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97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973A
KR20160004973A KR1020150096075A KR20150096075A KR20160004973A KR 20160004973 A KR20160004973 A KR 20160004973A KR 1020150096075 A KR1020150096075 A KR 1020150096075A KR 20150096075 A KR20150096075 A KR 20150096075A KR 20160004973 A KR20160004973 A KR 20160004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ata
reception
subfram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012B1 (ko
Inventor
아닐 아기왈
류현석
장영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통신 방법은, 서브프레임에서의 단말의 데이터 수신과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단말의 데이터 송신 간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중첩(overlap)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첩으로 결정되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수신 및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 중 하나를 누락(dropping)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N OVERLAP BETWEEN RECEPTION AND TRANSMISSION BY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치 간 통신(Device to Device: D2D) 통신 동안, 디스커버리(discovery)와 관련된 D2D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은 다른 D2D UE들에 의해 송신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디스커버리"는 D2D UE가 근처에 다른 D2D UE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이다. 또한, D2D UE는 D2D 데이터 통신과 관련되어서, 하나 이상의 D2D UE들에 의해 송신되는 D2D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D2D UE는 디스커버리 신호 및 D2D 데이터 신호 모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D2D UE는, 다른 D2D UE(들)로부터의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다운링크(Downlink: DL) 타이밍을 사용한다. 상기 다운링크 타이밍이란 다운링크에서 서빙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한 타이밍이다.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D2D UE는, D2D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에서 수신된 타이밍 어드밴스만큼 진행되는 스케줄링 할당 타이밍을 사용한다. D2D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D2D UE는, 먼저 송신 D2D UE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할당을 수신한 이후에, 지시된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D2D UE는 D2D 데이터 통신과 관련되어, D2D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D2D UE는 서빙 BS와 통신하여, 상기 서빙 BS에게 WAN(Wide Area Network)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D2D 디스커버리(일 예로, 2B 타입 디스커버리)에 관련되어, D2D UE는 BS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BS에 의해 할당되는 전용 자원들을 사용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한다.
즉, D2D UE는, BS에게 WAN(Wide Area Network) 데이터를 송신하고,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BS에 의해 제공된 타이밍 어드밴스 값만큼 진행되는 다운링크 타이밍을 사용한다.
두 개의 UE(들) 간의 D2D 통신 동안, 반송파 주파수에서 UE가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n)에서의 수신하고, 다음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n+1)에서의 UE가 송신할 경우, 시간 도메인에서 중첩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UE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반송파 주파수 상의 송신 시간 인터벌이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 n에서의 수신은 D2D 데이터의 수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 중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은 D2D 데이터의 송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Uplink: UL) 송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중첩으로 인하여, 서브프레임 n에서의 수신은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서 일 시간 구간에서의 데이터 수신과 다음 시간 구간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UE)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과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간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중첩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첩 검출 시에,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중의 어느 하나를 누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송신 갭(gap)의 지속 시간이, 다음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과 타이밍 어드밴스의 합산보다 작은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통신 방법은, 서브프레임에서의 단말의 데이터 수신과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단말의 데이터 송신 간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중첩(overlap)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첩이 결정되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수신 및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 중 하나를 누락(dropping)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에서의 단말의 데이터 수신과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단말의 데이터 송신 간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중첩(overlap)을 결정하고, 상기 중첩이 결정되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수신 및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 중 하나를 누락(dropping)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에 더욱 용이하게 인식 및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을 나타내는 다음의 설명들은, 한정이 아닌 예시적 방법으로 제공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수의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변형들을 포함한다.
첨부 도면들에는 본 개시가 예시되어 있으며, 각종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도면들을 참조하는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UE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b는 UE가 다른 UE와 D2D 통신 시, UE의 데이터 송수신 시간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 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UE(202)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에서 UE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300)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을 위하여 UE(202)에 의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400)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을 위하여 UE(202)에 의한 D2D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500)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 시 UE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기지국(204)의 방법(600)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D2D 통신을 위하여 UE(202)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702)을 설명하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 및 그것의 다양한 특징들과 유리한 세부사항들은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더 완전히 설명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화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구성요소 및 처리 기술에 대한 설명은 누락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각종 실시예들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일 필요가 없으며, 일부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비배타적인 것을 지칭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예들은 단지 본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방식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며, 또한 당업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이러한 예들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일 시간 구간 내의 데이터 수신과 다음 시간 구간 내의 데이터 송신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본 개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일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연속된 다음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과 송신이 중첩될 때, 상기 일 시간 구간에서의 데이터 수신과 상기 연속된 다음 시간 구간에서의 데이터 송신 중 하나를 누락(drop) 또는 생략(skip)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누락" 또는 "생략"을 "누락"으로 대표하여 표현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D2D 통신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가 D2D 통신 시스템에만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UE)에 의한 수신 및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먼저,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과 바로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간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중첩이 검출된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UE에 의해 송수신이 수행되는 반송 주파수 상에서의 송신 시간 인터벌이다.
