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573A - 다기능 덮개 - Google Patents

다기능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573A
KR20160006573A KR1020140086790A KR20140086790A KR20160006573A KR 20160006573 A KR20160006573 A KR 20160006573A KR 1020140086790 A KR1020140086790 A KR 1020140086790A KR 20140086790 A KR20140086790 A KR 20140086790A KR 20160006573 A KR20160006573 A KR 2016000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d body
arm
yarn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세로
Priority to KR102014008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573A/ko
Publication of KR2016000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15Blankets; Duvet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6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 A47G9/064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for covering a standing user, e.g. transformable into a rob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단일 구조이면서도 침구, 방한복, 우의, 배낭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다기능 덮개에 있어서, 면상 구조로 형성되는 덮개본체; 및 상기 덮개본체에 배치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상기 덮개본체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결속 및 분리시킬 수 있는 본체결속수단; 및 상기 절개부에 접하여 설치되는 절개부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덮개에 의하면, 발열수단이 내장된 덮개본체를 포개어 접는 간단한 방식으로 방한복, 우의, 배낭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온열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단일의 구조이면서도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서 야외 레저활동이나 군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중량 및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휴대성, 이동성, 및 보관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덮개{MULTIFUNCTION COVER}
본 발명은 다기능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단일 구조이면서도 침구, 방한복, 우의, 배낭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저하되는 동절기나 극한의 지역에서는 의복을 착용하더라도 장시간 무릎이나 다리가 외기에 노출될 경우 적절한 방한을 알 수 없는 실정에 있다. 특히, 관절염 환자의 경우 질환을 악화시키고, 부동의 자세로 장시간 동안 근무하여야 하는 군인은 체온을 유지할 수 없어서 업무의 비효율은 물론이고 체온 저하에 따른 다양한 질환의 유발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0-0010798호로 개시된 바와 같은 무릎덮개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무릎덮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단추(120)와, 상기 원단이 사람의 몸을 두른 상태에서 상기 단추가 채워지며, 상기 원단이 상기 사람의 허리에 고정되도록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있는 단추구멍(130)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무릎덮개는 사용자가 상기 단추를 자신의 허리 둘레에 적합한 단추구멍에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무릎덮개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무릎덮개를 두른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양손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3-0002251호로 개시된 바와 같은 패딩 무릎덮개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패딩 무릎덮개는 일정 면적을 갖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두장의 외피를 맞대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본체(1); 상기 본체의 외피를 일정 크기로 재봉시켜 형성되며, 내부에 보온 충진재가 충진된 포켓(2)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에 체결부재(3)를 형성시켜 몸에 두른 후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무릎덮개들은 동절기에 무릎이나 하체를 보온하는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인체의 무릎 부분이나 하체를 보온하는 용도 외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사용상에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시에는 침낭, 매트, 우의, 베게 등의 다양한 침구 및 생활용품이 필요하지만 이를 일일이 갖추기는 번거롭고 과다한 부피로 인해 보관, 취급 및 사용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시 소비자 부담이 지나치게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군인의 경우 훈련이나 야전활동을 위해서 상기한 침구, 방한복 및 생활용품을 갖추어야 하지만 한정된 베낭에 이를 수납할 수도 없고, 일일이 갖추기에는 중량 및 부피의 과다한 증가로 인해 전투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구조이면서도 침구, 방한복, 우의, 배낭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과 전투력를 향상시킬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다기능 덮개에 있어서, 면상 구조로 형성되는 덮개본체; 및 상기 덮개본체에 배치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상기 덮개본체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결속 및 분리시킬 수 있는 본체결속수단; 및 상기 절개부에 접하여 설치되는 절개부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개구부로 삽입된 인체 부위와의 결속을 위해 상기 덮개본체에 설치되는 인체결속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 중앙 부분에 머리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머리삽입부; 및 상기 덮개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팔의 삽입을 위해형성된 팔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삽입부는 상기 덮개본체의 상측에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머리삽입부패드와, 상기 머리삽입부패드와 상기 덮개본체 부분을 서로 결속 및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머리삽입부결속수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팔삽입부는 상기 덮개본체의 일측 및 타측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팔삽입부패드와, 상기 팔삽입부패드와 상기 덮개본체 부분을 서로 결속 및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팔삽입부결속수단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머리삽입부패드는 내부에 모자가 삽입되는 모자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팔삽입부패드는 내부에 팔 형상의 팔찌가 삽입되는 팔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본체는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 중앙 부분에 머리의 수용을 위한 모자주머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덮개본체를 서로 포개어 접어 형성된 상측 면상체 또는 하측 면상체 부분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덮개본체를 서로 포개어 접어 형성된 상측 면상체 및 하측 면상체 