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070A -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070A
KR20160007070A KR1020140087031A KR20140087031A KR20160007070A KR 20160007070 A KR20160007070 A KR 20160007070A KR 1020140087031 A KR1020140087031 A KR 1020140087031A KR 20140087031 A KR20140087031 A KR 20140087031A KR 20160007070 A KR20160007070 A KR 20160007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over
driving un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136B1 (ko
Inventor
오수영
Original Assignee
오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영 filed Critical 오수영
Priority to KR102014008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1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요소들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장변 또는 단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성 요소를 감싸는 구동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ULTRA SLIM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디스플레이의 기술의 발전 방향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보다 더 고화질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기술과 종래의 디스플레이보다 더 얇고 가벼운 초슬림(Ultra Slim)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기 위한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초슬림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에서 백라이트(BLU: Back Light Unit)의 두께를 줄이는 방법, BLU에서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과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의 두께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수준까지 최소화하는 방법, OLED에서 구동부(Driving Unit)가 실장되는 기판의 두께를 축소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기술로는 조립 방식의 변경하여 최종 제품의 베젤(Bezel)의 두께를 줄이는 방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최종 제품의 베젤의 두께를 줄이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로 제작된 대부분의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구동부(Panel Driving Unit), 배터리(battery), 및 전원 공급부(Power supplying unit)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이 디스플레이 패널 뒷면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뒷면에 배치된 구동부,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중 발생하는 발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상 구동 현상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뒷면에 배치된 구동부, 배터리, 전원 공급부의 크기에 따라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보다 더 두꺼워진다.
KR 1020070117746 A KR 100964469 B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발열에 인해 유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상 구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부,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가 디스플레이 패널 뒷면에 배치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디스플레이의 베젤의 두께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부,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디스플레이부 간 서로 탈착 가능한 구성을 갖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요소들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장변 또는 단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성 요소를 감싸는 구동부 커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와 상기 구동부 커버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각각의 독립된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요소로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요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와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가능하고, 충전된 전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이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구성 요소로는,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충전 가능하며, 충전된 전원으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는 전원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된 저장부;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원소스 중 어느 하나와 연결 가능한 커텍터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을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상기 배터리, 상기 전원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상기 배터리, 상기 전원부, 상기 저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어부가 실장된 구동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및 상기 구동부 커버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가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연결하기위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장변 또는 단변의 일 측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구동부,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을 위한 제1 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를 위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하우징을 갖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동작 시 발생하는 발열의 영향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상 구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감싸는 제1 하우징 부분과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제2 하우징 부분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하우징을 제공하여 종래의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더 얇은 베젤로 구현 가능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으로 최종 제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의 두께를 줄임으로서 사용자의 시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와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서 구동부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간의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는 구비된 커넥터를 통해 구동부와 연결되거나 구동부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 독(dock)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등과 결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패널을 포함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어떠한 전자 장치 내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 단말(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인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은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 (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 (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구동부(1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되는 구동부 커버(120) 부분과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되는 디스플레이 커버(210) 부분으로 구분 가능한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커버(100)에는 구동부(1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될 수 있다. 구동부 커버(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구성 요소 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 커버(210)와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커버(210)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커버(2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구성 요소 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동부 커버(100)와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하나의 하우징은 구동부 커버(120) 부분과 디스플레이 커버(210)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동부 커버(120)를 통해 용이하게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경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중 어느 하나)에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이 입력될 수 있다.
