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164A -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164A
KR20160006164A KR1020157027812A KR20157027812A KR20160006164A KR 20160006164 A KR20160006164 A KR 20160006164A KR 1020157027812 A KR1020157027812 A KR 1020157027812A KR 20157027812 A KR20157027812 A KR 20157027812A KR 20160006164 A KR20160006164 A KR 2016000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ontent
broadcast
information
mpd
receiv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진
박정욱
문경수
권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방송 수신부는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IP 송수신부는 IP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

Description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BROADCASTING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OPERATING METHOD OF BROADCASTING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본 발명은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빠른 성장에 따라 Internet Protocol(IP) 네트워크를 주 전송망으로 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적응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표준 기술인 MPEG-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DASH)와 미디어 컨텐츠를 IP 네트워크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표준인 MPEG Media Transport(MMT)가 등장하고 있다.
다만 아직 대부분의 미디어 컨텐츠는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의 기존 디지털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위성, 케이블, 지상파 방송 수신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성, 케이블, 지상파 방송 수신 장치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MPEG-DASH와 MMT 등의 기술 표준과 호환될 수 있는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하기 위한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와 동기화하기 위한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에 기초하여 IP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전송 방법에 해당하는 전송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제2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은 Program Map Table(PMT), Service Map Table(SMT), 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TVC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상기 제1 방송 스트림과 다른 제2 방송 스트림에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제2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에 의하여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의 세션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상기 제1 방송 스트림내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정보 테이블이 포함된 패킷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상기 제1 방송 스트림내의 Internet Protocol(IP) 데이터그램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IP 데이터그램의 IP 주소, 포트 번호 및 IP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는 물리적 계층의 데이터 전송 채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와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정보를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방송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미디어 컨텐츠의 자체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엘리먼트와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으로부터 동기화의 대상인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3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으로부터 동기화의 대상인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3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IP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IP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송 컨텐츠를 방송 스트림에 삽입하는 단계; IP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상기 방송 스트림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스트림을 Internet Protocol(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와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네트워크를 통한 미디어 컨텐츠 송수신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MPD)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D의 XML 신택스(syntax)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D의 피리어드(Period) 엘리먼트의 XML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PD를 MPD 정보 테이블 형태로 전송할 경우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가 MPD를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MPD를 추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PD 링크를 포함하는 MPD 링크 테이블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MPD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 데이터그램(Datagram)에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 데이터그램에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IP 데이터그램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 데이터그램에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IP 데이터그램에 포함된 MPD 페이로드(payload)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PD를 전송하기 위한 MPD 디스크립터(descriptor)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16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직접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17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링크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18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19는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포함하는 별도의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0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1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전송하는 세션 기반 전송프로토콜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2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을 방송 정보 시그널링(signaling)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방송 컨텐츠가 방송망뿐만 아니라 IP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전송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스트림 전송 안정 여부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은 MPEG-DASH 표준에 따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패킷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동기화 정보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동기화 정보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컨텐츠와 미디어 컨텐츠를 동기화 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방송 컨텐츠가 ATSC 표준에 따라 전송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포함되는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의 형식을 보여준다.
도 29는 ATSC 표준에 따라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MPEG-DASH의 MPD의 예제를 보여준다.
도 30은 방송 수신 장치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방송 수신 장치가 MPEG-2 TS 표준에 따라 방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송망을 통해서 MPEG-DASH의 MPD를 수신하는 것을 보여주는 블락도이다.
도 32는 방송 수신 MPEG-2 TS 표준에 따라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의 방송 컨텐츠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블락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은 방송사(10), 컨텐츠 제공자(30), 컨텐츠 서버(50) 및 방송 수신 장치(100)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자(30)는 미디어 컨텐츠를 방송사와 컨텐츠 서버(50)에 제공한다.
방송사(10)는 위성, 지상파, 케이블 방송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전송한다.
컨텐츠 서버(5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요청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 IP 송수신부(130), 방송 수신부(150) 및 디코더(17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P 송수신부(130), 방송 수신부(150) 및 디코더(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때 방송 스트림은 위성, 지상파, 케이블 방송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부(150)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하여 위성 튜너, 지상파 튜너, 케이블 튜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컨텐츠 서버(50)에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코더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디코딩한다.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네트워크를 통한 미디어 컨텐츠 송수신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네트워크를 통한 미디어 컨텐츠 송수신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네트워크를 통한 미디어 컨텐츠의 송수신은 실제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의 송수신과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송수신으로 나뉘어진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미디어 컨텐츠 재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나타낸다.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을 위해 필요한 공간적 정보(spatial information) 및 시간적 정보(temporal information)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MMT 표준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서버(5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정보 도큐먼트(Presentation Information document, PI document)를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 서버(5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요청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MMT protocol(MMTP) packet을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PI document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수신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추출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PI document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2의 실시예에와 같이 MPEG-DASH 표준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도 2에서 컨텐츠 서버(5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재생 디스크립션(Media Presentation Descriptioon, MPD)을 전송한다. 단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는 MPD는 컨텐츠 서버(50)가 아닌 다른 외부의 서버가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5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요청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세그먼트(segment)를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에 요청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요청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수신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를 위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에 DASH 클라이언트(client)를 포함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MPD를 파싱(parsing)하는 MPD Parser, Segment를 파싱하는 Segment Parser,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HTT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HTTP 클라이언트, 미디어를 재생하는 미디어 엔진(engine)을 포함할 수 있다. MPD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D의 XML 신택스(syntax)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D의 피리어드(Period) 엘리먼트의 XML 신택스를 보여준다.
MPD는 피리어드(Period) 엘리먼트, 어뎁테이션 셋(Adaptation Set) 엘리먼트 및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피리어드 엘리먼트는 피리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MPD는 복수의 피리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리어드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presentation)의 연속한 시간 구간을 나타낸다.
