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728U - 부유식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3728U KR20160003728U KR2020150002532U KR20150002532U KR20160003728U KR 20160003728 U KR20160003728 U KR 20160003728U KR 2020150002532 U KR2020150002532 U KR 2020150002532U KR 20150002532 U KR20150002532 U KR 20150002532U KR 20160003728 U KR20160003728 U KR 2016000372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oring
- mooring equipment
- floating
- equipment
- hu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06—Boll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4—Quick release elements in mooring conn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계류장비의 하단에 해당 계류장비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일련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계류장비의 위치가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의 사이즈에 따라, 융통성 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 계류장비의 배치 개수를 무모하게 늘리는 등의 불합리한 조치 없이도,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을 탄력적으로 선체 주변에 계류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류장비의 하단에 해당 계류장비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일련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계류장비의 위치가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의 사이즈에 따라, 융통성 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 계류장비의 배치 개수를 무모하게 늘리는 등의 불합리한 조치 없이도,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을 탄력적으로 선체 주변에 계류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은 각종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여러 분야에 걸쳐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8-111463호(명칭: LNG의 선상 재 기화)(2008.12.23.자 공개)에는 <LN G의 선상 재 기화를 위한 방법>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 제10-1018742호(명칭: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 기화 설비)(2011.3.4.자 공고)에는 <해상에 설치되는 잭업 플랫폼 위에 모듈화된 엘엔지 재 기화 설비를 함으로써, 엘엔지선에 재 기화 설비를 설치하거나 육상에 재 기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 및 운전비용이나 제작시간을 절감하고 보다 안전하게 엘엔지를 재 기화 할 수 있는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 기화 설비>가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선체(1a)에는 자원(예컨대, LNG)를 저장하기 위한 대 규모 저장공간은 물론, 저장되어 있던 자원(예컨대, LNG)를 가공처리(예컨대, 재 기화)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장비들이 추가로 배치되며, 이 상황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1)에 의해 생산 및 저장되어 있던 각종 자원(예컨대, LNG)은 자원운반선박(2)에 의해 여러 필요 처로 분산되어 운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때, 자원운반선박(2)은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주변에서 일정시간 부유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주변의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 자원운반선박(2)을 어떻게 하면 안정적으로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주변에 계류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가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사안을 고려하여, 종래 에서는 부유식 해상구조물(1) 측 선체(1a)의 일부, 예컨대, 탑 데크(Top deck), 헐 공간(Hull space), 터릿(Turret) 등에 페어리드(3a)(Fairlead), QRH(3b)(Quick Release Hook), 비트(3c)(BIT) 등과 같은 각종 계류장비(3)를 배치하고, 이 계류장비(3)와 연계된 계류라인(4)을 통해, 자원운반선박(2)의 안정적인 계류를 유도함으로써, 부유식 해상구조뮬(1)의 품질향상을 좀더 폭 넓게 도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2-30059호(명칭: 근해 구조물 및 계류 장치)(2012.3.27.자 공개)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계류장비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자원운반선박(2)은 그 특징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주변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2)이 수시로 교체되어 계류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자원운반선박(2)의 사이즈에 따라, 계류장비(3)의 위치를 융통성 있게 바꾸어야할 국면에 수시로 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계류장비(3)는 미리 정해진 특정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2)에만 초점을 맞추어 고정 설치되는 지극히 경직된 구조를 무모하게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 하에서,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2)을 탄력적으로 계류시키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상황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어쩔 수 없이, 각기 다른 여러 자원운반선박(2)의 개별 사이즈에 맞추어 계류장비(3)의 배치 개수를 무모하게 늘릴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각종 물적/인적 손실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계류장비의 하단에 해당 계류장비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일련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계류장비의 위치가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의 사이즈에 따라, 융통성 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 계류장비의 배치 개수를 무모하게 늘리는 등의 불합리한 조치 없이도,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을 탄력적으로 선체 주변에 계류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일부에 배치되며, 계류라인을 통해, 상기 선체 주변에 위치한 자원운반선박을 계류시키는 계류장비와; 상기 계류장비의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계류장비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서는 계류장비의 하단에 해당 계류장비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일련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을 추가 설치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구현환경 하에서, 계류장비의 위치는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의 사이즈에 따라, 융통성 있게 변형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계류장비의 배치 개수를 무모하게 늘리는 등의 불합리한 조치 없이도,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을 탄력적으로 선체 주변에 계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제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선체(11a)에는 자원(예컨대, LNG)를 저장하기 위한 대 규모 저장공간은 물론, 저장되어 있던 자원(예컨대, LNG)를 가공처리(예컨대, 재 기화)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장비들이 추가로 배치되며, 이 상황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11)에 의해 생산 및 저장되어 있던 각종 자원(예컨대, LNG)은 자원운반선박(12)에 의해 여러 필요 처로 분산되어 운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때, 자원운반선박(12)은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주변에서 일정시간 부유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주변의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 자원운반선박(12)을 어떻게 하면 안정적으로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주변에 계류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가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사안을 고려하여, 본 고안에서는 부유식 해상구조물(11) 측 선체(11a)의 일부, 예컨대, 