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307U -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307U
KR20160004307U KR2020150003585U KR20150003585U KR20160004307U KR 20160004307 U KR20160004307 U KR 20160004307U KR 2020150003585 U KR2020150003585 U KR 2020150003585U KR 20150003585 U KR20150003585 U KR 20150003585U KR 20160004307 U KR20160004307 U KR 201600043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radle
printer
receiving ho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호
박수경
Original Assignee
(주)위테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테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위테크시스템
Priority to KR2020150003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307U/ko
Publication of KR20160004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1Detail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기는 일부분이 개방되어 내부로 함입된 제1 수용홀이 형성되고, 데이터의 입력, 처리 및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본체를 지지하도록 본체와 결합 가능하고, 일부분이 개방되어 내부로 함입된 제2 수용홀이 형성되는 크래들(cradle) 및 제1 수용홀 또는 제2 수용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본체 또는 크래들과 결합 가능하고, 본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TERMINAL}
본 고안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라 함은, 중앙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단말기는 특정한 업무에 적용되는 전용 단말기와 일반적인 입출력 업무에 사용되는 범용 단말기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적용 분야에 따른 단말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일 예로,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는 대형 할인점, 슈퍼마켓, 편의점 등 유통업체의 금전출납계에 설치되어 상품의 판매 결과 등을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포스 단말기를 포함한 대부분의 단말기는 중앙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매우 제한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한된 장소 내에서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의 입력 및 처리를 수행해야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7087호 (2015. 04. 28.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휴대성 및 이동성이 향상된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내부로 함입된 제1 수용홀이 형성되고, 데이터의 입력, 처리 및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본체를 지지하도록 본체와 결합 가능하고, 일부분이 개방되어 내부로 함입된 제2 수용홀이 형성되는 크래들(cradle) 및 제1 수용홀 또는 제2 수용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본체 또는 크래들과 결합 가능하고, 본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체와 프린터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푸시 입력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장착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제1 수용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은 본체의 결합 시,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본체는 제1 충전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1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크래들은 프린터의 결합 시, 제2 수용홀 내부에 배치되어 프린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프린터는 제2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체는 크래들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프린터는 선택적으로 본체 또는 크래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 가능하므로, 크래들의 배치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 휴대성 및 이동성이 향상된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프린터가 크래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에서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체에 커버부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단말기는 통신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그 통신 회로를 통해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 또는 중앙 서버(또는 중앙 컴퓨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과 관련된 단말기는 포스(POS, point of sales)형 단말기로써, 판매 매장에서 주문 접수, 결제 또는 재고관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프린터가 크래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0)는 본체(100), 디스플레이부(150), 크래들(200, cradle) 및 프린터(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데이터의 입력, 처리 및 출력을 제어하고, 제1 수용홀(110)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데이터의 입력, 처리 및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내장될 수 있으며, 본체(100)는 중앙 서버 또는 중앙 컴퓨터와 연계되어 데이터의 처리 결과 등을 중앙 서버 또는 중앙 컴퓨터로 송신하거나 중앙 서버 또는 중앙 컴퓨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용홀(110)은 본체(100)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본체(100)의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도 3은 제1 수용홀(110)이 본체(100)의 후면 상단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수용홀(110)은 본체(100)의 어느 일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홀(110)은 후술할 프린터(30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프린터(300)가 제1 수용홀(110)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수용홀(110)의 일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제1 수용홀(110)의 내부에는 프린터(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동의 빈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수용홀(110)의 내측면에는 프린터(300)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1 수용홀(110)의 내측면에 프린터(3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홈 또는 돌기일 수 있으며, 이때 제1 수용홀(1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프린터(300)의 일면에는 제1 수용홀(110)의 홈 또는 돌기와 대응하도록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홀(110)은 프린터(30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단이 개방된 형상이면 충분하고, 제1 수용홀(110)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형상이나 개방된 위치는 본체(100)의 형상과 제1 수용홀(110)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체(100)는 어느 일 측에 결합되는 리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딩부(120)는 본체(100)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중 하나로써, 본체(100)의 측면에 돌출되게 결합되거나 본체(10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은 본체(100)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리딩부(120)를 도시하고 있다.
리딩부(120)는 데이터의 입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입력 매체의 종류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딩부(120)에 의해서 읽혀지는 데이터의 입력 매체는 결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고객의 신용카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본체(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시각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본체(100)의 어느 일 면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다수의 면에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부(150)가 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본체(100)에 의하여 제어되는 데이터의 입력 결과를 표시하거나, 본체(100)에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시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본체(100)의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배치되거나 본체(100)의 전면 중 어느 일 부분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도 있다.
