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872U -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 Google Patents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872U
KR20160003872U KR2020150002815U KR20150002815U KR20160003872U KR 20160003872 U KR20160003872 U KR 20160003872U KR 2020150002815 U KR2020150002815 U KR 2020150002815U KR 20150002815 U KR20150002815 U KR 20150002815U KR 20160003872 U KR20160003872 U KR 20160003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preading
cover
pulling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우
이계왕
Original Assignee
(주)흥농원예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농원예자재 filed Critical (주)흥농원예자재
Priority to KR2020150002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872U/ko
Publication of KR20160003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버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를 위하여, 커버에 결합되거나 상기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가 펼쳐지는 방향인 펼침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펼침 와이어와, 상기 펼침 방향과 교차하는 견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가 각각 결합된 견인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가 상기 견인 와이어에 의해 견인될 때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와 각각 걸려 상기 펼침 와이어를 상기 견인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펼침 풀리를 포함하는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OPEN-COLSE DEVICE AND VINYL HOUSE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커버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작물의 속성재배를 위해 설치되는 비닐하우스는 온도를 높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큰 관건으로 이를 위해 비닐하우스에는 2중, 3중으로 비닐을 덮어 씌우고 온풍기까지 가동해 비닐하우스내의 온도를 한 여름처럼 높여 작물의 수확시기를 앞당겨서 고소득을 꾀하고 있다.
종래 농가에 설치되는 대형 비닐하우스는 보온을 위해 천창파이프가 1-2 중으로 설치되 비닐이 덮어 씌워지며 또한 2 중 천창파이프의 내측에 수평상의 중방파이프가 가로로 설치되고 그 위에 합성수지로 제작된 얇은 천을 수평상으로 덮어 씌워서 커텐을 구성해 비닐하우스내의 보온 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커텐을 친 상태에서도 겨울철에는 비닐하우스내의 기온이 작물의 성장온도 이하로 떨어져 온풍기를 가동해야 하는 실정이나 근래 기름값의 폭등으로 농민들에겐 크나큰 근심거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는 커버를 개방하는 와이어를 감을 때 헛돌아 모터 등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커버에 결합되거나 상기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가 펼쳐지는 방향인 펼침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펼침 와이어와, 상기 펼침 방향과 교차하는 견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가 각각 결합된 견인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가 상기 견인 와이어에 의해 견인될 때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와 각각 걸려 상기 펼침 와이어를 상기 견인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펼침 풀리를 포함하는 덮개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를 상기 견인 와이어에 고정 결합하는 결속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펼침 와이어 중 외측에 위치하되 견인 방향에 위치한 펼침 와이어는, 우회하여, 상기 펼침 방향을 따라 배치된 그 자신에서 상기 견인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견인 와이어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펼침 와이어 중 외측에 위치하되 견인 방향에 위치한 상기 펼침 와이어를 우회시키는 우회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펼침 방향과 상기 견인 방향은 상호 수직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내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를 덮을 수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전술한 덮개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40)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닐 하우스는 외부하우스, 내부하우스 및 덮개 개폐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하우스는 반 원통 형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외면에 비닐이 씌워짐으로써 일정한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동절기에도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내부 공간에서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하우스는 그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설치시 반원 형상을 갖는 다수의 외부프레임(11) 및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또 다른 다수의 외부프레임(11)의 조립에 의하여 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하우스는 외부하우스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외부 하우스와 연결되어 설치되거나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주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재배되는 농작물 측으로 일조가 가능하도록 하고, 야간에는 농작물의 보온을 위하여 그 상측에 커버(3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하우스는 그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설치시 반원 형상을 갖는 다수의 내부프레임(21) 및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또 다른 다수의 내부프레임(21)의 조립에 의하여 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는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프레임(50)은 내부하우스보다 높게 연장되며, 외부하우스보다 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주프레임(50)은 외부프레임(11)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는 내부하우스를 덮는 커버(30)와, 덮개 개폐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는 내부하우스의 보온을 위하여 내부하우스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커버(30)는 넓은 천, 부직포 또는 이들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30)는 펼쳐져 내부하우스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커버(30)는 말리거나 접혀 내부하우스의 상부에서 걷혀질 수 있다. 여기서 커버(30)는 후술하는 롤링 샤프트(490)에 결합되어 말리거나 펼쳐질 수 있다.
