100 is a device for housing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vehicle and includes a housing portion 102, a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n illumination portion 106, a notification portion 108, The connection portion 110, the AUX cable insertion port 112,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portions 202, 204, 206, 208, 402 and 404, the inlet cover 502,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the sterilizing portions 506, 518, 522, an air hole 508, a wireless charging unit 509,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unit 510, an antenna 512, a protection pad 516, a blowing fan 520 and an ozone generator 522.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a tablet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Equipment may be applied. The vehicle-mounted-device storage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structure such as a center console, a center fascia, a glove box, an armrest, a front door, a rear door, a seat cushion lower portion, a front seat seat back, .

하우징부(102)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하우징부(102)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102 serves as a case that forms an outer shap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into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and housed. The housing part 102 may be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device 50. However, the housing part 10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accommodate the portable device 50.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휴대 기기(5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는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울림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휴대 기기(50)에서 발생하는 음압을 증대시킬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휴대 기기(50)의 크기보다 두 배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화 착신 알림음, 문자 착신 알림음 등의 소리를 증폭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재질은 예를 들어, 나무, 플라스틱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상술한 차량 내부의 구조물(또는 하우징부(102)) 내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화면 일부를 볼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ha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and stored.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may be entirely or partially inserted with the portable device 50 and stored therein.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can serve as a ringing tongue. To this end, the storage sp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may have a size large enough to increase the sound pressure generated in the portable device 50. For example, the storage sp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may be formed twice as large as the size of the portable device 50. [ Accordingly, the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by amplifying sounds such as a telephone incoming alert sound and a text incoming alert sound while the portable device 50 is hous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material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groove 104 may be, for example, wood, plastic,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tructure (or the housing portion 102) inside the vehicle.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a part of the screen of the portable device 50 even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나아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에 탄성 부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은 솜, 고무, 스프링, 용수철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흔들리거나 급정거하는 등의 경우에도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에 충격이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휴대 기기(50)를 수납 및 충전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 내면은 쿠션 역할을 수행한다. Further,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ere, it is used to mean that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by protruding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For example,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tton, rubber, spring, spring, and the like. Accordingly, even when the vehicle is shaken or stopped sudden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bile device 50 stored in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from being impacted, and to securely store and charge the mobile device 50 have. That is,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serves as a cushion.

조명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위치,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조명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06)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조명부(10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명부(106)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ighting unit 106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charg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e illumination unit 106 may be formed along an entrance edg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For example, the illumination unit 106 may be formed in a line shape along the entrance edg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nd may display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by itself. Here, the illumination unit 106 is shown as being formed in a line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forms (for example, a dotted line shape). Although the illumination unit 106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along the entrance edg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position where the illumination unit 106 is formed is not limited thereto.

조명부(106)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의 변화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level, the color temperature level, and the hu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harg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receiv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

예를 들어, 후술할 무선 충전부(509) 또는 유선 접속부(11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106)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106)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06)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부(106)는 무선 충전부(509) 또는 유선 접속부(11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charg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or the wired connection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106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50 . Alternatively,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ing unit 106 may gradually increase from a cool system color temperature (for example, 5,000 to 8,000K) to a gradually warm system color temperature (for example, 1,000 to 4,000 K), or may be changed to a color temperature of a cool system gradually from a color temperature of a warm system. Alternatively, the color of the illumination unit 106 may be sequentially changed to, for example, red, yellow, green,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this end, the illumination unit 106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or the wired connection 110. [

또한, 조명부(106)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조명부(106)는 후술할 안테나(512)와 연동하여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표시할 수 있다.The illuminating unit 106 displays the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ncoming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received, And so on. The illumination unit 106 can acquire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in conjunction with the antenna 5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display it.

나아가, 조명부(106)는 차량의 도어(door) 개방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휴대 기기(50)의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의 수납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거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조명부(106)는 휴대 기기(50)가 차량 내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차량 내에 놓고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명부(106)는 무선 충전부(509)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509)의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50)로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조명부(106)는 무선 충전부(509)의 전력 송신부가 수신하는 휴대 기기(50)의 응답 신호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16)는 별도의 센서, 예를 들어 근접 센서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lighting unit 106 may indicate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hous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while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turned off, the lighting unit 106 notifies the user that the portable device 50 is in the vehicle . In this case, the user can prevent the portable device 50 from falling down in the vehicle. Here, the illuminating unit 106 can know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50 has been stor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That is, the power transmitt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transmits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50 and determines whether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At this time, the illumination unit 106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50 has been stored through the response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50 received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lluminating unit 116 may know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through a separate sensor, for example, a proximity sensor.