크래들(200)은 본체(100)를 지지하도록 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크래들(200)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크래들(20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체(100)는 크래들(20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체(100)의 휴대성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가 크래들(20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본체(100)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배치되는 전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크래들(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본체(100)의 후면에서 크래들(200)의 일면과 접촉하여 결합된다.
본체(100)가 크래들(200)에 안착되어 결합함으로써, 본체(100)는 크래들(2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대향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크래들(200)은 본체(1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200)은 일부분이 개방되어 내부로 함입된 제2 수용홀(21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홀(210)은 크래들(200)의 후면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크래들(200)의 전면에는 본체(100)가 결합되고, 크래들(200)의 후면에는 제2 수용홀(210)이 형성되어 후술할 프린터(300)가 크래들(2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수용홀(210)은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홀(110)과 유사하게, 내부에는 프린터(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수용홀(210)은 크래들(200)의 전체적인 형상과 제2 수용홀(210)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개방된 부분과 내부 공간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200)은 후면 하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입출력 포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200)은 다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통신 회로와 접속할 수 있고,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입출력 포트 중 일부(230)는 크래들(200)의 측면 하단에 장착될 수도 있다.
프린터(300)는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홀(110) 또는 크래들(200)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홀(2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본체(100) 또는 크래들(200)과 결합 가능하고, 본체(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프린터(300)는 본체(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인쇄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프린터(300)의 내부에는 인쇄 용지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인쇄를 위한 다양한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프린터(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100)와 결합되어 사용되거나 크래들(20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수용홀(110)과 제2 수용홀(210)에는 프린터(300)가 각 수용홀(110, 2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프린터(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동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0)의 본체(100)는 크래들(200)과 분리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체(100)의 휴대성과 이동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30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크래들(200)과 결합 가능하므로, 본체(100)의 휴대성과 이동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0)를 고객의 요청에 의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결제 데스크에 위치하는 크래들(200)에서 본체(100)를 분리하여 고객이 있는 장소에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에 프린터(3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라면 고객이 있는 장소에서 영수증을 바로 출력하여 고객에게 배부할 수 있고, 프린터(3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크래들(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라면, 결제와 영수증의 출력은 이격된 장소에서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체(100)와 프린터(30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크래들(200)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된 장소에서 사용되고, 프린터(300)는 크래들(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체(100)와 프린터(300)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모듈은 프린터(300)가 아닌 크래들(2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프린터(300)는 크래들(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본체(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본체(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린터(300)가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홀(110)에 삽입되어 본체(100)와 결합하는 경우, 프린터(300)와 본체(100)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프린터(300)와 본체(1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300)의 일 측에 접속 단자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제1 수용홀(110)의 내부에 접속 단자가 설치되어 양 접속 단자가 접촉함으로써 프린터(300)와 본체(1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프린터(300)가 크래들(200)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홀(210)에 삽입되어 크래들(200)과 결합하는 경우, 크래들(200)과 프린터(3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용홀(210)의 내부에는 프린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가 크래들(200)과 결합하면, 본체(100)와 프린터(300)는 크래들(200)을 매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크래들(200)과 본체(100) 역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다양한 방식의 데이터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체(100)는 데이터 입력 장치로써 리딩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널 또는 푸시 입력이 가능하도록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150)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함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0)와 별도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외한 본체(100)의 다른 일면을 터치함으로써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본체(100)는 터치 패널과 별도로, 본체(100)의 일면에 장착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푸시 입력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조작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에서 본체가 분리된 상태의 크래들과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체에 커버부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크래들(200)은 지지부(270)와 베이스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70)는 본체(10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지지부(270)는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후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체(10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지지부(270)의 주된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80)는 지면에 대하여 크래들(200) 전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지지부(270)의 후면에 결합된다. 베이스부(280)에는 앞서 언급한 입출력 포트(220, 23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크래들(200)의 지지부(270)에는 가이드 돌출부(26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본체(100)의 후면에는 가이드 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70)이 크래들(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출부(260)에 끼워 맞춤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면에는 패드부(160)가 형성되어 본체(100)가 크래들(200)에 결합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본체(100)를 휴대하여 이동할 때 보다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제1 수용홀(110)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30)는 탈착식으로 구성되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거나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홀(110)에 프린터(300)가 삽입되는 경우, 커버부(13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되고, 제1 수용홀(110)에 프린터(300)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 제1 수용홀(110)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제1 수용홀(1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130)는 일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부(130)는 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며, 본체(100)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1 수용홀(110)을 개폐할 수 있다.
