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44A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44A
KR20160004644A KR1020140083238A KR20140083238A KR20160004644A KR 20160004644 A KR20160004644 A KR 20160004644A KR 1020140083238 A KR1020140083238 A KR 1020140083238A KR 20140083238 A KR20140083238 A KR 20140083238A KR 20160004644 A KR20160004644 A KR 20160004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display module
control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2058B1 (ko
Inventor
한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인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인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인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8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0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통합 제어부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기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Wear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한 후, 효과적으로 다향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와 의복과 같은 시스템 내외부에 산재되어 있는 다양한 기기와의 통신 수단에 필요성이 대두되어 PAN(Personal Area Network), FAN(Fabric Area Network)과 같은 연구분야로 발전하게 되었고, 다향한 방법들이 시도되어져 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사용자가 착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거나, 기업 광고 등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한 후, 효과적으로 다향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통합 제어부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기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는, 각종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기반 정보로써 상기 각종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생체 지수에 해당하는 제1 제어 정보와 상기 센싱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호흡신호, 심전도, 속도 신호, 가속도 신호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지수는, 상기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호흡수, 맥박, 활동량,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이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현하기 위한 영상 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현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통합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굴곡을 포함하는 피착물에 탈착 가능한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플렉서블(flexible)한 절연 필름에 도전 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상의 배치된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및 상기 회로기판의 전, 후면에는 UV수지를 도포하여 형성시킨 코팅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통합 제어부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는, 각종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각종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장치에 기 저장된 생체 지수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생성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지정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제어부는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드 선택부가 상기 제1 제어모드 선택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기 설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모드 선택부가 상기 제2 제어모드 선택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드 선택부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 디스플레이 모듈로 선택하고, 상기 제1 제어모드 및 상기 제2 제어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합 제어부가 상기 선택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외부 환경을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통합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굴곡을 포함하는 피착물에 탈착 가능한 탈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제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모드 선택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 선택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정보는 소리 정보, 조도 정보, 동작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GPS(glogbal pointing system) 정보를 수신하여, GPS 정보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 따른 지정된 영상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구현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 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영상으로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블록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 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영상으로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블록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a 및 7b 는 제어모드 선택부(723)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a 및 도8b 는 또 다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 는 또 다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a 및 도10b 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a 및 도11b 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착용하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람이나 동물이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의복, 신발, 장갑, 안경, 모자, 장신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여러 형태의 피착물에 부착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통합 제어부(120), 탈착 수단(1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연성회로기판 및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플렉서블(flexiable)한 절연 필름에 도전 패턴이 형성된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도전 패턴은 구리 포일(foil)을 폴리이미드 절연 필름에 부착시켜, 에칭(etching) 공법으로 산화막을 제거하여 패턴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절연 필름에 도전성 실버 페이스트를 실크스크린으로 프린트하여 도전 패턴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금속 페이스트(pasted)를 실크스크린으로 프린트하여 도전 패턴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의 전, 후면에는 UV수지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팅막은 UV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으로 자외선에 의해 신속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코팅막은 연성회로기판, 도전 패턴, 및 다수의 LED 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LED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상에 가로세로 배열되어 상기 도전 패턴과 접점으로 연결되어 발광되고, 가로세로 배열된 다수의 LED의 구성을 통하여, 동영상이나 각종 그림 및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20)는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21) 및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정보 생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120)는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21) 및 외부 장치(ED)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상에 다양한 영상이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 제어부(110)는 제1 제어 정보(IA1)를 기반으로 생성한 제1 제어 신호(SA1)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제어 정보(IA1)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상에 제1 제어 정보(IA1)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미리 사용자가 설정하여 저장부(121)에 저장한 정보로써, 상기 원하는 영상에 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저장부(121)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로써,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전자기기를 통하여 원하는 영상을 프로그램한 후, 이에 관한 정보를 제1 제어 정보(IA1)로 저장부(121)에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IA1)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합 제어부(120)는 제1 제어 신호(SA1)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제공하여 상기 원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통합 제어부(110)는 제2 제어 정보(IA2)를 기반으로 생성한 제2 제어 신호(SA1)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정보 생성부(122)는 제1 제어 정보(IA1) 및 기반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기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IA2)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121)는 저장된 제1 제어 정보(IA1)을 제어정보 저장부(1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기반 정보(BI)는 일실시예로, 외부환경을 센싱하여 수집한 정보이거나,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생체 신호에 대한 정보, 또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 등일 수 있다. 제어정보 생성부(122)는 기반 정보(BI)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정보 생성부(122)는 수신한 제1 제어 정보(IA1) 및 기반 정보(BI)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AI2)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AI2)에 대한 자세한 생성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외부 장치(ED)는 제2 제어 정보(AI2)를 통신부(122)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정보 생성부(122)는 생성한 제2 제어 정보(AI2)를 저장부(121)에 제공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AI2)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합 제어부(120)는 제2 제어 신호(SA2)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제공하여, 제2 제어 정보(AI2)에 따른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탈착 수단(130)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피착물에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제1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고, 피착물에는 제2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제2 한쌍의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된 탈착 수단(130)에 의하여 피착물에 간편하게 부착되고, 필요시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탈착 수단(130)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탈착 수단(130)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및 통합 제어부(1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부착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분리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제1 제어 신호(SA1) 및 제2 제어 신호(SA2)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제공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구현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구현되는 광고에 영상을 접목하여, 상당한 광고 효과를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도2 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영상으로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통합 제어부(220) 및 탈착 수단(230)을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도1 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탈착 수단(230)는 도1 의 탈착 수단(130)에 대응할 수 있는바, 편의상 자세한 서술을 생략한다.