알림부(10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소리로 알려준다. 또한, 알림부(108)는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휴대 기기(50)의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의 수납 여부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알림부(108)는 조명부(106)와 달리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착신 상태, 휴대 기기(50)의 수납 여부 등을 소리로 알려줄 뿐, 조명부(106)와 그 기능은 동일하다. 알림부(108)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부(106)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조명부(106)와 알림부(10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108 alerts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state and the receiv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sound.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108 can inform the user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the vehicle is turned off. Unlike the illumination unit 106, the notification unit 108 alerts the user of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50, the reception state,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and the like, and the func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the illumination unit 106. The notification unit 108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102 and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the illumination unit 106. The illumination unit 106 and the notification unit 108 can simultaneously inform the user of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state and the receiv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in different ways.

유선 접속부(110)는 휴대 기기(50)와 유선 접속되어 휴대 기기(50)를 충전시킨다. 유선 접속부(110)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유선 접속부(110)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 접속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인근의 차량 내부 구조물(미도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110)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유선 접속부(110)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The wired connec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50 in a wired manner to charge the portable device 50. The wire connection unit 1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102. However, the position of the wire connection unit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re connection unit 110 may be formed in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not shown) near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wired connection 110 may be wired to the portable device 50 via a cable (e.g., a data cable, a charging cable, data, and a charging cable, etc.).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wired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110. [ The in-vehicl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performing the wire charging and the wireless charging operations together.

AUX 케이블 삽입구(112)는 AUX 케이블(미도시)이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휴대 기기(50)를 연결하여 휴대 기기(50)에 저장된 음악 등을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AUX 케이블 삽입구(112)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를 수납 및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50)에 저장된 오디오를 차량 내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The AUX cable insertion port 112 is an opening into which an AUX cable (not shown) is inserted and is used to connect the portable device 50 and reproduce music and the like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50. The AUX cable insertion port 112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102. Accordingly, the audio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in-vehicle speaker while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and wirelessly charg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차량 내부 구조물에 형성되므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106) 및 알림부(108)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charged while accommodating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t this time, sinc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is formed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vehicle can be enhanced. The user is informed of the charging state and the reception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illumination unit 106 and the notification unit 108 so that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hous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Whether or not the device 50 is receiving an incoming call, whether or not a character has been received,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202, 204, 206, 208)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202, 204, 206, 208)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s 202, 204, 206 and 208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202 , 204, 206, and 208 to adjust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50. As shown in FIG.

안착부(204)는 휴대 기기(5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휴대 기기(50)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안착부(204)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 기기(50)의 바닥면(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면)과 배면(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204 support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50 as a portion where the portable device 50 is seated. For example, the seating portion 204 i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head and has a bottom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nd a back surface (a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respectively).

탄성 부재(206)는 안착부(204)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부(5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 부재(206)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2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과 인접한 하우징부(102)의 내측에 고정되어 안착부(204)를 휴대 기기(50)의 인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204)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 부재(206)는 수축하게 되며,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을 향해 삽입된다. 또한, 안착부(204)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206)는 이완하게 되며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개구부를 향해 인출된다.The elastic member 206 elastically supports the seat portion 50 such that the seat portion 204 can be mov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r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e elastic member 206 may be, for example, a spring. The elastic member 206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or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102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o connect the seating portion 204 to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pull-out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206 is contracted and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In this case,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ating part 204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206 is relaxed and the portable device 50 is pulled out toward the opening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제 1 돌기(2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되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돌기(206)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힌지 스프링에 의해 일단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The first protrusion 206 is for adjusting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in a stepwise manner and can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have. The first protrusion 206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the like and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recess 104 of the portable device by a hinge spring.