상기 송신은, D2D 데이터의 송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은, D2D 데이터의 수신 또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서브프레임이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을 위해 스케줄링되고 송신이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되는 경우에는,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과, 상기 바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의 합보다 작으면, 중첩이 검출된다.
여기서 상기 D2D 송신 갭은, 송수신이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의 끝(end)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도록 설정된 시간이다. 예를 들어 1개의 서브프레임 시간이 1000 μs이고, D2D 송신 갭이 100 μs로 설정되어 있다면, D2D 송신은 해당 서브프레임의 전체 구간 중 처음 900μs에서만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마지막 100μs가 D2D 송신 갭이 된다.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과 관련하여, D2D UE는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데이터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를 상기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이라 하며, 일 예로, 20μs가 될 수 있다.
한편, 서브프레임이 D2D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스케줄링되고, 송신은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시작 시간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수신 시작 시간+상기 서브 프레임의 길이-D2D 송신 갭 시간+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보다 작으면, 중첩이 검출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중첩을 검출한 이후에,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또는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중 하나를 누락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에서의 D2D 데이터 수신을 누락하는 것은,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의 우선순위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BS)으로의 업링크 송신의 우선순위는, D2D 데이터 수신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에서의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을 누락하는 것은,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의 우선순위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BS로의 업링크 송신의 우선순위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2D UE는 일 서브프레임에서의 D2D 수신과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업링크 송신 간의 중첩을 검출한 이후에, 서브프레임에서의 D2D 수신(즉, D2D 데이터 또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을 누락한다.
이렇게 본 개시에서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또는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중 하나를 누락하여,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과 직후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도면들 전체에 걸쳐 일관되게 대응하는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a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UE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UE는 예를 들어, 셀룰러 폰, 스마트 폰, 무선 전자 수첩, PDA, 태블릿,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도 1a는 UE A(101)가 다른 UE B(102)와 통신하는 상황에서, UE B(102)는 서브프레임 n에서 A로부터 D2D 데이터를 수신하고, 바로 다음의 서브 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1에서 D2D 데이터, 기지국(103)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또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 중 하나를 송신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도 1b는 UE가 다른 UE와 D2D 통신 시, UE의 데이터 송수신 시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b에서 또한, 서브 프레임 n 및 서브프레임 n+1에 있어서의 기지국(103)의 송/수신(TX/RX) 기준 타이밍은, 각각 Tn (111) 및 Tn +1(113)이다. 한편, UE A(101)와 기지국(103) 사이의 전파 지연을 τA, UE B(102)와 기지국(103) 사이의 전파 지연을 τB, UE A(101)와 UE B(102) 사이의 전파 지연을 τAB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에서, 도 1b를 참조하면, Tn(105)에서 기지국(103)이 UE A(101)의 타이밍 어드밴스(TAA) 값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할당(SA) 정보를 UE A(101)로 송신한 이후, UE A(101)가 기지국(103)이 송신한 SA 정보의 수신을 시작하는 시간(111)은 Tn(105)+τA이다. 그리고 UE A(101)의 데이터 송신 시간(113)은 111+TAA이다. 상기 TAA는 UE A(101)의 타이밍 어드밴스이며, TAA는-2 τA로 가정하였다. UE A(101)가 시점 113에서 UE B(102)로 D2D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때, UE B(102)의 D2D 데이터 수신 시작 시간 X(115)는 113+τAB이다.