구동부(100)는 구동부 커버(120), 카메라(110), 스피커(150), 전원부(140), 저장부(180), 커넥터부(130), 디스플레이 모듈(160) 및 구동 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커버(120)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하나의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 커버(120)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장변의 측면 또는 단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제어부(170-1)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1) 및 제2 카메라(11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10-1) 또는 제2 카메라(110-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10-1)는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10-2)는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10-1)와 제2 카메라(110-2)는 인접(예를 들어, 제1 카메라(110-1)와 제2 카메라(110-2)의 간격이 1cm 보다 크고, 8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스피커(150)는 제어부(170-1)의 제어에 따라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방송 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 되는 사운드를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50)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50)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동부 커버(120)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40)는 전원 공급부(140-1) 및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1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0-1)는 제어부(170-1)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 커버(120)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140-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140-2)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40-1)는 커넥터부(130)에 구비된 제1 커넥터(130-1)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미도시)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40-1)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저장부(180)는 제어부(170-1)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10), 스피커(150), 전원부(140), 저장부(180), 커넥터부(130), 디스플레이 모듈(160) 및 구동 보드(17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제어부(170-1)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80), 제어부(170-1)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구동부(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13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30-1)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또는 전원소스(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어부(170-1)의 제어에 따라 제1 커넥터(130-1)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저장부(18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1 커넥터(130-1)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1)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1)는 디스플레이 모듈(16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1)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미도시)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미도시)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제어부(170-1)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를 들어, 전류 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미도시)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각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미도시)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구동 보드(170)는 제어부(17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1)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 카메라(110) 및 커넥터부(13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홍채) 움직임, 생체신호 등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1)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 내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커버(210),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 및 백라이트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210)는 구동부 커버(120)와 하나의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210)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 및 백라이트 유닛(23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 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전자펜,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터치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검출 가능한 간격 이내의 입력 수단의 접근)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를 들어, 전류 값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를 들어, 전류 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미도시)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이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 못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등 일 경우 추가로 디스플레이부(2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230)은 액정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의 뒷면에서 빛을 방출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구동부(1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되는 제1 하우징인 구동부 커버(120) 및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되는 제2 하우징인 디스플레이 커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커버(100)에는 구동부(1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될 수 있다. 구동부 커버(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구성 요소 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 커버(210)와 별도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커버(210)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커버(2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구성 요소 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동부 커버(100)와 별도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구동부 커버(120)와 디스플레이 커버(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동부(100)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 전체를 수리 및 교체할 필요 없이 고장이 발생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구동부(100) 또는 디스플레이부(200)를 선택적으로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는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기기 전용 커넥터(240-2)를 지원하기 때문에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확장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만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과 백라이트 유닛(230)을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두께보다 더 얇은 두께(예를 들어, 베젤의 두께)을 갖는 디스플레이 커버(2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 커버(120)를 통해 용이하게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파지한 손에 인해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각 구성요소와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 요소가 동일한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부(100)는 구동부 커버(120), 카메라(110), 스피커(150), 전원부(140), 저장부(180), 커넥터부(130), 디스플레이 모듈(160) 및 구동 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커버(120)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와 독립된 제1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 커버(120)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장변의 측면 또는 단변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 부재와 탈착 가능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130)는 제1 커넥터(130-1) 및 제2 커넥터(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30-2)는 구동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커넥터(130-2)는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비된 커넥터부(240)의 제1 커넥터(240-1) 및 제2 커넥터(240-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00)의 제어부(170-1)는 제2 커넥터(130-2)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부(100)는 제2 커넥터(130-2)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00)을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커버(210),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 백라이트 유닛(230) 및 커넥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240-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2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240-1)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측면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240-1)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장변의 측면에 하나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단변의 측면에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40-1)는 디스플레이부(200)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이 노출된 방향과 대향된 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240-1) 및 상기 제2 커넥터(240-2) 중 어느 하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구동부(100)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제1 커넥터(240-1) 및 상기 제2 커넥터(240-2) 중 어느 하나를 구동부(100)의 제어부(170-1)의 제어 신호 또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커넥터(240-1) 