덮개 개폐장치(40)는 커버(30)를 펼치거나 걷을 수 있다. 구체적 덮개 개폐장치(40)는 펼침 와이어(410), 견인 와이어(420), 가이드부, 릴(447), 권취 구동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펼침 와이어(410)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커버(30)가 펼쳐지는 방향인 펼침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펼침 와이어(41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펼침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펼침 와이어(410)는 커버(3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펼침 와이어(410)는 커버(30)의 상면에 배치되거나 커버(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펼침 와이어(410)는 커버(30)와 함께 롤링 샤프트(490)에 감길 수 있다. 따라서 펼침 와이어(410)가 당겨짐에 따라, 커버(30)가 펼쳐질 수 있다. 이때, 펼침 와이어(410)는 롤링 샤프트(490)에 결속되거나 롤링 샤프트(490)의 인근의 커버(30)에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펼침 와이어(410)는 철 재질, 직물,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견인 와이어(420)는 펼침 방향과 교차하는 견인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견인 와이어(420)는 펼침 방향과 수직하거나 대략 수직한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견인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견인 와이어(420)가 펼침 와이어(410)를 당길 수 있는 방향이면 된다.
또한, 견인 와이어(420)는 복수의 펼침 와이어(41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펼침 와이어(410)의 일단은 견인 와이어(420)에 결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속 브라켓(460)은 펼침 와이어(410)를 견인 와이어(420)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펼침 와이어(410)가 손상되면, 결속 브라켓(460)을 풀러 손상된 펼침 와이어(410)만 교체하는 등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 브라켓(460)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속 브라켓(460)은 펼침 와이어(410)를 견인 와이어(420)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재질이면 무방하다.
펼침 와이어(410)의 타단은 롤링 샤프트(490)에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와이어(420)가 이동함에 따라, 펼침 와이어(410)는 견인 와이어(420)를 따라 이동하거나, 감긴 상태에서 펼쳐질 수 있다.
견인 와이어(420)와 펼침 와이어(410)는 상호 배치된 경로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견인 와이어(420)는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펼침 와이어(410)는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펼침 와이어(410)는 견인 와이어(420)에 의해 견인될 때 커버(30)와 함께 롤링 샤프트(490)에 감긴 상태에서 풀리기 위하여 -y축 방향으로 힘을 받을 필요가 있다. 이때, 받을 수 있다. 견인 와이어(420)는 x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펼침 풀리(430)가 구비될 수 있다.
펼침 풀리(430)는 펼침 와이어(410)가 걸릴(447)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펼침 풀리(430)는 펼침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펼침 와이어(410)의 경로를 견인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펼침 와이어(410)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펼침 풀리(430)는 견인 와이어(420)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펼침 풀리(430)는 지주프레임(50)을 감싸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50)에 설치되되 지주프레임(50)에 이격될 수 있다. 펼침 풀리(430)는 복수의 펼침 와이어(410)가 견인 와이어(420)에 의해 견인될 때, 복수의 펼침 와이어(410)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릴(447)은 견인 와이어(420)를 감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릴(447)은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원통의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휠은 감기는 견인 와이어(4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견인 와이어(42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릴(447)은 내부하우스와 외부하우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447)은 외부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프레임(2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견인 와이어(420)의 높이와 릴(447)의 높이가 차이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40)는 견인 와이어(420)가 걸려 견인 와이어(420)에 걸리는 장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견인 풀리(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견인 풀리(480)는 내부하우스와 릴(447) 사이에 구비되거나, 복수의 펼침 풀리(430) 중 릴(447)에 인접한 펼침 풀리(430)와 릴(447)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견인 풀리(480)는 외부프레임(11)에 결합되거나 지주프레임(50)에 결합될 수 있다.
