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079A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2079A KR20150032079A KR20130112106A KR20130112106A KR20150032079A KR 20150032079 A KR20150032079 A KR 20150032079A KR 20130112106 A KR20130112106 A KR 20130112106A KR 20130112106 A KR20130112106 A KR 20130112106A KR 20150032079 A KR20150032079 A KR 201500320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device
- vehicle storage
- cover
- vehicle
- seat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224 prote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9
- 230000006750 UV prote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MP3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930 Pseudomyxoma Peritone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보관부, 차량용 보관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 차량용 보관부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커버, 및 차량용 보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A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is disclosed.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storage portion having an upper opened portion and a storage space capable of storing a portable device, a storage portion formed inside the storage portion for a vehicle, An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for sterilizing,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shielding ultraviolet rays,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용 컵 홀더에 휴대 기기를 함께 거치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있다.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most people are carrying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mobile phones, PDAs, MP3s, PMPs, and tablet PCs. However, Is often not provided separately. Even if a separate device that can mount the portable device in the vehicle is provided, only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and the utilization is reduced. There are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s a way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vehicle by mounting the portable device together with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002(2007.03.1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1002 (Mar. 19, 2007)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having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보관부;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자외선을 차단하는 커버; 및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storage unit having an upper opened portion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 portable device; An ultraviolet irradiator formed inside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sterilizing the portable equipmen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blocks the ultraviolet rays;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보관부;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 및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comprising: a vehicle storage unit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 portable device;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보관부에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으로 휴대 기기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커버를 통해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크기 별로 안착홈을 구비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를 통해 무선 충전 여부 및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can be charged wirelessly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in the vehicle storage por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can be sterilized with ultraviolet rays to remove bacteria or contaminants that are adhered to the portable devic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exposed to ultraviolet rays through the cov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urify the portable device by generating ions, but also purify air in the vehicle interi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various portable devices by providing a seating groove for each size of the portable device. Also,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wireless charging state and the wireless chargeable region through the illumina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차량용 보관부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device accommo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orage unit for a vehicle of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ttom surface of a vehicl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차량용 보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의 센터페시아 하부 또는 센터 콘솔 또는 암레스트 등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차량용 보관부가 형성되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이러한 차량용 보관부를 이용하여 형성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용 보관부(102), 무선 충전 모듈(104), 자외선 조사부(106), 커버(108), 이온 발생기(110), 및 충전 상태 알림부(112)를 포함한다. 2 and 3, the portable
차량용 보관부(102)는 차량 내부에 형성된다. 차량용 보관부(102)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차량용 보관부(102)는 예를 들어, 센터페시아 하부,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용 보관부(102)에는 휴대 기기(90)가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The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에는 보호 패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90)가 차량용 보관부(102) 내에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9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118)는 차량용 보관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9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에서 무선 충전 모듈(104)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4)이 차량용 보관부(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휴대 기기(90)의 무선 충전 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118)는 무선 충전 모듈(104)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118)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 중 무선 충전 모듈(104)이 형성된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A
무선 충전 모듈(104)은 차량용 보관부(102)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4)은 차량용 보관부(10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4)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4)은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는 충전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4) 중 전력 송신부만이 차량용 보관부(102)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송신부 및 충전 제어 회로가 모두 차량용 보관부(102)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자외선 조사부(106)는 차량용 보관부(102) 내에 형성된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차량용 보관부(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9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무선 충전 모듈(104)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6)는 무선 충전 모듈(104)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ultraviolet
커버(108)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커버(108)는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및 기어 등과 같은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다. 커버(108)가 열리는 경우, 커버(108)는 다른 차량 내부 구조물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커버(108)는 차량용 보관부(102)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8)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08)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용 보관부(102)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08)의 일측은 차량용 보관부(10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8)는 힌지를 회전축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게 된다. 또한, 커버(108)는 양문 개폐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108)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8)가 닫혀 있어도 사용자가 휴대 기기(9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108)의 일부(예를 들어, 휴대 기기(90)가 수납된 위치와 대응하는 부분)만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커버(108)는 자외선 차단 커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08)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106)를 통해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때, 자외선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휴대 기기(9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커버(108)는 자외선 조사부(106)의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06)가 온(ON)되는 경우, 커버(108)가 닫혀져 차량용 보관부(10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106)가 오프(OFF)되는 경우, 커버(108)가 열려져 차량용 보관부(102)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6)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이 커버(108)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이온 발생기(110)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110)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후방에 위치하는 박스(116)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온 발생기(110)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발생기(110)는 휴대 기기(90)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용 보관부(102)에는 에어 홀(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온 발생기(110)가 발생한 음이온 및 양이온은 에어 홀(114)을 통해 차량용 보관부(10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에어 홀(114)은 박스(116)와 차량용 보관부(102)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온 발생기(110)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용 보관부(102)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용 보관부(102)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용 보관부(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08)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차량용 보관부(102)에서 빠져나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The
충전 상태 알림부(112)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충전 상태 알림부(112)는 박스(116)의 상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상태 알림부(112)는 예를 들어, 휴대 기기(90)의 충전된 정도에 따라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단계 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태 알림부(112)는 휴대 기기(9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휴대 기기(90)의 충전 완료 사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상태 알림부(112)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 알림부(112)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소리로도 알려줄 수 있다.