다른 방안으로, UE B(102)의 D2D 데이터 수신 시작 시간 X(115)는 Tn(105)+TAB로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TAB는 UE B(102)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 값으로, 이는 기지국(103)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서브프레임 n+1에서 기지국(103)이 송신한 데이터를 UE B(102)가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즉, 기지국(103)이 Tn +1(107)에서 UE B(102)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이때, UE B(102)가 상기 기지국(103)이 송신한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하는 시간(117)은 Tn +1(107)+τB가 되고, UE B(102)가 데이터 송신을 시작하는 시간 Y(119)는 117+TAB가 된다. 여기서 TAB는 -2τB로 가정하였고, TAB는 UE B(102)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로서 기지국(103)이 송신하는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D2D 송신 갭과 전환 시간을 고려할 때, UE B(102)는 X 시점(115)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한 이후, 1 서브프레임의 시간(일 예로, 1ms) 중 실제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간이 경과하고, 이후 상기 전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만일 상기 서브프레임 n+1에서 UE B(102)의 송신 시작 시간 Y(119)가 {서브프레임 n에서 UE B(102)의 수신 시작 시간 Y(119)+1 서브프레임의 시간 길이-D2D 송신 갭+전환 시간}보다 작다면, UE B(102)는 서브프레임 n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서브프레임 n+1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
예를 들어, 1 서브프레임이 1000μs이고, 송신 갭이 100μs이고, 전환 시간이 20μs으로 설정되어 있고, X=1000μs이고, Y=1910μs이라면, Y=1910 < {X(=1000)+1 서브프레임 길이(=1000) -송신 갭(=100)+전환 시간(20)}=1920이 되고, 이 경우에는 n+1 서브프레임에서 송신이 수행될 수 없다. 즉, 서브프레임 n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즉, n+1)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중첩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 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UE(202)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UE(202)는 기지국(204)과 통신하고 있으며, UE(202)는 제어부(206), 저장부(208), 및 송수신부(210)를 포함한다.
저장부(208)는 본 개시에 의하여 제어부(206)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206)에게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UE(202)가 기지국(204)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기지국(204)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고, 기지국(20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206)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수신과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송신 간에, 시간 도메인 상에서 중첩의 발생 여부를 검사하고, 중첩이 발생하면,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수신과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송신 중 하나를 누락한다.
즉, 제어부(206)는 서브프레임 n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이 스케줄링되고, 서브프레임 n+1에서 송신이 스케줄링된 경우, 제어부(206)는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전환 시간+서브프레임 <n+1>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하여 중첩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사 결과가 작다면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이 중첩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06)는 서브프레임 n이 D2D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스케줄링되고, 서브프레임 n+1에서 송신이 스케줄링되는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시작 시간은, {상기 서브프레임 n에서의 상기 D2D 데이터 수신을 위한 수신 시작 시간+상기 서브 프레임의 길이-D2D 송신 갭 시간+상기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하여 중첩을 검출한다. 즉, 상기 검사 결과가 작다면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이 중첩되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 n에서의 상기 수신을 위한 수신 시작 시간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에서,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서 지시되는 타이밍 어드밴스 값만큼 선행한(advanced) 시간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타이밍을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만큼 선행한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을 위한 시작 시간은, DL 타이밍을 기지국(204)에 대한 UE(202)의 타이밍 어드밴스만큼 선행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것처럼, 상기 D2D 송신 갭 시간은 송수신이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의 끝(end)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도록 설정된 시간으로, 미리-정의된 값이며, 이는 저장부(208)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은 D2D UE는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데이터 수신 모드에서 데이터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시간이다.