통합 제어부(220)는 제1 센싱부(221), 저장부(222) 및 통신부(223)를 포함한다. 다만, 제1 센싱부(221)는 통합 제어부(220)와 분리된 하나의 모듈로써,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센싱부(22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생체 신호(BTI)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종 생체 신호(BTI)는 심전도, 호흡신호, 체온, 속도신호 및 가속도 신호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센싱부(221)는 센싱한 생체 신호(BTI)를 기반으로, 센싱 정보(SI)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생체 신호(BTI)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각각 수행한 후,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센싱 정보(SI)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센싱부(221)는 제어정보 생성부(222)에 센싱 정보(SI)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IA'2)는 제1 제어 정보(IA'1)와 센싱 정보(SI)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 생성부(222)는 사용자의 정상상태에서의 생체 정보에 기반한 제1 제어 정보(IA'1)와 기반 정보인 센싱 정보(SI)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IA'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저장부(221)에는 사용자의 정상상태에서의 생체 지수, 즉 심전도, 호흡 정도, 체온 정도, 속도 정도 및 가속도 정도 등이 제1 제어 정보(IA'1)로써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들면, 센싱 정보(SI)중 심전도에 관한 정보와 제1 제어 정보(IA'1)를 비교를 할 수 있다. 이때, 비교한 결과가 사용자의 위험한 상태를 가르키는 기준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기 위하여, 응급 상태를 알리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정보(IA'2)를 제어정보 생성부(222)가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기준값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상상태를 의미하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정보(IA'2)를 제어정보 생성부(222)가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IA'2)를 제어정보 생성부(223)는 저장부(222)에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220)는 제2 제어 정보(IA'2)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신호(SA'2)를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센싱 정보(SI)와 제1 제어 정보(IA'1)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위험한 상태를 가르키는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2 제어 신호(SA'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응급 상태를 알리는 영상, 예를 들면, 붉은 색의 영상이 지속적으로 점멸을 계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를 의미하는 영상, 예를 들면, 초록색의 안전을 의미하는 영상을 구현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센싱 정보(SI)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 중 심전도, 호흡 정도, 체온 정도, 속도 및 가속도 정도에 대한 정보를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구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제1 제어 정보(SA'1)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제어 신호(SA'1)를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제공하거나, 제2 제어 정보(SA'2)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신호(SA'2)를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위험 상태에서는 위험함을 알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3 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블록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310), 통합 제어부(320) 및 탈착 수단(3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10)은 도1 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탈착 수단(330)는 도1 의 탈착 수단(130)에 대응할 수 있는바, 자세한 서술을 생략한다.
통합 제어부(320)는 GPS 수신부(323), 저장부(322) 및 제어정보 생성부(322)를 포함한다. 다만, GPS 수신부(323)는 통합 제어부(320)와 분리된 하나의 모듈로써,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GPS 수신부(323)는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int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GPS 정보(GPSI)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GPS 정보(GPSI)는 특히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도, 경도, 고도,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323)는 수신한 GPS 정보(GPSI)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로써 위치 정보(PI1)을 생성할 수 있다.
