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272U -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 Google Patents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272U
KR20160004272U KR2020150003571U KR20150003571U KR20160004272U KR 20160004272 U KR20160004272 U KR 20160004272U KR 2020150003571 U KR2020150003571 U KR 2020150003571U KR 20150003571 U KR20150003571 U KR 20150003571U KR 20160004272 U KR20160004272 U KR 201600042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anger
groove
cable hang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명보
Original Assignee
심명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보 filed Critical 심명보
Priority to KR2020150003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272U/ko
Publication of KR20160004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 공사현장에서 전선케이블 등을 얹져 사용하는 케이블행거를 필요에 따라 다수개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어두운 현장에 윙카호스, 작업등 등을 설치하는 걸이구를 구비하여 야간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cable hanger}
본 고안은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공사현장에서 전선케이블 등을 얹져 사용하는 케이블행거를 필요에 따라 다수개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어두운 현장에 윙카호스, 작업등 등을 설치하는 걸이구를 구비하여 야간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행거(cable hanger)는 주지하다시피 작업현장의 지지구에 설치하여 각종 케이블, 베어링, 관, 빔 등을 매달아 지지하는 기구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행거는 다양한 것이 제안되었고 전성케이블을 얹져 사용하는 수용부를 연장사용가능한 케이블행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0340615호로 등록되었고 그 실용신안등록은 전력구 및 맨홀 내의 시설구간중 지지개소의 지지대마다 설치되어 케이블이 안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지지대에 보울트로 체결하는 체결부와 연장되어 전력케이블이 놓여지는 지지부를 구비한 고정형행거 및 직선형행거와, 상기 고정형행거와 직선형행거의 지지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출몰하여 전력케이블이 놓여지는 지지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고정형확장행거 및 직선형확장행거가 볼팅 결합하는 구성되어 확장형 케이블행거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행거의 확장은 작업자가 통행하는 통행로 확장행거를 빼내 행거의 길이를 확장하여 볼트로 고정하는 것이어서 통행에 불편을 가져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며 또 볼트를 사용으로 비용이 증가되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케이블행거를 설치하는 작업현장은 작업구간을 구획하는 펜스 등이 시설되어 있고 그 펜스에 케이블행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케이블행거가 설치하는 개소는 조명시설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고 조명시설이 없는 작업현장에는 어두워 야간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0615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별개의 케이블행거를 만들어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케이블행거를 용이하게 조립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작업구간을 구획하는 펜스 등 조명시설이 없는 작업현장에 설치한 케이블행거에 윙카호스나 작업등 등을 설치하여 어두워 야간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현장에서 각종 전선케이블 등을 안치하여 지지하는 케이블행거에 있어서,
상단면 전방에는 제1가이드를 구비하여 결합부재를 끼워 삽입하기 위한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의 하방에는 제2가이드를 만들고 상기 제2가이드 전방으로 연속되는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는 안내부와, 하단면에는 상기 안내부에 삽입하여 조립하기 위한 곡면으로 형성한 결합부재를 갖는 결합부와, 지지대에 케이블행거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케이블행거를 지지하는 직선의 본체으로 된 지지부와;
상기 전선케이블을 안치하기 위해 U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지지부의 정면에 돌출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하부의 본체에는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윙카호스 또는 작업등 등을 걸어 놓을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걸이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본체의 상단에 결합부재를 조립하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의 전방에는 제1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의 하방에는 제2가이드를 만들고 상기 제2가이드의 전방으로 안내홈에서 연속되는 형성된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의 상면에 형성한 돌기요홈를 만들고 상기 제1가이드가 형성된 본체 상단면의 후방에 스토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안내홈을 통과하여 가이드홀으로 삽입하여 조립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면의 전방에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후방에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별개의 행거를 만들어 전면으로 돌출된 안치부에 케이블 등을 용이하게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행거를 간단하게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어 다수개의 케이블 등을 설치안치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수용부 하부에 보강부재를 갖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윙커호스 작업등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어 야간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배면도
도 3b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조립을 보인 것으로
도 4a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조립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안내부에 경하부가 조립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조립사용을 보인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에 윙커호스를 걸어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작업등을 걸어 사용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케이블행거를 보인 도면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측면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배면 및 정면을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조립사용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의 조립사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 케이블행거에 윙커호스 및 작업등을 걸어 사용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행거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업현장에서 각종 케이블 등을 안치하여 지지하는 케이블행거(10)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결합부와 조립하는 안내부(110)와 하단부에는 상기 안내부(110)에 삽입조립하는 결합부재(121)를 구비한 결합부(120)와 체결공(141)을 형성한 직선의 본체(140)로 구성된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의 본체(140) 정면에 돌출되어 전선케이블(20)을 안치하기 위한 U자 형상의 요홈을 형성한 수용부(200)와, 상기 수용부(200) 하부 본체(140)의 정면에는 윙카호스 또는 작업등 등을 설치하기 위한 조립설치가능한 공간부(320)를 갖는 걸이구(300)로 구성되어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에 관한 것이다.