어뎁테이션 셋 엘리먼트는 어뎁테이션 셋에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MPD는 복수의 어뎁테이션 셋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뎁테이션 셋은 상호전환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디어 컨텐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미디어 컴포넌트의 집합이다. 어뎁테이션 셋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프리젠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어뎁테이션 셋 각각은 서로 다른 언어의 오디오를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언어의 자막을 포함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 엘리먼트는 레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MPD는 복수의 레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디어 컴포넌트들의 구조화된 모음으로서, 동일한 미디어 컨텐츠 컴포넌트에 대하여 서로 달리 인코딩된 복수의 레프리젠테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비트스트림 스위칭(bitstream switching)이 가능한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도중 업데이트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레프리젠테이션을 다른 레프리젠테이션으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방송 수신 장치(100)는 대역폭의 환경에 따라 수신되는 레프리젠테이션을 다른 레플리젠테이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된다.
세그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의 단위이다. 레프리젠테이션은 HTTP 1.1(RFC 2616)에서 정의된 HTTP GET 또는 HTTP partial GET method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수신기(30)의 요청에 따라 세그먼트 또는 세그먼트의 일부분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는 복수의 서브세그먼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브세그먼트는 세그먼트 레벨에서 인덱스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세그먼트는 초기화 세그먼트(Initialization Segment), 미디어 세그먼트(Media Segment), 인덱스 세그먼트(Index Segment), 비트스트림 스위칭 세그먼트(Bitstream Switching Seg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한다(S101).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MPEG-DASH표준에 따른 MPD일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MPD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MMT 표준에 따른 PI document일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PI doucment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S103).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S105).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의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100)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컨텐츠와 효율적으로 연동되기 위해서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방송 스트림을 통해서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어야 한다.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방송 스트림을 통해서 전송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사는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스트림을 지속적으로 수신하므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방송 스트림을 통해서 전송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별도의 정보 요청 메시지 없이도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업데이트 유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 내지 도 21을 통하여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사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여러 정보 테이블 중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id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id_extension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id_extension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 인스턴스를 식별하게 하는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id_extension 필드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protocol_vers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 각각을 식별하는 sequence_numb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id extension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과 연관된 방송 서비스를 식별하게 하는 서비스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id_extension 엘리먼트는 program number, service id, source id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버전을 나타내는 version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version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이전에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version 엘리먼트의 값과 다른 version 엘리먼트 값을 갖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수신한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업데이트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이전에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version 엘리먼트의 값과 같은 version 엘리먼트 값을 갖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수신한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 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version 엘리먼트의 값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포함하는 version 엘리먼트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id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자의 길이를 나타내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id_length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인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coding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coding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별다른 압축 없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coding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특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압축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특정 알고리즘은 gzip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길이를 나타내는 byte_length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자체인 byte()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XML, HTML5 또는 비트스트림 형식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PD를 MPD 정보 테이블 형태로 전송할 경우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비스트르림 형태를 갖고,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MPD에 포함된 경우를 보여준다. 따라서 도 7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MPD 정보 테이블로 지칭한다.
MPD 정보 테이블은 table_id 필드,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 private_indicator 필드, private_section_length 필드, table_id_extension 필드, table_id_extension 필드, MPD_data_version 필드, section_number 필드, last_section_number 필드, MPD_id_length 필드, MPD_id_byte 필드, MPD_coding 필드, MPD_byte_length 필드 및 MPD_byte 필드를 포함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table_id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때 table_id 필드는 ATSC A/65에서 정의된 reserved id값중 하나인 0xFA일 수 있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을 MPEG-2 TS 표준의 long 형식의 private section table인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MPD 정보 테이블은 long 형식이 아니므로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O의 값을 갖는다.
private_indicator 필드는 현재 테이블이 private section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낸다. MPD 정보 테이블은 private section에 해당하므로 private_indicator 필드는 1의 값을 갖는다.
private_section_length 필드는 private_section_length 필드 이후에 포함된 section의 길이를 나타낸다.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MPD와 연관된 방송 서비스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때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program number, service id, source id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MPD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의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protocol_vers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서로 다른 MPD를 포함하는 복수의 MPD 정보 테이블 각각을 식별하는 sequence_numb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MPD_data_version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의 버전을 나타낸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_data_version 필드에 기초하여 MPD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MPD_data_version 필드의 값은 MPD에 포함된 version 엘리먼트의 값과 동일할 수 있다.
section_number 필드는 현재 섹션의 번호를 나타낸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마직막 섹션의 번호를 나타낸다. MPD 정보 테이블의 크기가 큰 경우 복수의 섹션으로 나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section_number 필드와 last_section_number 필드에 기초하여 MPD 정보 테이블에 필요한 모든 섹션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MPD_id_bytes 필드는 MPD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MPD_id_length 필드는 MPD를 식별하는 식별자의 길이를 나타낸다.
MPD_coding 필드는 MPD의 인코딩 방식을 나타낸다. 이때 인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MPD_coding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이 별다른 압축 없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PD_coding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이 특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압축된 MPD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특정 알고리즘은 gzip 알고리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MPD_coding 필드의 값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표 1의 실시예에서 MPD_coding 필드가 0x00의 값을 가질 경우, MPD 정보 테이블이 별다른 압축 없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coding 필드가 0x01의 값을 가질 경우, MPD 정보 테이블이 gzip 알고리즘에 의하여 압축된 MPD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byte_length 필드는 MPD의 길이를 나타낸다.
