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407U -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 Google Patents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407U
KR20160004407U KR2020150003889U KR20150003889U KR20160004407U KR 20160004407 U KR20160004407 U KR 20160004407U KR 2020150003889 U KR2020150003889 U KR 2020150003889U KR 20150003889 U KR20150003889 U KR 20150003889U KR 20160004407 U KR20160004407 U KR 201600044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bolt
lens
lens uni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펑츠 스
Original Assignee
쥴리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쥴리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쥴리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50003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407U/ko
Publication of KR20160004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Abstract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서, 절단부는 종래 절단부의 절단 구조와 같으며 주로 하나의 바닥 커터 및 상부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커터 및 상기 상부 커터의 꼬리단은 강접합(rigid joint)을 형성하고, 전단은 각각 하나의 커터구를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커터구는 절단 부위를 형성하고, 하나의 축이 상기 바닥 커터 및 상기 상부 커터를 관통하고, 힘을 가하는 막대는 하나의 긴 막대 형상 구조이고, 상기 축 상부는 볼트로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를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를 제한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볼트를 따라 구동하도록 하고, 하나의 렌즈부는 상기 볼트에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볼트를 따라 구동하고, 사용자는 상기 렌즈부를 상기 볼트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렌즈부가 절단하려는 부위를 마주보도록 만들 수 있고, 절단 부위를 정확하게 관찰하여 더욱 세밀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렌즈부는 LED 등을 추가하여 절단할 때 조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NAIL CLIPPERS WITH MAGNIFYING LENS}
본 고안은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손톱깎이는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용 미용 도구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손톱깎이는 주로 절단부(10') 및 힘을 가하는 막대(20')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10')는 종래 절단부의 절단 구조와 같으며 주로 하나의 바닥 커터(11') 및 상부 커터(12')를 주로 포함하고, 상기 바닥 커터(11') 및 상부 커터(12')의 전단은 각각 하나의 커터구(14')를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커터구(14')는 절단 부위를 형성하고, 하나의 축(13')이 상기 바닥부(10')의 상기 바닥 커터(11') 및 상기 상부 커터(12')를 관통하고, 상기 축(13')의 밑단은 상기 바닥 커터(11')의 바닥부를 관통하면서 하나의 블로킹(blocking)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는 하나의 긴 막대 형상 구조이고, 상기 절단부(10')의 상기 축(13') 상부는 볼트(15')를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를 제한한다.
그러나 손톱깎이를 사용할 때 종종 주변 환경의 조명 상태가 좋지 않거나 절단하려는 부위가 상당히 작은 경우, 사용자가 정확하게 절단하려는 부위를 확인하기 어렵다.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손톱깎이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확대경이 있는 참신한 손톱깎이를 제안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는 종래의 손톱깎이 구조에 하나의 렌즈 장치를 탑재하여 사용 시 상기 렌즈 장치를 원하는 부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상기 렌즈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부위를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하고 착오 없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에 LED 등을 장착하여 절단하려는 부위를 비출 수도 있다.
아래에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특징 및 장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손톱깎이의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부품 조립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렌즈부가 볼트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부품 조립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렌즈부가 볼트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측면 설명도;
도 6의 부분 설명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렌즈부의 작용 파트와 고정 핀의 연결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부품 조립 조감도;
도 8은 본 고안에 있어서 렌즈부가 고정 핀을 따라 손톱깎이의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부가 바닥 커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설명도.
아래에서는 도면과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기능과 장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서 절단부(10) 및 힘을 가하는 막대(20)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10)는 종래 절단부의 절단 구조와 같으며 주로 하나의 바닥 커터(11) 및 상부 커터(12)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커터(11) 및 상기 상부 커터(12)의 꼬리단은 강접합(rigid joint)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 커터(11) 및 상기 상부 커터(12)의 전단은 각각 하나의 커터구(14)를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커터구(14)는 절단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 부위의 상기 두 커터구(14)는 서로 대응하고, 하나의 축(13)이 상기 바닥부(10)의 상기 바닥 커터(11) 및 상기 상부 커터(12)를 관통하고, 상기 축(13)의 밑단은 상기 바닥 커터(11)의 바닥부를 관통하면서 하나의 블로킹(blocking)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바닥 커터(11)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는 하나의 긴 막대 형상 구조이고, 상기 절단부(10)의 상기 축(13) 상부는 볼트(15)를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를 제한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가 상기 볼트(15)를 따라 구동되도록 한다.
