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36A -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 Google Patents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36A
KR20160004136A KR1020140082641A KR20140082641A KR20160004136A KR 20160004136 A KR20160004136 A KR 20160004136A KR 1020140082641 A KR1020140082641 A KR 1020140082641A KR 20140082641 A KR20140082641 A KR 20140082641A KR 20160004136 A KR20160004136 A KR 20160004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nsation data
display device
deviation
image
d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567B1 (ko
Inventor
배정완
최남석
김대근
단병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5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Abstract

표시장치의 감마편차에 따라 전체 계조(gray)레벨에서 다양한 형태의 표시 얼룩에 의한 휘도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of brightness devia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휘도편차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장치의 감마편차에 따라 전체 계조(gray)레벨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표시 얼룩에 의한 휘도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표시 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가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완성한 후, 무라(mura) 등과 같은 표시패널의 얼룩을 검출하는 검사공정을 거치게 된다. 검사공정에서 표시얼룩이 검출된 표시패널은 결함 부분에 대한 리페어 공정을 수행한다.
표시얼룩은 주로 표시장치의 박막패턴 형성공정에서 이용되는 노광 장비에 의한 노광량 편차에서 기인한다. 노광량 편차에 의해 박막패턴의 폭이 가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기생 용량 편차, 셀갭을 유지하는 컬럼 스페이서의 높이 편차, 신호 라인들 간의 기생 용량 편차 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편차들은 휘도편차를 유발하여 표시패널에 세로선 또는 가로선 형태의 표시얼룩이 나타난다.
한편, 상술한 리페어 공정을 통해 해결할 수 없는 표시얼룩이 존재함에 따라, 최근에는 데이터 보상방법을 이용하여 표시얼룩이 발생된 영역의 휘도편차를 보상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휘도편차 보상방법은 작업자에 의해 표시얼룩의 검출 및 보상이 수행되는 수동방식과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표시얼룩의 검출 및 보상이 수행되는 자동방식이 있다. 수동방식은 정확성이 떨어지고 보상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어 자동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방식에 의한 휘도편차 보상방법은 표시장치의 특정 영역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표시얼룩, 예컨대 적어도 블록(block) 단위로 나타나는 큰 크기의 표시얼룩만을 검출하여 휘도편차를 보상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자동방식에 의한 휘도편차 보상은 샤프 무라(sharp mura) 등과 같이 표시패널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표시얼룩에 대한 보상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의 휘도편차 보상방법은 표시장치의 감마특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감마특성에 의해 휘도편차가 과보상되어 화질 저하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마다 다른 감마특성을 고려하여 표시장치의 전체 계조영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표시얼룩을 보상할 수 있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편차 보상장치는, 표시장치로 도트패턴신호와 그레이패턴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는 패턴출력부; 상기 표시장치의 전면을 촬영하여 상기 도트패턴신호에 의한 제1영상과 상기 그레이패턴신호에 의한 제2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하나의 계조레벨에 대한 제1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보상부; 및 상기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감마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한 제2보상데이터를 생성하며, 제1보상데이터 및 제2보상데이터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편차 보상방법은, 카메라 노이즈를 추출하는 단계; 표시장치에 표시된 도트패턴신호를 촬영한 제1영상에서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제1영상에서 특정 픽셀 휘도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그레이패턴신호를 촬영한 제2영상에서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제2영상에서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감마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감마편차에 따라 상기 특정 픽셀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하나의 계조레벨에 대한 제1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제2영상에서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계조레벨 휘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감마편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계조레벨 휘도값으로부터 제2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보상데이터와 상기 제2보상데이터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은, 표시장치의 하나의 계조레벨에서 표시얼룩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전체 계조레벨에서 보상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전체 계조레벨에서 다양한 형태 및 특성을 가지며 나타나는 표시얼룩에 대한 휘도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 별로 서로 다른 감마특성을 고려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보상데이터에 의한 과보상 등에 의해 표시장치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편차 보상장치를 구비하는 보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보상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a는 패턴출력부가 출력하는 도트패턴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패턴출력부가 출력하는 그레이패턴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카메라 보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6은 제1보상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보상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8은 제1보상부의 제1보상데이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보상부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2보상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1은 제2보상부의 제2보상데이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편차 보상장치를 구비하는 보상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보상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은 표시장치(200) 및 휘도편차 보상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200)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일 수 있다. 표시장치(20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미도시)과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200)는 휘도편차 보상장치(100)로부터 제공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에 따라 표시패널에 발생되는 표시얼룩에 의한 표시영상의 휘도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200)는 구동회로에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에 따라 표시장치(200)가 구동될 때, 저장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에 따라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보정함으로써, 표시얼룩에 의한 영상의 휘도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휘도편차 보상장치(100)는 패턴출력부(110), 카메라(120) 및 보상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출력부(110)는 표시장치(200)에 도트패턴신호(PS1)와 그레이패턴신호(PS2) 중 하나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S20).