권취 구동부(450)는 릴(447)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릴(44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취 구동부(45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일방향으로 릴(447)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4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펼침 와이어(410) 중 외측에 위치하되 견인 방향에 위치한 펼침 와이어(410)는 우회하여 견인 와이어(4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펼침 와이어(410) 중 외측에 위치하되 견인 방향에 위치한 펼침 와이어(410)는, 우회하여, 펼침 방향을 따라 배치된 그 자신보다, 견인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견인 와이어(42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펼침 와이어(410)는 견인 방향으로 갈수록 그 숫자가 적어지도록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방향으로 갈수록 제3와이어(413), 제2와이어(412), 제1와이어(411)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와이어(411)는 견인 풀리(480) 또는 릴(447)과 인접한 최외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411)는 견인됨에 따라 견인 풀리(480) 또는 릴(447)로 말려들어갈 수 있다. 이로 인해, 견인 풀리(480) 또는 릴(447)이 파손되거나 마찰에 의해 견인 와이어(420) 또는 제1와이어(411)가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와이어(411)는 우회하여 견인 풀리(480) 또는 릴(447)에서 먼 위치에서 견인 와이어(420)와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상대적으로 제3와이어(413)보다 외측에 위치한 제2와이어(412)도 우회하여 견인 와이어(4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40)는 펼침 와이어(410) 중 적어도 일부를 우회시키기 위하여 우회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우회 풀리는 외부프레임(11)에 설치되거나 지주프레임(5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펼침 와이어(410)가 우회하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와이어(411)의 일부는 우회하여 펼침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와이어(411)에서 견인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견인 와이어(420)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회 풀리는 견인 와이어(420)에서 펼침 방향의 반대방향(+y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우회 풀리(471)와, 제1우회 풀리(471)에서 견인 방향의 반대방향(-x 방향)으로 이격된 제2우회 풀리(47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우회 풀리는 필요에 따라 제3우회 풀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위치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와이어(411)는 제1우회 풀리(471)를 거쳐 제3와이어(413)까지 연장된 다음에 제2우회 풀리(472)를 거쳐 견인 와이어(420)에 결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와이어(411)가 제3와이어(413)까지 연장된 것은 예시일 뿐이며, 적당한 거리로 연당되면 충분하다.
이로 인해 제1와이어(411)는 견인 풀리(480)나 릴(447)에서 상당한 거리로 이격되어 견인 와이어(420)에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411)는 견인 풀리(480)나 릴(447)로 말려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제1와이어(411)뿐만 아니라 견인 풀리(480)나 릴(447)에 말릴 수 있는 제2와이어 등도 제1와이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우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우회 풀리는 제1우회 풀리(471) 및 제2우회 풀리(4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우회 풀리(471)는 펼침 방향으로 배치된 제1와이어와 견인 풀리(480) 사이에 배치되거나, 펼침 방향으로 배치된 제1와이어와 릴(44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우회 풀리(472)는 펼침 방향으로 배치된 제1와이어(411)에서 견인 방향의 반대방향(-x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와이어(411)는 펼침 풀리(430)를 거쳐 견인 와이어(420)에 바로 결속되지 않고, 제1우회 풀리(471) 및 제2우회 풀리(472)를 거쳐 견인 와이어(420)게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411)는 펼침 방향을 따라 배치된 그 자신(제1와이어(411))에서 ??x방향을 이격된 위치에서 견인 와이어(420)에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411)는 견인 풀리(480)나 릴(447)로 말려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제1와이어(411)뿐만 아니라 견인 풀리(480)나 릴(447)에 말릴 수 있는 제2와이어(412) 등도 제1와이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우회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개폐장치(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덮개 개폐장치(40)는 커버(30)를 펼치거나 걷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 개 개폐장치가 커버(30)를 펼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덮개 개폐장치(40)가 커버(30)를 걷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덮개 개폐장치(40)는 롤링 샤프트(490) 및 롤링 구동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링 샤프트(4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30)와 결합하며, 대략 x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의 일단은 자유단부이며, 타단은 롤링 샤프트(49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롤링 구동부(495)는 모터를 포함하며, 롤링 샤프트(490)를 회전시켜