The charg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차량용 보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차량용 보관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orage unit for a vehicle of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is a top view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and FIG. 4 (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A-A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에는 안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휴대 기기(9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90)는 차량용 보관부(102)에서 안착홈(121)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안착홈(121)은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제1 안착홈(121-1), 제2 안착홈(121-2), 및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안착홈(121)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21)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은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90)들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1 안착홈(121-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2 안착홈(121-2)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3 안착홈(121-3)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4)은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의 하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04)의 전력 송신부(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 등)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21)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4)은 복수 개의 안착홈(12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한편, 안착홈(121)에는 조명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의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9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24)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12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안착홈(121)이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조명부(124)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121)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하는 경우, 조명부(124)는 제1 안착홈(12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조명부(124-1), 제2 안착홈(12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조명부(124-2), 및 제3 안착홈(121-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조명부(1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조명부(124-1, 124-2, 124-3)는 각 안착홈(121-1, 121-2, 121-3)들의 경계 부분(즉,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24)는 안착홈(121) 내에서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여기서는, 조명부(124)가 안착홈(121)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모듈(10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그 자체로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가능 영역(무선 충전 모듈(104)과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해주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모듈(104)에서 발생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4)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4)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 가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4)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거나 응답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무선 충전 불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4)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24)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4)에서 무선 충전 불가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24)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어렵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The illuminating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은 커버(108)가 열리는 경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90)를 차량용 보관부(102)에 수납하기가 용이해지며, 차량용 보관부(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90)의 상태(예를 들어, 메시지가 오거나 전화가 오는 경우 등)를 확인하기도 용이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bottom surfac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ttom surface of a vehicl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bliquely.
도 6의 (a)를 참조하면, 커버(108)의 일단 하부에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을 압박하는 압박부(108-1)가 형성될 수 있다. 압박부(108-1)는 커버(108)의 일단 하부에서 커버(108)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108)가 닫혀 있는 경우 압박부(108-1)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 일측을 압박하게 된다.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 타측에는 힌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은 힌지(131)를 통해 차량용 보관부(102)의 내측면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의 일측 하부에는 탄성 부재(134)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4)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에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탄성 부재(134)는 예를 들어,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박부(108-1)가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의 일측을 상부에서 압박하고 있으므로, 탄성 부재(134)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의 일측 하부에서 수축된 상태에 있게 되고,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은 수평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6 (a), a pressing portion 108-1 for pressing the bottom surface 102-a of the
도 6의 (b)를 참조하면, 커버(108)가 열리는 경우, 압박부(108-1)는 커버(108)의 이동과 함께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 일측에서 바닥면(102-a)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압박부(108-1)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의 일측 하부에 위치한 탄성 부재(134)가 이완되면서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의 일측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은 힌지(13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 일측이 걸림부(137)에 걸리면서 회전이 멈추게 된다. 걸림부(137)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일측 상단에서 차량용 보관부(102)의 수납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108)의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6 (b), when the
여기서는,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이 커버(108)의 개방 동작 시 회전하여 경사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용 보관부(102)의 바닥면(102-a)은 고정된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ottom surface 102-a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보관부(102)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90)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으로 휴대 기기(90)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커버(108)를 통해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90)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90) 크기 별로 안착홈을 구비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124)를 통해 무선 충전 여부 및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차량용 보관부
102-a : 바닥면 104 : 무선 충전 모듈
106 : 자외선 조사부 108 : 커버
108-1 : 압박부 110 : 이온 발생기
112 : 충전 상태 알림부 114 : 에어홀
121 : 안착홈 124 : 조명부
131 : 힌지 134 : 탄성 부재
137 : 걸림부100: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2: Storage device for vehicle
102-a: bottom surface 104: wireless charging module
106: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art 108: cover
108-1: compression unit 110: ion generator
112: Charging status notification unit 114: Air hole
121: seat groove 124:
131: Hinge 134: Elastic member
137:
Claims (21)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자외선을 차단하는 커버; 및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A vehicle storage unit having a top opened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portable device;
An ultraviolet irradiator formed inside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sterilizing the portable equipmen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blocks the ultraviolet rays; And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과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은 상호 연동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 and OFF operations of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cover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 및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A vehicle storage unit having a top opened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portable device;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And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unit and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차량용 보관부 내부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ion generator form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storage section and generating at least one of an anion and a cation inside the vehicle storage section.
