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620A -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620A
KR20160005620A KR1020140084831A KR20140084831A KR20160005620A KR 20160005620 A KR20160005620 A KR 20160005620A KR 1020140084831 A KR1020140084831 A KR 1020140084831A KR 20140084831 A KR20140084831 A KR 20140084831A KR 20160005620 A KR20160005620 A KR 20160005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layer
present
pores
wallpaper
pa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5620A/ko
Publication of KR2016000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8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친환경적이며 음파 에너지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된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지는 상부층과 하부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층은 종이 또는 직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층은 유기물과 다공성 광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에 구비되는 비교적 큰 크기의 기공들과 하부층에 구비되는 미세한 기공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벽지를 통과하게 되는 음파 에너지를 저하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SOUNDPROOF WALLP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병은 방음벽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가 용이하고 친환경적이며 음파 에너지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된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벽지는 건물의 내벽면에 부착하여 건축물의 내부 공간에 미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주로 종이나 실크 등의 섬유에 각종 도안 등을 인쇄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환경소음이나 층간소음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벽지에 방음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용공개 제20-005055호, 특허공개 제2011-003745호, 특허등록 제284917호, 특허등록 제523206호 등에는 방음벽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벽지의 방음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음벽지의 배면에 발포층을 형성하거나 별도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기능을 향상시키기 방음재로서는 발포층이나 다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층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음재는 바닥면이나 벽면으로부터 30cm 이상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 주파수대역에 걸쳐서 양호한 흡음력을 갖는데 반하여 바닥면이나 벽면으로부터 10cm 이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흡음력이 크게 저하되고, 이와 같은 흡음력의 저하는 특히 저음역에서 크게 발생된다. 건축물에 있어서 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층간소음은 주로 저음역의 소리이다. 그런데 통상 벽지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기존의 방음벽지는 방음 기능을 제공하는데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벽지에 발포층 등을 형성하게 되면 여기에 세균 등의 미생물이 번식함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방음기능을 제고하여 건축물의 층간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방음벽지 제조방법은 종이 또는 직물을 이용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층 형성단계는 유기물과 다공성 광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로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이 다공질 세라믹이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내화성 물질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방음벽지는 상부층과 하부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층은 종이 또는 직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층은 유기물과 다공성 광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이 다공질 세라믹, 제올라이트, 전기석, 질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층이 내화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층이 화산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에 구비되는 비교적 큰 크기의 기공들과 하부층에 구비되는 미세한 기공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벽지를 통과하게 되는 음파 에너지를 저하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지의 단면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어떠한 물질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기공을 형성하게 되면 흡음 및 차음 기능이 향상된다. 도 1은 이러한 흡음 및 차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는 10은 음파 에너지가 가해지는 매질이다. 이 매질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 기공(11)과 직경이 작은 제2 기공(12)이 존재한다고 할 때, 외부에서 음파(A)가 인입되면 이 음파(A)는 매질(10)과 제1 및 제2 기공(11, 12)을 통해서 전파되게 된다. 그런데 제1 기공(11)을 통과한 음파(A)가 제2 기공(12)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는 a 및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음파(A)가 반사하거나 굴절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제2 기공(12)을 통과한 음파(b)가 제1 기공(11)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발생된다. 이는 기공의 크기에 따라 기공의 공진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차음 기능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음파를 어느 정도 통과시키는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되고, 흡음 기능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음파를 어느 정도 흡수하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모든 물질은 외부의 음파에 자극을 받으면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진동에 영향을 준 주파수음은 진동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을 통해 흡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떠한 매질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기공을 형성하게 되면 음파가 기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사 및 굴절되면서 음파의 직진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즉 차음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음파가 서로 다른 크기의 기공을 통과하면서 공진된다. 즉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파 에너지가 기공에서의 진동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흡음 기능이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1은 상부층이고, 22는 하부층이다. 상부층(21)은 통상적인 벽지와 마찬가지로 종이나 직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층(22)은 예컨대 PVC,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과 수성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포함하는 유기물과 다공성 광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다공성 광물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다공질 세라믹이나 제올라이트가 채용되고, 그 밖에 질석이나 전기석 분말 등도 유효하게 채용될 수 있다. 물론 유기물과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다공성 광물질을 혼합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다공질 세라믹은 통상 ㎛ 단위의 기공들을 갖고 있고, 제올라이트의 경우에는 ㎚ 단위의 기공들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층(21)을 구성하는 종이나 직물의 경우에는 대략 수십 ㎛의 기공이 형성되고, 하부층(22)에는 다공성 광물질에 의해 수 ㎛ 내지 수 nm의 기공들이 형성되게 된다. 외부로부터의 음파가 상부층(21)의 기공을 통해서 하부층(22)의 기공에 인입하게 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파의 반사 및 굴절이 발생되면서 하부층(33)을 통해서 내벽면으로 진행되는 음파의 양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공의 크기에 따라 기공의 공진주파수가 달라져서 기공의 크기가 작을수록 저음역에 대한 흡음기능이 향상된다. 하부층(22)에 포함되는 제올라이트의 경우에는 nm 단위의 기공들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기공의 크기는 층간소음에서 문제로 되는 저주파 음역의 제거하는데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지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공정을 통해 상부 층(21)을 형성하고, 이어 유기물과 다공성 광물질의 혼합물을 예컨대 압출하여 하부층(2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층(21)과 하부층(22)을 접착제나 열접합 등의 방법을 통해 상호 접합하여 방음벽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지는 상부층(21)에 구비되는 비교적 큰 크기의 기공들과 하부층(22)에 구비되는 미세한 기공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벽지를 통과하게 되는 음파 에너지를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하부층(22)에 포함되는 미세한 기공들은 포름알데히드 등의 환경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 하부층(2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공성 광물질 이외에 내열성 물질이나 내화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열성 또는 내화성 물질로서는 바람직하게 화산재를 채용할 수 있다.
21 : 상부층, 22 : 하부층.