MPD_byte()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MPD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가 MPD를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MPD를 추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S301).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한다(S303).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d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d 엘리먼트와 id_extension 엘리먼트가 조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d 엘리먼트의 값으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식별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d 엘리먼트의 값과 id_extension 엘리먼트의 값이 조합된 값으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식별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한다(S305).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압축을 해제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S307).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S309).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사는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IP 데이터그램(Datagram)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사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IP 데이터그램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IP 데이터그램(Datagram)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IP 데이터그램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IP 데이터그램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데이터그램으로 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데이터그램으로 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UDP 페이로드(payload)에 포함될 수 있다. UDP 페이로드는 payload_type 필드와 payloa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payload_type필드는 payload 필드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데이터 형태를 나타낸다. 이때 payload_type필드의 값은 payload 필드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파일 그 자체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MPD에 포함된 경우, payload_type 필드의 값은 payload 필드가 MPD를 그대로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PI document에 포함된 경우, payload_type필드의 값은 payload 필드가 PI document를 그대로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payload_type필드의 값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특수한 신택스 형태로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payload_type필드의 값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앞서 설명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 형태로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payload 필드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사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링크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미디어 컨테츠 재생 정보 링크는 Uniform Resource Locator(URL) 형식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여러 정보 테이블 중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id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id_extension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id_extension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 인스턴스를 식별하게 하는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id_extension 필드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protocol_vers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 각각을 식별하는 sequence_numb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id extension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과 연관된 방송 서비스를 식별하게 하는 서비스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id_extension 엘리먼트는 program number, service id, source id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버전을 나타내는 version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version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이전에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version 엘리먼트의 값과 다른 version 엘리먼트 값을 갖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수신한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업데이트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이전에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version 엘리먼트의 값과 같은 version 엘리먼트 값을 갖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수신한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 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version 엘리먼트의 값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포함하는 version 엘리먼트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id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자의 길이를 나타내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id_length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의 길이를 나타내는 byte_length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 자체인 byte()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는 URL형식일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XML, HTML5 또는 비트스트림 형식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PD 링크를 포함하는 MPD 링크 테이블을 보여준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비스트르림 형태를 갖고,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MPD에 포함된 경우를 보여준다. 따라서 도 7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은 MPD 정보 테이블로 지칭한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링크는 URL 형태이다. 따라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링크 MPD_URL로 지칭한다.
MPD 정보 테이블은 table_id 필드,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 private_indicator 필드, private_section_length 필드, table_id_extension 필드, table_id_extension 필드, MPD_data_version 필드, section_number 필드, last_section_number 필드, MPD_id_length 필드, MPD_id_byte 필드, MPD_URL_length 필드 및 MPD_URL_bytes 필드를 포함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table_id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때 table_id 필드는 ATSC A/65에서 정의된 reserved id값중 하나인 0xFA일 수 있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을 MPEG-2 TS 표준의 long 형식의 private section table인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MPD 정보 테이블은 long 형식이 아니므로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O의 값을 갖는다.
private_indicator 필드는 현재 테이블이 private section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낸다. MPD 정보 테이블은 private section에 해당하므로 private_indicator 필드는 1의 값을 갖는다.
private_section_length 필드는 private_section_length 필드 이후에 포함된 section의 길이를 나타낸다.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MPD와 연관된 방송 서비스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때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program number, service id, source id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MPD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의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protocol_vers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서로 다른 MPD를 포함하는 복수의 MPD 정보 테이블 각각을 식별하는 sequence_numb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MPD_data_version 필드는 MPD 정보 테이블의 버전을 나타낸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_data_version 필드에 기초하여 MPD 정보 테이블의 업데이트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MPD_data_version 필드의 값은 MPD에 포함된 version 엘리먼트의 값과 동일할 수 있다.
section_number 필드는 현재 섹션의 번호를 나타낸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마직막 섹션의 번호를 나타낸다. MPD 정보 테이블의 크기가 큰 경우 복수의 섹션으로 나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section_number 필드와 last_section_number 필드에 기초하여 MPD 정보 테이블에 필요한 모든 섹션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MPD_id_bytes 필드는 MPD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MPD_id_lengt 필드는 MPD를 식별하는 식별자의 길이를 나타낸다.
MPD_URL_length 필드는 MPD_URL의 길이를 나타낸다.
MPD_URL_byte() 필드는 MPD_URL 자체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MPD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S401).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한다(S403).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d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d 엘리먼트와 id_extension 엘리먼트가 조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d 엘리먼트의 값으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식별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d 엘리먼트의 값과 id_extension 엘리먼트의 값이 조합된 값으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식별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추출한다(S405).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는 URL 형식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링크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한다(S407).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S409).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S411).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MPD에 포함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 데이터그램(Datagram)에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1에서 보여지는 데이터 구조와 같이 도 11내지 도 13의 실시예에서 IP 데이터그램은 IP 페이로드에 UDP 데이터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UDP 데이터그램은 UDP 페이로드에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때 IP 데이터 그램의 신택스는 도 10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 데이터그램에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IP 데이터그램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UDP 페이로드는 MPD_payload_type 필드와 payload 필드를 포함한다. MPD_payload_type필드는 MPD_payload 필드에 포함된 MPD의 데이터 형태를 나타낸다. MPD_payload_type 필드의 값은 MPD_payload 필드가 MPD 자체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PD_payload_type 필드의 값은 MPD_payload 필드가 MPD를 특수한 신택스 형태로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D_payload_type 필드의 값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표 2의 실시예에서 MPD_payload_type 필드의 값이 0x01인 경우, MPD_payload 필드가 MPD를 특수한 신택스 형태로 포함함을 나타낸다. 또한 MPD_payload_type 필드의 값이 0x02인 경우, MPD_payload 필드가 MPD를 그대로 포함함을 나타낸다. 또한 MPD_payload_type 필드의 값이 0x03인 경우, MPD_payload 필드가 MPD를 앞서 설명한 MPD 정보 테이블 형태로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payload 필드는 MPD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P 데이터그램에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IP 데이터그램에 포함된 MPD 페이로드(payload)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MPD_coding 필드는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의 인코딩 방식을 나타낸다. 이때 인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MPD_coding 필드는 MPD 페이로드가 별다른 압축 없이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PD_coding 필드는 MPD 페이로드가 특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압축된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특정 알고리즘은 gzip 알고리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MPD_coding 필드의 값은 표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표 3의 실시예에서 MPD_coding 필드가 0x00의 값을 가질 경우, MPD 페이로드 가 별다른 압축 없이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coding 필드가 0x01의 값을 가질 경우, MPD 페이로드가 gzip 알고리즘에 의하여 압축된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byte_length 필드는 MPD 또는 MPD 정보 테이블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S501).