도 3a는 패턴출력부가 출력하는 도트패턴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패턴출력부가 출력하는 그레이패턴신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패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도트패턴신호(PS1)는 다수의 도트패턴(D_PTN)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도트패턴(D_PTN)은 N*M(N, M은 자연수)의 크기의 도트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트영역에는 특정 계조레벨의 제1도트(D1)와 상기 제1도트(D1)와 다른 계조레벨의 나머지 도트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도트들 각각은 표시장치(200)의 각 픽셀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각 도트패턴(D_PTN)은 4*4 크기의 도트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트영역에는 128계조레벨의 제1도트(D1)와 0계조레벨의 나머지 도트들이 구비될 수 있다. 0계조레벨은 표시장치(200)의 블랙계조일 수 있다.
도트패턴신호(PS1)는 표시장치(200)의 표시패널 전체에 표시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트패턴신호(PS1)에 포함된 다수의 도트패턴(D_PTN)은 표시장치(200)의 해상도에 따라 그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200)가 풀HD(Full HD; FHD)를 표시한다고 하면, 도트패턴신호(PS1)에는 480*270개의 다수의 도트패턴(D_PTN)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도트패턴(D_PTN)으로 구성된 도트패턴신호(PS1)에 따라 표시장치(200)에서는 전체 픽셀 중 다수의 도트패턴(D_PTN) 각각의 제1도트(D1)와 대응되는 픽셀, 예컨대 FHD 표시장치(200)의 경우 480*270개의 픽셀은 128계조레벨로 표시되고, 표시장치(200)의 나머지 픽셀은 0계조레벨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장치(200)의 하나의 픽셀은 R, G, B 서브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턴출력부(110)는 표시장치(200)로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를 출력할 수 있다.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 각각은 다수의 도트패턴(D_PTN)의 제1도트(D1) 위치가 다른 신호들일 수 있다. 예컨대, 패턴출력부(110)는 다수의 도트패턴(D_PTN)에서 제1도트(D1)를 도트영역 내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shift)시키면서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패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그레이패턴신호(PS2)는 표시장치(200)의 모든 픽셀이 동일 계조레벨을 갖도록 하는 그레이패턴(G_PT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레이패턴(G_PTN)은 0, 32, 64, 128, 192 및 255계조레벨의 패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턴출력부(110)는 0, 32, 64, 128, 192 및 255계조레벨의 그레이패턴(G_PTN) 각각에 대한 그레이패턴신호(PS2)를 표시패널(2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출력부(110)가 128계조레벨(128G)의 그레이패턴(G_PTN)을 포함하는 그레이패턴신호(PS2)를 표시장치(200)로 출력하면, 표시장치(200)의 전 픽셀은 128계조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120)는 표시장치(200)가 도트패턴신호(PS1)와 그레이패턴신호(PS2) 중 하나를 표시할 때, 표시장치(200)의 전면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0).
예컨대, 표시장치(200)는 패턴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도트패턴신호(PS1)를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표시장치(200)의 전면을 촬영하여 도트패턴신호(PS1)에 의한 제1영상신호(IS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출력부(110)가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를 출력하는 경우에 카메라(120)는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1영상신호(IS1)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200)는 패턴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그레이패턴신호(PS2)를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표시장치(200)의 전면을 촬영하여 그레이패턴신호(PS2)에 의한 제2영상신호(IS2)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출력부(110)가 다수의 그레이패턴신호(PS2)를 출력하는 경우에 카메라(120)는 다수의 그레이패턴신호(PS2)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2영상신호(IS2)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영상신호(IS1)는 보상모듈(130)의 제1보상부(150)로 출력될 수 있고, 제2영상신호(IS2)는 보상모듈(130)의 제2보상부(160)로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1, 도 3a 및 도 4를 참조하면, 패턴출력부(110)는 표시장치(200)로 최초 도트패턴신호, 즉 제1도트패턴신호(PS1)를 출력할 수 있다(S101). 제1도트패턴신호(PS1)는 다수의 도트패턴(D_PTN) 각각에 구비된 제1도트(D1)가 N*M 도트영역의 좌측 최상단, 즉 첫번째 영역에 배치된 신호일 수 있다.
카메라(120)는 표시장치(200)의 전면을 촬영하여(S102) 제1영상신호(IS1)를 출력할 수 있다(S103).
