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465A -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 Google Patents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465A
KR20160005465A KR1020140084402A KR20140084402A KR20160005465A KR 20160005465 A KR20160005465 A KR 20160005465A KR 1020140084402 A KR1020140084402 A KR 1020140084402A KR 20140084402 A KR20140084402 A KR 20140084402A KR 20160005465 A KR20160005465 A KR 2016000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electrode
lower case
cas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069B1 (ko
Inventor
김진갑
Original Assignee
김진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갑 filed Critical 김진갑
Priority to KR102014008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0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들의 소방교육을 위한 교육용 소화기에서 케이스 내의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는, 소화기 본체의 개구된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저면 중앙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테두리 부위에 고리 형태의 제1,2전극이 형성되고 저면에 접지선이 마련되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상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하부케이스가 수용될 경우 상기 전극들이 항시 접촉되도록 상기 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의 요철부에 각각의 전원전극부가 배치되고 상기 접지선과 대응되는 접지단자가 구비되는 거치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ELECTRODE STRUCTURE OF FIRE EXTINGUISHER FOR EDUCATION}
본 발명은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육용 소화기에서 하부케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케이스 내에 내장된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가지게 됨과 아울러, 접지 구조가 구비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용 소화기는 소방교육 및 훈련시 교육용으로 제작된 소화기로서, 내부에 충진된 인공 소화액(예 : 포그액)이 연기형태로 분사되어, 마치 실제 소화기의 소화액이 분사되는 듯한 효과를 발휘하여 교육훈련용으로 사용되는 소화기이다. 이는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여 교육하는 과정에서 오는 비용문제와 실내에서는 교육할 수 없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다.
통상 이러한 교육용 소화기는 소화기 본체와, 소화기 본체가 안치되는 거치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교육용 소화기의 선행기술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186106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86106호는 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액체 액제를 기화시키는 히터에 전원코드를 통해 전기를 계속 공급해주어야 하는 구조로 소화기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 대한 제약을 받게 되었고, 이에 따른 실습과정에 불편함이 따랐고, 또한 약제 공급용기에 저장된 액체가 다 소모되면 별도의 충진장치를 통해 약재공급용기를 충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용 소화기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341188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41188호는 소화기 본체에는 약제기화관과, 히터와, 피스톤실린더와, 약제용기와,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거치대에는 전원접점, 안착홈, 전기공급스위치 및 송풍기가 구비되어, 소화기 본체에 전원코드가 설치되지 않아 거리의 제약없이 소화기의 사용이 용이하고, 피스톤실린더에 의해 약제를 공급하기 때문에 분사를 위한 별도의 전기공급이 필요없는 장점과, 약제가 소모된 경우 간단하게 약제용기를 갈아 끼워 보충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었다.
또한 동출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59532호 "교육용 소화기"(등록일자 : 2011.08.19)에 개시되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화기(160)와 소화액통(150)이 결합되어 기화된 소화액이 호스부(13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게 하는 소화기 본체(100)와, 상기 소화기 본체(100)가 안착되는 안착홈(211)이 형성된 거치대(200)로 이루어지는 교육용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211)의 중앙에 형성된 제1전원전극부(213)와, 상기 제1전원전극부(213)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에 형성된 제2전원전극부(214)와, 상기 제1전원전극부(213)에 접촉하도록 상기 소화기 본체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 제1전극부(113)와, 상기 제2전원전극부(214)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전극부(113)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에 형성된 제2전극부(114)를 구비하여, 상기 소화기 본체(100)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대응하는 전극부가 항시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소화기 본체(100)는, 원통용기 형상의 케이스(110) 상측에 결합된 손잡이(120)와 호스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소화액통(150) 내부의 인공 소화액을 상기 기화기(160)에 이송하는 피스톤 실린더(17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예열램프(111)가 설치되어, 상기 예열램프(111)의 점등여부로 기화기의 예열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 내측에는 후술하는 마운팅 브라켓이 설치되는 테두리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소화액통(150)을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소화기 본체(100)의 하측 중앙부는 트여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상기 거치대(200)의 후술하는 안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11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스부(130)의 단부에는 기화된 인공 소화액이 분출하는 분출부(131)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20)을 누르면 상기 소화액통(150) 내부에 있는 인공 소화액이 상기 기화기(160)를 거쳐 기화되어 상기 분출부(131)를 통해 분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소화액통(150)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착탈가능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소화액통(150)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 실린더(170)에 연결된 흡입관(151)이 인공 소화액에 잠겨 있다.