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IP 데이터 그램을 추출한다(S503).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IP 데이터그램으로부터 UDP 데이터그램을 추출한다(S505).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데이터그램의 페이로드로부터 UDP 데이터그램을 추출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UDP 데이터그램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한다(S507).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UDP 데이터그램의 페이로드로부터 미디어 컨테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의 압축을 해제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UDP 데이터그램에 포함된 coding 필드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S507).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S509).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사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을 방송 정보 시그널링(signaling)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3을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을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은 비트 스트림, HTML5 및 XML 형식 중 어느 하나의 형식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사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을 포함하는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방송 정보 시그널링(signaling)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정보 시그널링 정보 테이블은 ISO/IEC 13818-1 표준에서 정의하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테이블, ETSI EN 300 468 표준에서 정의하는 SI(System Information) 테이블 및 ATSC 표준에서 정의하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시그널링 정보 테이블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 이때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 엘리먼터리(elementary) 스트림에 대한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테이블은 ATSC 표준 중 하나인 A/65에 정의된 Table 중 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A/153에 정의된 Table 중 SMT(Service Map Table), ETSI EN 300 468 표준에서 정의하는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및 ISO/IEC 13818-1 표준에서 정의하는 PMT(Program Map Tabl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디스크립터는 디스크립터를 식별하는 tag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디스크립터의 길이를 타나내는 length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망뿐만아니라 IP 네트워크로 동시에 전송됨을 나타내는 simulcast_flag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컨텐츠는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서비스 및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imulcast_flag 값이 1이고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의 전송이 불안정한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mulcast_flag 값이 1이고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의 신호가 일정 기준 보다 약하거나 방송 컨텐츠의 재생 끊김이 발생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IP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버전을 나타내는 version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테이블의 구체적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transport_mode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transport_mode 엘리먼트가 가지는 값은 디스크립터가 직접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transport_mode 엘리먼트가 가지는 값은 디스크립터가 포함하는 링크주소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다운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transport_mode 엘리먼트가 가지는 값은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패킷과 다른 패킷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transport_mode 엘리먼트가 가지는 값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별도의 방송 스트림이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transport_mode 엘리먼트가 가지는 값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IP 데이터그램이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transport_mode 엘리먼트가 가지는 값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이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에 의하여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은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FLUTE)일 수 있다. 또한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은 ALC(Asynchronous Layered Coding)/LCT (Layered Coding Transport) 일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전송 방법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bootstrap_data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크립터가 직접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디스크립터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가 포함하는 링크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다운 받을 수 있는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다운 받을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링크에 접속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다운 받을 수 있다. 이때 링크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링크에 대한 우선순위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링크부터 순차적으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다운로드를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링크는 Uniform Resource Locator(URL)일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패킷과 다른 패킷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링크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패킷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는 미리 정하여진 것일 수 있다. 다만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는 미리 정하여진 것이 아닌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테이블은 앞서 설명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방송 스트림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와 패킷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스트림이 MPEG2 TS 표준을 따르는 경우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는 TS ID이고 패킷 식별자는 PID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킷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는 미리 정하여진 것일 수 있다. 다만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는 미리 정하여진 것이 아닌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은 앞서 설명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IP 데이터그램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IP 데이터 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의 데이터 전송 채널의 식별자, IP 주소, 포트 번호, 소스 IP 주소의 포함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소스 IP 주소, IP 주소 형식의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 세션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물리적 계층의 데이터 전송 채널의 식별자, 세션의 식별자, 세션의 IP 주소, 세션의 포트 번호, 세션의 소스 IP 주소 의 포함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세션의 소스 IP 주소, IP 주소 형식의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은 FLUTE일 수 있다. 또한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은 ALC/LCT일 수 있다. 이때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이 FLUTE인 경우, 세션의 식별자는 FLUTE 세션의 식별자인 TSI일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1의 실시예에서 MPD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5 내지 도 21의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전송 방법을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MPD 디스크립터로 지칭한다. 또한 이때 MPD 디스크립터는 비트 스트림 형식 방송 정보 시그널링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PD를 전송하기 위한 MPD 디스크립터(descriptor)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MPD 디스크립터는 descriptor_tag 필드, descriptor_length 필드, MPD_version 필드, simulcast_flag 필드, MPD_vesrsion 필드, MPD_transport mode 필드 및 MPD_bootstrap_data 필드를 포함한다.
descriptor_tag 필드는 MPD descriptor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descriptor_length 필드는 MPD descriptor의 길이를 나타낸다.
MPD_version 필드는 MPD의 버전을 나타낸다.
simulcast_flag 필드는 MPD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가 방송망뿐만 아니라 IP 네트워크로 동시에 전송됨을 나타낸다. 이때 방송 컨텐츠는 MPD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 MPD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서비스 및 MPD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imulcast_flag 값이 1이고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의 전송이 불안정한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mulcast_flag 값이 1이고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의 신호가 일정 기준 보다 약하거나 방송 컨텐츠의 재생 끊김이 발생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MPD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IP 네트워크를 통해 MPD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MPD_transport mode 필드는 MPD, MPD 정보 테이블(MPD_Section) 또는 MPD 링크 테이블(MPD_URL_Section)의 구체적인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은 MPD 디스크립터가 직접 MPD를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은 MPD 디스크립터가 포함하는 링크주소를 통하여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테이블을 다운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은 MPD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패킷과 다른 패킷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이 MPD 또는 MPD_URL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MPD_URL은 MPD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을 나타낸다. 이때 정보 테이블은 앞서 설명한 MPD 정보 테이블 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정보 테이블은 앞서 설명한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은 MPD 또는 MPD_URL을M 별도의 방송 스트림이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정보 테이블은 앞서 설명한 MPD 정보 테이블 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정보 테이블은 앞서 설명한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은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테이블을 IP 데이터그램이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은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테이블을 FLUTE 혹은 ALC/LCT 등의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 세션을 통하여 전송함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D_transport mode 필드의 값은 다음의 표 4와 같이 할당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표 4의 실시예에서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이 0x00인 경우 MPD_transport mode 필드는 MPD 디스크립터가 직접 MPD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이 0x01인 경우 MPD_transport mode 필드는 MPD 디스크립터가 포함하는 링크주소를 통하여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테이블을 다운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이 0x02인 경우 MPD_transport mode 필드는 MPD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패킷과 다른 패킷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이 MPD 또는 MPD_URL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이 0x03인 경우 MPD_transport mode 필드는 MPD를 별도의 방송 스트림이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이 0x04인 경우 MPD_transport mode 필드는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테이블을 IP 데이터그램이 포함함을 나타낸다. MPD_transport mode 필드가 가지는 값이 0x05인 경우 MPD_transport mode 필드는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테이블 M을 전송 프로토콜 세션을 통하여 전송함을 나타낸다. 이때 전송 프로토콜은 FLUTE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전송 프로토콜은 ALC/LCT일 수 있다.