Claims (8)

  1. 종이 또는 직물을 이용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층 형성단계는 유기물과 다공성 광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로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이 다공질 세라믹이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내화성 물질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지 제조방법.
  4. 상부층과 하부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층은 종이 또는 직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층은 유기물과 다공성 광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이 다공질 세라믹, 제올라이트, 전기석, 질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이 내화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이 화산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지.
  8. 2개 이상의 제1 기공을 갖는 상부층과,
    2개 이상의 제2 기공을 갖는 하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기공 보다 제2 기공의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지.
KR1020140084831A 2014-07-07 2014-07-07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5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31A KR20160005620A (ko) 2014-07-07 2014-07-07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31A KR20160005620A (ko) 2014-07-07 2014-07-07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620A true KR20160005620A (ko) 2016-01-15

Family

ID=5517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831A KR20160005620A (ko) 2014-07-07 2014-07-07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56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4401B (zh) 具有卓越吸声性能的石膏面板及其制造方法
CN103069086A (zh) 声学板
CN204229830U (zh) 复合共振吸声结构
CN202116148U (zh) 一种电梯用壁板
KR20160104507A (ko) 소음방지재
CN207003708U (zh) 用于建筑物的混凝土隔音墙体
RU2582137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й элемент
KR101250647B1 (ko) 음향 패널 시스템
CN105220785A (zh) 复合保温隔音板
KR20160005620A (ko)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187222B1 (ko) 방음벽지
JP5599140B2 (ja) 吸音構造体用部材及び吸音構造体
KR20160107873A (ko) 방음벽지 및 그 제조방법
CN206344516U (zh) 一种新型隔音板材
CN208251351U (zh) 一种消音墙板
KR10163053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CN208815699U (zh) 一种建筑隔音结构
CN209603324U (zh) 内置隔声材料的多排孔混凝土墙板
CN203440934U (zh) 一种空间吸声体
CN203546931U (zh) 一种解耦消振隔音的复合吸音板
CN205259383U (zh) 一种新型隔音板材
KR101838718B1 (ko) 판진동형 흡음재
Puguan et al. Enhanced Low Frequency Sound Absorption of Bilayer Nanocomposite Acoustic Absorber Laminated with Microperforated Nanofiber Felt
KR20140103202A (ko) 층간소음 방지용 시트
KR20160104510A (ko) 소음방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