부분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수단은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형성된 발열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섬유기반 도전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에 도전사가 감김 또는 엮여지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중심사는 비신축성 섬유사 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사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금속사가 다수 가닥 감김되거나 엮여져 구성되며, 상기 도전사의 외면에 감김되거나 엮여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본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면직,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고 상기 상면직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 상기 상면직 및 상기 하면직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사로 형성된 연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공간에는 쿠션재, 단열재, 기능성물질부재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면직 및 하면직은 기밀코팅층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공기의 주입을 위한 기밀실이 마련되고, 상기 기밀실에 공기의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상기 덮개본체에 어께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램프; 상기 전원라인에 접속되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저주파발생기; 상기 전원라인에 접속되고 맥박 및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모듈; 인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상기 매트본체에 배치되고 진동돌기와 상기 진동돌기에 진동력을 생성, 인가하기 위해 내장되는 진동기를 구비한 진동모듈; 수분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압력센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발전하여 제공하는 자가발전장치; 상기한 생체신호 측정모듈, 수분감지센서,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자가발전장치는 상기 덮개본체에 배치되는 선형 압전소자 또는 태양전지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덮개에 의하면, 발열수단이 내장된 덮개본체를 포개어 접는 간단한 방식으로 방한복, 우의, 배낭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단일의 구조이면서도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서 야외 레저활동이나 군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중량 및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휴대성, 이동성, 및 보관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무릎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3 내지 도10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3 내지 도10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온열기능이 부여되어 침구, 방한복, 우의, 배낭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덮개본체(1), 발열수단(2), 및 본체결속수단(3)을 구비하되, 덮개본체(1)는 절개부(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부(5)를 연결 및 해제하는 절개부결속수단(6)이 구비되어 있다.
덮개본체(1)는 인체와 접촉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안정된 착용감을 갖도록 직물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덮개본체(1)는 보관, 취급, 및 사용시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본체(1)는 우의나 배낭으로 사용시에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외표면에 방수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방수효과는 물론이고 수분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최근에 국내 및 국외 섬유원단 제조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방수용 원단을 이용하거나 이러한 방수용 원단의 제조시에 발열수단을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덮개본체(1)는 내면에 보온을 위해 보온패드나 양털과 같은 보온층(미도시)을 덧대어 형성할 수 있다.
발열수단(2)은 덮개본체(1)에 온열을 제공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으로, 전원공급부(8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열전소자 등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수단(2)으로서 발열선을 적용하되, 덮개본체(1)의 직조시에 발열선을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어 함께 직조하거나, 덮개본체(1)에 발열선을 자수방식 또는 박음질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섬유기반 도전선(2a)으로 구성된다. 이때, 섬유기반 도전선(2a)은 착용한 상태에서 인체의 움직임에 따른 인장력이나 외부로부터 충격력이 인가되더라도 과부하가 작용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발열선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2a)은 섬유사의 장점을 갖는 동시에 직기(직조작업을 수행하는 섬유기계)나 자수기(섬유기반 도전선을 자수사로 공급하여 직물 등에 자수하여 배치하는 섬유기계)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도전사(21)와, 이 도전사(21)와 서로 엮여지는 섬유사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3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중심사(23)를 구비하고, 이 중심사(23)의 외면에 도전사(21)가 엮여지거나 감김되도록 하고, 도전사(21)의 외면에 다시 외피사(22)가 엮여지거나 감김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전사(21)는 탄소사, 도전성 물질(도전성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입자, 그래핀 등)을 포함하는 섬유사,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섬유사 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전기 도전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동(Cu)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사로 형성되고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을 적용한다. 여기서 도전사의 직경이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인 것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이유는 직경이 5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일 경우 섬유사와 함께 엮여져 구성되는 섬유기반 도전선의 전체 외경이 10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이 되므로 직기에 공급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도전성 금속사는 현재의 생산기술로는 대량 생산이 곤란하여 품질의 실질적인 검증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때, 도전사(21)는 도전성 금속사의 외면에 절연수지층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중심사(23) 및 외피사(23)로 적용되는 섬유사(22)는 수많은 필라멘트사들이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된 통상의 섬유구조(실)로 형성된 것으로, 다양한 무기섬유사 또는 유기섬유사가 선택, 적용될 수 있지만, 인장강도 20 g/d(denier) 이상이고, 열화 온도가 250℃ 이상이며, 굵기가 5 내지 2000 데니어(denier)인 아라미드 섬유사(두퐁사 상품명)나, 케브라사(두퐁사 상품명) 등으로 호칭되는 아라미드계 섬유사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1 데니어는 섬유재료 1그램이 9000미터로 뽑아 졌을 때의 굵기를 의미한다.