지지부(100)는 일부에는 체결공(141)을 형성하고 상.하단면은 경사면을 만들고 측면은 직선으로 만들어진 본체(140)와 상기 본체(140)의 상단부는 결합부(120)의 결합부재(121)를 삽입하기 위한 제1.2가이드(111,113) 안내홈(112) 가이드홀(114)가 형성된 안내부(110)를 만들고 하단부는 상기 안내부(100)에 삽입조립하기 위한 결합부재(121)를 구비한 결합부(120)를 구비하고 일부에는 체결공(141)을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110)는 직선으로 만든 본체(140)의 상단에 결합부재(121)를 삽입하여 조립하기 위한 안내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12)을 형성한 전방에는 제1가이드(1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홈(112)의 하방에는 제2가이드(113)를 만들고 상기 제2가이드(113) 전방으로 안내홈(112)에서 연속되는 형성된 가이드홈(114)을 형성한다.
상기 안내홈(112)은 본체(140) 상단면의 뒤쪽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140)의 하단에 만들어져 있는 결합부재(121)를 결합하기 위하여 삽입안내하는 것으로 본체(140)의 상단면 후방에서 부터 시작하여 전방하향으로 제1가이드(111)와 제2가이드(113)를 사이에 연속하여 곡선으로 만들고 연속하여 가이드홀(114)으로 연속되는 것이고 상기 안내홈(112)의 전방에는 제1가이드(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111)는 상단면의 안내홈(112)이 형성된 앞쪽에 만들고 안내홈(112)이 형성된 부분은 곡면(111a)으로 형성하여 곡선으로 만들어진 결합부재(121)가 용이하게 삽입안내되도록 하였고 또 안내홈(112)에 결합부재(121)가 삽입되어 조립되었을시에 결합부재(121)의 제1곡면(121a)에 대응하도록 하였다.
또 본체(140)의 상단면 앞쪽에 만들어진 제1가이드(111)의 상면에는 돌기요홈(111c)을 형성하고 뒤쪽 상면에는 스토퍼홈(111b)을 형성한다.
또 상기 제1가이드(111)의 상면에 형성한 돌기요홈(111c)은 케이블행거(10)를 조립사용시에 지지부(100)를 구성하는 본체(140)의 하단면에 형성한 결합돌기(122)에 들어가 고정하도록하여 조립된 케이블행거(10)에 작은 힘이 가하는 경우에는 결합돌기(112)가 돌기요홈(111c)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였고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결합돌기(112)가 돌기요홈(111c)에서 빠져나와 분리가 되도록하여 케이블행거(10)가 안정적으로 조립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1가이드(111)가 형성된 본체(140) 상단면의 후방에 스토퍼홈(111b)을 형성하여 본체(140)의 하단 경사면에 만들어진 결합부(120)의 스토퍼(123)와 접촉되어 조립시 스토퍼(123)가 스토퍼홈(111b)에 들어가 조립되게하였고 또 스토퍼(123)가 스토퍼홈(111b)에 의하여 정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2가이드(113)는 상기 안내홈(112)의 하방에서 본체(140)의 이면에 만들고 제2가이드(113)의 안내홈이 형성된 전면은 곡면(113a)으로 만들고 그 곡면(113a)은 상기 곡선으로 만들어진 결합부재(121)를 용이하게 삽입 안내할 수 있으며 안내홈(112)에 결합부재(121)가 조립되었을시에 결합부재(121)의 제2곡부(121b))와 면접촉으로 접촉면적을 크게하여 안내부(100)와 결합부(200)가 견고하게 조립되게 하였다.
