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784A - 위치인식용 지시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인식용 지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784A
KR20160004784A KR1020140083756A KR20140083756A KR20160004784A KR 20160004784 A KR20160004784 A KR 20160004784A KR 1020140083756 A KR1020140083756 A KR 1020140083756A KR 20140083756 A KR20140083756 A KR 20140083756A KR 20160004784 A KR20160004784 A KR 2016000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ain body
external force
reflected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전아연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102014008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784A/ko
Publication of KR2016000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인식용지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지시하는 위치를 인식되도록 하는 지시장치로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로 빛이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투과영역과 빛의 진입을 방지하는 비투과영역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에 빛을 회귀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부재,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펜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회귀반사되도록 상기 반사면이 노출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반사면이 상기 비투과영역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Description

위치인식용 지시장치 {Pointing apparatus for location aware}
본 발명은 위치인식용 지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회귀반사하여, 지시하는 위치를 디스플레이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빛의 양을 조절하여 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시대의 주요 입력장치로 키보드와 함께 지시장치를 통해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장치(포인팅 디바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인식장치로는 마우스, 트랙볼 그리고 펜을 기반으로 한 태블릿이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의 두 지점에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특정 위치를 지시하는 지시장치가 조사되는 레이저를 산란시키면, 디스플레이가 수광하는 레이저의 양의 변화를 파악하여 지시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시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다른 위치인식장치보다 효율적이다.
그러나 레이저를 이용한 위치인식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대형화될수록 디스플레이가 평면형태가 아닌 볼록한 곡면형태가 되고, 이러한 특성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위치한 지시장치가 곡면에 위치한 경우, 지시장치가 레이저를 반사하지 못하거나 레이저를 반사하여도 위치가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레이저의 조사 위치를 디스플레이의 표면의 높이보다 높이 조사하는 경우, 지시장치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지시장치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떨어져 있는 경우, 즉 특정위치를 지시하고 있지 않아도 레이저가 지시장치에 도달하여 반사될 수 있어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3-0054546 호는 지시물체 위치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가로질러 빛이 조사될 때 조사된 빛이 회귀 반사되는 반사율을 크게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물체가 지시되거나 접촉될 때 화면상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시장치가 디스플레이에 접하고 있을 때,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빛을 회귀반사할 수 있도록 지시장치의 반사면이 노출되고, 디스플레이에 지시장치가 접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반사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빛이 회귀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지시장치의 위치가 왜곡되어 인식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근접하여 빛을 조사하지만, 대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시장치에 디스플레이가 조사하는 빛이 닿는 위치가 디스플레이의 위치마다 달라지는 경우에도 지시장치가 빛을 회귀반사하도록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시장치에 구비된 반사면이 노출되는 범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조사하는 빛의 회귀반사되는 양을 달리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 지시장치가 다양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지시하는 위치를 인식되도록 하는 지시장치로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로 빛이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투과영역과 빛의 진입을 방지하는 비투과영역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에 빛을 회귀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부재,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펜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회귀반사되도록 상기 반사면이 노출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반사면이 상기 비투과영역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라,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지시하는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시스템에 있어서, 빛이 회귀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이 구비되고, 외력의 작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반사면이 외부에 노출되고, 노출되는 상기 반사면의 범위를 조절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상부 좌, 우 양측에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빛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빛을 수광하고, 조사된 빛이 회귀반사되는데 까지 경과한 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의 위치좌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위치감지수단에서 수광하는 빛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시장치가 디스플레이에 접하고 있을 때,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빛을 회귀반사할 수 있도록 지시장치의 반사면이 노출되고, 디스플레이에 지시장치가 접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반사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빛이 회귀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지시장치의 위치가 왜곡되어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근접하여 빛을 조사하지만, 대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시장치에 디스플레이가 조사하는 빛이 닿는 위치가 디스플레이의 위치마다 달라지는 경우에도 지시장치가 빛을 회귀반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시장치에 구비된 반사면이 노출되는 범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조사되는 빛이 회귀반사되는 양을 달리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 지시장치가 다양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입력 없이 지시장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할 수 있어,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구성하는 반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구성하는 스크린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구성하는 모드조절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와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도시한 