이어, 패턴출력부(110)는 제1도트패턴신호(PS1)의 다수의 도트패턴(D_PTN) 각각에서 제1도트(D1)의 위치를 일 방향으로 이동(shift)시킬 수 있다(S104). 예컨대, 패턴출력부(110)는 각 도트패턴(D_PTN)의 제1도트(D1)를 N*M 도트영역 내에서 제1방향, 예컨대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 중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패턴출력부(110)는 쉬프트 된 제1도트(D1)가 도트영역의 마지막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5). 예컨대, 패턴출력부(110)는 쉬프트 된 제1도트(D1)가 N*M 도트영역의 우측 최하단, 즉 N*M번째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쉬프트 된 제1도트(D1)가 N*M 도트영역의 마지막 영역에 위치하지 않으면(N), 패턴출력부(110)는 쉬프트 된 제1도트(D1)에 따른 새로운 도트패턴신호, 즉 제2도트패턴신호(PS1)를 표시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S101). 그리고, 카메라(120)는 제2도트패턴신호(PS1)를 촬영하여(S102) 새로운 제1영상신호(IS1)를 출력할 수 있다(S103).
그러나, 쉬프트 된 제1도트(D1)가 N*M도트영역의 마지막 영역에 위치하면(Y), 패턴출력부(110)는 도트패턴신호(PS1)를 표시장치(200)로 출력하지 않고, 카메라(120)의 촬영도 종료된다(S106).
즉, 본 실시예의 패턴출력부(110)는 제1도트패턴신호(PS1)에서 각 도트패턴(D_PTN)의 제1도트(D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패턴출력부(110)는 각 도트패턴(D_PTN)에서 쉬프트 된 제1도트(D1)가 도트영역의 마지막 영역에 위치할 때까지 제1도트(D1)를 이동시켜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20)는 패턴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1영상신호(IS1)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트패턴신호(PS1)는 각 도트패턴(D_PTN)이 4*4의 도트영역을 가지며, 제1도트(D1)이 4*4 도트영역의 첫번째, 즉 좌측 최상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패턴출력부(110)는 각 도트패턴(D_PTN)의 제1도트(D1)를 4*4 도트영역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턴출력부(110)는 쉬프트 된 제1도트(D1)에 따라 4개의 도트패턴신호(PS1)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20)는 4개의 도트패턴신호(PS1)에 대응되는 4개의 제1영상신호(IS1)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패턴출력부(110)는 도트패턴신호(PS1)의 각 도트패턴(D_PTN)에서 제1도트(D1)를 4*4의 도트영역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턴출력부(110)는 쉬프트 된 제1도트(D1)에 따라 16개의 도트패턴신호(PS1)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20)는 16개의 도트패턴신호(PS1)에 대응되는 16개의 제1영상신호(IS1)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패턴출력부(110)가 그레이패턴신호(PS2)를 표시장치(200)로 출력하면, 카메라(120)는 이를 촬영하여 제2영상신호(IS2)를 출력할 수 있다. 그레이패턴신호(PS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0, 32, 64, 128, 192, 255계조레벨의 그레이패턴(G_PTN)을 포함하므로, 패턴출력부(110)는 6개의 그레이패턴신호(PS2)를 표시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20)는 6개의 그레이패턴신호(PS2)에 대응되는 6개의 제2영상신호(IS2)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상모듈(130)은 카메라 보상부(140), 제1보상부(150) 및 제2보상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보상부(140)는 카메라(120)로부터 제1영상신호(IS1) 또는 제2영상신호(IS2)가 출력되기 전에 카메라(120)에 의한 노이즈(CC)를 추출할 수 있다(S10). 추출된 노이즈(CC)는 후술될 제1보상부(150)와 제2보상부(160)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보상부(140)는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특정 영상신호, 예컨대 0계조레벨의 그레이패턴신호(PS2)를 표시하는 표시장치(200)를 촬영한 영상신호로부터 백그라운드 영상신호(BG)를 생성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영상신호(BG)는 제1보상부(150)로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카메라 보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120)의 초기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S111). 초기촬영은 카메라(120)의 렌즈를 가린 상태에서 촬영하는 것으로 카메라(120)와 표시장치(200) 간의 포커스를 배제한 상태에서 촬영을 하는 것이다.
이어,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초기촬영 영상신호로부터 카메라 노이즈(CC)를 추출할 수 있다(S113). 추출된 카메라 노이즈(CC)는 제1보상부(150)와 제2보상부(160)로 각각 출력될 수 있다.
계속해서, 패턴출력부(110)가 표시장치(200)에 특정 계조의 그레이패턴신호(PS2), 예컨대 0계조레벨의 그레이패턴을 포함하는 그레이패턴신호(PS2)를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0계조레벨의 그레이패턴신호(PS2)를 촬영하여 제2영상신호(IS2)를 출력할 수 있다(S115).