한편, 중심사(23)는 섬유기반 도전선을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외력의 인가 여부에 따라 신축되는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축성 고분자사는 통상 스판사로 호칭되는 섬유사로서 신축성 고분자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예컨대 신축성 고분자 수지는 실리콘 계열의 고무,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의 소재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사(23)를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할 경우 섬유기반 도전선에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인가되거나 충격력과 같은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외력에 대응하여 신축되거나 가요성을 갖게 되므로 쉽게 손상되지 않고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절개부(5)는 덮개본체(1)에 형성되는 것으로, 덮개본체를 서로 포개어 접었을 때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면상체(11)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면상체(11) 부분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절개부(5)의 상하길이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군용이나 레져용으로 사용할 경우 바지 형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20세 내지 30세 표준 남성의 하반신 사이즈를 고려한 길이로 형성한다.
본체결속수단(3)은 덮개본체(1)를 서로 포갠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결속 및 해제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필요에 따라 결속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띠, 지퍼, 단추, 벨크로 화스너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도3에는 벨크로 화스너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절개부결속수단(6)은 전술한 절개부(5)를 결속 및 해제하는 구성요소로서, 본체결속수단(3)과 마찬가지로 띠, 지퍼, 단추, 벨크로 화스너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를 포갠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 개구부로 삽입된 인체 부위와의 결속을 위해 인체결속수단(7)이 구비되어 있다. 이 인체결속수단(7)은 덮개본체(1)를 무릎덮개 또는 바지로 사용하기 위해 인체의 허리춤에 고정할 수 있도록 덮개본체(1)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3에는 덮개본체(1)의 상단 일측에 암 벨크로 화스너로 형성된 띠 형상의 인체결속수단(7)이 결합되도록 하고, 덮개본체(1)의 상단 타측에 수 벨크로 화스너로 형성된 인체결속수단(7)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를 상체의 온열을 위한 온열의복이나, 우천시 우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덮개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 중앙 부분에 머리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머리삽입부(a)와, 덮개본체(1)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팔의 삽입을 위한 팔삽입부(b)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머리삽입부(a)는 본체결속수단(3)의 배치간격을 조절하여 도3의 도면부호 'a' 영역과 같이 머리의 삽입이 가능한 구간을 형성하고, 팔삽입부(b)는 덮개본체(1)의 접힘 부위인 절첩선 부위에 팔삽입홀(13)을 형성하여 일측 팔이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덮개본체(1)의 측부 가장자리 부위에 도3의 도면부호 'b' 영역과 같이 타측 팔의 삽입이 가능한 구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한편, 전원공급부(81)는 건전지와 같은 1차 전지, 충전식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직류전원공급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로서 1차 전지나 2차 전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온/오프 스위치, 온도조절스위치 등이 구비된 배터리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배터리모듈은 덮개본체(1)에 구비된 배터리주머니(14)에 삽입하여 활동중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모듈은 덮개본체에 배치된 발열선과 연결된 커넥터(82)가 삽입되는 단자접속구(미도시)가 형성된 것으로서 통상적인 구조이므로 세부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배낭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덮개본체(1)에 결속되는 어께끈(83)이 구비되어 있다. 어께끈(83)은 덮개본체(1)에 일체로 결속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덮개본체(1)에는 어께끈(83)의 결속을 위한 결속구(84)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결속구(84)는 버클로 구성하여 어께끈(83)의 양단에 구비된 결속구와 서로 결속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3에는 덮개본체(1)의 상부 및 하부에 어께끈(83)을 결속할 수 있는 링 형상의 결속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다기능 덮개는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단순한 사각형 구조이지만 무릎덮개, 온열매트, 방한용 하의, 방한용 상의, 우의, 배낭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야외 레저활동이나 군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중량 및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휴대성, 이동성, 및 보관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전술한 다기능 덮개는 절개부결속수단(6)에 의해 절개부(5)를 서로 