제 1 가이드부(208)는 제 1 돌기(206)의 타단의 위치를 가이드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되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부(2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안착부(20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208)는 제 1 돌기(206)의 타단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 1 돌기(206)의 타단의 크기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208 guides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206 to adjust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50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in a stepwise manner. 3, the first guide portion 208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202 fac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first guide portion 208 may have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06 so as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06.

이때, 제 1 가이드부(208)는 안착부(202)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복수 개의 걸림부(208a, 208b, 208c, 208d, 208e, 208f, 208g..)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눌러 안착부(202)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제 1 돌기(206)의 타단은 제 1 걸림부(108a)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휴대 기기(50)에서 손을 떼면 안착부(20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며, 안착부(202)는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돌기(206)의 타단은 제 2 걸림부(208b)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걸림부(208a) 및 제 2 걸림부(208b)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제 1 돌기(206)의 타단은 제 2 걸림부(108b)에서 고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휴대 기기(50)를 눌러 안착부(202)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제 1 돌기(206)의 타단은 제 3 걸림부(108c)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휴대 기기(50)에서 손을 떼면 안착부(20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며, 안착부(202)는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돌기(206)의 타단은 제 4 걸림부(208d)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돌기(206)의 일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므로, 제 1 돌기(206)의 타단은 상기 힌지에 의해 다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돌기(206)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제 1 가이드부(208)를 따라 가이드되는 과정에서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제 1 돌기(206)의 타단은 제 1 가이드부(208)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걸림부(208a, 208b, 208c, 208d, 208e, 208f, 208g..) 각각에 위치하게 된다. 걸림부(208a, 208b, 208c, 208d, 208e, 208f, 208g..)들은 안착부(202)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각각 다르므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는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1 돌기(206)가 제 7 걸림부(208g)에 위치하는 경우, 안착부(20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02)의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된 제 1 가이드부(208)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가이드부(208)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걸림부의 개수 및 위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portion 208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ement portions 208a, 208b, 208c, 208d, 208e, 208f, 208g .., which are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02 . 2 and 3, when the user presses the portable device 50 to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o the seating portion 202,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206 is position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108a can do. When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portable device 5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ating part 202 is removed, and the seating part 202 is moved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4 . In this process,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206 is positioned at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08b. 3,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portions 208a and 208b have a bent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06 is engaged with the second hooking portion 108b . Thereafter, when the user presses the portable device 50 again and a pressur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to the seat 202,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206 is positioned at the third seat 108c. When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portable device 5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ating part 202 is removed, and the seating part 202 is moved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4 . In this process,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206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fourth latching portion 208d. As described above, since one end of the first projection 206 is hinged to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206 can be moved in multiple directions by the hinge. Since the first protrusion 206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protrusion 206 can be contracted or relaxed during the guiding along the first guide portion 208.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206 may be guided along the first guide portion 208 and may be positioned in each of the catches 208a, 208b, 208c, 208d, 208e, 208f, 208g .. .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02 because the hooks 208a, 208b, 208c, 208d, 208e, 208f, Can be adjusted stepwise. When the first projection 206 is located at the seventh engaging portion 208g, the seating portion 202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Thus,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easily taken out. In addition, foreign matters in the seat 202 can be easily removed. Meanwhile,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portion 208 shown in FIG. 3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The first guide portion 208 may have various shapes,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engaging portions may vary.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202, 204, 402, 4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 2 가이드부(404)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202, 204, 402, 404)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삽입 깊이 조절부(202, 204, 402, 404)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2 돌기(402) 및 제 2 가이드부(404)의 형성 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기능은 동일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안착부(202) 및 탄성부재(204)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s 202, 204, 402, 40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guide unit 404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s 202, 204, 402, 40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portions 202, 204, 402, and 40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only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second projections 402 and the second guide portions 404 The function is the same with only difference. Meanwhile, since the seat 202 and the elastic member 204 shown in Figs. 4 to 6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돌기(402)의 일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안착부(202)의 일면에 힌지 결합된다. 제 2 돌기(402)는 제 1 돌기(206)와 마찬가지로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힌지 스프링에 의해 일단이 안착부(202)의 일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제 2 돌기(402)의 일단이 안착부(202)의 일면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 2 돌기(402)의 결합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and 5, on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202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second projection 402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the like as the first projection 206 and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at 202 by a hinge spring. In FIG. 4, on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shown as being coupled to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202,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not limited thereto .

