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907A - 다채널 폰 플러그 - Google Patents
다채널 폰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6907A KR20160006907A KR1020140086534A KR20140086534A KR20160006907A KR 20160006907 A KR20160006907 A KR 20160006907A KR 1020140086534 A KR1020140086534 A KR 1020140086534A KR 20140086534 A KR20140086534 A KR 20140086534A KR 20160006907 A KR20160006907 A KR 201600069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s
- terminal
- insulating bar
- insulating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다채널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다채널 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제 1 관통홀을 갖는 제 1 절연 막대와, 제 1 절연 막대의 제 1 관통홀 내에 일부가 삽입되고, 중앙에 제 2 관통홀을 갖는 제 2 절연 막대와, 제 1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되도록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연결선들과, 제 2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되도록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연결선들과, 제 2 절연 막대의 제 2 관통홀 내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 3 연결선과, 제 1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1 연결선들 중, 서로 대응하는 제 1 연결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제 1 단자들과, 제 2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2 연결선들 중, 서로 대응하는 제 2 연결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제 2 단자들과, 제 2 절연 막대의 제 2 관통홀 끝단 내에 배치되어, 제 3 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3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다채널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다채널 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폰 플러그(phone plug)는, 음향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음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음향 신호 출력 폰 잭에 끼울 수 있는 샤프트형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2채널 폰 플러그는, 라이트 채널 스피커 및 레프트 채널 스피커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단자, 라이트 채널 스피커에 연결되는 라이트 단자, 그리고, 레프트 채널 스피커에 연결되는 레프트 단자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자들 사이에는, 절연체가 형성되어 서로 간의 합선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 단자의 길이, 라이트 단자의 길이, 및 레프트 단자의 길이는, 모두 규격화되어 있어서, 동일한 규격의 모든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2채널 폰 플러그는, 5.1채널, 6.1채널, 7.1채널 등과 같이 다채널을 구현할 수 있는 음향 기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채널의 음향 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폰 플러그가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5-0088574 (다채널 폰 플러그 및 이와 연결되는 소켓)로 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채널 폰 플러그는, 다채널을 위하여, 다수의 단자들이 배치될 때, 일측 끝에 위치하는 제 1 단자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타측으로 갈수록, 제 1 단자를 감싸는 관통홀을 갖는 제 2 단자, 제 2 단자를 감싸는 관통홀을 갖는 제 3 단자, 제 3 단자를 감싸는 관통홀을 갖는 제 4 단자 등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단자들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각 단자의 관통홀의 직경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고, 단자의 길이가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자들 사이에는, 단자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절연체가 배치되므로, 다채널 폰 플러그의 직경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다채널 폰 플러그는, 표준 규격의 직경 크기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다채널 구현을 위하여, 다수의 단자들을 추가하는데에는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이 경우, 표준 규격의 직경 크기를 유지하면서, 다수의 단자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절연체의 두께를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절연체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면, 단자들 간의 합선으로 인하여, 전기적 연결 불량 및 음향 신호의 품질 저하와 음향 기기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중대한 문제들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준 규격에 따른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단자 수를 증가시켜, 구현 가능한 채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채널 폰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2채널 폰 플러그와 호환이 가능하여, 기존의 2채널 뿐만 아니라, 2채널 이상의 다채널도 구현 가능한 음향 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다채널 폰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의 배열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공정이 쉽고, 전기적 연결 불량을 제거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다채널 폰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채널 폰 플러그는, 중앙에 제 1 관통홀을 갖는 제 1 절연 막대와, 제 1 절연 막대의 제 1 관통홀 내에 일부가 삽입되고, 중앙에 제 2 관통홀을 갖는 제 2 절연 막대와, 제 1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되도록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연결선들과, 제 