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610A -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 Google Patents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610A
KR20160005610A KR1020140084812A KR20140084812A KR20160005610A KR 20160005610 A KR20160005610 A KR 20160005610A KR 1020140084812 A KR1020140084812 A KR 1020140084812A KR 20140084812 A KR20140084812 A KR 20140084812A KR 20160005610 A KR20160005610 A KR 20160005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band
pair
refrigerator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750B1 (ko
Inventor
김기원
김갑범
Original Assignee
김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원 filed Critical 김기원
Priority to KR102014008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7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1)에 관한 것으로, 빌트인 냉장고(R)를 방열하도록 그릴보드(B)에 관통된 길고 좁은 슬롯형 방열구(H)의 종축선과 나란한 한 쌍의 종축면(LF)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종축면(LF)을 마감하는 한 쌍의 띠형 마감재(3); 및 상기 한 쌍의 띠형 마감재(3)를 연결하면서 상기 방열구(H) 양단의 모서리면(CF)을 마감하는 한 쌍의 절곡형 마감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한 쌍의 띠형 마감재와 한 쌍의 절곡형 마감재에 의해 방열구 내주면을 마감 처리하므로 방열구 및 그릴보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절곡형 마감재가 몸체부와 덮개부의 조립 구조에 의해 형성되므로 조립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Finishing Frame For Heat Release Opening Of Grill Board Used For Built-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방열구 마감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빌트인 냉장고를 위한 방열설비의 배기출구를 그릴보드에 의해 마감함에 있어 통기를 위해 그릴보드에 관통되는 방열구 내주면을 마감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방용 가구들이 부엌의 내장재에 일체로 설치되는 주방용 가구의 빌트인화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도 그 하나의 흐름으로서 빌트인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 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빌트인 냉장고(R)를 들 수 있는데, 이 냉장고(R)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싱크대(S)와 싱크대(S) 사이에서 주방 인테리어와 일체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빌트인 냉장고(R)는 싱크대(S) 등 다른 주방 인테리어 속으로 파묻히므로, 압축기 등 발열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내기 위해 배기덕트 등으로 이루어진 방열설비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빌트인 냉장고(R)가 적용된 주방 인테리어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위와 같은 배기덕트의 배기출구에 보드나 메시 형태의 방열 그릴이 설치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그릴보드(B)는 주방 인테리어에 영향을 주는 외장 처리만이 중시될 뿐, 통기를 위해 보드(B)에 관통된 방열구(H)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갖지 않고 있었다.
또, 방열구(H)에 대한 관심을 갖는다 하더라도, 방열구(H) 내주면에 도장을 하거나 테이핑을 하는 정도로 방열구(H) 마감이 끝나기 때문에, 그릴보드(B)의 외관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오히려 방열구(H) 마감작업에 따른 인건비나 재료비 등으로 인해 원가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빌트인 냉장고용 그릴보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을 위해 주방 인테리어에 채용된 그릴보드의 방열구를 별도의 마감틀에 의해 마감함으로써, 방열구 더 나아가, 그릴보드의 외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마감틀의 조립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그릴보드 설비 시 방열구에 대한 마감틀의 조립 작업을 편리하고, 간단하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빌트인 냉장고를 방열하도록 그릴보드에 관통된 길고 좁은 슬롯형 방열구의 종축선과 나란한 한 쌍의 종축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종축면을 마감하는 한 쌍의 띠형 마감재; 및 상기 한 쌍의 띠형 마감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방열구 양단의 모서리면을 마감하는 한 쌍의 절곡형 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곡형 마감재는 상기 모서리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띠형 마감재의 양단을 각각 파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형 마감재는, 상기 모서리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한 쌍의 띠형 마감재 일단을 지지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스냅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부와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띠형 마감재 일단을 파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와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 안으로 삽입되는 상기 덮개부의 안내봉과, 상기 안내봉이 삽입되는 상기 몸체부의 안내공 사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암수형 체결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스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형 체결부는 상기 안내공의 내주면에 함입된 걸림공이고, 상기 수형 체결부는 상기 안내봉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공에 스냅 결합되는 걸림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수형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서 상기 띠형 마감재가 파지되는 간격을 상기 띠형 마감재의 폭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에 따르면, 마감틀을 구성하는 한 쌍의 띠형 마감재와 한 쌍의 절곡형 마감재에 의해 그릴보드에 관통된 방열구 내주면을 모두 마감 처리할 수 있으므로, 그릴보드를 포함하는 주방 인테리어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방열구 마감틀에 의해 방열구 내주면을 마감함에 있어, 절곡형 마감재가 방열구 앞쪽으로 삽입되는 몸체부와 방열구 뒤쪽에서 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의 조립에 의해 구성되므로, 방열구 마감틀의 설치에 따른 작업공수나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빌트인 냉장고와 종래의 그릴보드가 설치된 주방 인테리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구 마감틀이 방열구에 적용된 그릴보드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곡형 마감재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부분 절단 종단 평면도.