결속한 상태에서 덮개본체(1)를 펼치게 되면 넓은 매트 형태가 되므로 전원공급부(81)로부터 발열수단(2)에 전원을 공급하여 온열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발열수단(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을 1000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구성한 섬유기반 도전선(2a)을 덮개본체(1)에 직조방식 또는 자수방식으로 배치한 것이므로 이물감을 유발하지 않고 섬유사 고유의 장점인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다기능 덮개는 절개부결속수단(6)으로서 절개부(5) 양쪽에 설치된 암, 수 벨크로 화스너를 서로 결속하게 하고 인체의 하체 부분을 둘러싸도록 덮개본체(1)를 둘러 감은 다음 덮개본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본체결속수단(3)으로 결속하는 방식으로 하체를 감싼 상태에서 전원공급부(81)로부터 발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동절기에 무릎덮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다기능 덮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개부(5)를 절개부결속수단(6)으로 결속하고, 덮개본체(1)를 포개어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본체결속수단(3)으로 결속한 다음 덮개본체(1)의 상단부에 마련된 머리삽입부(a)로 머리를 삽입하고 절첩선 부위의 팔삽입홀(13)로 일측 팔을 삽입하는 한편 덮개본체(1)의 측부 가장자리의 'b'영역으로 타측 팔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상체에 착용하게 되면 상의용 방한복이나 우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를 포개어 접고 덮개본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본체결속수단으로 결속한 다음 하측 면상체(12)에 벨크로 화스너로 형성된 절개부결속수단(6)을 상방향으로 마주보는 상측 면상체(11)의 내면에 결착시키게 되면 상측 및 하측 면상체(11,12)의 아래쪽 부분의 내부 공간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와 같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착용자가 양쪽 다리 부분을 각각 삽입하고, 덮개본체(1)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 인체결속수단(7)을 인체의 허리 부분에 결속하게 되면 방한용 보온바지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다기능 덮개는 절개부(5)를 절개부결속수단(6)으로 결속하고, 덮개본체(1)를 포개어 양쪽 가장자리 부분과 하측 가장자리 부분을 본체결속수단(3)으로 결속하게 되면 포개어진 상측 면상체(11) 및 하측 면상체(12) 사이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므로 침낭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본체(1)의 결속구(84)에 어께끈을 결속하게 되면 인체의 어께에 맬 수 있는 배낭 형태가 되므로 수용공간에 물품을 수납하여 배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덮개본체에 자가발전장치로서 다수 가닥의 선형 압전소자(851)가 배치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선형 압전소자 한 가닥만을 도시하고, 이 선형 압전소자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충전하는 회로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전원공급부(81)의 2차 전지에 전원을 발전하여 제공하는 자가발전장치(85)가 구비되어 있다.
자가발전장치(85)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원을 발전하는 태양전지패널(평판형 유기태양전지패널 등을 설치할 수 있음)을 덮개본체(1)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흐린 날씨나 우천시에도 전기를 발전할 수 있도록 다기능 덮개의 사용중에 인가되는 압력, 충격, 진동과 같은 외력에 대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압전소자는 덮개본체(1)에 일체로 직조하거나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으로 형성된 선형 압전소자(851)로 구성되어 있다. 선형 압전소자(851)에 의해 발전된 전원은 전원공급부(81)에 구비된 2차 전지(852)에 충전될 수 있도록 전원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형 압전소자(851)는 압전물질층(851a), 이 압전물질층(851a)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851b), 및 압전물질층(851a)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851c)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압전물질층(851a)은 압전물질로 널리 상용화되고 있는 티타늄산바륨(BaTiO3, BTO로 약칭됨), PZT(지르콘산염 PbZrO3과 티탄산염 PbTiO3의 고용체의 총칭으로 PZT로 약칭됨), PLZT(lead(plomb) lanthanum zirconate titanate), Bi 층상구조 화합물의 일종인 Bi4Ti3O12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선형 압전소자(85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평활화하여 DC레벨로 형성하기 위해 회로부(853)가 전원공급부에 더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회로부(853)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압전소자(85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도록 배치되는 브릿지 다이오드(853a), 충전지(852)에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저항(853b)과 컨덴서(853c)를 이용한 지연회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 발열수단(2), 및 본체결속수단(3)과, 덮개본체(1)에 형성되는 절개부(5) 및 이 절개부(5)를 결속 및 해제하는 절개부결속수단(6)을 구비하되, 덮개본체(1)에는 전술한 자가발전장치(85) 외에도 착용자에게 사용상에 편의성 제공, 위생성의 향상, 및 착용자의 건강증진 등을 위한 다양한 편의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에 전원공급부(81)와 연결된 전원라인(86)에 접속되는 램프(87)가 더 구성되어 있다.