본체(100)는 측면에 장착되는 입출력 포트(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00)는 입출력 포트(140)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거나, 크래들(2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크래들(200)은 제1 충전단자(250)를 포함하고, 본체(100)는 크래들(200)의 제1 충전단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단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충전단자(250)는 크래들(200)에 설치되어 본체(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본체(100)에 설치되는 제1 접촉단자(150)는 제1 충전단자(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본체(100)와 크래들(200)의 결합 시, 제1 충전단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크래들(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내부에는 충전용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0)는 제1 접촉단자(150)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측면에 형성되는 입출력 포트(14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크래들(200)은 프린터(300)의 결합 시, 제2 수용홀(210) 내부에 배치되어 프린터(3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충전단자(240)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프린터(300)는 제2 충전단자(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단말기의 본체는 크래들과 결합되어 사용되거나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체가 크래들과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 본체는 크래들의 설치 위치에 제한되지 않고 보다 넓은 범위에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는 본체 또는 크래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므로, 본체의 휴대성 및 이동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제1 수용홀
120: 리딩부
130: 커버부
140: 입출력 포트
150: 디스플레이부
160: 패드부
170: 가이드 홈
200: 크래들
210: 제2 수용홀
220, 230: 입출력 포트
240: 제2 충전단자
250: 제1 충전단자
260: 가이드 돌출부
270: 지지부
280: 베이스부
300: 프린터
1000: 단말기

Claims (7)

  1. 일부분이 개방되어 내부로 함입된 제1 수용홀이 형성되고, 데이터의 입력, 처리 및 출력을 제어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 가능하고, 일부분이 개방되어 내부로 함입된 제2 수용홀이 형성되는 크래들(cradle); 및
    상기 제1 수용홀 또는 상기 제2 수용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크래들과 결합 가능하고, 상기 본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
    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프린터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푸시 입력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장착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수용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본체의 결합 시, 상기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충전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단말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프린터의 결합 시, 상기 제2 수용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린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터는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단말기.
KR2020150003585U 2015-06-04 2015-06-04 단말기 KR201600043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85U KR20160004307U (ko) 2015-06-04 2015-06-04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85U KR20160004307U (ko) 2015-06-04 2015-06-04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07U true KR20160004307U (ko) 2016-12-15

Family

ID=5757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585U KR20160004307U (ko) 2015-06-04 2015-06-04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3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9182A (ja) * 2017-12-29 2021-03-18 フランシスカ ジョーンズ,マリア ディスプレ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87Y1 (ko) 2014-12-01 2015-05-06 밸크리텍주식회사 포스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87Y1 (ko) 2014-12-01 2015-05-06 밸크리텍주식회사 포스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9182A (ja) * 2017-12-29 2021-03-18 フランシスカ ジョーンズ,マリア ディスプレ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3848B2 (en) Adaptor enabling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dditional functions
US9881292B2 (en) Point of sale (PO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barcod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or stand alone mobile tablet device
US9558482B2 (en) Point of sale (PO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barcod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or stand alone mobile tablet device
US957769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KR10116905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포스 단말기 및 그 시스템
US20150280768A1 (en) Protective cover for a tablet
CN100401554C (zh) 用于电子装置的电池
EP3435638B1 (en) Connection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757862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upling member with electrical supply contacts
WO2015145179A1 (en) Point of sale system and scanner
CN102999093B (zh) 信息处理设备
CN103793005A (zh) 具有键盘的保护壳
US10591954B2 (en) Holder for multiple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080018455A1 (en) Rfid Modular Reader
KR20160004307U (ko) 단말기
CA3052000C (en) Point of sale (po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barcod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or stand alone mobile tablet device
US9208660B2 (en) Docking device for credit card payment and cash drawer including the same
JP4740066B2 (ja) 情報入力装置
KR20220010921A (ko) 전자 펜의 수납을 위한 전자 장치의 커버
JP7491485B1 (ja) クレードルおよび決済端末装置
CN217034866U (zh) 一种键盘安装结构及收银设备
KR100902311B1 (ko) 카드 결제 보조단말기
JP2010287054A (ja) Rfidリーダライタ
US20220050504A1 (en) Twin Display Point of Sale Device
JP2008052419A (ja) 情報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