MPD_bootstrap_data 필드는 MPD 혹은 MPD 정보 테이블 전송 방법에 따라 구체적인 전송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직접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MPD 디스크립터가 직접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는 MPD_data_length 필드와 MPD_data_byte 필드를 포함한다. MPD_data_length 필드는 MPD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MPD_data_byte 필드는 MPD의 실제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 디스크립터로부터 MPD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7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테이블을 저장하는 링크의 주소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MPD 디스크립터가 포함하는 링크주소를 통하여 MPD를 다운 받을 수 있는 경우 bootstrap_data는 MPD_URL_length 필드와 MPD_URL 필드를 포함한다. MPD_URL_length 필드는 URL의 길이를 나타낸다. MPD_URL 필드는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테이블을 다운 받을 수 있는 URL을 나타낸다.
도 18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MPD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패킷과 다른 패킷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이 MPD, MPD_URL을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는 MPD_pid 필드를 포함한다. 이때 정보 테이블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MPD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정보 테이블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 MPD_pid 필드는 MPD를 포함하는 패킷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때 방송 스트림이 MPEG-2 TS 표준을 따르는 경우 패킷의 식별자는 PID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_pid 필드에 기초하여 MPD를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_pid 필드의 값으로 MPD 또는 MPD_URL을 포함하는 패킷을 식별하고, MPD 또는 MPD_URL를 포함하는 패킷으로부터 MPD 또는 MPD_URL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는 미리 정하여진 것일 수 있다. 다만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는 미리 정하여진 것이 아닌 경우, bootstrap_data는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를 나타내는 table_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포함하는 별도의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별도의 방송 스트림이 MPD 또는 MPD_URL을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는 transport_stream_id 필드와 MPD_pid 필드를 포함한다.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MPD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MPD_pid는 MPD 또는 MPD_URL을 포함하는 패킷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이때 방송 스트림이 MPEG-2 TS 표준을 따르는 경우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는 TS ID이고 패킷의 식별자는 PID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transport_stream_id 필드와 MPD_pid 필드에 기초하여 MPD 또는 MPD_URL을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transport_stream_id 필드로 MPD 또는 MPD_URL을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식별하고 MPD_pid 필드로 MPD를 포함하는 패킷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 또는 MPD_URL을 포함하는 패킷으로부터 MPD 또는 MPD_URL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MPD를 포함하는 패킷은 MPD 정보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MPD_URL을 포함하는 패킷은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는 미리 정하여진 것일 수 있다. 다만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는 미리 정하여진 것이 아닌 경우, bootstrap_data는 정보 테이블의 테이블 아이디를 나타내는 table_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MPD 디스크립터가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 는 IP_version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port_numebr 및 dataPipe_id 필드를 포함한다. dataPipe_id 필드는 물리적 계층의 데이터 전송 채널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해당 전송 채널을 통하여 특정 IP 데이터 그램을 획득할 수 있다. IP_version_flag 필드는 IP 주소 형식의 버전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는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의 소스 IP 주소의 포함여부를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 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IP 주소를 나타낸다. destination_port_numebr 필드는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 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dataPipe_id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및 destination_port_numebr 필드에 기초하여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dataPipe_id 필드에 기초하여 IP 데이터 그램을 전송하는 물리적 계층의 데이터 채널을 식별하고,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와 destination_port_numebr 필드에 기초하여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방송 수신 장치(100)는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으로부터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도 21은 MPD 디스크립터가 MPD를 전송하는 FLUTE 혹은 ALC/LCT 등 세션 기반전송 프로토콜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MPD bootstrap_data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FLUTE 혹은 ALC/LCT 등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 세션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 bootstrap_data는 IP_version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 source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destination_port_numebr 필드, dataPipe_id 필드 및 flute_tsi 필드를 포함한다. IP_version_flag 필드는 IP 주소 형식의 버전을 나타낸다.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는 MPD를 전송하는 FLUTE 세션의 소스 IP 주소의 포함여부를 나타낸다.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는 MPD를 전송하는 FLUTE 세션의 IP 주소를 나타낸다. destination_port_numebr 필드는 MPD를 전송하는 FLUTE 세션의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dataPipe_id 필드는 물리적 계층의 데이터 전송 채널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flute_tsi 필드는 MPD를 전송하는 FLUTE 세션의 식별자를 타낸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dataPipe_id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및 destination_port_numebr, flute_tsi 필드를 사용하여 MPD, MPD 정보 테이블 또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dataPipe_id 필드 값에 따라 물리적 계층의 데이터 전송 채널을 식별하고 flute_tsi 필드, 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및 destination_port_numebr를 사용하여 MPD, MPD 정보 테이블, MPD 링크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도 22는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을 방송 정보 시그널링(signaling) 정보 테이블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S701).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이 포함된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추출한다(S703). 앞서 기재한바와 같이 이때 정보 테이블은 ISO/IEC 13818-1 표준에서 정의하는 Program Specific Information(PSI) 테이블, ETSI EN 300 468 표준에서 정의하는 System Information(SI) 테이블 및 ATSC 표준에서 정의하는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PSIP)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정보 테이블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 엘리먼터리(elementary) 스트림에 대한 정보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테이블은 ATSC 표준 중 하나인 A/65에 정의된 Table 중 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TVCT), Event Information Table(EIT), A/153에 정의된 Table 중 Service Map Table(SMT), ETSI EN 300 468 표준에서 정의하는 Service Description Table(SDT), Event Information Table(EIT) 및 ISO/IEC 13818-1 표준에서 정의하는 Program Map Table(PM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정보 테이블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이 포함된 디스크립터를 추출한다(S705).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정보 테이블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전송 방법을 추출한다(S707). 디스크립터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구체적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transport_mode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테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전송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bootstrap_data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transport_mode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테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전송 방법을 식별하고, bootstrap_data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테츠 재생 정보 테이블의 전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디스크립터가 직접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크립터가 직접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크립터가 포함하는 링크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테츠 재생 정보 테이블를 다운 받을 수 있는 경우,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패킷과 다른 패킷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별도의 방송 스트림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bootstrap_data 엘리먼트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와 패킷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IP 데이터그램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미디어 컨테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경우 및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 전송 방법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획득한다(S709).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로부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S711).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S713).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컨텐츠가 방송망뿐만 아니라 IP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전송되는 경우 방송 스트림의 전송 안정 여부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1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3은 방송 컨텐츠가 방송망뿐만 아니라 IP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전송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스트림 전송 안정 여부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된 방송 컨텐츠가 방송망뿐만 아니라 IP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전송되는지 판단한다(S901).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디스크립터에 포함된 simulcast_flag 엘리먼트의 값이 1인지 판단할 수 있다.