현재 서브 프레임에서의 수신과 및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이 중첩된다고 결정되었다면, 제어부(206)는 현재의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또는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중 하나를 누락(drop)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데이터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중 어떤 것을 누락할 것이지 여부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데이터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 데이터 송신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업링크 송신은 D2D 데이터의 수신보다 우선 순위가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 n+1에서 기지국으로의 HARQ ACK/NACK 송신들이 스케줄링된 경우, 제어부(206)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데이터 수신을 누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중 어떤 것을 누락할 것이지 여부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 데이터 송신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은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보다 우선 순위가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HARQ ACK/NACK 송신들이 서브프레임 n+1에서 스케줄링되는 경우, 서브프레임 n에서의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을 누락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서브프레임 n에서의 수신 또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중 하나를 누락하는 것은, 상기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UE(202)에 대한 제한된 개관을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각각의 모듈 또는 컴포넌트에 제공되는 라벨(label)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유사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UE(202)는 서로 간에 통신하는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과 함께 로컬 또는 원격으로 상호작용하는 다른 다양한 모듈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오브젝트(object),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 실행의 스레드(thread),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에서 UE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3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302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에서의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간의 중첩이 검출된다. 상기 송신은 D2D 데이터의 송신, 기지국으로 업링크 송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은 D2D 데이터의 수신 또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206)는 서브프레임 n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이 스케줄링되고, 서브프레임 n+1에서 송신이 스케줄링된 경우, 제어부(206)는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전환 시간+서브프레임 <n+1>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하여 중첩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사 결과가 작다면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이 중첩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06)는 서브프레임 n이 D2D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스케줄링되고, 서브프레임 n+1에서 송신이 스케줄링되는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시작 시간 은, {상기 서브프레임 n에서의 상기 D2D 데이터 수신을 위한 수신 시작 시간+상기 서브 프레임의 길이-D2D 송신 갭 시간+상기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하여 중첩을 검출한다. 즉, 상기 검사 결과가 작다면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이 중첩되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프레임 n에서의 상기 수신을 위한 수신 시작 시간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에서,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서 지시되는 타이밍 어드밴스 값만큼 선행한(advanced) 시간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타이밍을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만큼 선행한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을 위한 시작 시간은, DL 타이밍을 기지국(204)에 대한 UE(202)의 타이밍 어드밴스만큼 선행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302단계에 의하여 중첩이 검출되면, 304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에서의 수신 또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중 하나를 누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데이터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중 어떤 것을 누락할 것이지 여부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데이터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 데이터 송신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업링크 송신은 D2D 데이터의 수신보다 우선 순위가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 n+1에서 기지국으로의 HARQ ACK/NACK 송신들이 스케줄링된 경우, 제어부(206)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데이터 수신을 누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중 어떤 것을 누락할 것이지 여부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과, 서브프레임 n+1에서 데이터 송신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은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보다 우선 순위가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HARQ ACK/NACK 송신들이 서브프레임 n+1에서 스케줄링되는 경우, 서브프레임 n에서의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을 누락할 수 있다.
상기 방법(300)에서 각종 동작들, 실행들, 블록들, 단계들 등은 제시된 순서대로, 상이한 순서대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일부 동작들, 실행들, 블록들, 단계들 등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누락, 추가, 수정, 누락 등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을 위하여 UE(202)에 의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4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UE(202)에 의한 송신은, D2D 데이터의 송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중 하나를 포함한다.
402단계에서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전환 시간+서브프레임 <n+1>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전환 시간+서브프레임 <n+1>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값}보다 작은 경우, 404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이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을 위해 구성되고, 서브프레임 n+1이 기지국에 의하여 송신 스케줄링된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 n이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을 위해 구성되는 경우, 406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에서의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 또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이 누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400)은 제어부(206)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400)에서의 각종 동작들, 실행들, 블록들, 단계들 등은 제시된 순서대로, 상이한 순서대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일부 동작들, 실행들, 블록들, 단계들 등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누락, 첨가, 수정, 누락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을 위하여 UE(202)에 의한 D2D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5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UE(202)에 의한 송신은 D2D 데이터의 송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중 하나를 포함한다.
502단계에서 UE(202)는 기지국으로부터 D2D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502단계는 송수신부(2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504단계에서, UE(202)는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UE(202)는 D2D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 n을 결정한다. 506단계에서 UE(202)는 서브프레임 n+1이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서브프레임 n+1이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경우, 508단계에서, UE(202)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수신 시작 시간 X(115) 및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시작 시간 Y(119)를 결정한다. 510단계에서 UE(202)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시작 시간 Y(119)가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 시작 시간 X(115)+1프레임의 시간 길이-D2D 송신 갭 시간+서브프레임 n+1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시작 시간 Y(119)가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 시작 시간 X(115)+1프레임의 시간 길이-D2D 송신 갭 시간+서브프레임 n+1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보다 작다면, 512단계에서 UE(202)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D2D 데이터의 수신 또는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 중 하나를 누락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500)은 상기 504단계 내지 512단계는 제어부(20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500)에서 각종 동작들, 실행들, 블록들, 단계들 등이 제시된 순서대로, 상이한 순서대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일부 동작들, 실행들, 블록들, 단계들 등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누락, 첨가, 수정, 누락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D2D 통신 시 UE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기지국(204)의 방법(6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602단계에서, 기지국(204)은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타이밍 어드밴스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타이밍 어드밴스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604단계에서, 기지국(204)은 송신을 위한 승인(grant)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송신은 D2D 데이터의 송신 또는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타이밍 어드밴스 값}보다 작다면, 606단계에서 기지국(204)은 UE(202)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n)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204)은, UE(202)와의 D2D 통신에 있어서 UE(202)가 다른 UE(들)로부터 디스커버리 송신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서브프레임을 결정함으로써, 서브프레임 n을 결정한다.