위치인식용지시장치에 있어서,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도시한 위치인식용지시장치에 있어서, 펜촉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도시한 위치인식용지시장치에 있어서, 모드가 변경된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위치인식용 지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빛’은 직진성을 갖는 가시광선, 가시광선 중 특정 파장으로만 구성되는 빛 또는 특정 파장을 증폭한 레이저가 될 수 있고, 이러한 빛은 디스플레이의 상부 좌, 우 양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살펴본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를 분해한 각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고하여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실시예에 따라 구분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우선,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는 선택적으로 빛을 회귀반사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는 빈 원통형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부(11)에 일정한 크기로 빛이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투과영역(11a)과 빛의 진입을 방지하는 비투과영역(11b)을 구비하는 본체(10), 본체(10)에 분리가능하게 내부에 수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22)의 외주면에 빛을 회귀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22a)을 구비하고, 빛을 회귀반사하지 않도록 하는 비반사면(22b)을 구비하는 반사부재(20) 및 본체(10)의 하단부(11)에 구비되고,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펜촉(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에서 본체(10)의 하단부(11)에 구비된 투과영역(11a)과 비투과영역(11b)은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하단부(11) 외주면에 투과영역(11a)과 비투과영역(11b)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일정한 넓이를 갖는 원형의 띠 형태로 교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본체(10)의 하단부(11) 외주면에 투과영역(11a)과 비투과영역(11b)이 각각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모양의 격자로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본체(10)의 하단부(11)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빛이 진입하도록 하는 투과영역(11a)은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유리, 투명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펜촉공(Ho)은 본체(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펜촉(40)이 외부로 돌출되거나 외력이 작용하여 본체(10) 내측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20)는 반사부재(20)의 하단부(22)에 본체(10)의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한 빛을 회귀반사하는 반사면(22a)이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빛을 회귀반사를 방지하는 비반사면(22b)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은 예를 들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도료가 도포될 수 있고, 또는 빛을 회귀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반사면(22b)은 예를 들어, 빛을 회귀반사할 수 없는 도료가 도포되어 있거나 또는 빛의 회귀반사를 방지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사면(22a)과 비반사면(22b)은 예를 들어, 반사부재(20)의 하단부(22)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의 원형의 띠 형태로 번갈아 교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반사부재(20)의 하단부(22) 외주면에 반사면(22a)과 비반사면(22b)이 각각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모양의 격자로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반사부재(20)의 하단부(22)에 구비된 반사면(22a)과 비반사면(22b)의 배치 형태는 본체(10)의 하단부(11)에 구비된 투과영역(11a)과 비투과영역(11b)의 배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본체(10)내부에 수용되고,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10)와 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하단부(11)의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한 빛이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에 도달되도록,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이 본체(10)의 투과영역(11a)과 겹치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본체(10)의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한 빛이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에 도달하지 않도록, 반사부재(20)가 이동하여 비반사면(22b)이 본체(10)의 투과영역(11a)에 겹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펜촉(40)은 본체(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하여 펜촉(40)의 일단이 본체(10)의 펜촉공(Ho)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 반사부재(20) 및 펜촉(40)이 실시예에 따라 상호 결합하여 외력의 작용여부에 따라 본체(10) 내부에서 반사부재(20) 및 펜촉(40)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투과영역(11a) 및 비투과영역(11b)과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 및 비반사면(22b) 각각의 배치 형태가 일정한 간격의 원형의 띠 형태로 번갈아 교차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실시예로 펜촉(40)은 반사부재(20)의 하단부(22)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여 본체(10) 내측으로 후퇴함으로써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이 투과영역(11a)과 겹치게 되어 반사면(22a)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한 빛이 반사면(22a)에 의해 회귀반사될 수 있으며, 펜촉(40)에 외력이 제거되어 펜촉(40)이 본체(10) 외측으로 전진함으로써 반사부재(20)가 본체(10) 내부에서 원 위치로 이동되면, 반사면(22a)이 비투과영역(11b)과 겹쳐져 외부에 노출되었던 반사면(22a)이 가려져 빛의 회귀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반사부재(20)를 이동시키거나 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실시예로, 탄성부재(50)가 반사부재(20)의 상단부(21)에 결합됨으로써 본체(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탄성부재(50)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일형태일 수 있거나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력이 있는 재질로 원형의 띠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러한 탄성부재(50)는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함으로써 펜촉(40)이 외부에서 본체(10) 내부로 이동하여 펜촉(40) 및 펜촉(40)과 결합된 반사부재(20)가 본체(10)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어 탄성변형될 수 있고, 펜촉(40)에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변형되었던 탄성부재(50)가 복원되면서 반사부재(20)에 탄성을 가하여 반사부재(20) 및 펜촉(40)을 원위치 시킬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탄성부재(50)를 대신하여 다른 실시예로, 본체(10)내부에 수용되며,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외력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외력감지부(미도시)에서 외력의 감지여부에 따라 반사부재(2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감지부(미도시)가 펜촉(40)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면, 구동부(미도시)는 반사면(22a)과 투과영역(11a)이 겹쳐지도록 반사부재(2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회귀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펜촉(40)에 외력이 제거되면, 구동부(미도시)는 반사부재(20)의 비반사면(22b)이 본체(10)의 투과영역(11a)에 겹쳐지도록 반사부재(20)를 이동하여 원위치 시킬 수 있다.