제 2 가이드부(404)는 제 2 돌기(402)의 타단의 위치를 가이드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되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부(40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404)는 제 2 돌기(402)의 타단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 2 돌기(402)의 타단의 크기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ortion 404 guides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to adjust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50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in a stepwise manner.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guide portion 404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second guide portion 404 may have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so as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도 6을 참조하면, 제 2 가이드부(40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복수 개의 걸림부(404a, 404b, 404c, 404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제 2 돌기(402)가 제 1 걸림부(404a)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눌러 안착부(202)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제 2 돌기(402)의 타단은 제 2 걸림부(404b)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휴대 기기(50)에서 손을 떼면 안착부(20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며, 안착부(202)는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2 돌기(402)의 타단은 제 3 걸림부(404c)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걸림부(404b) 및 제 3 걸림부(404c)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제 2 돌기(402)의 타단은 제 3 걸림부(404c)에서 고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휴대 기기(50)를 눌러 안착부(202)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제 2 돌기(402)의 타단은 제 4 걸림부(404d)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휴대 기기(50)에서 손을 떼면 안착부(202)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며, 안착부(202)는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2 돌기(402)의 타단은 제 2 걸림부(404a)에 다시 위치하여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돌기(402)의 일단은 안착부(202)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므로, 제 2 돌기(402)의 타단은 상기 힌지에 의해 다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돌기(402)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제 2 가이드부(404)를 따라 가이드되는 과정에서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제 2 돌기(402)의 타단은 제 2 가이드부(404)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걸림부(404a, 404b, 404c, 404d) 각각에 위치하게 된다. 걸림부(404a, 404b, 404c, 404d)들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각각 다르므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는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2 돌기(404)가 제 1 걸림부(404a)에 위치하는 경우, 안착부(20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02)의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 2 가이드부(404)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가이드부(40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걸림부의 개수 및 위치 또한 다양할 수 있다.6, the second guide portion 404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404a, 404b, 404c, and 404d having at least one height differen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6, in the initial state before the portable device 50 is hous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second projection 402 may be located at the first latching portion 404a. When the user presses the portable device 50 to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o the seating portion 202,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may be positioned at the second seating portion 404b. When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portable device 5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ating part 202 is removed, and the seating part 202 is moved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4 . In this proces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positioned at the third latching portion 404c. 6, the second latching portion 404b and the third latching portion 404c have a bent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engaged with the third latching portion 404c . Thereafter, when the user presses the portable device 50 again and a pressur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to the seat 202,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positioned at the fourth seat 404d. When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portable device 5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ating part 202 is removed, and the seating part 202 is moved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4 . In this proces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second latching portion 404a. As described above, since on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02,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can move in multiple directions by the hinge.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rojection 402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can be contracted or relaxed in the process of being guided along the second guide portion 404.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402 can be guided along the second guide part 404 and is positioned in each of the catches 404a, 404b, 404c, and 404d in this process. Since the hooks 404a, 404b, 404c, and 404d have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adjusted in steps through the above process . In addition, when the second projection 404 is located in the first latching portion 404a, the seating portion 202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us,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easily taken out. In addition, foreign matters in the seat 202 can be easily removed. The shap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404 shown in FIGS. 5 and 6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The second guide portion 404 may have various shapes,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engaging portions may va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삽입 깊이 조절부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되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be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through the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thereby stably storing portable devices of various sizes .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506, 518, 522), 및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5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rilizing portions 506, 518 and 5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입구 커버(50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개폐시킨다. 입구 커버(50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즉,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개방된 전단)에 형성된다. 입구 커버(50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입구 커버(50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502)의 일측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측 하우징부(102)에서 힌지(502-1)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 커버(502)는 휴대 기기(50)의 수납 시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서 인출되는 경우, 입구 커버(50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닫게 된다. 여기서, 힌지(502-1)는 휴대 기기(5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입구 커버(50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502-1)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First, the entrance cover 502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entrance cover 502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i.e., the opened front end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inlet cover 502 is form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mouth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inlet cover 502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One side of the inlet cover 502 can be coupled to the hinge 502-1 at the inlet side housing part 102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Accordingly, the inlet cover 502 can be rotated inward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while being pushed by the portable device 50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taken out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entrance cover 502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Here, the hinge 502-1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inlet cover 50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drawn out. The hinge 502-1 may be,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여기서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50)의 전부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는 입구 커버(502)에 의해 닫힐 수 있다. Although a part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device 50 is hous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n be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nd housed therein. At this time,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can be closed by the entrance cover 502.