2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되도록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연결선들과, 제 2 절연 막대의 제 2 관통홀 내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 3 연결선과, 제 1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1 연결선들 중, 서로 대응하는 제 1 연결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제 1 단자들과, 제 2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2 연결선들 중, 서로 대응하는 제 2 연결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제 2 단자들과, 제 2 절연 막대의 제 2 관통홀 끝단 내에 배치되어, 제 3 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3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절연 막대는, 제 1 연결선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제 1 단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수의 절연 돌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선은, 제 1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고 제 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과, 접촉단에 연결되어, 제 1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 2 절연 막대는, 제 2 연결선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제 2 연결선은, 제 2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고 제 2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과, 접촉단에 연결되어, 제 2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자들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1 단자들의 관통홀 내에는, 제 1 절연 막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어, 서로 인접하는 제 1 단자들은, 제 1 절연 막대로부터 돌출된 절연 돌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다음, 제 2 단자들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2 단자들의 관통홀 내에는, 제 2 절연 막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단자들은, 제 2 단자들 사이에 체결되는 절연 체결 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단자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3 단자의 관통홀 내에는, 제 3 연결선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표준 규격에 따른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단자 수를 증가시켜, 구현 가능한 채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2채널 폰 플러그와 호환이 가능하여, 기존의 2채널 뿐만 아니라, 2채널 이상의 다채널도 구현 가능한 음향 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의 배열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공정이 쉽고, 전기적 연결 불량을 제거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폰 플러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다채널 폰 플러그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분리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후단부를 분리한 분해도
도 4는 도 2의 전단부를 분리한 분해도
도 2는 도 1의 다채널 폰 플러그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분리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후단부를 분리한 분해도
도 4는 도 2의 전단부를 분리한 분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폰 플러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측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90도 회전 측면도이며, 도 1c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다채널 폰 플러그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분리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후단부를 분리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단부를 분리한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채널 폰 플러그(1)는, 크게 전단부(1a)와 후단부(1b)로 구성될 수 있다.
다채널 폰 플러그(1)의 후단부(1b)는, 중앙에 제 1 관통홀(11)을 갖는 제 1 절연 막대(10)와, 제 1 절연 막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되도록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연결선(30)들과, 제 1 절연 막대(1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1 연결선(30)들 중, 서로 대응하는 제 1 연결선(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제 1 단자(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채널 폰 플러그(1)의 전반부(1a)는, 제 1 절연 막대(10)의 제 1 관통홀(11) 내에 일부가 삽입되고, 중앙에 제 2 관통홀(21)을 갖는 제 2 절연 막대(20)와, 제 2 절연 막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되도록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연결선(40)들과, 제 2 절연 막대(40)의 제 2 관통홀(21) 내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 3 연결선(50)과, 제 2 절연 막대(2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 2 연결선(40)들 중, 서로 대응하는 제 2 연결선(40)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제 2 단자(70)들과, 제 2 절연 막대(20)의 제 2 관통홀(21) 끝단 내에 배치되어, 제 3 연결선(5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3 단자(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절연 막대(10)의 제 1 관통홀(11)의 직경은, 제 2 절연 막대(20)의 제 2 관통홀(21)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절연 막대(10)의 제 1 관통홀(11) 내에, 제 2 절연 막대(20)가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1 절연 막대(10)는, 제 1 연결선(3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제 1 단자(6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수의 