조작 시, 사용자는 상기 절단부(10)를 손으로 움켜쥐고 한 손으로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의 말단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축(13)을 중심점으로 삼아 상기 절단부(10)에 하방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위로 들어 올릴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바닥 커터(11) 및 상기 상부 커터(12) 전단의 상기 커터구(14)가 맞물리거나 느슨해지도록 하는 동작이 진행됨으로써, 손톱과 같이 상기 두 커터구(14) 사이에 있는 물체를 절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렌즈부(30)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30)의 전방은 상기 볼트(1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30)는 상기 볼트(15)를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30)는 하나의 렌즈(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손톱깎이를 사용할 때, 상기 렌즈부(30)는 상기 볼트(15)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렌즈부(30)가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렌즈부(30)는 물체를 확대시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절단 부위를 명확하게 확인하여 더욱 정밀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렌즈부(30)에 탑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 몸체(32)도 포함하고, 상기 등 몸체(32)는 LED 등일 수 있다. 상기 등 몸체(32)를 장착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작업을 보조할 수 있도록 절단 부위를 비춤으로써, 작업 오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렌즈부(30)는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20)의 일단에 근접하여 가로 방향의 오목부(33)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부(30) 전방의 작용 파트(34)는 상기 일단을 상기 오목부(33) 내에 깊이 삽입하고, 하나의 고정 핀(35)으로 오목부(33)의 두 벽 및 상기 작용 파트(34)를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작용 파트(34)가 상기 고정 핀(35)를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상기 작용 파트(34)는 상기 고정 핀(35)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 기호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상기 렌즈부(30)는 상기 바닥 커터(11)의 하부에 장착하고, 상기 렌즈부(30)는 제2 볼트(16)로 상기 축(13)에 고정하고, 상기 제2 볼트(16) 구조는 상기 실시예의 볼트(15)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30)는 상기 축(13)의 일단에 근접하여 상기 오목부(33)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장점은 종래의 손톱깎이 구조에 하나의 렌즈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렌즈 장치를 원하는 부위까지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렌즈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작업 부위를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오 없이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에 하나의 등 몸체를 장착하여 절단하려는 부위를 비추어 절단 작업을 보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은 구조가 상당히 정밀하고 기존 손톱깎이의 부피도 변화시키지 않는데다 외형이 아름답기까지 하므로 실용성이 우수하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기본 정신에 입각하여 동일한 수준의 변경, 수정 등을 진행한 경우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에 있어서,
    하나의 절단부, 하나의 힘을 가하는 막대 및 하나의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주로 하나의 바닥 커터 및 상부 커터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바닥 커터 및 상기 상부 커터의 꼬리단은 강접합(rigid joint)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 커터 및 상기 상부 커터의 전단은 각각 하나의 커터구를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커터구는 절단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 부위의 상기 두 커터구는 상호 대응하고, 하나의 축이 상기 절단부의 상기 바닥 커터 및 상기 상부 커터를 관통하고, 상기 축의 밑단은 상기 바닥 커터의 바닥부를 관통하면서 하나의 블로킹(blocking)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는 하나의 긴 막대 형상 구조이고, 상기 절단부의 상기 축 상부는 하나의 볼트를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를 제한하고, 이로써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가 상기 볼트를 따라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절단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부는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물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확대된 절단 부위를 명확하게 확인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등 몸체를 상기 렌즈부에 장착하여 조명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절단 부위를 더욱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전방을 상기 볼트에 장착하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가 상기 볼트를 따라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손톱깎이를 사용할 때 상기 렌즈부가 상기 볼트를 따라 바깥을 향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렌즈부가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의 일단에 근접하여 가로 방향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부는 하나의 작용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작용 파트에 위치하고, 상기 작용 파트는 상기 일단을 상기 오목부 내에 깊이 삽입하고, 하나의 고정 핀으로 오목부의 두 벽 및 상기 작용 파트를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작용 파트가 상기 고정 핀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작용 파트는 상기 손톱깎이의 가로 방향을 따라 필요한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필요한 부위에 도달하여 절단 작업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5.