상기 기화기(160)는, 내부에 전열히터(162)가 설치된 공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거치대(200)는, 사각통 형상의 케이스(210) 상부 중간에 상기 소화기 본체(100)가 안착되는 안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11)에는 후술하는 절연브라켓이 결합되는 지지부재(240)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기 본체(100)를 냉각시키는 송풍팬(220)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211)의 중앙에는 전원 콘센트(212)에 연결된 제1전원전극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원전극부(213)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에 제2전원전극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화기 본체의 케이스(110)의 저부 중앙에는 상기 제1전원전극부(213)에 접촉하는 제1전극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전원전극부(214)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전극부(113)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에 제2전극부(1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2전극부(113)(114)는 상기 소화기 본체의 케이스(110)의 테두리부(112)에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18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180)은, 상기 제1전극부(113)와 제2전극부(114)가 형성된 전극형성부(181)와, 상기 전극형성부(181)의 일측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소화기 본체의 케이스(110)의 테두리부(112)에 힌지결합되는 힌지 아암(182)과, 상기 전극형성부(181)의 타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테두리부(112)에 지지되는 지지 아암(183)으로 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부(112)와 상기 지지 아암(183)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80)이 요동하지 않도록 서로 끌어당겨 밀착하는 자력부(112a)(18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전원전극부(213)와 제2전원전극부(214)는 감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절연브라켓(230)에 의해 씌워져 있다.
상기 절연브라켓(230)에는, 상기 제1전극부(113)가 끼워져 상기 제1전원전극부(213)에 접촉하는 제1안내홈(231)과, 상기 제2전극부(114)가 끼워져 상기 제2전원전극부(214)에 접촉하는 제2안내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교육용 소화기는 전원 접지구조가 구비되지 않아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화기 본체의 하부에 마운팅 브라켓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소화기 본체 내에 내장된 소화액통 등의 교체작업시 수시로 마운팅 브라켓을 열어서 소화기 본체의 하측에서 꺼내고 다시 새로운 소화액통을 교체해야 하는 조립상의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86106호 "교육용 분무소화기"(등록일자 : 2000.04.0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59532호 "교육용 소화기"(등록일자 : 2011.08.1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화기 본체와 거치대의 전극 접지 구조를 개선하여 거치대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화기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화기 본체의 케이스 하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태의 복수의 전극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저면에 접지선이 마련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상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하부케이스가 수용될 경우 상기 전극들이 항시 접촉되도록 상기 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의 요철부에 각각의 전원전극부가 배치되고 상기 접지선과 접촉되는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거치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저면 중앙에 외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요철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과 접촉됨에 따라 각각의 전원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하부케이스와 거치대의 조립시 상기 스위치를 눌러 조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접촉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거치대의 제1,2전원전극부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요철부의 구조적 특성상 어린이들이 손으로 만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위치를 눌러야만 전원이 제1,2전원전극부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교육생들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선과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감전사고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 마운팅 브라켓 부분이 생략되고 하부케이스의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중공을 통해 기존 마운팅 브라켓의 탈부착의 번거로움이 없이 편리하게 케이스 내부로 손을 집어넣은 후에 케이스 내에 내장된 소화액통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교육용 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마운팅 브라켓이 닫히고 열려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하부케이스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거치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하부케이스와 거치대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소방교육을 위한 교육용 소화기에서 소화기 본체와 거치대의 결합부위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항시 접촉되도록 전극과 전원전극부가 마련되며, 접지 구조가 구비되어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화기 본체의 하부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기존의 소화기 본체의 케이스 및 케이스 내에 내장된 구성요소와 손잡이 및 호스부의 구성은 기존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 부호로 기재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는, 도 2를 다시 참조함과 아울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화기 본체(100)의 개구된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저면 중앙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중공(305)이 형성되고, 중공(305)의 테두리 부위에 고리 형태의 제1,2전극(310,320)이 형성되고 저면에 접지선(330)이 마련되는 하부케이스(300)와; 하부케이스(300)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상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하부케이스(300)가 수용될 경우 상기 전극들이 항시 접촉되도록 상기 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의 요철부에 각각의 전원전극부가 배치되고 접지선(330)과 대응되는 접지단자(265)가 구비되는 거치대(2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케이스(300)는 상부가 케이스(110)의 하부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일체로 결합되고, 소화기 본체(100)의 케이스(110) 내에 내장된 소화액통(15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30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기존 마운팅 브라켓 부분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중공(305)을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손을 집어넣은 후에 케이스(110) 내에 내장된 소화액통(15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하부케이스(300)는 중공(305)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서로 적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리 형태의 제1,2전극(310,320)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제1,2전극(310,320)은 동일한 크기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2전극(310,320) 사이에 제1,2전극(310,320)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된 접지선(330)이 마련되어 있다.