램프(87)는 인체에 온열을 제공하거나 치료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체에 유익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복수의 원적외선 발광다이오드(원적외선 파장대의 광이 방출되는 LED)나, 살균 및 탈취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자외선 파장대의 광이 방출되는 LED)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본체(1)에는 인체에 진동력을 인가하는 진동모듈(88)이 더 구성되어 있다. 진동모듈(88)은 도5의 확대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1)에 설치되어 진동되는 진동돌기(881)와, 이 진동돌기(881)에 진동력을 인가하는 진동기(882)로 구성된다. 진동기(882)는 휴대폰의 진동모드를 위해 설치되는 편심형 진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동전과 같이 얇은 원형 구조로 형성된 코인형 진동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코인형 진동모터는 코인(동전) 형상을 갖는 케이스의 내부에 마그네트, 유도코일, 바이브레이터, 등이 내장된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공지의 모듈이므로 구체적인 도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덮개본체(1)에는 저주파발생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저주파발생기는 저주파 전류를 생성하는 저주파발생기본체(미도시), 이 저주파발생기본체와 케이블를 매개로 연결되고 덮개본체에 배치되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자극부재(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리고, 저주파발생기본체는 통상의 저주파발생기 또는 저주파자극기에서 적용되는 모듈이 덮개본체(1)의 가장자리 부분에 매입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온오프스위치, 전압조절스위치, 시간설정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전압과 시간을 희망하는 조건으로 설정하게 되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치료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덮개본체(1)에는 전원라인(86)에 접속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측정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인체의 맥박, 혈압 등을 감지하는 통상의 생체신호 측정모듈을 덮개본체(1)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 외에도, 덮개본체(1)에는 배뇨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수분감지센서(미도시),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미도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미도시), 인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생체신호 측정모듈, 수분감지센서,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 등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수분감지센서, 압력센서, 음이온발생장치, 온도센서, 통신모듈은 통상의 감지소자나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램프, 저주파발생기, 생체신호 측정모듈, 진동모듈, 온도센서, 수분감지센서, 압력센서 등은 전원공급부(81) 및 제어부(미도시)와 전원라인(86)을 통해 접속되는 것으로, 이 전원라인(86)은 통상의 전선으로도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인체와의 접촉시에 이물감이 발생되지 않으며, 마찰력, 인장력 등의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덮개본체(1)의 직조시에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어 일체로 직조,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전원라인(86)은 직기에 공급, 직조될 수 있도록 도5의 확대부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섬유기반 도전선(2b)으로 구성된다. 이때, 전원라인(86)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2b)은 전원 및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발열선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2a 확대부 'C' 참조)에 비해 저항값이 낮게 제작된 것을 적용한다. 다시 말해서, 전원라인(86)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2b)은 도5의 확대부 'B' 및 '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열선으로 적용되는 섬유기반 도전선(2a)에 비해 전기저항값이 현저히 작아지도록 도전사(21)의 배치 가닥 수가 많게 구성한 것을 적용한다.
아울러,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본체결속수단(3) 및 절개부결속수단(6)으로서 지퍼와, 벨크로 화스너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밀폐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 발열수단(2), 및 본체결속수단(3)과, 덮개본체(1)에 형성되는 절개부(5) 및 이 절개부(5)를 결속 및 해제하는 절개부결속수단(6)을 구비하되, 절개부(5)는 덮개본체(1)를 서로 포개어 접어 형성된 상측 면상체(11) 및 하측 면상체(12)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절개부(5)는 덮개본체(1)를 서로 포개어 접어 형성된 상측 면상체(11)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1 절개부(51)와, 하측 면상체(12) 부분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2 절개부(52)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절개부(5)를 상측 면상체(11) 및 하측 면상체(12) 부분에 모두 형성함으로써 착용자가 바지 형태로 착용할 경우 움직임이 보다 자유로워 보행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및 제4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 등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서로 간에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7b는 도7a에 도시된 다기능 덮개를 이용하여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이해를 돕기 위해 세부 구성에 관한 도시는 생략하고 외곽라인만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머리삽입부 및 팔삽입부를 구비한 덮개본체(1), 발열수단(2), 본체결속수단(3), 덮개본체(1)에 형성되는 절개부(5) 및 이 절개부(5)를 결속 및 해제하는 절개부결속수단(6)을 구비하되, 덮개본체(1)에는 인체의 머리 부분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모자주머니(15)가 더 구비되어 있다.