롤링 구동부(495)는 모터를 포함하며 롤링 샤프트(490)를 회전시켜 롤링 샤프트(490)에 커버(30)를 말 수 있다. 이때, 롤링 구동부(495)는 롤링 샤프트(490)와 롤링 모터 사이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롤링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링 구동부(495)는 커버(30)를 말 때 롤링 모터의 동력을 롤링 샤프트(490)로 전달하지만, 커버(30)가 펴질 때에는 롤링 샤프트(490)와 롤링 모터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롤링 구동부(495)는 커버(30)를 말 때 펼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롤링 구동부(495)는 롤링 모터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샤프트(4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샤프트(497)는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며, 일단에 모터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샤프트(497)는 타단에 외부프레임(11) 또는 지주프레임(50) 또는 지주프레임(50)에 수평하게 설치된 수평프레임(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권취 구동부(450)는 릴을 휘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 개폐장치(40)는 릴(447)이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릴(447)과 연결되는 역회전 방지 드럼(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외부프레임 12: 내부프레임
30: 커버 40: 덮개 개폐장치
50: 지주프레임 410: 펼침 와이어
420: 견인 와이어 430: 펼침 풀리
440: 역회전 방지 드럼 450: 권취 구동부
460: 결속 브라켓 470: 우회 풀리
480: 견인 풀리 490: 롤링 샤프트
495: 롤링 구동부

Claims (6)

  1. 커버에 결합되거나 상기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가 펼쳐지는 방향인 펼침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펼침 와이어;
    상기 펼침 방향과 교차하는 견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가 각각 결합된 견인 와이어; 및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가 상기 견인 와이어에 의해 견인될 때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와 각각 걸려 상기 펼침 와이어를 상기 견인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펼침 풀리;
    를 포함하는, 덮개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펼침 와이어를 상기 견인 와이어에 고정 결합하는 결속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덮개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와이어 중 외측에 위치하되 견인 방향에 위치한 펼침 와이어는, 우회하여, 상기 펼침 방향을 따라 배치된 그 자신에서 상기 견인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견인 와이어와 결합하는, 덮개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와이어 중 외측에 위치하되 견인 방향에 위치한 상기 펼침 와이어를 우회시키는 우회 풀리를 더 포함하는, 덮개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방향과 상기 견인 방향은 상호 수직한, 덮개 개폐장치.
  6. 내부 하우스;
    상기 내부 하우스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덮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KR2020150002815U 2015-04-30 2015-04-30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KR201600038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15U KR20160003872U (ko) 2015-04-30 2015-04-30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15U KR20160003872U (ko) 2015-04-30 2015-04-30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72U true KR20160003872U (ko) 2016-11-09

Family

ID=5748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15U KR20160003872U (ko) 2015-04-30 2015-04-30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8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33A (ko) * 2020-10-16 2022-04-25 전정진 온실의 에너지절감 보온차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33A (ko) * 2020-10-16 2022-04-25 전정진 온실의 에너지절감 보온차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1447B2 (en) Covering mechanism for a cold frame
WO2014030285A1 (ja) 農業用ハウス
CN208129017U (zh) 一种用于温室大棚的遮阳驱动装置
CN102472080B (zh) 用于覆盖墙壁开口或窗户的卷绕装置
KR101360227B1 (ko) 온실용 무그림자형 보온커튼 개폐장치
KR20160003872U (ko) 덮개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KR101021936B1 (ko) 과수원 우박 피해 경감 시스템
KR20110054975A (ko) 우박 피해 방지 장치
EA014459B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защиты спортплощадок
KR101490496B1 (ko) 온실용 덮개 개폐장치
KR101284568B1 (ko) 작물재배용 시설하우스
KR101381885B1 (ko) 비닐하우스용 제설 및 보온장치
KR100747438B1 (ko) 터널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 시스템
KR101830570B1 (ko)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KR20170129563A (ko) 비닐하우스용 롤러가이드식 외부차광장치
KR200407385Y1 (ko) 로프를 사용한 온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WO2014016851A1 (en) A device to deploy rapidly and cover stadium and open space to collect rainfall
TWI636725B (zh) 溫室結構
KR200418388Y1 (ko)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
KR101298268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커텐 개폐장치
KR101385092B1 (ko) 온실용 커버 개폐장치
KR102362328B1 (ko) 비닐하우스용 온도 유지장치
TWM536463U (zh) 溫室結構
KR20020092512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JP2018068147A (ja) ビニールハウス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