또 제1가이드(111)의 직하방 본체에는 관찰홀(116)을 만들며 연속하여 제3가이드(115)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112)에 연속되는 가이드홀(114)을 형성하여 결합부재(121)의 일단이 위치하여 안내부(110)에 결합부(120)를 조립한다.
상기 관찰홀(116)은 결합부의 결합부재를 안내부의 조립하기 위해 조립하는 과정에서 결합부재가 잘들어가고 있는가를 관찰하면서 조립할 수 있도록하였다
상기 가이드홀(114)는 상기 결합부재(121)의 일단을 삽입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홈에 연속되어 제3가이드(115)을 통해 제2가이드(113)의 하부로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홀(114)에는 핀홀(119)을 형성하여 케이블행거(10)를 조립사용시에 상기 결합부재(121)에 형성한 핀홀(124)과 핀(125)으로 고정하여 더욱 케이블행거(10)를 단단하게 조립사용 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결합부(120)는 본체(140)의 하단부에 만들어지고 안내부(110)에 삽입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내홈(112)을 통과하여 가이드홀(114)으로 삽입하여 조립되는 결합부재(121)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면의 전방에는 결합돌기(122)를 구비하고 후방에는 스토퍼(1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재(121)는 S형상의 곡면을 만들어 사용하는데 본체(140)의 하단면에 연속되는 결합부재(121)의 상부는 제1가이드(111)의 곡면(111a)과 접촉되어 가이드하고 조립되었을시는 제1가이드(111)의 곡면(111a)에 지지되는 제1곡선(121a)을 형성하였고 제1곡선(121a)의 반대쪽 하방에는 제2곡선(121b)를 만들어 제2가이드(113)의 곡면(113a)과 접촉되고 지지하도록하였다.
상기 결합부재(121)에는 일부에는 핀홀(124)을 형성하여 케이블행거(10)를 조립하였을시 핀(125)으로 고정하여 케이블행거(10)를 단단하게 조립사용 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결합부(120)의 경사면 앞쪽에는 상기 안내부(110)의 제1가이드(111)에 형성된 돌기요홈(111c)에 대응하게 형성한 결합돌기(122)를 형성한다
또 상기 스토퍼(123)는 결합부재(121)의 경사면 후방에 만들어 상기 안내부(110)의 스토퍼요홈(111b)과 대응하게 만든다.
상기 본체(140)는 케이블행거(10)가 지지대(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었을시 지지되도록 직선으로 만들고 직선 부분에는 케이블행거(10)를 지지대에 고정설치하는 다수개의 체결공(141)을 만들고 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재(121)의 핀홀(124)에 대응되게 핀홀(119)을 형성하여 케이블행거(10)를 조립사용시 핀(125)을 삽입하여 고정할수 있도록 하였다.
수용부(200)는 전선케이블(20)을 안치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U자 형상의 안치부(201)를 형성하여 지지부(100)의 본체(140) 정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00)가 일체로 만들어진 상기 본체(140)의 하방 정면에는 보강부재(310)를 형성하여 윙카호스(30) 또는 작업등(40) 등을 걸 수 있는 공간부(320)를 갖는 걸이구(300)를 만든다.