모자주머니(15)는 덮개본체(1)를 포갠 상태에서 상부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모자형성부(151)와, 이 모자형성부(151)를 결속 및 분리하는 모자결속수단(1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본체(1)는 다기능 덮개를 상의로 사용하는 경우 착용에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측 면상체(1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개, 형성되는 보조 절개부(41)와, 이 보조 절개부(41)의 결속 및 해제를 위한 보조절개부결속수단(42)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결속수단(3)은 상측 및 하측 면상체(11,12)의 측부 가장자리 부분을 결속하도록 지퍼로 형성된 제1 본체결속수단(31), 팔삽입부 영역(b)을 구획하여 결속하도록 벨크로 화스너로 형성된 제2 본체결속수단(32), 및 상측 및 하측 면상체(11,12)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을 결속하도록 지퍼로 형성된 제3 본체결속수단(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개부(5)는 덮개본체(1)를 서로 포개어 접어 형성된 상측 면상체(11)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1 절개부(51)와, 하측 면상체(12) 부분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제2 절개부(5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절개부(51,52)는 인접하여 배치되고 벨크로 화스너로 형성된 절개부결속수단(6)에 의해 결속 또는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다기능 덮개와 마찬가지로 침구, 방한복, 우의, 배낭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본체(1)에 인체의 머리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모자주머니(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므로 혹한이나 우천시에 인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모자주머니(15)는 무릎덮개로 사용시에 모자결속수단(152)을 해제하여 펼칠 경우 둔부의 안착을 위한 방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체결속수단(7)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1)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벨트고리(72) 형태로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벨트고리(72) 형태의 인체결속수단(7)이 배치되면 끈이나 벨트를 삽입하여 인체의 허리 부분에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작용설명 부분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한 방식으로 온열매트, 방한용 하의 및 상의, 우의 등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도8b를 참조하여 베낭으로 사용하는 상태와 보관하는 방법에 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한용 상의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에서 베낭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7b의 (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1)의 좌측 및 우측을 내측으로 접고, 도7b의 (나)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1)의 하측 부분을 상측으로 접어올린 다음, 도7b의 (다)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결속수단(7)으로서 덮개본체(1)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벨트고리(72)에 어께끈(83)을 삽입하게 되면 베낭 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본체(1)의 상측 면상체(11) 개구부와 하측 면상체(12)의 개구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을 삽입하여 베낭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베낭 등으로 사용한 후 크기를 최소화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7b의 (다) 부분에 도시된 형태에서 도7b의 (라)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부분을 상방을 향해 돌돌 감아올린 다음 모자주머니(15)에 삽입하게 되면 부피가 최소화 되므로 보관 및 휴대시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덮개본체를 형성하는 상측 면상체와 하측 면상체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 발열수단(2), 본체결속수단(3), 덮개본체(1)에 형성되는 절개부(5) 및 이 절개부(5)를 결속 및 해제하는 절개부결속수단(6)을 구비하되, 상체의 온열을 위한 온열의복이나, 우천시 우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덮개본체(1)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 중앙 부분에 머리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머리삽입부(92)와, 덮개본체(1)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팔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팔삽입부(93)를 구비한다.
상기 머리삽입부(92)는 덮개본체(1)의 상측 면상체(11)의 상측 중앙 부분에 일부분이 대략 반원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머리삽입부패드(921)와, 이 머리삽입부패드(921)와 덮개본체(1)의 상측 면상체(11) 부분을 서로 결속 및 분리하도록 설치되는 머리삽입부결속수단(9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팔삽입부(93)는 덮개본체(1)의 상측 면상체(11) 일측 및 타측 부분에 대략 반원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팔삽입부패드(931)와, 이 팔삽입부패드(931)와 덮개본체(1) 부분을 서로 결속 및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팔삽입부결속수단(93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8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삽입부패드(921)는 내부에 모자(923)가 삽입되는 모자주머니(9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팔삽입부패드(931)는 내부에 팔 형상의 팔찌(933)가 삽입되는 팔주머니(934)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결속수단(3), 절개부결속수단(6), 머리삽입부결속수단(922) 및 팔삽입부결속수단(932)은 기밀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지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다기능 덮개와 마찬가지로 침구, 방한복, 우의, 배낭 및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기능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자(923)가 구비되어 혹한이나 우천시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팔찌(9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모자(923)와 팔찌(933)가 덮개본체(1)에 내장되는 구조이므로 외관이 깔끔하고 보관 및 휴대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포개어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 발열수단(2), 본체결속수단(3), 덮개본체(1)에 형성되는 절개부(5) 및 이 절개부(5)를 결속 및 해제하는 절개부결속수단(6)을 구비하되, 덮개본체(1)는 도9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f1) 및 경사(f2)에 의해 직조된 상면직(16), 위사(f1) 및 경사(f2)에 의해 직조되고 상면직(16)의 하방에 이격공간(19)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17), 상면직(16) 및 하면직(17)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사(c)로 형성된 연결층(18)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덮개본체(1)는 경편기 또는 벨벳직기로 호칭되는 직기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이격공간(19)의 간격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인체와의 착용감을 고려하고, 사용, 보관, 및 취급성을 고려하여 3 내지 15 mm 범위가 되도록 직기의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직조한다.