디스크립터에 의하여 지정된 방송 컨텐츠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 전송이 불안정 한지 판단한다(S903).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의 신호가 일정 기준 보다 약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컨텐츠의 재생 끊김이 발생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스트림 전송이 불안정한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S905).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한다(S907).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 컨텐츠는 90KHz 등의 프로그램 클럭 레퍼런스(clock reference)에 따라 화면에 재생될 시간이 결정된다. 이와 다르게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는 컨텐츠 생성시 할당한 타임스케일(timescale)에 따라 화면에 재생될 시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방송 컨텐츠와 미디어 컨텐츠를 모두 재생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간의 화면 재생 시간을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도 2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송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에 이어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가 재생 시간을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송 스트림을 통해 수신되는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를 미디어 컨텐츠에 동기화 시켜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 수신 장치(100)가 재생 시간을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도 24 내지 도 27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간의 화면 재생 시간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컨텐츠 제공자 또는 방송사는 미디어 컨텐츠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방송 스트림의 별도의 동기화 정보 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2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방송 스트림의 별도의 동기화 정보 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동기화 정보 패킷은 재생 시간 동기화 이전에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업데이트 필요여부를 나타내는 force_update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정보 패킷은 동기화 정보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으로부터 동기화의 대상인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switch_tim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이란 방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복수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하나의 타임라인(timeline)에 동기화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이다. 이때 동기화 정보 패킷은 동기화 정보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스트림이 MPEG-2 TS 표준을 따르는 경우, 동기화 정보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은 PTS일 수 있다. switch_timer 엘리먼먼트의 값이 0인 경우 동기화의 대상인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이 액티브(active) 상태이고, 미디어 컨텐츠를 즉시 동기화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switch_timer 엘리먼먼트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동기화의 대상인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이 액티브(active) 상태가 아님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정보 패킷은 방송 컨텐츠와 동기화 될 미디어 컨텐츠의 자체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presentation_time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resentation_time 엘리먼트의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동기화 정보 패킷 수신 전까지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의 동기화된 재생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MPT = (PT - PT0)/RC + (presentation_time - TimeOffset)/timescale
이때 MPT는 새로운 동기화 정보 패킷 수신 전까지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의 동기화된 재생 시간을 나타내고, PT0는 동기화 정보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을 나타내고, PT는 새로운 동기화 정보 패킷 수신 전까지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을 나타내고, RC는 방송 스트림의 레퍼런스 클럭을 나타내고, presnetion_time은 presentation_time 엘리먼트의 값인 미디어 컨텐츠의 자체 재생 시간을 나타내고, TimeOffset은 동기화 정보 패킷의 동기화 대상인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의 미디어 컨텐츠 재생 시작 시간을 나타내고, timescale은 미디어 컨텐츠 자체 재생 시간의 타임 스케일을 나타낸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은 동기화의 대상이 되는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period_id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가 MPEG-DASH 표준에 따라 전송 되는 경우 period_id는 MPD의 Period 엘리먼트의 id와 MPD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스트림이 MPEG-2 TS 표준에 의하여 전송되는 경우 동기화 정보 패킷은 Packet Elementary Stream(PES) 패킷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동기화 정보 패킷은 stream id 값이 0xBD인 프라이빗(private) 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data_alignmnet_indicator 필드의 값이 1을 갖는 동기화 정보 패킷이 PES 패킷의 페이로드의 시작과 일치할 수 있다.
도 24는 MPEG-DASH 표준에 따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 패킷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4의 실시예에에서 미디어 컨텐츠는 MPEG-DASH 표준에 따라 전송된다. 따라서 동기화 정보 패킷을 DASHTime 패킷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DASHTime 패킷은 DASHTimePacket_identifier 필드, mpd_force_update 필드, period_switch_timer 필드, presentation_time 필드, 및 period_id 필드를 포함한다.
DASHTimePacket_identifier 필드는 DASHTime 패킷임을 식별하게 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mpd_force_update 필드는 동기화 정보 패킷은 재생 시간 동기화 이전에 MPD가 업데이트 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period_switch_timer 필드는 DASHTime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으로부터 동기화의 대상인 MPD의 Period 엘리먼트의 시작 시간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낸다. switch_timer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period_id필드에 의해서 식별되는 Period가 현재 액티브(active)상태이며 미디어 컨텐츠를 즉시 동기화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switch_timer 필드의 값이 O이 아닌 경우 period_id필드에 의해서 식별되는 Period가 현재 액티브(active)상태가 아님을 나타낼 수 있다.
presentation_time 필드는 방송 컨텐츠와 동기화 될 IP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자체 재생 시간을 나타낸다. 이때 presentation_time 필드의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DASHTime 패킷 수신 전까지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의 동기화된 재생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MPT = (PT - PT0)/RC + (presentation_time- TimeOffset)/ SegmentBase.timescale
이때 MPT는 새로운 DASHTime 패킷 수신 전까지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의 동기화된 재생 시간을 나타내고, PT0는 동기화 정보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을 나타내고, PT는 새로운 DASHTime 패킷 수신 전까지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을 나타내고, RC는 방송 스트림의 기준 클럭을 나타내고, presnetion_time은 presentation_time 필드의 값인 미디어 컨텐츠의 자체 재생 시간을 나타내고, TimeOffset은 DASHTime 패킷의 동기화 대상인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의 미디어 컨텐츠 재생 시작 시간을 나타내고, SegmentBase.timescale은 MPD의 timescale 엘리먼트의 값을 나타낸다.
period_id 필드는 MPD의 Period 엘리먼트를 식별하게 하고 MPD의 Period 엘리먼트의 id와 MPD의 URL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period_id를 통해 동기화의 대상인 미디어 컨텐츠와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구간인 Period 엘리먼트를 식별할 수 있다.