한편, 입구 커버(502)는 자외선 차단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5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한다. 이때, 입구 커버(502)의 자외선 차단 물질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의 자외선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로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은 예를 들어,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이 될 수 있다.Meanwhile, the entrance cover 502 may be formed of an ultraviolet barrier material or coated with an ultraviolet barrier material.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o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At this time, the ultraviolet shielding material of the entrance cover 502 can prevent the ultraviolet rays inside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from being directed to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us, the sterilizing efficiency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increased. The ultraviolet shielding material can be, for example, zinc oxide, titanium dioxide and the like.

위치 고정부(504)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위치 고정부(504)는 예를 들어, 입구 커버(502)의 면들 중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50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504)가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위치 고정부(504)는 힌지(502-1)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고정부(504)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 커버(50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하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unit 504 presses and fixes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portable device 50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among the faces of the entrance cover 502,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entrance cover 502 is pushed by the portable device 50 and rota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unit 504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50, thereby fixing the portable device 5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can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hinge 502-1.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g., a rubber member, a urethane, a sponge, or the like) to prevent scratches or the like from occurring in the portable device 50. [ In this way, the entrance cover 502 can function not only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but also to guide and fix the portable device 5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ly, even when an external shock or trembling occurs during the wireless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50, the wireless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stably performed.

자외선 조사부(5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한다. 자외선 조사부(506)는 하우징부(102) 내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에어 홀(50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자외선 조사부(506)는 에어 홀(508)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5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된 휴대 기기(5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채, 즉 휴대 기기(5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에어 홀(508)을 통해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506)는 예를 들어,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506)는 무선 충전부(509)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506)는 무선 충전부(509)와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o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At least on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102. 7, one or more air holes 508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and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may be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not shown) through the air hole 508 104 may b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is configured to carry the ultraviolet ray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through the air hole 508 in a state in which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is not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portable device 50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he device 50 can be sterilized.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may be, for example, an ultraviolet LED or an ultraviolet lamp.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can operate together with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 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sterilized whil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being char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may operate separately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한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자외선 조사부(506)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에 반응하여 살균 물질을 발생시키는 광 촉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촉매부는 광 촉매(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산화텅스텐 등) 물질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50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물질이 반응하여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가 생성된다.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오염 물질을 산화 분해시켜 휴대 기기(50)를 살균하게 된다.The vehicle-mounted-device storag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hotocatalyst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a sterilizing substance in response to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The photocatalytic portion can be formed by coating a photocatalyst (e.g., titanium dioxide, zinc oxide, cadmium sulfide, tungsten oxide, etc.)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When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s 104, the photocatalyst material reacts with ultraviolet rays to generate hydroxy radicals and superoxide having strong oxidizing power. Hydroxy radicals and superoxide oxidize and decompose the contaminants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o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에어 홀(508)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506)는 에어 홀(508)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이온 발생기(518) 및 오존 발생기(522)는 에어 홀(508)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각각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air hole 508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s described above,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can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s 104 through the air holes 508. As described later, the ion generator 518 and the ozone generator 522 can generate ions and ozone into the interior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rough the air holes 508, respectively.