절연 돌기(1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절연 돌기(12)들은, 제 1 절연 막대(10)의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절연 돌기(12)들이, 제 1, 제 2, 제 3 절연 돌기(12a, 12b, 12c)를 포함하고, 다수의 제 1 단자(60)들이, 제 1, 제 2, 제 3 서브 단자(60a, 60b, 60c)를 포함할 경우, 제 1 절연 돌기(12a)는, 제 1 서브 단자(60a)와 제 2 서브 단자(60b)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제 2 절연 돌기(12b)는, 제 2 서브 단자(60b)와 제 3 서브 단자(60c)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선(30)은, 제 1 절연 막대(10)의 외면을 둘러싸고 제 1 단자(6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과, 접촉단에 연결되어, 제 1 절연 막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단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이고, 라인단은, 접촉단의 타측에 연결된 스틱(stick)형일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제 1 연결선(30)들은, 접촉단의 개방 영역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 서로 인접하는 제 1 연결선(30)들의 라인단들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서로 인접하는 제 1 연결선(30)들의 라인단들은, 제 1 절연 막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연결선(30)들의 라인단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 1 연결선(30)들의 라인단들은, 제 1 단자(60)에 전기적으로 비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제 1 연결선(30)이 제 1 서브 연결선(30a)과 제 2 서브 연결선(30b)을 포함하고, 제 1 단자(60)가 제 1, 제 2, 제 3 서브 단자(60a, 60b, 60c)를 포함할 경우, 제 1 서브 연결선(30a)은, 제 1 절연 막대(10)의 외면을 둘러싸고 제 1 서브 단자(60a)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30a-1)과, 접촉단(30a-1)에 연결되어, 제 1 절연 막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30a-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브 연결선(30b)은, 제 1 절연 막대(10)의 외면을 둘러싸고 제 2 서브 단자(60b)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30b-1)과, 접촉단(30b-1)에 연결되어, 제 1 절연 막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30b-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의 접촉단(30a-1, 30b-1)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이고,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의 라인단(30a-2, 30b-2)은, 접촉단(30a-1, 30b-1)의 타측에 연결된 스틱(stick)형일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들은, 접촉단(30a-1, 30b-1)의 개방 영역(32, 34)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 서로 인접하는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들의 라인단(30a-2, 30b-2)들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서로 인접하는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들의 라인단(30a-2, 30b-2)들은, 제 1 절연 막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들의 라인단(30a-2, 30b-2)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서브 연결선(30a)의 라인단(30a-2)의 길이는, 제 2 서브 연결선(30b)의 라인단(30b-2)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들의 라인단(30a-2, 30b-2)들은, 제 1, 제 2, 제 3 서브 단자(60a, 60b, 60c)에 전기적으로 비접촉될 수 있다.
다음, 서로 인접하는 제 1 연결선(30)들의 라인단들은, 제 1 단자(60)에 전기적으로 비접촉되도록, 제 1 연결선(30)의 라인단과 제 1 단자(60) 사이에, 절연 커버 부재(35)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커버 부재(35)는, 제 1 절연 막대(10)가 삽입되는 제 1 단자(60)의 관통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연 커버 부재(35)가 배치되는 제 1 단자(60)는, 제 1 절연 막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 1 단자(60)들 중, 가장 끝단에 위치하는 제 1 단자(60)일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제 1 연결선(30)이 제 1 서브 연결선(30a)과 제 2 서브 연결선(30b)을 포함하고, 제 1 단자(60)가 제 1, 제 2, 제 3 서브 단자(60a, 60b, 60c)를 포함할 경우, 서로 인접하는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의 라인단(30a-2, 30b-2)들은, 제 3 서브 단자(60c)에 전기적으로 비접촉되도록,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의 라인단(30a-2, 30b-2)들과 제 3 서브 단자(60c) 사이에, 절연 커버 부재(35)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커버 부재(35)는, 제 1 절연 막대(10)가 삽입되는 제 3 서브 단자(60c)의 관통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연 커버 부재(35)가 배치되는 제 3 서브 단자(60c)는, 제 1 절연 막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 1, 제 2, 제 3 단자(60a, 60b, 60c)들 중, 가장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커버 부재(35)는, 바디부(35a)와 바디부(35a)의 일측으로부터 제 1 절연 막대(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커버부(35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커버 부재(35)의 커버부(35b)는, 제 1, 제 2 서브 연결선(30a, 30b)의 라인단(30a-2, 30b-2)들과, 제 3 서브 단자(60c) 사이에 배치되어, 그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이때, 절연 커버 부재(35)의 커버부(35b)의 개수와 제 1 연결선(30)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절연 커버 부재(35)의 커버부(35b)는, 제 1 연결선(30)의 라인단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 커버 부재(35)의 커버부(35b)가, 제 1, 제 2 커버부(35b-1, 35b-2)를 포함할 경우, 제 1 커버부(35b-1)는, 제 1 서브 연결선(30a)의 라인단(30a-2)을 커버하고, 제 2 커버부(35b-2)는, 제 2 서브 연결선(30b)의 라인단(30b-2)을 커버할 수 있다.