상기 보강부재(310)는 상기 수용부(200)에 전선케이블(20)을 얹져 사용시에 전선케이블(20)의 무게에 의하여 수용부(200)가 밑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행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걸이구(310)에는 윙커호스(30) 또는 작업등(40)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하였는데 케이블행거(10)를 설치하는 작업현장은 작업구간을 구획하는 펜스가 설치되고 그 펜스에 본체(140)에 형성된 체결공(141)에 나사 등으로 케이블행거(10)를 지지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케이블행거(10)가 설치하는 장소는 조명시설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고 조명시설이 없는 작업현장에는 컴컴한 어두워 야간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행거(10)에 윙카호스 작업등 등을 설치하여 작업구간을 알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 펜스 등의 가까운 장소에서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 작업을 실시할시에 운전자가 펜스 등에 있는 설치된 케이블행거에 시설되어 있는 윙카호스 작업등에 의하여 작업구간을 인식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케이블행거 100 : 지지부
110: 안내부 111 : 제1가이드
112 : 안내홈 113 : 제2가이드
114 : 가이드홈 120 : 결합부
121 : 결합부재 122 : 결합돌기
140 : 본체 141 : 체결공
200 : 수용부 300 : 걸이구
310 : 보강부재

Claims (3)

  1. 산업현장에서 각종 전선케이블(20) 등을 안치하여 지지하는 케이블행거(10)에 있어서,
    상단면 전방에는 제1가이드(111)를 구비하여 결합부재(121)를 끼워 삽입하기 위한 안내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12)의 하방에는 제2가이드(113)를 만들고 상기 제2가이드(113) 전방으로 연속되는 형성된 가이드홈(114)을 갖는 안내부(110)와, 하단면에는 상기 안내부(110)에 삽입하여 조립하기 핀홀(124)를 형성하고 곡면형상의 결합부재(121)를 구비하는 결합부(120)와, 지지대에 케이블행거(1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공(141)을 형성하고 케이블행거(10)를 지지하는 직선의 본체(140)으로 된 지지부(100)와;
    상기 전선케이블(20)을 안치하기 위해 U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지지부(100)의 정면에 돌출되는 수용부(200)와;
    상기 수용부(200) 하부의 본체(140)에는 보강부재(310)를 구비하여 윙카호스(30) 또는 작업등(40) 등을 걸어 놓을 수 있는 공간부(320)를 갖는 걸이구(3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10)는 본체(140)의 상단에 결합부재(121)를 조립하는 안내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12)의 전방에는 제1가이드(111)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112)의 하방에는 제2가이드(113)를 만들고 상기 제2가이드(113)의 전방으로 안내홈(112)에서 연속되는 형성된 가이드홈(114)을 형성하여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111)의 상면에 형성한 돌기요홈(111c)를 만들고 상기 제1가이드(111)가 형성된 본체(140) 상단면의 후방에 스토퍼홈(111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안내홈(112)을 통과하여 가이드홀(114)으로 삽입하여 조립되는 결합부재(121)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면의 전방에는 결합돌기(122)를 구비하고 후방에는 스토퍼(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KR2020150003571U 2015-06-04 2015-06-04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KR201600042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71U KR20160004272U (ko) 2015-06-04 2015-06-04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71U KR20160004272U (ko) 2015-06-04 2015-06-04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069U Division KR200488728Y1 (ko) 2017-06-15 2017-06-15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72U true KR20160004272U (ko) 2016-12-14

Family

ID=5757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571U KR20160004272U (ko) 2015-06-04 2015-06-04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2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6520A (zh) * 2018-10-31 2018-12-21 湖州织里德家利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固定用支架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615B1 (ko) 1994-03-28 2002-10-18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피리딘고리로치환된티아졸리딘및옥사졸리딘및혈당감소제로서의그의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615B1 (ko) 1994-03-28 2002-10-18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피리딘고리로치환된티아졸리딘및옥사졸리딘및혈당감소제로서의그의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6520A (zh) * 2018-10-31 2018-12-21 湖州织里德家利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固定用支架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728Y1 (ko)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US7216848B2 (en) Conduit attachment system for a cable puller
US64641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pendant light fixtures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KR101521460B1 (ko) 접지부 배선박스
KR20160004272U (ko)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KR102349148B1 (ko) 와이어 덕트 고정 장치
KR101713272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JP5780548B2 (ja) 産業車両又は建設車両の電装品、電気配線及び油圧配管の固定具
KR100937700B1 (ko)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CA2929189C (en) Apparatus for connection of electric light fixtures having fault-current discharge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KR20080111542A (ko) 가구
KR20180072600A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EP3229324A1 (en) Electrical cable retention
KR10072179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설비용 슬라이딩 지지행거
KR200396734Y1 (ko) 몰드레이스웨이
KR101890239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45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JP3805730B2 (ja) バー材への取着体
KR20170002114A (ko)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200484228Y1 (ko) 레이스 웨이 유닛
KR200451493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441987B1 (ko) 설치가 용이한 폴더형 조명 등기구용 어댑터
KR20180072596A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