무선 충전부(509)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한다. 무선 충전부(509)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또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509)는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부(509)는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력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509)는 전력 송신부의 전력 방사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wirelessly charges the portable device 50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wireless charger 509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or the housing part 102. [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can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ransmitting energy wirelessly.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radiates wireless power into the air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 As the power transmitting unit, for example, a charging coil or a radiator may be used.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may include a charge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wer radi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전자파 차폐부(510)는 무선 충전부(509)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면서 무선 충전부(509)에서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무선 충전부(509)의 일면 측에 휴대 기기(50)가 위치하는 경우, 전자파 차폐부(510)는 하우징부(102)에서 무선 충전부(509)의 타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 내에는 전자파 차폐부(510-1, 510-2)가 여러 개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전자파 차폐부(510-1, 510-2)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unit 510 is provided so as not to obstruct the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while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509 from going out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art 51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part 509 in the housing part 102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part 509. [ In the housing part 102, a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arts 510-1 and 510-2 may be stack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arts 510-1 and 510-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전자파 차폐부(510)라는 별도의 구성 없이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자체(일부 또는 전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는 전자파 차단 섬유 또는 전자파 차단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물질은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전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housing part 102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be entirely or partially formed of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art 510. [ That is, the housing part 102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itself (partly or entirely) may be made of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In addition, the housing part 102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be made of a resin includ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For example, the housing part 102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be made of a resin contain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bers 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owder. At this time,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may be included in the entire area of the housing part 102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or may be included in only a part of the area.

안테나(512)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감지하거나 휴대 기기(50)와 무선 통신한다. 안테나(512)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512)는 예를 들어, 2G 통신의 경우 800MHz 또는 18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3G 통신의 경우 21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테나(512)는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가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와이파이(2.4 GHz) 등)의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antenna 512 senses the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or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device 50 in a wireless manner. The antenna 5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102. For example, the antenna 512 can receive radio waves of 800 MHz or 1800 MHz in the case of 2G communication, and can receive radio waves in the 2100 MHz band in the case of 3G communic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ntenna 512 may include a frequency band (for example, Wi-Fi (2.4 GHz), etc.) used when the portable device 50 receives an incoming signal, text, e- And the like.

보호 패드(5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바닥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에 형성되어 휴대 기기(50)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패드(516)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로 삽입되어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5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보호 패드(51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5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 등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 패드(5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어느 곳이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에 보호 패드(516)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패드(516) 또는 돌기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516) 또는 돌기는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otection pad 51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seating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o protect the portable device 50. The protection pad 516 protects the portable device 50 from the impact and prevents noise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nd housed therein. In addition, the protection pad 516 can prevent the portable device 50 from slipping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rotective pad 51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ective pad 516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r inner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But may be formed at various other positions. That is, the protection pad 516 can be formed anywhere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protective pad 516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At this time, the protective pad 516 or protrusion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protection pad 516 or the protrusion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a material such as urethane or silic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는 이온 발생기(518)를 포함할 수 있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riliz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sterilizing portion may include an ion generator 518.

이온 발생기(518)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이온 발생기(51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과 송풍팬(1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518)에서 발생된 이온은 에어 홀(508)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온 발생기(518)에서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The ion generator 518 generates at least one of an anion and a cation. The ion generator 518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and the air blowing fan 126. Ions generated in the ion generator 518 are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rough the air hole 508. The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generated in the ion generator 518 sterilize and deodorize various bacteria and fungi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o purify the air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At this time, the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can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송풍팬(520)은 바람을 발생시키며, 에어 홀(508)은 송풍팬(520)이 발생시킨 바람을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배출한다. 즉, 송풍팬(520)은 에어 홀(508)을 통해 휴대 기기(50)로 바람을 배출함으로써 휴대 기기(50)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내 송풍팬(520) 근처에는 이온 발생기(51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송풍팬(520)은 이온 발생기(518)에서 발생된 이온을 에어 홀(508)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air blowing fan 520 generates wind and the air hole 508 discharges the wind generated by the air blowing fan 520 into the interior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at is, the blowing fan 520 can dry the portable device 50 by discharging the air to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air hole 508. Accordingly, the foreign substance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removed. An ion generator 518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blowing fan 520 in the housing part 102 and the blowing fan 520 may move the ions generated in the ion generator 518 through the air hole 508 And can be discharged into th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는 오존 발생기(522)를 포함할 수 있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rilizing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sterilizing portion may include an ozone generator 522.