GPS 수신부(323)는 제어정보 생성부(322)에 위치 정보(PI1)를 제공할 수 있고, 저장부(222)는 저장된 제1 제어 정보(IA''1)를 제어정보 생성부(322)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제어 정보(IA''1)는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현하기 위한 영상 관련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위치에 따른, 그에 맞는 특정 영상 관련 정보가 저장부(321)에 기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 정보(IA''1)는 사용자의 위치가 서울인 경우, 서울을 홍보하는 홍보 문구나 서울의 상징에 해당되는 영상, 사용자의 위치가 경기도인 경우, 경기도를 홍보하는 홍보 문구나 경기도의 특산품을 광고하는 영상 등에 대한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IA"2)는 위치 정보(PI)와 제1 제어 정보(IA"1)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즉, 제2 제어 정보(IA"2)는 위치 정보(PI)를 통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1 제어 정보(IA"1)를 통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정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위치 정보(PI)에 따라 지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310)에 구현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신호(SA"2)를 디스플레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GPS 수신부(323)와 제어정보 생성부(322)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위치 정보에 따라 각각 대응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저장부(321)에 대한 제1 제어 정보(IA"1)를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320)는 제2 제어 정보(CI2)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술하였듯이, 위치 정보(PI)가 서울을 가르키는 경우, 제1 제어 정보(IA"1)를 참조하여, 제2 제어 정보(IA"2)는 서울에 대한 홍보 영상, 또는 서울에 위치한 기업의 홍보 영상에 관한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제어부(320)는 제2 제어 정보(IA"2)를 기반으로, 서울에 관련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제2 제어 신호(IA"2)를 디스플레이 모듈(310)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그 결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다양한 영상을 구현하여,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모듈(410), 통합 제어부(420), 탈착 수단(430)을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도1 의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탈착 수단(230)는 도1 의 탈착 수단(130)에 대응할 수 있는바, 편의상 자세한 서술을 생략한다.
통합 제어부(420)는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421) 및 외부 장치(ED)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10)상에 다양한 영상이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10)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 제어부(410)는 제1 제어 정보(CI1)를 기반으로 생성한 제1 제어 신호(CS1)를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10)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제어 정보(CI1)는 디스플레이 모듈(410)상에 제1 제어 정보(CI1)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미리 사용자가 설정하여 저장부(421)에 저장한 정보로써, 상기 원하는 영상에 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저장부(421)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로써,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전자기기를 통하여 원하는 영상을 프로그램한 후, 이에 관한 정보를 제1 제어 정보(CI1)로 저장부(421)에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 정보(CI1)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4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합 제어부(420)는 제1 제어 신호(CS1)를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제공하여 상기 원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통합 제어부(110)는 제2 제어 정보(CI2)를 기반으로 생성한 제2 제어 신호(CS1)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CI2)는 통신부(422)와 외부 장치(ED)의 무선방식의 통신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등과 같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저장부(421)는 저장된 제1 제어 정보(CI1)을 통신부(4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 정보(CI1)는 일실시예로, 외부환경을 센싱하여 수집한 정보이거나,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생체 신호에 대한 정보, 또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위치 정보 등일 수 있다. 통신부(422)는 제1 제어 정보(CI1)를 외부 장치(ED)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장치(ED)는 수신한 제1 제어 정보(CI1)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CI2)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CI2)에 대한 자세한 생성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외부 장치(ED)는 제2 제어 정보(CI2)를 통신부(422)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422)는 수신받은 제2 제어 정보(CI2)를 저장부(121)에 제공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CI2)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4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합 제어부(120)는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제공하여, 제2 제어 정보(CI2)에 따른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모듈(410) 및 통합 제어부(4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400)로부터 부착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분리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제1 제어 신호(CS1) 및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제공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구현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구현되는 광고에 영상을 접목하여, 상당한 광고 효과를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도5 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영상으로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모듈(510), 통합 제어부(520) 및 탈착 수단(5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도1 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탈착 수단(530)는 도1 의 탈착 수단(130)에 대응할 수 있는바, 자세한 서술을 생략한다.