이때, 외력감지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펜촉(40)의 압력을 감지하는 가압센서 또는 펜촉(40)에 전기의 흐름을 감지하는 정전방식의 센서 등을 포함하는 전자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력감지부(미도시)에 포함된 센서가 펜촉(40)에 외력이 작용 여부를 감지하면 반사부재(20)가 이동되도록 구동부(미도시)로 동작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렇게 동작신호를 수신한 구동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전기로 동작되는 모터와 기어로 구성될 수 있고, 외력감지부(미도시)의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반사부재(20)를 본체(10)내부에서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력감지부(미도시)와 구동부(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도록 배터리(미도시)가 본체(10)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체(10)의 투과영역(11a) 및 비투과영역(11b)의 배치와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 및 반사면(22b)의 배치가 각각 일정한 크기의 격자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실시예에 따라 탄성부재(50) 또는 구동부(미도시)는 펜촉(40)에 외력의 작용여부에 따라 반사부재(20)를 회동 시킴으로써 투과영역(11a)과 반사면(22a)이 겹치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반사면(22a)이 비투과영역(11b)과 겹쳐지도록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실시예에 따라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는 본체(10)의 투과영역(11a)과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이 겹치도록 본체(10)내부에 반사부재(20)가 위치할 수 있고, 펜촉(40)의 외력을 감지하는 외력감지부(미도시)와 외력감지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반사부재(20)를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본체(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에서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20)의 이동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드조절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동작모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모드조절부재(60)의 외주면(60a)에 동작모드(Mo)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드조절부재(60)는 구동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동작모드(Mo)에 따라 구동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반사부재(20)가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드조절부재(60)에 의해 구동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반사부재(20)의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이 본체(10)의 투과영역(11a)과 겹치는 면적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체(10)의 투과영역(11a)을 투과하여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달라짐에 따라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구동부(미도시)가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함을 감지한 외력감지부(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부(미도시)는 반사부재(20)를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미도시)는 모드조절부재(60)의 동작모드(Mo)에 기초하여 반사부재(20)의 이동거리를 달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10)의 투과영역(11a)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의 넓이를 달리할 수 있고, 본체(10)의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하는 빛의 회귀반사를 달리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본체(10)의 투과영역(11a)과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이 겹치도록 본체(10)내부에 반사부재(20)가 위치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본체(10)와 반사부재(20) 사이에 위치하며,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반사면(22a)에 도달될 수 있도록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영역(32a)과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불투명영역(32b)이 외주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에 빛이 도달되도록 하는 스크린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스크린부재(30)의 하단부(32)에 구비된 투명영역(32a)과 불투명영역(32b)은 실시예에 따라, 각각 일정한 넓이를 갖는 원형의 띠 형태로 교차되어 구비될 수 있거나, 또는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모양의 격자로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크린부재(30)의 투명영역(32a)과 불투명영역(32b)의 배치형태는 본체(10)의 투과영역(11a) 및 비투과영역(11b)과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 및 비반사면(22b)의 배치형태와 일치할 수 있다.