오존 발생기(522)는 휴대 기기(50) 살균을 위한 오존을 발생시킨다. 오존 발생기(522)는 이온 발생기(518)와 마찬가지로 휴대 기기 수납홈(104)과 송풍팬(1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오존 발생기(522)에서 발생된 오존은 에어 홀(508)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오존 발생기(522)에서 발생시킨 오존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살균부의 별도의 실시예들로서 자외선 조사부(506), 이온 발생기(518) 및 오존 발생기(522)를 각각 설명하였으나, 자외선 조사부(506), 이온 발생기(518) 및 오존 발생기(522)는 하우징부(102) 내에서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The ozone generator 522 generates ozone for sterilizing the portable device 50. The ozone generator 52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nd the air blowing fan 126 like the ion generator 518. The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522 is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rough the air hole 508. Th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522 can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the ion generator 518 and the ozone generator 522 are described as separate embodiments of the sterilizing unit respectively. However,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506, the ion generator 518, and the ozone generator 522 Or may be present in the housing part 102 at the same tim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부(5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와 비교하여 위치 고정부(504)의 위치 및 형상만이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fixing unit 50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different from FIGS. 7 to 9 only i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and therefore, only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herein.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부(50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고정부(50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고정부(504)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위치 고정부(504)는 휴대 기기(5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하여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위치 고정부(504)의 일측은 휴대 기기(5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일단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고정부(504)의 일단은 쐐기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부(504)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재질은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등의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504)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위치 고정부(504)의 일측은 탄성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3개의 위치 고정부(504)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 내측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위치 고정부(504)의 개수 및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위치 고정부(50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양 내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10 (a) and 10 (b),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can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may be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fixing unit 504 presses and fixes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portable device 50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presses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 One end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may be bent at one end so as to press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table device 50. For example, one end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may have a wedge shape or a V shape. 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elastic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spring such as a leaf spring. When the position fixing part 504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ne side of the position fixing part 504 can press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an elastic force of an elastic material. Although three position fixing portions 504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one inner side wall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s 504 are not limited thereto. 10,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04 may be formed on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vehicle-mounted-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차량의 대시 보드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①, ②, ③, ④).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차량의 센터 페시아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⑤, ⑥).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콘솔 박스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⑦).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차량 앞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⑧).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차량 뒷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⑨).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차량 앞 좌석의 시트 백에 설치될 수 있다(⑩). 그러나, 휴대 기기 수납홈(104)이 설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11,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1, 2, 3, 4).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5), (6)).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can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console box (7).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can be installed in the front door of the vehicle (8).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rear door (9).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may be provided in the seat back of the seat in front of the vehicle (10).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osition wher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is provided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ther than the abov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차량의 도어(door)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at the vehicle-mounted-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of a vehicl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량 시트에 않은 상태에서 휴대 기기(50)를 간편하게 수납 및 충전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대해서는 앞서 자세히 설명하였는바,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2,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can be installed in a door of a vehicle.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store and charge the portable device 50 without being on the vehicle seat.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50 : 휴대 기기
100 :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하우징부
104 : 휴대 기기 수납홈
106 : 조명부
108 : 알림부
110 : 유선 접속부
112 : AUX 케이블 삽입구
202 : 안착부
204 : 탄성부재
206 : 제 1 돌기
208 : 제 1 가이드부
208a, 208b, 208c, 208d, 208e, 208f, 208g : 걸림부
402 : 제 2 돌기
404 : 제 2 가이드부
404a, 404b, 404c, 404d : 걸림부
502 : 입구 커버
502-1 : 힌지
504 : 위치 고정부
506 : 자외선 조사부
508 : 에어 홀
509 : 전자파 차폐부
512 : 안테나
514 : 무선 충전부
516 : 보호 패드
518 : 이온 발생기
520 : 송풍팬
522 : 오존 발생기
50: Mobile devices
100: Portabl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102: housing part
104: Mobile device storage home
106:
108:
110: Wired connection
112: AUX cable slot
202:
204: elastic member
206: first projection
208: first guide portion
208a, 208b, 208c, 208d, 208e, 208f, 208g:
402: second projection
404: second guide portion
404a, 404b, 404c, 404d:
502: inlet cover
502-1: Hinge
504:
506:
508: Air hole
509: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art
512: antenna
514:
516: Protective pad
518: Ion generator
520: blowing fan
522: Ozone generator

Claims (24)