그리고, 상면직(16) 및 하면직(17)를 형성하는 위사(f1)와 경사(f2), 연결사(c)는 섬유사(유기 섬유사 및 무기섬유사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를 직기에 공급하여 동시에 직조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이때, 발열선으로 배치되는 섬유기반 도전선(2a)을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하여 함께 직조한다.
한편, 위사(f1)와 경사(f2), 연결사(c)는 다기능 덮개를 방탄 특성을 갖도록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방탄복의 소재로 사용하는 방탄사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사(c,파일사라고 호칭됨)는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면직(16) 및 하면직(17)을 형성하는 선사(위사 및 경사)에 비해 탄성력이 큰 선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사(c)를 탄성력이 큰 선사로 적용할 경우 상면직(16)에 안착되는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사(c)는 탄성을 갖는 소재의 선사로서 모노필라멘트사와 같은 합성섬유사 계열의 섬유사가 적용되거나, 위사 및 경사에 비해 데니어(굵기)가 큰 섬유사가 공급되어 직조된다.
그리고, 상면직(16) 및 하면직(17)을 형성하는 위사(f1)와 경사(f2), 및 연결사(c)로 적용되는 선사 중 일부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제전사(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제전사는 도전사물질이 포함된 섬유사로 구성될 수 있다.
도1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9의 D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 발열수단(2), 및 본체결속수단(3)과, 덮개본체(1)에 형성되는 절개부(5) 및 이 절개부(5)를 연결 및 해제하는 절개부결속수단(6)을 구비하고, 덮개본체(1)가 상면직(16), 이 상면직(16)과의 사이에 이격공간(19)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17), 및 연결층(1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면직(16) 및 하면직(17)은 기밀코팅층(96)이 형성되어 이격공간(19)에 공기의 주입을 위한 기밀실이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직(16) 또는 하면직(17)에는 기밀실에 공기의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기밀실에 주입된 공기층에 의한 단열작용으로 보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이 작용될 경우 완충작용을 수행하므로 쿠션 특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9의 D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다기능 덮개는 덮개본체(1), 발열수단(2), 및 본체결속수단(3)과, 덮개본체(1)에 형성되는 절개부(5) 및 이 절개부(5)를 연결 및 해제하는 절개부결속수단(6)을 구비하고, 덮개본체(1)가 상면직(16), 이 상면직(16)과의 사이에 이격공간(19)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17), 및 연결층(18)으로 이루어지되, 이격공간(19)에는 쿠션재, 단열재, 기능성물질부재와 같은 주입물(97)이 선택적으로 주입, 수용된다.