통합 제어부(520)는 제1 센싱부(521), 저장부(522) 및 통신부(523)를 포함한다. 다만, 제1 센싱부(521)는 통합 제어부(520)와 분리된 하나의 모듈로써,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센싱부(52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생체 신호(BTI)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종 생체 신호(BTI)는 심전도, 호흡신호, 체온, 가속도 신호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센싱부(521)는 센싱한 생체 신호(BTI)를 기반으로, 제1 제어 정보(CI'1)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생체 신호(BTI)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각각 수행한 후,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제어 정보(CI'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센싱부(521)는 저장부(522)에 제1 제어 정보(CI'1)를 제공할 수 있고, 저장부(522)는 제1 제어 정보(CI'1)를 저장한 후, 통신부(523)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CI'2)는 통신부(523)와 외부 장치(ED)의 무선방식의 통신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등과 같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523)는 제1 제어 정보(CI'1)를 외부 장치(ED)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ED)는 외부 장치(ED)에 기 저장된 생체 지수와 수신한 제1 제어 정보(CI'1)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CI'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외부 장치(ED)에는 사용자의 정상상태에서의 생체 지수, 즉 심전도, 호흡 정도, 체온 정도, 속도 정도 및 가속도 정도 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 정보(CI'1) 중 심전도에 관한 정보와 외부 장치(ED)에 저장된 생체 지수와 비교를 할 수 있다. 이때, 비교한 결과가 사용자의 위험한 상태를 가르키는 기준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기 위하여, 응급 상태를 알리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정보(CI'2)를 외부 장치(ED)가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기준값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상상태를 의미하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정보(CI'2)를 외부 장치(ED)가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장치(ED)로부터 수신한 제2 제어 정보(CI'2)를 통신부(523)는 저장부(522)에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520)는 제2 제어 정보(CI'2)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외부 장치(ED)에 저장된 생체 지수와 제1 제어 정보(CI'1)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위험한 상태를 가르키는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2 제어 신호(CS'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응급 상태를 알리는 영상, 예를 들면, 붉은 색의 영상이 지속적으로 점멸을 계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를 의미하는 영상, 예를 들면, 초록색의 안전을 의미하는 영상을 구현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1 제어 정보(CI'1)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 중 심전도, 호흡 정도, 체온 정도, 가속도 정도에 대한 정보를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구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제1 제어 정보(CS'1)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50)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제어 신호(CS'1)를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제공하거나, 제2 제어 정보(CS'2)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위험 상태에서는 위험함을 알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6 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블록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모듈(610), 통합 제어부(620) 및 탈착 수단(6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610)은 도1 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탈착 수단(630)는 도1 의 탈착 수단(130)에 대응할 수 있는바, 자세한 서술을 생략한다.
통합 제어부(620)는 GPS 수신부(621), 저장부(622) 및 통신부(623)를 포함한다. 다만, GPS 수신부(621)는 통합 제어부(620)와 분리된 하나의 모듈로써,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포함될 수 있다. GPS 수신부(621)는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inting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GPS 정보(GPSI)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GPS 정보(GPSI)는 특히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도, 경도, 고도,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321)는 수신한 GPS 정보(GPSI)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로써 제1 제어 정보(CI"1)을 생성할 수 있다.
GPS 수신부(621)는 저장부(622)에 제1 제어 정보(CI"1)를 제공할 수 있고, 저장부(622)는 제1 제어 정보(CI"1)를 저장한 후, 통신부(623)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CI"2)는 통신부(623)와 외부 장치(ED)의 무선방식의 통신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등과 같은 저전력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623)는 제1 제어 정보(CI"1)를 외부 장치(ED)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ED)는 제1 제어 정보(CI"1)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지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610)에 구현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정보(CI"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외부 장치(ED)에는 특정 위치에 따라, 그에 맞는 특정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위치가 서울인 경우, 서울을 홍보하는 홍보 문구나 서울의 상징에 해당되는 영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이에 관한 제2 제어 정보(CI"2)를 외부 장치(ED)에서 생성하여, 통신부(623)에 송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GPS 수신부(621)와 통신부(623)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위치 정보에 따라 각각 대응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외부 장치(ED)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런 외부 장치(ED)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ED)로부터 수신한 제2 제어 정보(CI"2)를 통신부(623)는 저장부(622)에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620)는 제2 제어 정보(CI"2)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610)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모듈(6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술하였듯이, 제1 제어 정보(CI"1)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가 서울을 가르키는 경우, 제2 제어 정보(CI"2)는 서울에 대한 홍보 영상, 또는 서울에 위치한 기업의 홍보 영상에 관한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제어부(620)는 제2 제어 정보(CI"2)를 기반으로, 서울에 관련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610)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1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제2 제어 신호(CS"2)를 디스플레이 모듈(610)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그 결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다양한 영상을 구현하여,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7a 및 7b 는 제어모드 선택부(723)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a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디스플레이 모듈(710), 통합 제어부(720) 및 탈착 수단(730)을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720)는 제어모드 선택부(723), 저장부(721) 및 통신부(722)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통신부(722) 대신 제어신호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동작은 전술하였음으로 편의상 생략한다. 