기지국(204)은, UE(202)가 다른 UE(들)로부터의 디스커버리 송신을 모니터링하기 시작한 경우, UE(202)로부터의 모니터링 지시를 수신한다. 모니터링 지시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204)은 다른 UE(들)로부터의 디스커버리 송신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UE(202)에게 특정 서브프레임(들)을 지시한다.
다른 방안으로,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하여, UE(202)에 대한 디스커버리 수신 풀(pool)에서 지시되는 모든 서브프레임들은, UE(202)가 다른 UE(들)로부터의 디스커버리 송신을 모니터링하는 서브프레임들이 될 수 있다.
608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이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을 위해 UE(202)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서브프레임 n+1에서의 UE(202)로의 송신 스케줄링이 누락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 n+1에서의 송신이 서브프레임 n에서의 UE(202)에 의한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경우, 기지국(204)은 서브프레임 n+1에서 UE(202)의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DL) 데이터에 대한 HARQ 확인응답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것은, 서브프레임 n에서의 UE(202)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것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상기 방법(600)에서의 각종 동작들, 실행들, 블록들, 단계들 등은 제시된 순서대로, 상이한 순서대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일부 동작들, 실행들, 블록들, 단계들 등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누락, 첨가, 수정, 누락 등이 될 수 있다.
도 7은 D2D 통신을 위하여 UE(202)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702)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환경(702)은 제어부(708) 및 ALU(Arithmetic Logic Unit)(706)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704), 메모리(714), 스토리지(716), 복수의 네트워킹 디바이스(710) 및 복수의 입출력(I/O) 디바이스들(712)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704)은 알고리즘의 지시들을 처리한다. 프로세싱 유닛(704)은 제어부(708)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하고 처리한다. 또한, 상기 지시들의 실행과 관련된 임의의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이 ALU(706)의 도움으로 컴퓨팅된다.
전체 컴퓨팅 환경(702)은 복수의 동종 또는 이종 코어(core)들, 상이한 종류의 복수의 CPU들, 특정 미디어(media) 및 기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704)은 알고리즘의 인스트럭션들을 처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들(704)은 단일 칩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칩들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구현을 위해 필요한 지시들 및 코드들을 포함하는 알고리즘은, 메모리(714) 또는 스토리지(716) 중 하나에 저장되거나 양쪽 모두에 저장된다. 실행 시, 인스트럭션들은 해당 메모리(714) 또는 스토리지(716)로부터 페치(fetch)되어, 프로세싱 유닛(704)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임의의 하드웨어 구현들의 경우, 다양한 네트워킹 디바이스들(710) 또는 외부 I/O 디바이스들(712)이 컴퓨팅 환경에 연결됨으로써, 네트워킹 유닛 및 I/O 디바이스 유닛을 통해 본 구현을 지원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어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수행함으로써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7은 하드웨어 디바이스 또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는 블록들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들을 현재의 지식에 적용함으로써, 다른 실시예들이 용이하게 수정되거나 또는 다양한 응용에 적응될 수 있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성질을 나타낸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적응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된 실시예들의 의미 및 그것의 등가물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그러한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표현 또는 용어는,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본 개시에 기재된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수정되어 실시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에서의 단말의 데이터 수신과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단말의 데이터 송신 간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중첩(overlap)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첩이 결정되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수신 및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 중 하나를 누락(dropping)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은,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송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D2D discovery signal)의 송신 중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은,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수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수신이,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인 경우,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과, 상기 바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의 합보다 작으면, 상기 중첩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수신이,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수신인 경우,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시작 시간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수신 시작 시간+상기 서브 프레임의 길이-D2D 송신 갭 시간+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중첩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락(dropping)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수신과, 상기 데이터 송신 간의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락(dropping)하는 과정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 수신이고,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송신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인 경우, 상기 D2D 데이터 수신을 누락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락(dropping)하는 과정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이고,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송신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인 경우,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누락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에서의 단말의 데이터 수신과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단말의 데이터 송신 간의 시간 도메인에서의 중첩(overlap)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중첩으로 결정되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수신 및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 중 하나를 누락(dropping)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은,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송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D2D discovery signal)의 송신 중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은,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수신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이,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인 경우, D2D 송신 갭의 시간이,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과, 상기 바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의 합보다 작으면, 상기 중첩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이,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수신인 경우,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시작 시간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수신 시작 시간+상기 서브 프레임의 길이-D2D 송신 갭 시간+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중첩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과, 상기 데이터 송신 간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수신 및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 중 하나를 누락(dropping)하는 단말.