상기 차량용 보관부는,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vehicle-
An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seating groove is seated and fixed to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And a protection pad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커버가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상부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을 회전하여 경사지게 하는 경사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forming portion for rotating and incli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when the cover opens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상기 경사 형성부는,
상기 커버의 일단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을 압박하는 압박부;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clination-
A press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cover and pr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An elastic membe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And
And a hing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seating groove is seated and fixed to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And a protection pad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seating groove is seated and fixed to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n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상기 안착홈은,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안착홈은 상기 바닥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ating groove
Wherein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are formed to form a stepped step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용 보관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And a protection pad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storage portion.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충전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charge state notification unit for indicating a charge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illumination unit for indicating whether the portable device can be charged wirelessly according to a wireless charging / discharging signal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illumination unit includes:
Wherein at least one of a brightness level, a color temperature level, and a hue varies depending on a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커버는,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cover
Wherein the whole or part of the housing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커버는,
자외선 차단 커버인,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ver
An ultraviolet protection cover,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2106A KR20150032079A (en) | 2013-09-17 | 2013-09-17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en) | 2013-03-20 | 2014-03-20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2106A KR20150032079A (en) | 2013-09-17 | 2013-09-17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079A true KR20150032079A (en) | 2015-03-25 |
Family
ID=5302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2106A KR20150032079A (en) | 2013-03-20 | 2013-09-17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32079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01201B2 (en) | 2015-07-02 | 2017-07-11 | Hyundai Motor Company |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CN111327100A (en) * | 2020-03-23 | 2020-06-23 | 上海与非日用品有限公司 | Automatic charging equipment of radiation protection cell-phone |
KR20220055528A (en) | 2020-10-26 | 2022-05-04 | 주식회사 서연이화 | Apparatus for mask sterilization mounted on vehicle |
-
2013
- 2013-09-17 KR KR20130112106A patent/KR2015003207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01201B2 (en) | 2015-07-02 | 2017-07-11 | Hyundai Motor Company |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CN111327100A (en) * | 2020-03-23 | 2020-06-23 | 上海与非日用品有限公司 | Automatic charging equipment of radiation protection cell-phone |
CN111327100B (en) * | 2020-03-23 | 2020-12-22 | 嘉兴市创美电器有限公司 | Automatic charging equipment of radiation protection cell-phone |
KR20220055528A (en) | 2020-10-26 | 2022-05-04 | 주식회사 서연이화 | Apparatus for mask sterilization mounted on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32080A (en) | Cup holder | |
US8816636B2 (en) | Console do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 |
US10186884B2 (en) |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ulti-station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9717809B2 (en) | System for storing and sanitizing complex devices | |
KR20160007849A (en) | Apparatus for both storing portable device and door handle in vehicle | |
KR20150084210A (en) |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 |
JP6572730B2 (en) | Luminous interior products | |
KR20150032079A (en)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 |
US12046937B2 (en) | Wireless charg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 |
KR200484063Y1 (en) | Functional Bags for storing cosmetics | |
KR20140095938A (en)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 |
KR20160085607A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9908463B2 (en) | Light emitting interior product | |
KR20150071523A (en)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 |
KR101409225B1 (en) | Charging System Using Cup Holder | |
JP6843702B2 (en) | Charging port structure | |
KR20140100381A (en) |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 |
KR20150094961A (en) |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2015013158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 |
US6505951B1 (en) | Wall-mountable, battery-operated light-emitting device | |
KR20140126126A (en)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 |
KR20160028764A (en)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 |
KR102158366B1 (en)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 |
KR20150030527A (en)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 |
TWI613116B (en) | Vehicle and lighting system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