이어, 제 1 단자(60)들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1 단자(60)들의 관통홀 내에는, 제 1 절연 막대(1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단자(60)들은, 제 1 절연 막대(10)로부터 돌출된 절연 돌기(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단자(60)가 제 1, 제 2, 제 3 서브 단자(60a, 60b, 60c)를 포함할 경우, 제 1 서브 단자(60a)는, 제 1 절연 막대(10)의 제 1 안착부(13)에 배치되고, 제 2 서브 단자(60b)는, 제 1 절연 막대(10)의 제 2 안착부(14)에 배치되며, 제 3 서브 단자(60c)는, 제 1 절연 막대(10)의 제 3 안착부(15)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제 2 절연 막대(20)는, 제 2 연결선(7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돌기(26)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연결선(40)은, 제 2 절연 막대(20)의 외면을 둘러싸고 제 2 단자(7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과, 접촉단에 연결되어, 제 2 절연 막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단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이고, 라인단은, 접촉단의 타측에 연결된 스틱(stick)형일 수 있다.
이어, 서로 인접하는 제 2 연결선(40)들은, 접촉단의 개방 영역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연결선(40)들의 라인단들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제 2 연결선(40)들의 라인단들은, 제 2 절연 막대(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 2 연결선(40)들의 라인단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어, 서로 인접하는 제 2 연결선(40)들의 라인단들은, 제 2 단자(70)에 전기적으로 비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절연 막대(20)와 제 2 연결선(40)이 다수개일 때, 제 2 절연 막대(20)와 제 2 연결선(40)은, 서로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제 2 연결선(40)이 제 3 서브 연결선(40a)과 제 4 서브 연결선(40b)을 포함하고, 제 2 단자(70)가 제 4, 제 5 서브 단자(70a, 70b)를 포함할 경우, 제 3 서브 연결선(40a)은, 제 2 절연 막대(20)의 외면을 둘러싸고 제 4 서브 단자(70a)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40a-1)과, 접촉단(40a-1)에 연결되어, 제 2 절연 막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40a-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4 서브 연결선(40b)은, 제 2 절연 막대(20)의 외면을 둘러싸고 제 5 서브 단자(70b)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40b-1)과, 접촉단(40b-1)에 연결되어, 제 2 절연 막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40b-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의 접촉단(40a-1, 40b-1)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이고,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의 라인단(40a-2, 40b-2)은, 접촉단(40a-1, 40b-1)의 타측에 연결된 스틱(stick)형일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들은, 접촉단(40a-1, 40b-1)의 개방 영역(42, 44)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 서로 인접하는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들의 라인단(40a-2, 40b-2)들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서로 인접하는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들의 라인단(40a-2, 40b-2)들은, 제 2 절연 막대(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들의 라인단(40a-2, 40b-2)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 3 서브 연결선(40a)의 라인단(40a-2)의 길이는, 제 4 서브 연결선(40b)의 라인단(40b-2)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들의 라인단(40a-2, 40b-2)들은, 제 4, 제 5 서브 단자(70a, 70b)에 전기적으로 비접촉될 수 있다.
다음, 서로 인접하는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들의 라인단(40a-2, 40b-2)들은, 제 4, 제 5 서브 단자(70a, 70b)에 전기적으로 비접촉되도록, 제 3, 제 4 서브 연결선(40a, 40b)들의 라인단(40a-2, 40b-2) 사이에, 절연 체결 부재(9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제 2 단자(70)들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2 단자(70)들의 관통홀 내에는, 제 2 절연 막대(2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제 2 단자(70)들은, 제 2 단자(70)들 사이에 체결되는 절연 체결 부재(9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체결 부재(90)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절연 체결 부재(90)의 관통홀 내에는, 제 2 절연 막대(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어, 절연 체결 부재(90)의 일측 끝단은, 인접하는 제 2 단자(70)의 관통홀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인접하는 제 2 단자(70)의 일측 끝단을 감싸도록 커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2 단자(70)가 제 4, 제 5 서브 단자(70a, 70b)를 포함하고, 절연 체결 부재(90)가 제 1, 제 2 절연 체결 부재(90a, 90b)를 포함할 경우, 제 4 서브 단자(70a)의 일측 끝단은, 제 1 절연 체결 부재(90a)의 관통홀 내에 일부 삽입되어 배치되고, 제 5 서브 단자(70b)의 일측 끝단은, 제 2 절연 체결 부재(90b)의 관통홀 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서브 단자(70a)의 타측 끝단의 관통홀 내에는, 제 2 절연 부재(20)로부터 분리된 제 3 절연 부재(13)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제 5 서브 단자(70b)의 타측 끝단의 관통홀 내에는, 제 1 절연 체결 부재(90a)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제 2 연결선(40)이, 제 3 서브 연결선(40a)과 제 4 서브 연결선(40b)을 포함할 때, 제 3 절연 부재(13)의 안착부(13a)에는, 제 3 서브 연결선(40a)의 접촉단(40a-1)이 배치되고, 제 2 절연 부재(20)의 제 1 안착부(22)에는, 제 4 서브 연결선(40b)의 접촉단(40b-1)이 배치되며, 제 2 절연 부재(20)의 제 2 안착부(24)에는, 제 3 서브 연결선(40a)의 라인단(40a-2)과 제 4 서브 연결선(40b)의 라인단(40b-2)이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제 3 단자(80)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 3 단자(80)의 관통홀 내에는, 제 3 연결선(50)의 끝단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절연 막대(20)의 길이는, 제 1 절연 막대(10)의 길이보다 더 길다.