도 8은 도 6의 대향측 측면도.
도 9는 좌측 덮개부를 생략한 도 3의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열구 마감틀은 빌트인 냉장고(R)의 그릴보드(B)에 관통된 길고 좁은 슬롯 형태의 방열구(H) 내주면을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한 쌍의 띠형 마감재(3)와 한 쌍의 절곡형 마감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띠형 마감재(3)는 슬롯형 방열구(H)의 내주면 중에서 방열구(H)의 종축선과 나란한, 도면 상 상하로 배열되는 한 쌍의 종축면(LF)을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면(LF)을 완전히 덮도록 좌우로 길게 연장되면서 종축면(LF)에 밀착된다. 이때, 띠형 마감재(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괄호([])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바, 방열구의 위쪽에 배치되는 띠형 마감재(3)는 전후단이 위쪽으로 돌출되고, 아래쪽에 배치되는 띠형 마감재(3)는 전후단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방열구(H)의 전후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절곡형 마감재(5)는 방열구(H) 양단의 모서리면(CF)을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 마감재(3)와 함께 방열구(H) 내주면 전체를 마감하도록 한 쌍의 띠형 마감재(3) 좌우단에 연결되는데,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절곡형 마감재(5)는 한 쌍의 띠형 마감재(3) 양단을 연결함에 있어,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는 띠형 마감재(3)의 단부를 파지하면서 방열구(H)의 모서리면(CF)에 밀착되는 바, 이를 위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1)와 덮개부(1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11)는 띠형 마감재(3)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방열구(H)의 모서리면(CF)에 밀착된다. 따라서 몸체부(11)는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모서리면(CF)이 원통형인 경우, 모서리면(CF)과 접촉하는 배면(12)이 모서리면(CF)과 정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1)는 배면(12) 대향측에 단면 U자 형태의 통기로(31)를 형성하는데, 이 통기로(31)는 도시된 것처럼 중간부터 통기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확산관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기 면적이 일정한 직선관이나, 점차 좁아지는 노즐관 등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방열구(H)에 끼워진 때, 방열구(H) 뒤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모서리를 따라 걸림턱(25)이 돌출된다.
특히, 몸체부(11)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덮개부(13)와 함께 띠형 마감재(3)의 단부를 파지하도록 덮개부(1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 이를 위해 덮개부(13)의 일부분 즉, 안내봉(23)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안내공(21)이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 중앙에 막힌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1)는 한 쌍의 띠형 마감재(3) 단부와 접촉하는 내측 끝면에 공기흐름 즉, 띠형 마감재(3)의 폭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안착홈(19)이 가공된다. 따라서, 아래쪽 안착홈(19)은 아래쪽 띠형 마감재(3)의 단부에 얹힌 상태로 끼워맞춤되고, 위쪽 안착홈(19)은 위쪽 띠형 마감재(3)의 단부에 얹은 상태로 끼워맞춤된다. 아울러, 이 안착홈(19)과 만나는 걸림턱(25) 내주면에는 띠형 마감재(3)의 끝면을 완전히 감싸는 대괄호([]) 모양의 삽입홈(18)이 가공되어, 안착홈(19)에 놓인 띠형 마감재(3)의 단부를 덮개부(13)와 함께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부(13)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부(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몸체부(11)와 사이에 띠형 마감재(3)를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띠형 마감재(3)의 파지가 가능한 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공(21)에 삽입될 수 있는 기둥 모양의 안내봉(23)과 이 안내봉(23)을 지지하는 덮개판(27)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안내봉(23)은 안내공(21)과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ㄷ자 모양으로 굽은 넓은 판자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안내봉(23)은 아래에 언급된 것처럼, 걸림돌기의 스냅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돌기 위아래에 절결부(33)를 따낼 수도 있다. 또, 덮개판(27)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봉(23)의 후단에 연결되는 바, 마감틀(1)을 방열구(H)에 장착한 때 방열구(H)의 후단 모서리 주위에 걸림으로써 몸체부(11)와 함께 방열구(H) 앞쪽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몸체부(11)의 걸림턱(25)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다.