이어, 카메라 보상부(140)는 제2영상신호(IS2)에서 앞서 추출된 카메라 노이즈(CC)를 제거하는 전처리를 수행하여(S117) 백그라운드 영상신호(BG)를 생성할 수 있다(S118). 백그라운드 영상신호(BG)는 제1보상부(150)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보상부(140)가 0계조레벨의 그레이패턴신호(PS2)에 따른 제2영상신호(IS2)로부터 백그라운드 영상신호(BG)를 생성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백그라운드 영상신호(BG)는 후술될 제2보상부(160)에서 동일한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상모듈(130)의 제1보상부(150)는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제1영상신호(IS1)로부터 표시장치(200)의 보상데이터, 즉 표시장치(200)의 특정 계조레벨에 대한 제1보상데이터(LC1)를 생성할 수 있다(S40). 여기서, 제1보상데이터(LC1)는 표시장치(200)의 128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일 수 있다.
도 6은 제1보상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제1보상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보상부(150)는 전처리부(151), 위치 검출부(153), 휘도값 산출부(155) 및 보상데이터 생성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부(151)는 제1영상신호(IS1)를 처리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제1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21).
전처리부(151)는 제1영상신호(IS1)를 비트(bit) 변환하여 소정 비트로 정규화(normalizing)할 수 있다(S122). 예컨대, 제1영상신호(IS1)가 16비트의 정수(integer) 형태로 입력되면, 전처리부(151)는 제1영상신호(IS1)를 16비트의 소수(double) 형태로 타입(type) 변환 후, 다시 8비트 정수 형태로 정규화할 수 있다.
전처리부(151)는 정규화된 제1영상신호(IS1)에서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추출할 수 있다(S123). 관심영역은 표시장치(200)에서 영상이 주로 표시되는 부분으로 예컨대 표시장치(200)의 베젤을 제외한 표시패널의 액티브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관심영역은 액티브 영역보다 큰 크기로 추출될 수 있다.
전처리부(151)는 추출된 관심영역의 영상에서 카메라 노이즈(CC)를 제거할 수 있다(S124). 카메라 노이즈(CC)는 앞서 카메라 보상부(140)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이어, 전처리부(151)는 노이즈가 제거된 제1영상신호(IS1)에서 카메라(120)의 특성을 고려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120)는 렌즈의 중심영역에 대비하여 외곽영역의 광량이 낮다. 따라서, 전처리부(151)는 제1영상신호(IS1)의 외곽부와 중심부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53)는 전처리부(151)에서 출력된 제1영상신호(IS1)에서 특정 픽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S125).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영상신호(IS1)는 각각이 특정 계조레벨의 제1도트(D1)를 가지는 다수의 도트패턴(D_PTN)으로 구성된 도트패턴신호(PS1)에 의한 영상신호이다. 따라서, 제1영상신호(IS1)의 특정 픽셀은 도트패턴신호(PS1)의 제1도트(D1)에 대응되는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픽셀은 앞서 전처리부(151)에서 추출된 관심영역 내에 위치하는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트패턴신호(PS1)에는 다수의 제1도트(D1)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제1영상신호(IS1)에는 다수의 특정 픽셀이 포함되어 있으며, 위치검출부(153)는 다수의 특정 픽셀 각각에 대한 위치, 예컨대 특정 픽셀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53)는 다수의 특정 픽셀 각각에 대한 위치를 검출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이를 픽셀 위치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53)는 저장된 픽셀 위치정보를 누적하여 전체 특정 픽셀 위치정보(PM)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전체 특정 픽셀 위치정보(PM)는 후술될 제2보상부(160)로 출력될 수 있다.
휘도값 산출부(155)는 위치검출부(153)로부터 검출된 특정 픽셀에 대한 휘도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S127).
먼저, 휘도값 산출부(155)는 특정 픽셀에 대한 영상, 예컨대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제1영상신호(IS1)에서 특정 픽셀이 위치하는 영역의 영상의 레벨을 균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크기의 카메라(120) 픽셀과 표시장치(200) 픽셀에 의해 특정 픽셀에 대한 영상이 번지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카메라(120) 픽셀이 표시장치(200)의 픽셀에 비해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검출된 특정 픽셀에 대한 실제 영상은 다수의 카메라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카메라 픽셀들의 레벨이 서로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특정 픽셀에 대한 영상은 번짐(blur)이 발생된다. 따라서, 휘도값 산출부(155)는 다수의 카메라 픽셀들의 레벨을 평균값, 최소값 또는 최대값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다수의 카메라 픽셀들로 구성된 특정 픽셀에 대한 영상이 균등한 레벨을 가질 수 있도록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휘도값 산출부(155)는 앞서 카메라 보상부(140)에서 생성된 백그라운드 영상신호, 즉 0계조레벨의 백그라운드 영상신호(BG)를 이용하여 다수의 카메라 픽셀 레벨을 보정할 수 있다.