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 수신이고,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송신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인 경우, 상기 D2D 데이터 수신을 누락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신호의 수신이고, 상기 바로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송신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인 경우,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누락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50096075A 2014-07-04 2015-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01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3321CH2014 2014-07-04
IN3321/CHE/2014 2014-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973A true KR20160004973A (ko) 2016-01-13
KR102301012B1 KR102301012B1 (ko) 2021-09-13

Family

ID=5501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75A KR102301012B1 (ko) 2014-07-04 2015-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19247B2 (ko)
EP (1) EP3165040B1 (ko)
KR (1) KR102301012B1 (ko)
CN (1) CN106664715B (ko)
WO (1) WO2016003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4282B (zh) 2013-09-27 2018-11-30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用户设备直连通信的信号传输方法和用户设备
US10045371B2 (en) 2014-03-21 2018-08-07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Method for detecting device-to-device signal,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EP3363229B1 (en) * 2015-10-15 2021-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se operation on non-serving carrier frequency
JP2019134196A (ja) * 2016-05-12 2019-08-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信号送信方法
EP3506697B1 (en) * 2016-09-30 2021-06-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time-frequency resource
CN110651509B (zh) * 2017-05-14 2021-11-1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侧链路信号的方法和装置
DE102018121503A1 (de) 2017-09-05 2019-03-07 Umicore Ag & Co. Kg Abgasreinigung mit NO-Oxidationskatalysator und SCR-aktivem Partikelfilter
CN111107563B (zh) * 2018-10-31 2023-01-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设备
WO2023206540A1 (zh) * 2022-04-29 2023-11-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上行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7226A (ko) * 2012-07-09 2014-01-17 주식회사 팬택 단말간 통신방법 및 그 단말
KR20140060162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접속 신호 생성/복원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8520B2 (en) * 2010-02-1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9467930B2 (en) 2011-08-16 2016-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JP5706047B2 (ja) * 2011-11-01 2015-04-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伝送決定方法及びそのための端末
GB2498575A (en) * 2012-01-20 2013-07-24 Renesas Mobile Corp Device-to-device discovery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cells in a device-to-device discovery area
US9516638B2 (en) 2012-06-20 2016-12-06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95821B1 (ko) * 2013-11-08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41102B1 (ko) * 2014-02-12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52629A1 (ko) * 2014-04-02 2015-10-08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464350B (zh) * 2014-05-18 2019-05-31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设备到设备(d2d)信号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7226A (ko) * 2012-07-09 2014-01-17 주식회사 팬택 단말간 통신방법 및 그 단말
KR20140060162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접속 신호 생성/복원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4199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5040B1 (en) 2020-09-09
EP3165040A1 (en) 2017-05-10
CN106664715A (zh) 2017-05-10
CN106664715B (zh) 2020-08-18
CN106664715A8 (zh) 2017-07-11
KR102301012B1 (ko) 2021-09-13
EP3165040A4 (en) 2018-02-28
WO2016003249A1 (en) 2016-01-07
US10219247B2 (en) 2019-02-26
US20160007400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01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한 수신과 송신 간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184829B2 (en)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djustment,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2946590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a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WO201205759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user equipment
EP3413490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20180124701A1 (en) Scheduling request (sr) period extension for low power enhanc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1750296A1 (sv) Anordning för radiosamexistensinterferenshantering
US1103276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scheduling request suppression
CN111479331A (zh) 请求上行传输资源的方法及装置
CN110958088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EP3297379A1 (en) Resource coordination method and device
WO2018130740A1 (en) Harq feedback on grant-less ul
US2022023179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2199544A1 (zh) 上行传输方法、装置及用户设备
WO2015062477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JP5752059B2 (ja) 通信装置
JP6164270B2 (ja) 通信装置
US20240107618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3051540A1 (zh) 收端辅助信息的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EP4340271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230254873A1 (en)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6782303A (zh) 上行传输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20220087450A (ko)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CN116887358A (zh) Pdcch监听方法、终端、网络侧设备及介质
CN117320160A (zh) 副链路传输处理方法、副链路传输配置方法、装置、终端和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