한편, 덮개부(13)도 몸체부(11)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1)의 삽입홈(18)과 대응하는 위치에 즉, U자형 덮개판(27)의 내측 끝면에 띠형 마감재(3)의 끝면을 완전히 감싸는 대괄호([]) 모양의 삽입홈(20)이 가공된다. 따라서, 삽입홈(20)은 마주보는 삽입홈(18)과 사이에 띠형 마감재(3)를 끼워지는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곡형 마감재(5)는 몸체부(11)와 덮개부(13) 사이에 한 쌍의 띠형 마감재(3)를 맞물어 고정하는 바, 몸체부(11)와 덮개부(13)를 다양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내공(21)과 안내봉(23)의 삽탈에 의해 몸체부(11)와 덮개부(13)를 결합한다. 이때, 몸체부(11)와 덮개부(13)는 결합 또는 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몸체부(11)에 스냅식으로 삽탈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몸체부(11)와 덮개부(13) 사이에 다양한 형태로 스냅 결합되는 암수형 체결부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암수형 체결부(15,17)의 한 예로서,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걸림공과 걸림돌기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걸림공 즉, 암형 체결부(15)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1) 안내공(21)의 내주면에서 배면(12)을 향해 함입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 걸림돌기 즉, 수형 체결부(17)는 도 6, 도 7, 및 도 9 등에 도시된 것처럼, 절곡형 마감재(5) 조립 시 암형 체결부(15)에 결합되는 안내봉(23) 외주면 상의 대응위치에 예컨대, 삼각돌기 모양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들 암수형 체결부(15,17)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1)와 덮개부(13)가 조립된 때, 수형 체결부(17)의 탄력에 의해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암수형 체결부(15,17)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또는 둘 모두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어, 몸체부(11)와 덮개부(13) 사이의 조립 간격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형 마감재(5)에 의해 파지할 수 있는 띠형 마감재(3)의 폭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11) 후단의 암형 체결부(15)에 덮개부(13) 선단의 수형 체결부(17)를 결합하면, 걸림턱(25)과 덮개판(27)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므로, 절곡형 마감재(5)에 의해 더 넓은 폭의 띠형 마감재(3)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열구 마감틀(1)에 의해 빌트인 냉장고용 그릴보드(B)의 방열구(H)를 마감하기 위해서는 먼저, 절곡형 마감재(5)를 방열구(H)에 장착한다. 또, 절곡형 마감재(5)를 방열구(H)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부(11)를 방열구(H) 양단의 모서리면(CF)에 조립한다. 이때, 몸체부(11)의 걸림턱(25)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몸체부(11)를 앞쪽에서 방열구(H)에 삽입하며, 몸체부(11) 배면이 모서리면(CF)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몸체부(11)는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방열구(H) 후방으로 안착홈(19)이 노출된다.
이렇게 해서 방열구(H)의 양단에 몸체부(11)가 조립되고 나면,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방열구(H)의 뒤쪽에서 양단의 몸체부(11) 사이에 상하 한 쌍의 띠형 마감재(3)를 차례로 나란하게 끼워 넣는다. 이때, 각각의 띠형 마감재(3)는 양단이 안착홈(19)을 따라 몸체부(11)로 끼워지며,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안착홈(19)의 선단에 위치하는 삽입홈(18)에 선단 모서리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삽입이 완료된다. 또한, 삽입과 동시에, 띠형 마감재(3)는 방열구(H)의 종축면(LF) 상에 끼워맞춤되어 방열구(H) 내주면 즉, 종축면(LF)과 모서리면(CF)을 마감한다.