이렇게 스크린부재(30)의 하단부(32)에 구비되어 있는 투명영역(32a)은 투과영역(11a)를 통해 진입하는 빛을 통과시켜 반사면(22a)에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유리, 투명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부재(30)는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다시 스크린부재(30) 내부에 반사부재(20)가 수용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30)와 반사부재(20)는 각각 독립되어 이동 또는 회동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각각 독립되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재(30)에는 펜촉(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된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스크린부재(30)의 위치가 이동하여 투명영역(32a)을 투과영역(11a)과 반사면(22a)사이에 겹치도록 하거나 투명영역(32a)을 비투과영역(11b)과 비반사면(22b)사이에 겹치도록 함으로써, 투과영역(11a)를 통해 진입하는 빛이 선택적으로 반사면(22a)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탄성부재(50)는 스크린부재(30)의 상단부(31)에 결합되어 본체(10)내부에 수용 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0)는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면, 스크린부재(30)가 이동함으로써 탄성변형될 수 있고, 펜촉(40)에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변형되었던 탄성부재(50)가 복원되면서 스크린부재(30)에 탄성을 가하여 스크린부재(30)를 원위치 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상술한 탄성부재(50)를 대신하여 본체(10)내부에 수용되며,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외력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스크린부재(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감지부(미도시)가 펜촉(40)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면, 구동부(미도시)는 스크린부재(30)의 투명영역(32a)을 투과영역(11a)과 반사면(22a)과 겹치도록 하여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반사면(22a)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고, 펜촉(40)에 외력이 제거되면, 구동부(미도시)는 스크린부재(30)의 불투명영역(32b)을 투과영역(11a)과 반사면(22a)과 겹치도록 하여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반사면(22a)에 도달하지 않도록 원위치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부재(30)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방법은 제 1 실시예에서 반사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빛을 회귀반사할 수 있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에서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린부재(30)의 이동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드조절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된 동작모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모드조절부재(60)의 외주면(60a)에 동작모드(Mo)를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에는 본체(10) 내부에 추가적으로 스크린부재(30)가 수용될 수 있고, 스크린부재(30) 내부에 반사부재(20)가 수용될 수 있으며, 펜촉(40)은 반사부재(20)의 하단부(22)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50)가 반사부재(20)의 상단부(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모드조절부재(60)는 본체(10)에 모드조절부재(60)의 외주면(60a)이 보이도록 결합될 수 있고, 모드조절부재(60)의 내주면(60b)은 스크린부재(30)의 상단부(3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동작모드 선택을 위해 모드조절부재(60)가 회전하게 되면, 모드조절부재(60)의 내주면(60b)의 나사산에 의해 스크린부재(30)를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10)의 투과영역(11a)을 스크린부재(30)의 불투명영역(32b)으로 일정부분 가림으로써 본체(10)의 투과영역(11a)을 통해 노출되는 반사부재(20)의 반사영역(22a)의 넓이를 제한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즉, 투과영역(11a)과 반사면(22a)이 겹쳐진 상태에서 모드조절부재(60)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모드조절부재(60)가 회전하면서 내부(60b)의 나사면을 따라 스크린부재(30)가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투과영역(11a)을 통해 노출되는 반사면(22a)의 넓이를 조절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여 탄성부재(50)가 탄성 변형되고, 반사부재(20)가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10)의 투과영역(11a)과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이 겹쳐져도 본체(10)와 반사부재(20) 사이에서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스크린부재(30)에 의해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에는 모드조절부재(60)는 스크린부재(30)의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스크린부재(30)를 이동되키는 구동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 및 구동부(미도시)는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모드조절부재(60)에 의해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구동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구동부(미도시)에 인가할 수 있고, 반사부재(20) 또는 스크린부재(30)의 이동범위를 제어함으로써, 본체(10)의 투과영역(11a)을 통해 노출되는 반사부재(20)의 반사영역(22a)의 넓이를 조절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인식장치(100)는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여 반사부재(20)가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본체(10)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반사부재(20)의 반사영역(22a)이 본체(10)의 투과영역(11a)과 겹치게 되는 경우, 모드조절부재(60)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스크린부재(30)의 동작범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구동부(미도시)에 인가하여 각 동작모드에 따라 스크린부재(30)의 이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장치(100)의 탄성부재(50)는 구동부(미도시) 및 외력감지부(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50)가 수행하는 기능은 구동부(미도시) 및 외력감지부(미도시)가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결합관계 및 기능은 제 1 실시예의 기재에 따른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도 6 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 에 도시한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에 있어서,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7 은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8 은 모드조절부재(60)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 반사면(22a)이 스크린부재(30)의 불투명영역(32b)에 의해 가려지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태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 을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우선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가 디스플레이에 닿아 있지 않아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본체(10)의 투과영역(11a)과 스크린부재(30)의 투명영역(32a)이 겹치도록 스크린부재(30)가 위치할 수 있고, 