거치대(200)는 상부에 하부케이스(300)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홈 형태로 구성되고, 홈의 상부면에 요철 형태로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요철부는 제1,2,3요홈(252.254.256)이 형성되며, 제1,2요홈(252,254)부위에 제1,2전원전극부(262,264)가 배치되고, 제1,2요홈(252,254) 사이의 철부(255)에 접지단자(265)가 배치된다.
즉, 소화기 본체(100)가 거치대(200) 상에 거치될 경우, 제1,2전원전극부(262,264)는 하부케이스(300)의 제1,2전극(310,320)이 각각 접촉되어 통전되고, 접지선(330)이 접지단자(265)에 접촉되어 접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3요홈(256)에는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저면에 돌출된 스위치 접촉부(340)와 접촉됨에 따라 각각의 전원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270)가 마련된다.
스위치 접촉부(340)는 스위치(270)와 대응되도록 제2전극(320)의 외측에 마련된다.
스위치(270)는 제3요홈(256) 상에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마련되고 하측에서 압력이 전달될 경우 제1,2전원전극부(262,264)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300)의 스위치 접촉부(340)가 스위치(270)에 접촉될 경우에만 외부의 전원이 제1,2전원전극부(262,264)에 통전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실수로 제1,2전원전극부(262,264)에 손을 대더라도 감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화기 본체(100)의 케이스(110) 하부에 하부케이스(300)가 결합된 후에, 하부케이스(300)의 저면이 거치대(200)의 홈 상면에 안착되도록 거치되면, 제1,2전극(310,320)이 거치대(200)의 제1,2전원전극부(262,264)에 접촉됨과 아울러 접지선(330)이 접지단자(265)에 접촉되며, 스위치 접촉부(340)가 스위치(270)에 접촉됨에 따라 스위치(270)를 눌러서 제1,2전원전극부(262,264)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스위치(270)에 하부케이스(300)의 스위치 접촉부(340)와 접촉되어 상측에서 가압력이 하측으로 전달될 경우에만 제1,2전원전극부(262,264)에 외부의 전원이 공급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전원전극부들이 요철구조의 요철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요철부의 구조적 특성상 어린이들이 전원전극부를 터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교육용 소화기를 만지더라도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어서,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파지할 경우 전원이 공급된 제1,2전원전극부(262,264)와 제1,2전극(310,320)이 통전되면서 피스톤 실린더(170) 및 기화기(160)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피스톤 실린더(170)가 소화액통 내의 인공 소화액을 기화기(160)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인공 소화액을 기화기(160)에서 기화시켜 기화된 연기를 호스부(130)를 통해 외부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소화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피스톤 실린더(170)와 기화기(160) 및 손잡이(120) 등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기존 선행기술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화기 본체(100)와 거치대(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거치대(200)의 제1,2전원전극부(262,264)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요철부의 구조적 특성상 어린이들이 손으로 만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위치(270)를 눌러야만 전원이 제1,2전원전극부(262,264)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교육생(특히 어린이)들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10 : 케이스 200 : 거치대
252,254,256 : 제1,2,3요홈 255 : 철부
262,264 : 제1,2전원전극부 265 : 접지단자
270 : 스위치 300 : 하부케이스
305 : 중공 310,320 : 제1,2전극
330 : 접지선 340 : 스위치 접촉부

Claims (3)