끝으로, 양단 모서리면(CF)에 끼워진 몸체부(11)의 안내공(21)에 덮개부(13)의 안내봉(23)을 끼워 암형 체결부(15)와 수형 체결부(17)를 스냅 결합시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11) 걸림턱(25)과 덮개부(13) 덮개판(27) 사이에 띠형 마감재(3)가 파지되도록 하면, 방열구 마감틀(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띠형 마감재(3) 양측단의 뒤쪽 끝 모서리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20)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1 : 마감틀 3 : 띠형 마감재
5 : 절곡형 마감재 11 : 몸체부
12 : 배면 13 : 덮개부
15 : 암형 체결부 17 : 수형 체결부
18, 20 : 삽입홈 19 : 안착홈
21 : 안내공 23 : 안내봉
25 : 걸림턱 27 : 덮개판
31 : 통기로 33 : 절결부
B : 그릴보드 CF : 모서리면
H : 방열구 LF : 종축면
R : 냉장고

Claims (6)

  1. 빌트인 냉장고(R)를 방열하도록 그릴보드(B)에 관통된 길고 좁은 슬롯형 방열구(H)의 종축선과 나란한 한 쌍의 종축면(LF)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종축면(LF)을 마감하는 한 쌍의 띠형 마감재(3); 및
    상기 한 쌍의 띠형 마감재(3)를 연결하면서 상기 방열구(H) 양단의 모서리면(CF)을 마감하는 한 쌍의 절곡형 마감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마감재(5)는 상기 모서리면(CF)에 밀착되면서, 상기 띠형 마감재(3)의 양단을 각각 파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마감재(5)는,
    상기 모서리면(CF)에 밀착되면서 상기 한 쌍의 띠형 마감재(3) 일단을 지지하는 몸체부(11); 및
    상기 몸체부(11)에 착탈 가능하게 스냅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부(11)와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띠형 마감재(3) 일단을 파지하는 덮개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3)와 상기 몸체부(11)는 상기 몸체부(11) 안으로 삽입되는 상기 덮개부(13)의 안내봉(23)과, 상기 안내봉(23)이 삽입되는 상기 몸체부(11)의 안내공(21) 사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암수형 체결부(15,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스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형 체결부(15)는 상기 안내공(21)의 내주면에 함입된 걸림공이고, 상기 수형 체결부(17)는 상기 안내봉(23)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공에 스냅 결합되는 걸림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암수형 체결부(15,17) 중 어느 하나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3)와 상기 몸체부(11) 사이에서 상기 띠형 마감재(3)가 파지되는 간격을 상기 띠형 마감재(3)의 폭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KR1020140084812A 2014-07-07 2014-07-07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KR10166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12A KR101663750B1 (ko) 2014-07-07 2014-07-07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812A KR101663750B1 (ko) 2014-07-07 2014-07-07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610A true KR20160005610A (ko) 2016-01-15
KR101663750B1 KR101663750B1 (ko) 2016-10-07

Family

ID=5517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812A KR101663750B1 (ko) 2014-07-07 2014-07-07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811A (ko) * 2018-10-04 2020-04-14 (주)대진아트와이어 에어그릴 마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794B1 (ko) 2020-07-15 2021-05-24 이흥수 빌트인 간극 해소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빌트인 간극 해소용 마감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105A (ko) * 2004-03-30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냉장고의 전면그릴
US20090314025A1 (en) * 2006-08-29 2009-12-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uilt-in refrigerator with dispens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105A (ko) * 2004-03-30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냉장고의 전면그릴
US20090314025A1 (en) * 2006-08-29 2009-12-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uilt-in refrigerator with dispen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811A (ko) * 2018-10-04 2020-04-14 (주)대진아트와이어 에어그릴 마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750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6685A1 (en) Integral filter and grill assembly for a cold air return
US20170254557A1 (en) Quick release heat dissipation pipe assembly for a portable air conditioner
US10767303B2 (en) Mountable lint vacuum device and non-marring nozzle
TWI583900B (zh) 換氣扇的導風罩
EP2947397B1 (en)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663750B1 (ko) 빌트인 냉장고용 방열구 마감틀
US20170191674A1 (en) Appliance Hood Mounting System
US9506375B2 (en) Fan guard
JP647921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TW201431474A (zh) 貨櫃數據中心
US11499743B1 (en) Grille assembly
KR200485338Y1 (ko) 전열교환기의 흡배기관과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CN107218715B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US8011059B2 (en) Low-profile air duct fitting for passage of air through narrow opening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142372B1 (ko) 에어그릴 마감구
CN210767457U (zh) 吊顶集成机构
CN209763270U (zh) 空调室内机
KR20140074706A (ko) 벽걸이와 스탠드 겸용 공기정화기
CN108302632B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6968567B (zh) 家用电器的门体及具有其的烤箱
US9151456B2 (en) Housing attaching devices and assemblies
KR101784563B1 (ko) 실내 실외 공용 제습기용 하우징
KR100820404B1 (ko) 자동차의 트위터 스피커
CN220489502U (zh) 用于冰箱的踢脚装置及冰箱
KR20070044727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