카메라 픽셀 레벨이 보정된 후, 휘도값 산출부(155)는 보정된 영상으로부터 특정 픽셀의 휘도값, 예컨대 특정 픽셀의 계조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보상데이터 생성부(157)는 휘도값 산출부(155)로부터 출력된 특정 픽셀의 휘도값으로부터 표시장치(200)의 하나의 계조레벨, 예컨대 128계조레벨에서의 휘도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제1보상데이터(LC1)를 생성할 수 있다(S129).
보상데이터 생성부(157)는 후술될 제2보상부(160)에 의해 산출된 감마커브, 즉 표시장치(200)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감마편차(GMA)를 이용하여 특정 픽셀의 휘도값으로부터 제1보상데이터(LC1)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장치(200)는 레드, 그린 및 블루 감마특성이 서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200)의 하나의 픽셀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레드, 블루 및 그린 영상데이터는 서로 다른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1보상부(150)의 보상데이터 생성부(157)는 제2보상부(160)로부터 표시장치(200)의 레드, 그린 및 블루 감마특성에 따라 새롭게 산출된 감마편차(GMA)를 제공받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픽셀에 대한 휘도값 차이, 즉 휘도편차를 보상하는 제1보상데이터(LC1)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제1보상부의 제1보상데이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제1감마커브(GMA')는 정상 감마편차, 예컨대 2.2 감마에 따른 곡선이고, 제2감마커브(GMA)는 산출된 감마편차, 예컨대 2.7 감마에 따른 곡선이다. 또, 제1보상부(150)에 의해 검출된 특정 픽셀, 예컨대 제1픽셀(A1)은 제1휘도값(L1)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제1보상부(150)는 제2감마커브(GMA)로부터 특정 픽셀, 예컨대 제1픽셀(A1)의 제1휘도값(L1)과 이에 대응되는 제1계조레벨(G1), 예컨대 128계조레벨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 제1보상부(150)는 제1감마커브(GMA')로부터 제1픽셀(A1)의 제1계조레벨(G1)에 대응되는 휘도값, 즉 제2휘도값(L2)을 갖는 제2픽셀(A2)을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보상부(150)는 제2감마커브(GMA)로부터 제2픽셀(A2)의 제2휘도값(L2)에 대응되는 계조레벨, 즉 제2계조레벨(G2)을 추출할 수 있다. 제1보상부(150)는 제2감마커브(GMA)로부터 제2계조레벨(G2) 및 제2휘도값(L2)을 갖는 제3픽셀(A3)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보상부(150)는 제2감마커브(GMA)에 따라 제1계조레벨(G1) 및 제1휘도값(L1)을 갖는 특정 픽셀, 즉 제1픽셀(A1)을 제2계조레벨(G2) 및 제2휘도값(L2)을 갖는 제3픽셀로(A3)이 되도록 보상하는 제1보상데이터(LC1)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1보상데이터(LC1)는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하나의 제1영상신호(IS1)로부터 생성된 보상데이터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출력부(110)는 다수의 도트패턴신호(PS1)를 표시장치(200)로 출력하므로, 카메라(120)도 다수의 제1영상신호(IS1)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1보상부(150)는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제1영상신호(IS1) 각각에 대해 전처리, 특정 픽셀 위치검출, 휘도값 산출 및 보상데이터 생성을 수행하여 최종 제1보상데이터(LC1)를 생성할 수 있다. 최종 제1보상데이터(LC1)는 표시장치(200)의 128계조레벨에서 모든 픽셀에 대한 휘도편차를 보상하는 보상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최종 제1보상데이터(LC1)는 저주파 성분과 고주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상모듈(130)의 제2보상부(160)는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제2영상신호(IS2)로부터 표시장치(200)의 전 계조레벨, 예컨대 표시장치(200)의 0~255계조레벨에 대한 감마편차(GMA)를 산출할 수 있다(S50).
또, 제2보상부(160)는 산출된 감마편차(GMA)를 이용하여 표시장치(200)의 다수의 계조레벨, 예컨대 표시장치(200)의 32, 64, 128 및 192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 즉 제2보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60).
또, 제2보상부(160)는 제1보상데이터(LC1)와 제2보상데이터로부터 표시장치(200)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S70).
도 9는 제2보상부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제2보상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보상부(160)는 전처리부(161), 휘도값 산출부(163), 보상데이터 생성부(165) 및 데이터 합성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부(161)는 제2영상신호(IS2)를 전처리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제2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31). 전처리부(161)는 앞서 설명된 제1보상부(150)의 전처리부(151)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휘도값 산출부(163)는 노이즈가 제거된 제2영상신호로부터 표시장치(200)의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S132).