제어모드 선택부(723)는 통합 제어부(720)가 디스플레이 모듈(710)의 영상 구현을 제어할 때의 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모드는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모드는 제1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710)을 제어하는 것, 제2 제어모드는 제2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710)을 제어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제1 제어모드를 선택한 경우, 도7a 와 같이, 제어모드 선택부(723)는 제1 제어모드신호(Cmode1)를 저장부(721) 및 통신부(7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722)의 동작은 오프(Off)될 수 있으며, 저장부(721)에 저장된 제1 제어 정보(CI1)를 기반으로 통합 제어부(720)가 디스플레이 모듈(710)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제어부(720)는 디스플레이 모듈(710)에 제1 제어 신호(CS1)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모드를 선택한 경우, 도7b 와 같이, 제어모드 선택부(723)는 제2 제어모드신호(Cmode2)를 저장부(721) 및 통신부(7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722)의 동작은 온(On)되어, 제2 제어 정보(CI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전술한바 생략한다. 그 결과, 제2 제어 정보(CI2)를 기반으로 통합 제어부(720)가 디스플레이 모듈(710)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 제어부(720)는 디스플레이 모듈(720)에 제 2 제어 신호(CS2)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모드 선택은 사용자에 의하여 원격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700)에 구비된 버튼에 의하여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상황에 맞는 제어모드를 선택하여 효과적인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8a 및 도8b 는 또 다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a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디스플레이 모듈(810), 통합 제어부(820) 및 탈착 수단(830)을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820)는 저장부(821), 제2 센싱부(822) 및 제어모드 선택부(823)를 포함한다. 제2 센싱부(822)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외부 환경을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 정보는 외부 환경의 소리 정보, 조도 정보, 동작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싱부(822)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소리 정도를 센싱하기 위하여 소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소리 정도로부터 소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환경으로부터 조도 정도를 센싱하기 위하여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조도 정도로부터 조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800)을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기 위하여 동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온도 정도를 센싱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로, 여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서술한 외의 다른 외부 조건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이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제어모드를 선택한 경우, 도8a 와 같이, 제어모드 선택부(823)는 제1 제어모드신호(Cmode1)를 제2 센싱부(8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센싱부(822)의 동작은 오프(Off)될 수 있으며, 저장부(821)에 저장된 제1 제어 정보(IB1)를 기반으로 통합 제어부(820)가 디스플레이 모듈(810)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제어부(820)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제1 제어 신호(SB1)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모드를 선택한 경우, 도8b 와 같이, 제어모드 선택부(823)는 제2 제어모드신호(Cmode2)를 제2 센싱부(82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센싱부(822)의 동작은 온(On)되어, 외부 환경을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IB2)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8 b에 도시하였듯이, 제2 센싱부(822)는 생성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IB2)를 생성하여, 저장부(821)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통합 제어부(820)가 포함하는 제2 제어 정보 생성부(미도시)에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IB2)를 생성하여, 저장부(821)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싱 정보에 따라서, 일정한 패턴을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8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는 방향에 맞춰서, 영상 패턴도 같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소리 정보를 통하여, 주변 환경의 소리가 커지는 경우, 이전의 영상보다 화려한 패턴 또는 색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8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의 패턴을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8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 정보(IB2)를 기반으로 통합 제어부(820)가 디스플레이 모듈(810)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 제어부(820)는 디스플레이 모듈(810)에 제 2 제어 신호(SB2)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모드 선택은 사용자에 의하여 원격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800)에 구비된 버튼에 의하여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외부 환경과 조화로운 효과적인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9 는 또 다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90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디스플레이 모듈(910), 모듈 선택부(920), 통합 제어부(930) 및 탈착 수단(94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부(91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91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912)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선택부(920)는 디스플레이 모듈부(910)에 포함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91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둘(91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통합 제어부(930)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7a와 같이 통합 제어부(930)는 제어모드 선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선택부(920)는 제어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모드 선택부(미도시)를 통하여, 선택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8a 및 도8b 및 도9 를 참고하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듈(911)을 모듈 선택부(920)가 선택하여, 제1 제어모드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911)을 제어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듈(912)을 모듈 선택부(920)가 선택하여, 제2 제어모드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듈(912)을 제어할 수 있다. 모듈 선택은 사용자에 의하여 원격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900)에 구비된 버튼에 의하여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900)의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어모드를 달리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영상 구현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0a 및 도10b 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10)가 적용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a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10)는 의류 형태의 피착물(1020)에 탈착 수단(1015a, 1015b)를 통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의류 형태의 피착물(1020)을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하더라도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10)는 유연성 재질일 수 있는 의류 형태의 피착물(1020)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각종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710)의 전면에는 직물커버(미도시)를 부착하여, 다양한 조명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710)는 경기장에서 응원용 도구로 사용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주행할 때, 안전 표시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도로의 작업자들이 착용하면 야간에서 식별력을 확보하여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7b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10)는 기둥형 피착물(1020)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10)는 길이를 달리하여, 기둥형 피착물(1020)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11a 및 도11b 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110)가 적용된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a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11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1a)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1a)는 