도 2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동기화 정보 패킷을 통하여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가 별도의 패킷을 수신하여만 미디어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를 동기화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header)는 각 엘레멘터리 스트림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방송 컨텐츠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MPEG-2 TS 표준에 따른 방송 스트림의 패킷의 헤더는 PTS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에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효율적으로 미디어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 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3과 도 2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는 방송 컨텐츠와 동기화 될 미디어 컨텐츠의 자체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presentation_time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의 대상인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period_id 엘리먼트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미디어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간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id 엘리먼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동기화 정보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동기화 정보의 신택스를 보여준다.
도 25과 도 26의 실시예에서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는 MPEG-DASH 표준에 따라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와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DASHTime_private_data라 하기로 한다. DASHTime_private_data는 presentation_time 필드와 period_id 필드를 포함한다. presentation_time 필드는 방송 컨텐츠와 동기화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자체 재생 시간을 나타낸다. period_id 필드는 MPD의 Period 엘리먼트를 식별하게 하고 MPD의 Period 엘리먼트의 id와 MPD의 URL을 포함한다. 도 24의 실시예에서 DASHTime_private_data는 DASHTime_private_data가 미디어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간의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id 엘리먼트를 더 포함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컨텐츠와 미디어 컨텐츠를 동기화 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S1101).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컨텐츠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컨테츠 간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정보를 추출한다(S1103).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동기화 정보 패킷으부터 동기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비디오, 오디오 등의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S1105).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컨텐츠와 미디어 컨텐츠를 동기화한다(S1107).
방송 수신 장치(100)가 방송 컨텐츠 뿐만 아니라 IP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방송 컨텐츠와 미디어 컨텐츠의 연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송 수신 장치(100)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방송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컨텐츠가 MPEG-2 TS 표준으로 전송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TS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컨텐츠를 MPEG-2 TS 표준으로 전송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컨텐츠를 ATSC 표준에 따라 전송하는 경우 source id와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의 채널 번호(channel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컨텐츠를 DVB 표준에 따라 전송하는 경우 service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컨텐츠를 MPEG-2 TS 표준으로 전송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PI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는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및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하나로 조합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방송 컨텐츠가 ATSC 표준에 따라 전송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포함되는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의 형식을 보여준다.
도 29는 ATSC 표준에 따라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MPEG-DASH의 MPD의 예제를 보여준다.
도 28 내지 도 29의 실시예에서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TSID,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하는 SSID 및 패킷을 식별하는 PID를 조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TSID, 프로그램 스트림을 식별하는 PNUM 및 패킷을 식별하는 PID를 조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TSID, 가상 채널을 식별하는 CHNUM 및 패킷을 식별하는 PID를 조합한 것일 수 있다. 이때 가상 채널을 식별하는 CHUM은 메이저(major) 채널 번호와 마이너(minor) 채널 번호가 "-"로 이어진 형식일 수 있다.
도 30은 방송 수신 장치가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IP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한다(S1303).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를 추출한다(S1303).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0)와 제어부(110)를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S1305).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0)를 통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가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방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컨텐츠를 추출한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가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방송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2를 통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망을 통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컨텐츠와 미디어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1은 방송 수신 장치가 MPEG-2 TS 표준에 따라 방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송망을 통해서 MPEG-DASH의 MPD를 수신하는 것을 보여주는 블락도이다.
도 31의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PSI 파서(Parser), TS 필터(filter), TS/PES 디패킷타이저(Depacketizer) 및 디코더(Decoder)를 포함한다.
TS 필터는 방송 스트림으로 부터 특정 PID를 가지는 패킷을 추출한다.
PSI 파서는 Program Association Table(PAT)와 Progrma Map Table(PMT) 같은 PSI 테이블을 파싱하여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추출한다. 특히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PSI 파서는 PMT에 포함된 MPD_descriptor를 추출할 수 있다.
TS/PES 디패킷타이저는 TS/PES 패킷으로부터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를 추출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MPD가 방송 스트림내의 별도의 정보 테이블로 전송되는 경우, TS/PES 디패킷타이저는 MPD_descriptor에 기초하여 별도의 정보 테이블로부터 MPD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S/PES 디패킷타이저는 MPD_descriptor에 포함된 PID에 해당하는 패킷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로부터 MPD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TS/PES 디패킷타이저는 TS/PES 패킷으로부터 비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오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추출한다.
디코더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디코딩한다.
도 32는 방송 수신 장치가 MPEG-2 TS 표준에 따라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의 방송 컨텐츠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블락도이다.
도 32의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TS/PES 디패킷타이저(Depacketizer) 및 디코더(Decoder)를 포함한다.
TS/PES 디패킷타이저는 TS/PES 패킷으로부터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를 추출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MPD가 방송 스트림내의 별도의 정보 테이블로 전송되는 경우, MPD_descriptor에 기초하여 별도의 정보 테이블로부터 MPD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D_descriptor에 포함된 PID에 해당하는 패킷에 포함된 정보 테이블로부터 MPD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TS/PES 디패킷타이저는 TS/PES 패킷으로부터 미디어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간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동기화 정보는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MPD의 Period 엘리먼트를 식별하는 식별자 및 MPD UR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S/PES 디패킷타이저는 TS/PES 패킷으로부터 비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오디오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추출한다.