차량 내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 구조물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깊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삽입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A vehicle-mounted device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portable device in a vehicle,
A housing part formed in an inner structure of the vehicle and including a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and stored; And
And an insertion dep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insertion depth of the portable device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in a stepwise man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A seating part o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seated; And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at portion so that the seat portion can move in an insertion direction or a draw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돌기;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안착부의 일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의 타단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ertion-
A first projection hing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t one end; And
And a first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at portion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nd guiding a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rojec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 1 돌기의 타단은 제 1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되어 복수 개의 상기 걸림부 중 하나에 위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gui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height differen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When a pressur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seating par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jection is moved along the first guide part And is guided to be position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깊이 조절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안착부의 일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 2 돌기;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2 돌기의 타단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ertion-
A second projection having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nd
And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nd guiding a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 2 돌기의 타단은 제 2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되어 복수 개의 상기 걸림부 중 하나에 위치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guid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that are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recess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at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has a second And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to be loc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sition fix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hous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에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inn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rilizing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ultraviolet ray irradiating portion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n 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ons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and an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sse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에어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 상기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오존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마련되어 상기 에어 홀을 통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부로 각각 자외선, 이온 또는 오존을 조사하거나 발생시키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on generator, and the ozone generator are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ultraviolet ray, the ion generator, and the ozone generator are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through the air hole, Ion or ozone is irradiated or generate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벽에 코팅되어 마련되고 상기 자외선에 반응하여 살균 물질을 발생시키는 광 촉매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riliz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hotocatalyst portion coated on an inner wall of the receiving recess of the portable device and generating a sterilizing substance in response to the ultraviolet light.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광 촉매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내벽에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및 산화텅스텐 중 적어도 하나의 광 촉매가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hotocatalytic portion is formed by coating at least one photocatalys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dioxide, zinc oxide, cadmium sulfide, and tungsten oxide on the inner wall of the mobile device receiv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mounted-device accommod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n entrance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입구 커버는, 자외선 차단재로 이루어지거나 자외선 차단 물질이 코팅되어 마련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entrance cover is formed of an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or coated with an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 내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어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ireless charging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and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wir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wired to the portable device to charge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위치,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tion unit provided at an entranc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a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and an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의 수납 여부를 표시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illumination unit displays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of the vehicl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the vehicle is turned of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소리로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for informing a user of at least one of a charging state and an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by sound.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에의 수납 여부를 소리로 알려주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notifying unit alerts the user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of the vehicl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the vehicle is turned of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은, 상기 휴대 기기에서 발생하는 음압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소정 크기 이상의 공간을 구비하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has a spac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increase the sound pressure generated in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홈의 적어도 일 내면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KR1020140087467A 2014-07-11 2014-07-11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600071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67A KR20160007178A (en) 2014-07-11 2014-07-11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67A KR20160007178A (en) 2014-07-11 2014-07-11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78A true KR20160007178A (en) 2016-01-20

Family

ID=5530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467A KR20160007178A (en) 2014-07-11 2014-07-11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717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2697A (en) * 2018-11-29 2019-03-29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A kind of storage box of depth-adjustable
JP2019059298A (en) * 2017-09-26 2019-04-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On-board hold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886U (en) 2012-04-26 2012-08-21 한국과학기술원 detach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886U (en) 2012-04-26 2012-08-21 한국과학기술원 detach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9298A (en) * 2017-09-26 2019-04-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On-board hold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CN109532697A (en) * 2018-11-29 2019-03-29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A kind of storage box of depth-adjustable
CN109532697B (en) * 2018-11-29 2020-05-01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Storage box with adjustable dep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7849A (en) Apparatus for both storing portable device and door handle in vehicle
CN208581338U (en) Protective case
US8996064B2 (en) Health risk, mitigating, retractable, wired headset and protective case platfor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6074744B2 (en) In-vehicle charger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US8942748B2 (en) Adapters for facilitating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in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s, and systems comprising same
KR102081718B1 (en) Cup holder
KR20140095938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US20120134526A1 (en) Pop-up tweeter
KR20160007178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US20220123568A1 (en) Wireless charg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A2756217C (en) Portable battery charging apparatus
KR20150107671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40100381A (en)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KR20150128228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50069392A (en)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160028764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US20140335914A1 (en) Health risk mitigating, retractable, wired headset and protective case platform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20150032079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KR20150094961A (en)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60036452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using therof and vehicles with the same
KR102158366B1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40126126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60010971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WO2007081847A2 (en) Battery charger
KR20150076517A (en)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