휘도값 산출부(163)는 표시장치(200)의 0, 32, 64, 128, 192 및 255계조레벨에 대한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휘도값 산출부(163)는 앞서 제1보상부(150)로부터 전체 특정 픽셀 위치정보(PM)를 제공받고, 이를 적용하여 표시장치(200)의 다수의 계조레벨 각각에 대해 특정 픽셀 전체에 대한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휘도값 산출부(163)는 다수의 계조레벨 각각에서 산출된 휘도값으로부터 표시장치(200)의 전체 계조레벨에 대한 감마편차(GMA)를 산출할 수 있다(S133). 휘도값 산출부(163)는 표시장치(200)의 6개의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값을 산출하고, 보간(interpolation)을 통해 산출된 6개의 계조레벨의 휘도값으로부터 표시장치(200)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감마편차(GMA)를 산출할 수 있다.
보상데이터 생성부(167)는 휘도값 산출부(163)에서 산출된 감마편차(GMA) 및 다수의 계조레벨의 휘도값으로부터 표시장치(200)의 다수의 계조레벨, 즉 0, 32, 64, 128, 192 및 255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를 보상하는 제2보상데이터(LC2)를 생성할 수 있다(S134).
도 11은 제2보상부의 제2보상데이터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제1감마커브(GMA')는 기존의 2.2 감마에 따른 감마편차 곡선이고, 제2감마커브(GMA)는 산출된 2.7 감마에 따른 감마편차 곡선이다. 또, 제1보상부(150)로부터 제공된 픽셀 위치정보(PM)에 따라 하나의 픽셀, 즉 제1픽셀(A1)은 제1휘도값(L1)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제2보상부(160)는 제2감마커브(GMA)로부터 특정 픽셀, 예컨대 제1픽셀(A1)의 제1휘도값(L1)과 이에 대응되는 제1계조레벨(G1), 예컨대 128계조레벨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 제2보상부(160)는 제1감마커브(GMA')로부터 제1픽셀(A1)의 제1계조레벨(G1)에 대응되는 휘도값, 즉 제2휘도값(L2)을 갖는 제2픽셀(A2)을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보상부(160)는 제2감마커브(GMA)로부터 제2픽셀(A2)의 제2휘도값(L2)에 대응되는 계조레벨, 즉 제2계조레벨(G2)을 추출할 수 있다. 제2보상부(160)는 제2감마커브(GMA)로부터 제2계조레벨(G2) 및 제2휘도값(L2)을 갖는 제3픽셀(A3)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보상부(150)는 제2감마커브(GMA)에 따라 제1계조레벨(G1) 및 제1휘도값(L1)을 갖는 하나의 픽셀, 즉 제1픽셀(A1)을 제2계조레벨(G2) 및 제2휘도값(L2)을 갖는 제3픽셀로(A3)이 되도록 보상하는 제2보상데이터(LC2)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2보상데이터(LC2)는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하나의 제2영상신호(IS2)로부터 생성된 보상데이터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출력부(110)가 다수의 그레이패턴신호(PS2)를 출력하므로, 카메라(120)도 다수의 제2영상신호(IS2)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2보상부(160)는 카메라(120)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제2영상신호(IS2) 각각에 대해 전처리, 휘도값 산출 및 보상데이터 생성을 수행하여 다수의 제2보상데이터(LC2)를 생성할 수 있다. 다수의 제2보상데이터(LC2)는 표시장치(200)의 0 및 255계조레벨을 제외한 나머지 계조레벨, 즉 32, 64, 128 및 192계조레벨에서 모든 픽셀에 대한 휘도편차를 보상하는 보상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제2보상데이터(LC2) 각각은 저주파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합성부(167)는 제1보상부(150)에서 생성된 제1보상데이터(LC1)와 제2보상부(160)에서 생성된 제2보상데이터(LC2)로부터 표시장치(200)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합성부(167)는 제1보상데이터(LC1)로부터 고주파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S135). 제1보상데이터(LC1)는 표시장치(200)의 128계조레벨에 대한 보상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합성부(167)는 추출된 제1보상데이터(LC1)의 고주파 성분에 게인 파라메터(gain parameter)를 적용하여 표시장치(200)의 다수의 계조레벨, 즉 32, 64 및 192계조레벨에 대한 고주파 성분을 생성할 수 있다. 게인 파라메터는 다수의 계조레벨마다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합성부(167)는 생성된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한 고주파 성분을 대응되는 다수의 제2보상데이터(LC2) 각각에 합성할 수 있다(S136). 이에 따라, 다수의 제2보상데이터(LC2) 각각은 저주파 성분과 고주파 성분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데이터 합성부(167)는 보간을 통해 다수의 제2보상데이터(LC2)로부터 표시장치(200)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생성할 수 있다(S137).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는 표시장치(200)로 출력되어 저장되고, 표시장치(200)는 저장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보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휘도편차 보상장치(100)는 표시장치(200)의 특정 계조레벨에서 쉬프트 되는 도트패턴을 이용하여 표시장치(200)의 모든 픽셀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시장치(200)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는 표시장치(200)의 감마특성, 즉 감마편차(GMA)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200) 별로 다른 감마특성을 고려하여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생성할 수 있고, 나아가 표시장치(200)의 위치별 다른 감마특성을 고려하여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휘도편차 보상장치(100)는 표시장치(200)의 감마편차(GMA)에 따라 전체 계조레벨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표시 얼룩에 의한 휘도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휘도편차 보상데이터(LC)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휘도편차 보상장치 110: 패턴출력부
120: 카메라 130: 보상모듈
140: 카메라 보상부 150: 제1보상부
160: 제2보상부 200: 표시장치

Claims (17)

  1. 표시장치로 도트패턴신호와 그레이패턴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는 패턴출력부;
    상기 표시장치의 전면을 촬영하여 상기 도트패턴신호에 의한 제1영상과 상기 그레이패턴신호에 의한 제2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하나의 계조레벨에 대한 제1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보상부; 및
    상기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감마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한 제2보상데이터를 생성하며, 제1보상데이터 및 제2보상데이터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보상부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패턴신호는 N*M(N, M은 자연수) 크기의 도트영역 내에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픽셀들 각각과 대응되는 다수의 도트들이 구비되되, 상기 다수의 도트들 중 제1도트는 특정 계조레벨을 갖는 다수의 도트패턴을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트는 128계조레벨을 갖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패턴신호는 상기 표시장치의 전체 픽셀이 다수의 계조레벨 중 하나를 갖도록 하는 그레이패턴을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상부는,
    상기 제1영상에서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