반사부재(20)의 반사면(22a)이 투과영역(1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반사면(22a)을 비투과영역(11b)에 일치되도록 반사부재(20)가 위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후, 사용자가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펜촉(40)을 디스플레이에 접촉시켜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면, 펜촉(40)이 연직방향으로 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일정 간격 예를 들어 1mm ~ 3mm 정도 밀려들어갈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사부재(20)가 펜촉(40)이 이동한 범위와 동일한 범위만큼 이동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범위만큼 펜촉(40)과 같은 연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반사부재(20)의 이동에 의해 탄성부재(50)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펜촉(40)에 외력이 작용하여, 반사부재(20)가 이동되면, 본체(10)의 하단부(11)에 구비된 투과영역(11a)을 통해 반사면(22a)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후, 사용자가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펜촉(40)을 디스플레이에서 떨어지게 하여, 펜촉(40)에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0)의 형상이 복원되면서 탄성을 반사부재(20)의 상단부(21)에 가할 수 있고, 탄성에 의해 반사부재(20)가 원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투과영역(11a)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었던 반사면(22a)이 비투과영역(11b)과 겹치게 되어 반사면(22a)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에서 모드조절부재(60)를 이용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둘 이상의 동작모드(Mo)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에 기 설정된 동작모드는 스크린부재(30)의 투명영역(32a)을 본체(10)의 투과영역(11a)과 겹치쳐지도록 하여 반사면(22a)이 스크린부재(30)의 불투명영역(32b)에 가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투과영역(11a)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모두 회귀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모드조절부재(60)의 외부(50a)에 표시된 동작모드(Mo)를 다른 동작모드(Mo)로 변경하는 경우, 모드조절부재(60)는 스크린부재(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모드조절부재(60)의 내부(50b)와 스크린부재(30)의 상단부(31) 각각에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모드조절부재(60)가 스크린부재(30)의 상단부(31)에 결합되어, 모드조절부재(60)가 회전함으로써 스크린부재(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스크린부재(30)의 비투과영역(32b)이 반사면(22a)을 가림으로써, 반사면(22a)이 외부에 노출되는 범위를 조절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도 8 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를 포함하는 위치인식시스템(200)은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가 지시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9 를 참조하여 위치인식시스템(200)을 설명한다.
우선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빛이 회귀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이 구비되고, 외력의 작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반사면이 외부에 노출되면, 노출되는 상기 반사면의 범위를 조절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칭인식용지시장치(100)가 지시하는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감지부(71, 72)는 사용되는 디스플레이(70) 상부 좌, 우 양측에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를 감지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고, 반사수단 또는 반사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회귀반사되는 빛을 수광함으로써, 조사된 빛이 회귀반사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70) 상부 좌, 우 양측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한 위치감지부(71, 72) 각각은 이렇게 측정된 시간과 위치감지부(71, 72)간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위치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인식시스템(200)이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가 지시하는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가 디스플레이(70)에 접촉하여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반사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인 경우,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양측에 위치한 위치감지부(71, 72)는 각각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디스플레이(70)전체로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반사면으로부터 회귀반사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이후, 위치감지부(71, 72)는 빛을 조사한 시간으로부터 회귀반사하는 빛을 수광할 때까지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시간을 기초로 디스플레이(70)에 위치한 각 위치감지부(71, 72)로부터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거리와 디스플레이(70)에 위치한 좌, 우 위치감지부(71, 72) 간의 거리를 기초로 디스플레이(70)상에 위치한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위치감지부(71, 72)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로부터 회귀반사하는 빛의 양을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위치감지부(71, 72)에서 측정된 빛의 양에 따라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동작모드에 따라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위치인식시스템(2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삭제'인 경우, 위치감지부(71, 72)가 측정한 빛의 양에 기초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위치인식용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삭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위치인식시스템(200)을 제어하여 위치인식용지시장치(100)가 위치한 위치의 데이터를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위치인식용지시장치
10, 11: 본체 11a: 투과영역 11b: 비투과영역
Ho: 펜촉공
20, 21, 22: 반사부재 22a: 반사면 22b: 비반사면
30, 31, 32: 스크린부재 32a: 투명영역 32b: 불투명영역
40: 펜촉
50: 탄성부재
60, 60a, 60b: 모드조절부재
Mo: 동작모드
200: 위치인식시스템
70: 디스플레이
71, 72: 위치감지부

Claims (11)

  1.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지시하는 위치를 인식되도록 하는 지시장치로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일정한 크기로 빛이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투과영역과 빛의 진입을 방지하는 비투과영역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에 빛을 회귀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펜촉을 포함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회귀반사되도록 상기 반사면이 노출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반사면이 상기 비투과영역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은,