그 이유는, 제 2 절연 막대(20)과 폰 플러그의 전단부에 위치하므로, 제 2 단자(70)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연결선(40)들을, 폰 플러그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절연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제 3 연결선(50)의 길이는, 제 1, 제 2 연결선(30, 4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그 이유는, 폰 플러그의 전단부 맨 앞단에 위치하는 제 3 단자에 접촉 연결되어 폰 플러그의 후단부 맨 뒷단까지 전기적 연결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다채널 폰 플러그는, 일 실시예로 6핀 단자를 갖는 폰 플러그를 설명하였지만, 제 1 절연 막대에 배치되는 제 1 연결선들을 2개 이상으로 더 추가할 경우, 제 1 단자의 개수도, 더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고, 제 2 절연 막대에 배치되는 제 2 연결선들을 2개 이상으로 더 추가할 경우, 제 2 단자의 개수도, 더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본 발명의 다채널 폰 플러그는, 6핀 이상의 단자들을 갖는 폰 플러그로 제작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폰 플러그는, 제 1 절연 막대에 배치되는 제 1 연결선들이 제 1 절연 막대의 상/하측에 배치될 경우, 제 2 절연 막대에 배치되는 제 2 연결선들은, 제 2 절연 막대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다채널 폰 플러그는, 제 1 절연 막대에 배치되는 제 1 연결선들이 제 1 절연 막대의 좌/우측에 배치될 경우, 제 2 절연 막대에 배치되는 제 2 연결선들은, 제 2 절연 막대의 상/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1과 같이, 제 1 연결선(30)이 제 1 서브 연결선(30a)과 제 2 서브 연결선(30b)을 포함하고, 제 1 연결선(30)이 제 1 서브 연결선(30a)과 제 2 서브 연결선(30b)을 포함하고, 제 2 연결선(40)이 제 3 서브 연결선(40a)과 제 4 서브 연결선(40b)을 포함할 경우, 제 1 연결선(30)의 제 1 서브 연결선(30a)과 제 2 서브 연결선(30b)이 제 1 절연 막대(10)의 좌/우측에 배치되면, 제 2 연결선(40)이 제 3 서브 연결선(40a)과 제 4 서브 연결선(40b)이 제 2 절연 막대(20)의 상/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연결선(30)의 제 1 서브 연결선(30a)과 제 2 서브 연결선(30b)이 제 1 절연 막대(10)의 상/하측에 배치되면, 제 2 연결선(40)이 제 3 서브 연결선(40a)과 제 4 서브 연결선(40b)이 제 2 절연 막대(20)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연결선들간에 전기적으로 접촉이 되지 않도록 하기 안전하게 절연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준 규격에 따른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단자 수를 증가시켜, 구현 가능한 채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2채널 폰 플러그와 호환이 가능하여, 기존의 2채널 뿐만 아니라, 2채널 이상의 다채널도 구현 가능한 음향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의 배열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공정이 쉽고, 전기적 연결 불량을 제거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제 1 절연 막대 20: 제 2 절연 막대
30: 제 1 연결선 40: 제 2 연결선
50: 제 3 연결선 60: 제 1 단자
70: 제 2 단자 80: 제 3 단자
90: 절연 체결 부재
30: 제 1 연결선 40: 제 2 연결선
50: 제 3 연결선 60: 제 1 단자
70: 제 2 단자 80: 제 3 단자
90: 절연 체결 부재
Claims (10)
- 중앙에 제 1 관통홀을 갖는 제 1 절연 막대;
상기 제 1 절연 막대의 제 1 관통홀 내에 일부가 삽입되고, 중앙에 제 2 관통홀을 갖는 제 2 절연 막대;
상기 제 1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되도록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연결선들;
상기 제 2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에 배치되고, 서로 비접촉되도록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연결선들;
상기 제 2 절연 막대의 제 2 관통홀 내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 3 연결선;
상기 제 1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연결선들 중, 서로 대응하는 제 1 연결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제 1 단자들;
상기 제 2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연결선들 중, 서로 대응하는 제 2 연결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제 2 단자들; 그리고,
상기 제 2 절연 막대의 제 2 관통홀 끝단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3 연결선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3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막대는, 상기 제 1 연결선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상기 제 1 단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수의 절연 돌기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선은,