예컨대, 주입물(97)은 쿠션재로서 스펀지패드, 발포폼 알갱이, 스티로폼 알갱이 등이 투입될 수 있고, 단열재로서 에어로겔 알갱이, 스티로폼 알갱이 등이 투입될 수 있으며, 기능성물질 부재로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토루말린(전기석) 알갱이나 황토알갱이, 탈취 및 항균 작용을 수행하는 숯알갱이 등과 같은 기능성물질이 투입, 수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덮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덮개본체 11:상측 면상체
12:하측 면상체 13:팔삽입홀
15:모자주머니 16:상면직
17:하면직 18:연결층
19:이격공간 2:발열수단
2a:섬유기반 도전선 21:도전사
22:외피사 23:중심사
3:본체결속수단 5:절개부
6:절개부결속수단 7:인체결속수단
81:전원공급부 82:커넥터
83:어께끈 84:결속구
85:자가발전장치 86:전원라인
87:램프 88:진동모듈
851:선형 압전소자 92,a:머리삽입부
93,b:팔삽입부 96:기밀코팅층
97:주입물

Claims (15)

  1. 다기능 덮개에 있어서,
    면상 구조로 형성되는 덮개본체; 및
    상기 덮개본체에 배치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
    상기 덮개본체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결속 및 분리시킬 수 있는 본체결속수단; 및
    상기 절개부에 접하여 설치되는 절개부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개구부로 삽입된 인체 부위와의 결속을 위해 상기 덮개본체에 설치되는 인체결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 중앙 부분에 머리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머리삽입부; 및
    상기 덮개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팔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팔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삽입부는 상기 덮개본체의 상측에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머리삽입부패드와, 상기 머리삽입부패드와 상기 덮개본체 부분을 서로 결속 및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머리삽입부결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팔삽입부는 상기 덮개본체의 일측 및 타측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팔삽입부패드와, 상기 팔삽입부패드와 상기 덮개본체 부분을 서로 결속 및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팔삽입부결속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삽입부패드는 내부에 모자가 삽입되는 모자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팔삽입부패드는 내부에 팔 형상의 팔찌가 삽입되는 팔주머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 중앙 부분에 머리의 수용을 위한 모자주머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덮개본체를 서로 포개어 접어 형성된 상측 면상체 또는 하측 면상체 부분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덮개본체를 서로 포개어 접어 형성된 상측 면상체 및 하측 면상체 부분의 중앙에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형성된 발열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섬유기반 도전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에 도전사가 감김 또는 엮여지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중심사는 비신축성 섬유사 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사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금속사가 다수 가닥 감김되거나 엮여져 구성되며,
    상기 도전사의 외면에 감김되거나 엮여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상면직,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고 상기 상면직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 상기 상면직 및 상기 하면직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사로 형성된 연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는 쿠션재, 단열재, 기능성물질부재가 선택적으로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직 및 하면직은 기밀코팅층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공기의 주입을 위한 기밀실이 마련되고, 상기 기밀실에 공기의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는 어께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전원라인에 접속되는 램프; 상기 전원라인에 접속되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저주파발생기; 상기 전원라인에 접속되고 맥박 및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모듈; 인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상기 매트본체에 배치되고 진동돌기와 상기 진동돌기에 진동력을 생성, 인가하기 위해 내장되는 진동기를 구비한 진동모듈; 수분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압력센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발전하여 제공하는 자가발전장치; 상기한 생체신호 측정모듈, 수분감지센서,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장치는 상기 덮개본체에 배치되는 선형 압전소자 또는 태양전지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덮개.
KR1020140086790A 2014-07-09 2014-07-09 다기능 덮개 KR20160006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790A KR20160006573A (ko) 2014-07-09 2014-07-09 다기능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790A KR20160006573A (ko) 2014-07-09 2014-07-09 다기능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573A true KR20160006573A (ko) 2016-01-19

Family

ID=5530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790A KR20160006573A (ko) 2014-07-09 2014-07-09 다기능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5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200A1 (ko) * 2019-06-14 2020-1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200A1 (ko) * 2019-06-14 2020-1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116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harging an Implanted Medical Device Power Source
KR102458548B1 (ko) 그라파이트 복합재 및 열적 관리 시스템
US20160021945A1 (en) Light Emitting Garment
EP2314744A2 (en) Electrically conductive pad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20273479A1 (en) Multipurpose heating pad
KR101684794B1 (ko) 전도성 발열사를 이용한 온열 복대
KR101860750B1 (ko) 배터리 팩 옆 걸림이 제거된 온열 복대
KR101619515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73962Y1 (ko) 다기능 온열복대와 이를 이용한 발열의복
CN211512266U (zh) 一种腰腹部按摩装置
KR20160006573A (ko) 다기능 덮개
JP2012050702A (ja) 腰用の加温具
KR101652293B1 (ko) 마찰전기에너지 수확 증대구조를 포함하는 직물형 마찰전력 자가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직물 제품
US20120167269A1 (en) Apron for storing heated hair care appliances
KR101632433B1 (ko) 발열조끼
KR101638703B1 (ko) 무릎담요
WO2017083958A1 (en) Hand warmer
KR200436801Y1 (ko) 배꼽 단전 온열용 벨트
JP7024955B2 (ja) ブランケット
CN211794351U (zh) 一种电加热袜
CN210581087U (zh) 一种保暖型毛呢风衣
CN210143857U (zh) 一种棉裤
CN211513146U (zh) 一种腰腹部按摩垫体
KR200441198Y1 (ko) 어깨 척추 온열용 벨트
CN214431854U (zh) 穿戴用品组件、充电穿戴用品组件与供电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