의류형 피착물(1120)의 중앙 부분에 부착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11b)는 의류형 피착물(1120)의 오른쪽 팔 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도9 에 언급하였듯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11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1a)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1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드도 선택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1a)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11b)를 동일한 제어모드로 제어하거나 서로 다른 제어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하나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810)로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11b 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11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1a)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1a)는 기둥형 피착물(1120)의 윗 부분에 부착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11b)는 기둥형 피착물(1120)의 아랫 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제어 관련한 내용은 전술한바 생략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11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피착물에 부착하여, 각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어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상 구현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통합 제어부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기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wearble)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각종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기반 정보로써 상기 각종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생체 지수에 해당하는 제1 제어 정보와 상기 센싱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호흡신호, 심전도, 속도 신호, 가속도 신호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지수는, 상기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호흡수, 맥박, 활동량,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이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현하기 위한 영상 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가 가르키는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현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통합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굴곡을 포함하는 피착물에 탈착 가능한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플렉서블(flexible)한 절연 필름에 도전 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상의 배치된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및
    상기 회로기판의 전, 후면에는 UV수지를 도포하여 형성시킨 코팅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통합 제어부는,
    제1 제어 정보 및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wearble)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각종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각종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장치에 기 저장된 생체 지수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생성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wearable)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지정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드 선택부가 상기 제1 제어모드 선택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기 설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모드 선택부가 상기 제2 제어모드 선택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드 선택부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 디스플레이 모듈로 선택하고, 상기 제1 제어모드 및 상기 제2 제어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선택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 모듈;
    외부 환경을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통합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굴곡을 포함하는 피착물에 탈착 가능한 탈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제1 제어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제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1 제어모드 및 제2 제어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모드 선택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모드 선택시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상기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소리 정보, 조도 정보, 동작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83238A 2014-07-03 2014-07-03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38A KR101612058B1 (ko) 2014-07-03 2014-07-03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38A KR101612058B1 (ko) 2014-07-03 2014-07-03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44A true KR20160004644A (ko) 2016-01-13
KR101612058B1 KR101612058B1 (ko) 2016-04-12

Family

ID=5517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38A KR101612058B1 (ko) 2014-07-03 2014-07-03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8156A1 (en) * 2021-02-22 2022-08-25 View, Inc. Wearable device coupled to a facility network
WO2024058471A1 (ko)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일의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5470B2 (ja) * 2011-04-01 2015-02-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8156A1 (en) * 2021-02-22 2022-08-25 View, Inc. Wearable device coupled to a facility network
WO2024058471A1 (ko)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일의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058B1 (ko) 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57116B (zh) 智能戒指及可佩戴智能显示系统
US9645396B2 (en) Peripheral vision head-mounted display for imparting information to a user without distrac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10842022B2 (en) Multilayered flexible electronics platform
US8629766B2 (en)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20170181255A1 (e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interactive illuminated apparel and accessories
US9423114B1 (en) Hands-free LED lighting system
US20130077289A1 (en) Clothing Lighting System
CN105448229B (zh) 具备背光灯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EP2934071A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452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759951A (zh) 个人显示系统
KR101612058B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66897B1 (en) Digital patch for discrete signaling, a baseball glove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20190064525A1 (en) Device for improving safety during aeronautical maneuvers
CN108498069A (zh) 穿戴式电子装置及其紧急求救方法
US11778428B2 (en) Clench activated switch system
US20210278666A1 (en) A Display System
JP2007233510A (ja) 携帯品管理システム
US9996170B2 (en) Finger computer display and controller device
WO2017039033A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95466B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programmable buttons
CN214482773U (zh) 宠物愉悦度检测设备
CN101984871A (zh) 发光识别装置及其系统
CN216393161U (zh) 一种智能手套
US11879625B1 (en) Versatile arm-wearable illumination device with wireless control and glittering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