    노이즈가 제거된 제1영상에서 특정 픽셀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특정 픽셀의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레벨 산출부; 및
    상기 감마편차에 따라 상기 특정 픽셀의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제1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상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상부는,
    상기 제2영상에서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제2영상에서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값을 각각 산출하는 휘도레벨 산출부;
    상기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상기 감마편차를 산출하는 감마편차 산출부; 및
    상기 감마편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값 각각으로부터 제2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상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1보상데이터와 상기 제2보상데이터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상기 휘도편차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합성부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편차 산출부는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값을 보간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상기 감마편차를 산출하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합성부는 상기 제1보상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고주파 성분을 상기 제2보상데이터에 합성하여 상기 휘도편차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한 카메라 노이즈를 추출하는 카메라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장치.
  10. 카메라 노이즈를 추출하는 단계;
    표시장치에 표시된 도트패턴신호를 촬영한 제1영상에서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제1영상에서 특정 픽셀 휘도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그레이패턴신호를 촬영한 제2영상에서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제2영상에서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감마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감마편차에 따라 상기 특정 픽셀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하나의 계조레벨에 대한 제1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제2영상에서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계조레벨 휘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감마편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계조레벨 휘도값으로부터 제2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보상데이터와 상기 제2보상데이터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휘도편차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추출하는 단계는, 카메라의 렌즈를 가린 상태에서 촬영된 초기영상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추출하는 휘도편차 보상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패턴신호는 N*M(N, M은 자연수) 크기의 도트영역 내에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픽셀들 각각과 대응되는 다수의 도트들이 구비되되, 상기 다수의 도트들 중 제1도트는 특정 계조레벨을 갖는 다수의 도트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픽셀 휘도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트패턴신호의 상기 제1도트를 상기 도트영역 내에서 일 방향으로 쉬프트하며 다수의 도트패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도트패턴신호를 각각 촬영하여 다수의 제1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1영상 각각에서 ROI를 추출하고, 추출된 ROI로부터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노이즈가 제거된 다수의 제1영상 각각에서 상기 다수의 도트패턴신호 각각의 상기 제1도트와 대응되는 특정 픽셀의 위치를 검출하여 특정 픽셀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픽셀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다수의 제1영상 각각에서 상기 특정 픽셀 휘도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패턴신호는 상기 표시장치의 전체 픽셀이 다수의 계조레벨 중 하나를 갖도록 하는 그레이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감마편차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계조레벨에 대응되는 다수의 그레이패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그레이패턴신호를 각각 촬영하여 다수의 제2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제2영상 각각에서 ROI를 추출하고, 추출된 ROI로부터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노이즈가 제거된 다수의 제2영상 각각에서 상기 표시장치의 다수의 계조레벨 휘도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계조레벨 휘도값을 보간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상기 감마편차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산출된 상기 감마편차에서 상기 특정 픽셀 휘도값에 대응되는 제1계조레벨을 추출하는 단계;
    정상 감마편차에서 상기 제1계조레벨에 해당하는 픽셀의 제1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감마편차에서 상기 제1휘도값에 해당하는 픽셀의 제2계조레벨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감마편차로부터 상기 특정 픽셀 휘도값에 대응되는 제1계조레벨을 상기 제2계조레벨로 보상하는 상기 제1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산출된 상기 감마편차에서 하나의 픽셀의 휘도값에 대응되는 제1계조레벨을 추출하는 단계;
    정상 감마편차에서 상기 제1계조레벨에 해당하는 픽셀의 제1휘도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감마편차에서 상기 제1휘도값에 해당하는 픽셀의 제2계조레벨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감마편차로부터 상기 하나의 픽셀의 휘도값에 대응되는 제1계조레벨을 상기 제2계조레벨로 보상하는 상기 제2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편차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보상데이터로부터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고주파 성분에 상기 제2보상데이터에 대응되는 게인을 적용하여 상기 제2보상데이터의 고주파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보상데이터를 보간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전 계조레벨에 대한 상기 휘도편차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도편차 보상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추출한 후,
    상기 표시패널에 특정 계조레벨의 상기 그레이패턴신호를 출력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카메라 노이즈를 제거하여 백그라운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픽셀 휘도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백그라운드 영상에 따라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제1영상에서 상기 특정 픽셀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편차 보상방법.