  1. 소화기 본체(100)의 케이스(110) 하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태의 복수의 전극(310,320)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저면에 접지선(330)이 마련되는 하부케이스(300)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상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하부케이스(300)가 수용될 경우 상기 전극(310,320)들이 항시 접촉되도록 상기 전극(310,320)과 대응되는 위치의 요철부에 각각의 전원전극부(262,264)가 배치되고 상기 접지선(330)과 접촉되는 접지단자(265)가 마련되는 거치대(2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저면 중앙에 외부와 연통되는 중공(3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저면과 접촉됨에 따라 각각의 전원전극부(262,264)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270)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하부케이스(300)와 거치대(200)의 조립시 상기 스위치(270)를 눌러 조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접촉부(3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KR1020140084402A 2014-07-07 2014-07-07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KR101648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02A KR101648069B1 (ko) 2014-07-07 2014-07-07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02A KR101648069B1 (ko) 2014-07-07 2014-07-07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465A true KR20160005465A (ko) 2016-01-15
KR101648069B1 KR101648069B1 (ko) 2016-09-01

Family

ID=5517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402A KR101648069B1 (ko) 2014-07-07 2014-07-07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0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974A (ja) * 1989-08-07 1991-03-22 Fuji Electric Co Ltd 液体冷却装置
KR0186106B1 (ko) 1995-02-10 1999-04-15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기동보상 방법 및 장치
KR101059532B1 (ko) 2009-02-23 2011-08-26 김진갑 교육용 소화기
KR20120126539A (ko) * 2011-05-12 2012-11-21 정순화 램프를 구비한 완구용 블록
KR20140063078A (ko) * 2012-11-16 2014-05-27 백귀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산업용 온수히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974B2 (ja) * 1995-04-28 2000-07-24 大成建設株式会社 膜屋根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974A (ja) * 1989-08-07 1991-03-22 Fuji Electric Co Ltd 液体冷却装置
KR0186106B1 (ko) 1995-02-10 1999-04-15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기동보상 방법 및 장치
KR101059532B1 (ko) 2009-02-23 2011-08-26 김진갑 교육용 소화기
KR20120126539A (ko) * 2011-05-12 2012-11-21 정순화 램프를 구비한 완구용 블록
KR20140063078A (ko) * 2012-11-16 2014-05-27 백귀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산업용 온수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069B1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5288B2 (ja) 電子たばこ個人用気化器
ES2820584T3 (es) Sistema de suministro de fluido electrostático
US9888720B2 (en) Cartridge for electronic cigarette
US9635887B2 (en) Vapor dispenser system
KR101457537B1 (ko) 분리형 가습기
US20180325171A1 (en) Electronic cigarettes having replaceable cartridge and rotatable usb charger
KR101545767B1 (ko) 에어로졸 흡입장치
RU2017108447A (ru) Пульверизатор
KR101648069B1 (ko) 교육용 소화기의 전극구조체
KR101059532B1 (ko) 교육용 소화기
CN106123187B (zh) 一种手持式香薰保湿机
JP6192451B2 (ja) 噴霧器
KR200341188Y1 (ko) 교육용 분무소화기
JP6243169B2 (ja) 噴霧器
CN211383222U (zh) 防污染喷雾仪
JP3198643U (ja) 噴霧アセンブリ、及びそれにより形成される噴霧器
CN208941056U (zh) 一种组合式电子烟按键
CN107397970B (zh) 熏香器
CN206356187U (zh) 隐藏导电结构的液体喷雾装置
KR20200022922A (ko) 휴대 및 도킹 사용 가능한 디퓨저 어셈블리
CN215023034U (zh) 一种可拆卸式香氛机
KR200354509Y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 장치
CN215013589U (zh) 一种防漏油的雾化器及电加热雾化装置
CN215772676U (zh) 一种带有喷雾功能的无线充电座
CN213785376U (zh) 一种瓶状电子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