IP 송수신부(130)는 MPD에 기초하여 미디어 CDN 서버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디코더는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를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하여 디코드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에 기초하여 IP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전송 방법에 해당하는 전송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제2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은 Program Map Table(PMT), Service Map Table(SMT), 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TVCT) 중 어느 하나인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상기 제1 방송 스트림과 다른 제2 방송 스트림에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제2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에 의하여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세션 기반 전송 프로토콜 세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상기 제1 방송 스트림내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정보 테이블이 포함된 패킷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상기 제1 방송 스트림내의 Internet Protocol(IP) 데이터그램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IP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는 물리적 계층의 데이터 전송 채널의 식별자, 상기 IP 데이터 그램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와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정보를 상기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방송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미디어 컨텐츠의 자체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엘리먼트와 미디어 컨텐츠 재생 구간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의 방송 스트림 기준 시간으로부터 동기화의 대상인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3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이전에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업데이트 필요여부를 나타내는 제4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와 상기 방송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엘리먼트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동작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은 Internet Protocol(IP) 데이터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IP 데이터그램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P 데이터그램으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은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테이블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압축여부를 나타내는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압축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상기 방송 정보 테이블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IP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IP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스트림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의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전송 방법에 해당하는 전송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제2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 시그널링 테이블은 Program Map Table(PMT), Service Map Table(SMT), 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TVCT) 중 어느 하나인
    방송 수신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상기 제1 방송 스트림과 다른 제2 방송 스트림에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제2 방송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가 세션 기반전송 프로토콜에 의하여 전송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세션 기반전송 프로토콜의 세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20.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를 방송 스트림에 삽입하는 단계;
    IP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를 상기 방송 스트림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스트림을 Internet Protocol(IP) 네트워크가 아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157027812A 2013-04-16 2014-04-15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06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2713P 2013-04-16 2013-04-16
US61/812,713 2013-04-16
PCT/KR2014/003272 WO2014171718A1 (ko) 2013-04-16 2014-04-15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164A true KR20160006164A (ko) 2016-01-18

Family

ID=5173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812A KR20160006164A (ko) 2013-04-16 2014-04-15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127756A1 (ko)
EP (1) EP2988519A4 (ko)
JP (1) JP2016521500A (ko)
KR (1) KR20160006164A (ko)
CN (1) CN105393548A (ko)
CA (1) CA2909145A1 (ko)
MX (1) MX2015014412A (ko)
WO (1) WO2014171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49Y1 (ko) 2016-12-06 2018-03-27 김도현 물티슈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2880B2 (ja) 2014-04-09 2018-01-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伝送装置、放送受信装置、放送伝送装置の動作方法及び放送受信装置の動作方法
WO2016076569A1 (ko) 2014-11-12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6076654A1 (ko) 2014-11-13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3232668A4 (en) 2014-12-10 2018-06-13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10667004B2 (en) * 2014-12-22 2020-05-2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and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method based on pull mode
CN105812961B (zh) * 2014-12-31 2019-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自适应流媒体处理方法及装置
EP3247085A4 (en) * 2015-01-18 2018-07-1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JP6259114B2 (ja) 2015-01-21 2018-01-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CN107430860B (zh) * 2015-02-14 2021-04-3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包括系统数据的音频比特流进行解码的方法和设备
WO2016129973A1 (ko) * 2015-02-15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6153274A1 (ko) * 2015-03-23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387881B1 (ko) * 2015-04-17 202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43898A1 (ko) 2015-09-08 2017-03-16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1310094B2 (en) 2015-09-08 2022-04-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666961B2 (en) * 2016-01-08 2020-05-26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media delivery event locations for media transport
KR20170092896A (ko)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앰버스 콘텐츠 재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용 태그 제공 장치
US10547892B2 (en) * 2016-09-06 2020-01-28 Maxell, Ltd. Broadcast receiving system
JPWO2018066355A1 (ja) * 2016-10-04 2019-07-2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102263223B1 (ko) * 2017-03-14 2021-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4146A1 (fr) * 2004-08-04 2006-02-10 Thomson Licensing Sa Methode de mise-a-jour du logiciel resident dans un appareil et appareil adapte a se mettre a jour par la methode
KR100735276B1 (ko) * 2005-08-1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오류 정정 프레임의 복호 방법 및 장치
KR20100084104A (ko) * 2009-01-15 201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리치미디어를 이용한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RU2549159C2 (ru) * 2010-05-03 2015-04-2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окращение служебной информации протокола
US8683514B2 (en) * 2010-06-22 2014-03-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nhanced media content transport stream for media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WO2012011724A2 (ko) * 2010-07-19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파일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101613941B1 (ko) * 2010-11-02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콘텐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20120083747A (ko) * 2011-01-18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통신 융합형 서비스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20084252A (ko) * 2011-01-19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실시간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와 그 송신 장치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WO2013012228A2 (ko) * 2011-07-15 201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25035A2 (ko) * 2011-08-12 201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KR102057107B1 (ko) * 2012-01-24 2019-12-18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수신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시스템
US10616297B2 (en) * 2012-07-09 2020-04-07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ntent-specific identification and timing behavior in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49Y1 (ko) 2016-12-06 2018-03-27 김도현 물티슈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8519A4 (en) 2017-01-11
CA2909145A1 (en) 2014-10-23
MX2015014412A (es) 2016-02-16
CN105393548A (zh) 2016-03-09
US20160127756A1 (en) 2016-05-05
EP2988519A1 (en) 2016-02-24
WO2014171718A1 (ko) 2014-10-23
JP2016521500A (ja)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6164A (ko)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101765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rocesses of a broadcast signal
JP6359142B2 (ja)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受信方法
US922544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the broadcasting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broadcasting service
US872632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ame
KR20130126538A (ko) Mmt 패킷 포맷 확장을 통한 하이브리드 전송 방법
KR20150035526A (ko)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99231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5003327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JP6304016B2 (ja) 受信装置並びに受信方法
US10887242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96994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ing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KR20180040571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533674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92199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discovery information in multimedia transmission system and file structure for the same
WO2015168766A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encapsular fluxos de conteúdo audiovisual em mpeg2 private sections, protocolo de comunicação em redes para redes locais baseadas em ip, aplicação interativa para tv digital, dispositivo de usuário contendo aplicações e método para transmissão de conteúdo audiovisual e dad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