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에 있어서,
    하나의 절단부, 하나의 힘을 가하는 막대 및 하나의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주로 하나의 바닥 커터 및 상부 커터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바닥 커터 및 상기 상부 커터의 꼬리단은 강접합(rigid joint)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 커터 및 상기 상부 커터의 전단은 각각 하나의 커터구를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커터구는 절단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 부위의 상기 두 커터구는 상호 대응하고, 하나의 축이 상기 절단부의 상기 바닥 커터 및 상기 상부 커터를 관통하고, 상기 축의 밑단은 상기 바닥 커터의 바닥부를 관통하면서 하나의 블로킹(blocking)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는 하나의 긴 막대 형상 구조이고, 상기 절단부의 상기 축 상부는 하나의 볼트를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를 제한하고, 이로써 상기 힘을 가하는 막대가 상기 볼트를 따라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절단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부는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물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확대된 절단 부위를 명확하게 확인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6.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등 몸체를 상기 렌즈부에 장착하여 조명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절단 부위를 더욱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바닥 커터의 하부에 장착하고, 상기 축의 하부는 제2 볼트로 상기 렌즈부를 관통하여 상기 렌즈부가 상기 제2 볼트를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부를 제한하여 상기 손톱깎이를 사용할 때 상기 렌즈부가 상기 제2 볼트를 따라 바깥을 향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렌즈부가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KR2020150003889U 2015-06-15 2015-06-15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KR201600044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889U KR20160004407U (ko) 2015-06-15 2015-06-15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889U KR20160004407U (ko) 2015-06-15 2015-06-15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07U true KR20160004407U (ko) 2016-12-23

Family

ID=5770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889U KR20160004407U (ko) 2015-06-15 2015-06-15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40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82341A (ja) ヘアトリマーのブレードセット
RU2017141185A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минимальной видимостью для частей мебели и предметов фурнитуры
EP1707132A3 (en) Optical obturator
CN101733471A (zh) 切割机
DE602005002556D1 (de) Zurückziehbarer einsatzschlüssel mit einsatztreibmitteln
KR20160004407U (ko) 확대경이 있는 손톱깎이
JP6707230B2 (ja) 切削チップ、切削ツール及びギヤエッジ切除装置
CN203467282U (zh) 一种园林工具
ATE537765T1 (de) Führungsanordnung für knochenfräse
TWI258413B (en) Marking device
EP3517312A3 (fr) Compas de dessin
CN107191900B (zh) 移动灯具的转轴结构
KR20160003531U (ko) 봉상 물품 절단용 커터
JP2004130132A (ja) 超小型角膜切開刀のカッターヘッド
RU2019119839A (ru) Узел коронки рабочего орудия с указателем износа коронки
ES2390757T3 (es) Clavija de conexión biela-manivela preferiblemente para motores de combustión
EP3156195A1 (en) Control device of cutting tool
ATE339278T1 (de) Verbesserter nagelhalter und nagelmaschine mit diesem nagelhalter
JP4504122B2 (ja) 生垣バリカン
CN208613863U (zh) 一种薄垫片剪切装置
GB2483865A (en) Hinge or template having markings to indicate drilling positions for mortising
ATE294657T1 (de) Bohrer mit scheindeinsatz
TW201446401A (zh) 工具機之雷射校準裝置
JP6325961B2 (ja) 車両用補助ミラー
US1513478A (en) Tool for use on noncircular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