및 상기 제2 커넥터(240-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된 구동부(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비된 제1 커넥터(240-1) 및 상기 제2 커넥터(240-2) 중 어느 하나는 구동부(100)에 구비된 커넥터부(240)의 제2 커넥터(130-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00)의 제어부(170-1)는 구동부(100)의 제2 커넥터(130-2)와 디스플레이부(200)의 제1 커넥터(240-1) 및 상기 제2 커넥터(240-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부(100)는 구비된 제2 커넥터(130-2)와 디스플레이부(200)의 구비된 제1 커넥터(240-1) 및 상기 제2 커넥터(240-2)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가 서로 연결되면, 상기 구동부(100)는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을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 및 백라이트 유닛(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디스플레이 커버(210)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가능하고, 충전된 전원으로 디스플레이부(2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미도시)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과 동일한 형상인 초슬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기능부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구동부 커버(120)인 제1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커버(210)인 제2 하우징과 별도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인 제2 하우징은 구동부 커버(120)인 제1 하우징과 별도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 커버(120)인 제1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커버(210)인 제2 하우징은 각각 구비된 커넥터(미도시) 및 결합 부재(미도시)를 통해 서로 탈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부 커버(120)와 디스플레이 커버(210)는 하나의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240-1)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장변의 측면 또는 단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240-1)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장변의 측면 또는 단변 측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240-2)는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24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240-2)를 통해 구동부(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패널을 포함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0)의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길이 방향인 장변의 측면에 구동부(100)의 구동부 커버(미도시)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이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 못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등일 경우 추가로 백라이트 유닛(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0)의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길이 방향인 장변의 측면에 구동부(100)의 구동부 커버(미도시)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220)이 자체적으로 빛을 낼 수 있는 경우 추가로 백라이트 유닛(2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200)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장변 또는 단변의 일 측면에 상기 구동부 커버(미도시)가 배치되는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장변 또는 단변의 일 측면에 상기 구동부 커버(미도시)가 배치되며, 구동부 커버(미도시)와 디스플레이 커버(210)가 각각의 독립된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각각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30-1 또는 130-2)와 연결하기 위한 제1 커넥터(240-1)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 커버(210)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240-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커넥터(240-1) 또는 상기 제2 커넥터(240-2)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구동부
110: 카메라
120: 구동부 커버
130: 커넥터부
130-1: 제1 커넥터
130-2: 제2 커넥터
140: 전원부
140-1: 전원 공급부
140-2: 배터리
150: 스피커
160: 디스플레이 모둘
170: 구동 보드
170-1: 제어부
180: 저장부
200: 디스플레이부
210: 디스플레이 커버
220: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230: 백라이트 유닛
240: 커넥터부
240-1: 제1 커넥터
240-2: 제2 커넥터
300: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3)

  1.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요소들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장변 또는 단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성 요소를 감싸는 구동부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와 상기 구동부 커버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각각의 독립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요소로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요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와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가능하고, 충전된 전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이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성 요소로는,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충전 가능하며, 충전된 전원으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는 전원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된 저장부;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원소스 중 어느 하나와 연결 가능한 커텍터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을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상기 배터리, 상기 전원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상기 배터리, 상기 전원부, 상기 저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어부가 실장된 구동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3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및 상기 구동부 커버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가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연결하기위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장변 또는 단변의 일 측면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후면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87031A 2014-07-10 2014-07-10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5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031A KR101615136B1 (ko) 2014-07-10 2014-07-10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031A KR101615136B1 (ko) 2014-07-10 2014-07-10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70A true KR20160007070A (ko) 2016-01-20
KR101615136B1 KR101615136B1 (ko) 2016-04-25

Family

ID=5530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031A KR101615136B1 (ko) 2014-07-10 2014-07-10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757A (ko) * 2017-05-22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204B1 (ko) 2016-06-22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746A (ko)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방법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액정 표시 장치
KR100964469B1 (ko) 2009-11-24 2010-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4628B2 (ja) * 2006-04-28 2012-07-2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書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746A (ko)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방법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액정 표시 장치
KR100964469B1 (ko) 2009-11-24 2010-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757A (ko) * 2017-05-22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136B1 (ko)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53095A1 (en) Biometric sensor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065124B1 (en) Mobile terminal
US1120119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panel
KR10252706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45445B1 (ko)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87098B1 (ko)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CN111034161B (zh) 包括使用显示面板的结构的天线的电子装置
US9360893B2 (en)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KR20190084397A (ko)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40285453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CN106527785B (zh) 移动终端和用于该移动终端的控制方法
KR102319372B1 (ko)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52168B1 (ko) 이동 단말기
US2019031209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endable display
US20210281761A1 (en) Imaging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EP3642701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ensing signals and storage medium
KR102101334B1 (ko) 멀티 레벨 드라이버를 구비한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KR20200017788A (ko)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101615136B1 (ko) 초슬림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8991B1 (ko) 디스플레이 내에 배치된 센서에 인접한 픽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003293B2 (en) Electronic device that executes assigned operation in response to touch pressure, and method therefor
KR102501123B1 (ko) 이동 단말기
KR20210058553A (ko) 근접 센서의 오인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01121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