    상기 반사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펜촉이 상기 본체 내측으로 후퇴하며, 상기 투과영역으로 진입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에 의해 회귀반사되도록 상기 반사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변형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반사부재가 원 위치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외력감지부; 및
    상기 외력감지부가 상기 펜촉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면, 상기 반사부재가 이동 또는 회동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여,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회귀반사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영역은,
    상기 빛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진입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거나 관통 형성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반사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투과영역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에 도달하도록 상기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영역과 상기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불투명영역이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에 빛이 선택적으로 도달하도록 하는 스크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진입한 빛을 상기 스크린부재의 투명영역을 통해 투과하도록 하고, 상기 펜촉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크린부재의 불투명영역으로 상기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은,
    상기 스크린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펜촉이 상기 본체 내측으로 후퇴하며, 상기 투과영역으로 진입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에 도달하도록 상기 스크린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변형되고, 상기 펜촉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크린부재가 원 위치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펜촉에 외력이 작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외력감지부; 및
    상기 외력감지부가 상기 펜촉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면, 상기 스크린부재가 이동 또는 회동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여,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진입하는 빛이 상기 반사면에 도달하도록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는,
    둘 이상의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하되, 동작모드마다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에서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다르게 조절하는 모드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조절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동작모드마다 상기 반사부재가 동작하는 범위를 각각 다르도록 조절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조절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동작모드마다 상기 스크린부재가 동작하는 범위를 각각 다르도록 조절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11.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지시하는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시스템에 있어서,
    빛이 회귀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면이 구비되고, 외력의 작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반사면이 외부에 노출되고, 노출되는 상기 반사면의 범위를 조절하여 회귀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위치인식용지시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상부 좌, 우 양측에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빛을 조사하고,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의 반사면으로부터 회귀반사되는 상기 빛을 수광하고, 조사된 빛이 회귀반사되는데 까지 경과한 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의 위치좌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수광하는 빛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인식용지시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상기 위치인식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치인식시스템.
KR1020140083756A 2014-07-04 2014-07-04 위치인식용 지시장치 KR20160004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56A KR20160004784A (ko) 2014-07-04 2014-07-04 위치인식용 지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756A KR20160004784A (ko) 2014-07-04 2014-07-04 위치인식용 지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784A true KR20160004784A (ko) 2016-01-13

Family

ID=5517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756A KR20160004784A (ko) 2014-07-04 2014-07-04 위치인식용 지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7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7795B2 (en) User interface system
US6326956B1 (en) Circuit control devices utilizing electronic display screen light
JP2002049466A (ja) 位置検出装置、位置指示器、位置検出方法及びペンダウン検出方法
US20060255248A1 (en) System an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radiation emitting element
KR101221676B1 (ko) 다중 터치점 인식이 가능한 적외선 터치스크린 장치
US20160026269A1 (en) Device for entering information into a data processing system
US8456648B2 (en) Optical detec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optical detection method
US20140035883A1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a Stylus That Emits a Plurality of Infrared Beams
EP2693303A1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a stylus that emits a plurality of infrared beams
KR20100023248A (ko) 무선 펜 입력장치
US11720210B2 (en) Optical input devices
TWI436242B (zh) 移動偵測裝置
CN102880331A (zh) 电子装置及其触控模块
KR20160004784A (ko) 위치인식용 지시장치
US20140055424A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Detecting a Light-Emitting Stylus' Position
CN111640395B (zh) 电子设备及切换方法
US8866795B1 (en) Current sensor outpu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KR101969496B1 (ko)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용 조명 구조
KR101250552B1 (ko) 다중 터치가 가능한 적외선 터치스크린 장치
KR101151046B1 (ko) 스위치 장치
KR102456034B1 (ko) 비접촉 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3089114A (ja) 三次元入力装置
KR101375072B1 (ko) 전자 디바이스의 원격 조정을 위한 터치 센싱 장치
CN103729094A (zh) 与检测发光触控笔的位置有关的方法和装置
JP2006163515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