상기 제 1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 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 막대는, 상기 제 2 연결선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돌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선은,
상기 제 2 절연 막대의 외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 2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절연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라인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들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자들의 관통홀 내에는, 상기 제 1 절연 막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단자들은, 상기 제 1 절연 막대로부터 돌출된 절연 돌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들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자들의 관통홀 내에는, 상기 제 2 절연 막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단자들은, 상기 제 2 단자들 사이에 체결되는 절연 체결 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자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단자의 관통홀 내에는, 상기 제 3 연결선의 끝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폰 플러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534A KR20160006907A (ko) | 2014-07-10 | 2014-07-10 | 다채널 폰 플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534A KR20160006907A (ko) | 2014-07-10 | 2014-07-10 | 다채널 폰 플러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907A true KR20160006907A (ko) | 2016-01-20 |
Family
ID=5530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6534A KR20160006907A (ko) | 2014-07-10 | 2014-07-10 | 다채널 폰 플러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690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85339A4 (en) * | 2016-06-16 | 2018-09-05 | Nippon Dics Co., Ltd. | Multipole plug |
-
2014
- 2014-07-10 KR KR1020140086534A patent/KR201600069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85339A4 (en) * | 2016-06-16 | 2018-09-05 | Nippon Dics Co., Ltd. | Multipole plug |
US10224681B2 (en) | 2016-06-16 | 2019-03-05 | Nippon Dics Co., Ltd. | Multipole plu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15442B2 (en) | Interchangeable cable connection system | |
KR101160274B1 (ko) | 커넥터를 구비하는 단자 블록 | |
US7766687B2 (en) | Connector having different size recesses | |
WO2009055242A3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CN104918154B (zh) | 耳机插座及检测耳机是否插入到位的方法 | |
KR101977587B1 (ko) | 어댑터 | |
US10367305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with a high-density structure | |
JP2016031931A (ja) | 電気コネクタ | |
US20160172079A1 (en) | Use of a cable for the transmission of audio signals | |
TWM417693U (en) | Rotatable connector | |
KR100800790B1 (ko) |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 |
FI20065247A0 (fi) | Sähköinen liitos ja sähkökomponentti | |
US20180261960A1 (en) | Shiel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EP3032658B1 (en) | Earphone socket, earphone plug,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30017712A1 (en) | Signal transmission cable with insulation piercing terminals | |
KR20160006907A (ko) | 다채널 폰 플러그 | |
CN110571559B (zh) | 理线装置及理线方法 | |
US7534151B1 (en) |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 |
JPWO2018211950A1 (ja) | 同軸コネクタおよび同軸コネクタ実装基板 | |
TWI647881B (zh) | 彈簧連接器及連接裝置 | |
US10700452B2 (en) | Connector terminal | |
WO2019183143A1 (en) | Split quadrax interconnect | |
CN109326911A (zh) | 连接器及充电数据线 | |
CN109068223A (zh) | 电声装置 | |
KR101306666B1 (ko) | 전기접속용 핀플러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