KR1020140082641A 2014-07-02 2014-07-02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KR102153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641A KR102153567B1 (ko) 2014-07-02 2014-07-02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641A KR102153567B1 (ko) 2014-07-02 2014-07-02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36A true KR20160004136A (ko) 2016-01-12
KR102153567B1 KR102153567B1 (ko) 2020-09-08

Family

ID=5517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641A KR102153567B1 (ko) 2014-07-02 2014-07-02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013A (ko) * 2016-07-15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0388254B2 (en) 2016-11-23 2019-08-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luminance of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233A (ko) * 2006-02-0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씨씨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8985B1 (ko) * 2000-08-30 2008-09-17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광함수생성장치를 이용한 씸레스 타일 디스플레이 전자 교정 방법 및 씸레스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975025B1 (ko) * 2008-06-10 2010-08-11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전광판의 고화질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처리시스템
KR20120092982A (ko) * 2011-02-14 2012-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테이블 생성 시스템, 휘도 보상 테이블을 갖는 표시 장치 및 보상 테이블 생성방법
KR20140054750A (ko) * 2012-10-29 201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보정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85B1 (ko) * 2000-08-30 2008-09-17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광함수생성장치를 이용한 씸레스 타일 디스플레이 전자 교정 방법 및 씸레스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70079233A (ko) * 2006-02-0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씨씨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5025B1 (ko) * 2008-06-10 2010-08-11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전광판의 고화질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처리시스템
KR20120092982A (ko) * 2011-02-14 2012-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테이블 생성 시스템, 휘도 보상 테이블을 갖는 표시 장치 및 보상 테이블 생성방법
KR20140054750A (ko) * 2012-10-29 2014-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보정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보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013A (ko) * 2016-07-15 2018-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0388254B2 (en) 2016-11-23 2019-08-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luminance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567B1 (ko)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6654A1 (en) Method for detecting compensation parameters of brightness, method for compensating brightness,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compensation parameters of brightness, brightness compens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non-volatile storage medium
JP6278706B2 (ja) パターン位置検出方法、パターン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これらを用いた画質調整技術
JP6719579B2 (ja) ムラ現象の補償方法
US10015373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181881B1 (ko) 비전 검사 장치 및 이의 감마 및 얼룩 보정 방법
KR101165026B1 (ko) 화상 보정 데이터 생성 시스템, 화상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화상 보정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 및 화상 보정 회로
KR102542503B1 (ko)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2540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휘도 보정방법
TW201903750A (zh) 應用於顯示面板之光學補償裝置及其運作方法
US20140118558A1 (en) Image quality adjustment apparatus, image quality adjustment circuit, and display panel
KR20160026680A (ko) 휘도 보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시스템 및 휘도 보정 방법
KR20150050244A (ko) 표시장치의 얼룩 검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얼룩 보상 방법
KR102153567B1 (ko) 휘도편차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JP2020086409A (ja) ムラ補正データ生成方法及びムラ補正データ生成システム
JP2015115726A (ja) 輝度測定方法、輝度測定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画質調整技術
KR102282169B1 (ko) 얼룩 보상 장치 및 그를 가지는 평판 표시 장치의 화질 보상 장치
JP2007049496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2423234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휘도 보정 시스템
US20070092157A1 (en) Image acquir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80061511A (ko) 표시 결함 보상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4661651B2 (ja) 投写画像の位置調整方法
KR102184620B1 (ko) 액정표시장치의 보상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CN108830795B (zh) 去除图像检测过程中摩尔纹的方法
KR20200105459A (ko) 표시장치의 얼룩 보상 방법 및 및 장치
CN116848574A (zh) 不均校正数据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