탑 데크(Top deck), 헐 공간(Hull space), 터릿(Turret) 등에 페어리드(13a)(Fairlead), QRH(13b)(Quick Release Hook), 비트(13c)(BIT) 등과 같은 각종 계류장비(13)를 배치하고, 이 계류장비(13)와 연계된 계류라인(14)을 통해, 자원운반선박(12)의 안정적인 계류를 유도함으로써, 부유식 해상구조뮬(11)의 품질향상을 좀더 폭 넓게 도모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체제 하에서도, 자원운반선박(12)은 그 특징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주변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12)이 수시로 교체되어 계류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자원운반선박(12)의 사이즈에 따라, 계류장비(13)의 위치를 융통성 있게 바꾸어야할 국면에 수시로 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고안에서는 계류장비(13)의 일부, 예컨대, 계류장비(13)의 하단에 해당 계류장비(13)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예컨대, 레일 형상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러한 조치에 따라서, 본 고안의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은 선체(11a)와, 상기 선체(11a)의 일부에 배치되며, 계류라인(14)을 통해, 상기 선체(11a) 주변에 위치한 자원운반선박(12)을 계류시키는 계류장비(13)와, 상기 계류장비(13)의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계류장비(13)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비(13)는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 측에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계류장비(13) 및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의 접촉면에는 브레이크 패드(30)가 추가 배치됨으로써,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을 따라 좌우 이동 중이던 계류장비(13)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적정 위치에 효과적으로 멈추어 설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고유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은 계류장비(13)의 종류에 따라 각기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서, 예를 들어, 페어리드(13a)(Fairlead)의 하단에는 해당 페어리드(13a)의 좌우 이동을 전담 가이드 할 수 있는 레일 형상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a)이 독립적으로 추가 설치되며, QRH(13b)(Quick Release Hook)의 하단에도 해당 QRH(13b)의 좌우 이동을 전담 가이드 할 수 있는 레일 형상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b)이 독립적으로 추가 설치되고, 나아가, 비트(13c)(BIT)의 하단에도 해당 비트(13c)의 좌우 이동을 전담 가이드 할 수 있는 레일 형상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c)이 독립적으로 추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예를 들어,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12)이 A 사이즈를 가지게 되는 경우,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그 즉시, 해당 사이즈에 맞추어, <페어리드(13a)(Fairlead)를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a)을 따라, 좌우 위치변화 시키는 조치>, <QRH(13b)(Quick Release Hook)를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b)을 따라, 좌우 위치변화 시키는 조치>, <비트(13c)(BIT)를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c)을 따라, 좌우 위치변화 시키는 조치> 등을 강구하면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계류라인(14)을 통해, A 사이즈의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12)를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주변에 융통성 있게 계류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12)이 B 사이즈를 가지게 되는 경우에도,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그 즉시, 해당 사이즈에 맞추어, <페어리드(13a)(Fairlead)를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a)을 따라, 좌우 위치변화 시키는 조치>, <QRH(13b)(Quick Release Hook)를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b)을 따라, 좌우 위치변화 시키는 조치>, <비트(13c)(BIT)를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c)을 따라, 좌우 위치변화 시키는 조치> 등을 강구하면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계류라인(14)을 통해, B 사이즈의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12)를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주변에 융통성 있게 계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계류장비(13)의 하단에 해당 계류장비(13)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일련의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을 추가 설치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구현환경 하에서, 계류장비(13)의 위치는 계류대상 자원운반선박(12)의 사이즈에 따라, 융통성 있게 변형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계류장비(13)의 배치 개수를 무모하게 늘리는 등의 불합리한 조치 없이도,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12)을 탄력적으로 선체(11a) 주변에 계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서는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을 설치할 때,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탑승 중인 선원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해당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20c)을 움푹 패인 홈 영역에 설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취하고, 이를 통해, 이동 중인 선원의 안전을 꾀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계류장비(13)의 배치 개수를 무모하게 늘리는 등의 불합리한 조치 없이도, 다양한 사이즈의 자원운반선박(12)을 탄력적으로 선체(11a) 주변에 계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계류장비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1: 부유식 해상구조물 2,12: 자원운반선박
3,13: 계류장비 4,14: 계류라인
20: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
3,13: 계류장비 4,14: 계류라인
20: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
Claims (2)
- 선체와;
상기 선체의 일부에 배치되며, 계류라인을 통해, 상기 선체 주변에 위치한 자원운반선박을 계류시키는 계류장비와;
상기 계류장비의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계류장비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비 이동 가이드라인은 상기 계류장비의 종류에 따라 각기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532U KR20160003728U (ko) | 2015-04-20 | 2015-04-20 | 부유식 해상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532U KR20160003728U (ko) | 2015-04-20 | 2015-04-20 | 부유식 해상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728U true KR20160003728U (ko) | 2016-10-28 |
Family
ID=5723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2532U KR20160003728U (ko) | 2015-04-20 | 2015-04-20 | 부유식 해상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3728U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11463A (ko) | 2006-03-15 | 2008-12-23 | 우드사이드 에너지 리미티드 | Lng의 선상 재기화 |
KR101018742B1 (ko) | 2010-12-30 | 2011-03-04 | 삼성물산 주식회사 |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기화 설비 |
KR20120030059A (ko) | 2009-05-26 | 2012-03-27 |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 근해 구조물 및 계류 장치 |
-
2015
- 2015-04-20 KR KR2020150002532U patent/KR2016000372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11463A (ko) | 2006-03-15 | 2008-12-23 | 우드사이드 에너지 리미티드 | Lng의 선상 재기화 |
KR20120030059A (ko) | 2009-05-26 | 2012-03-27 |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 근해 구조물 및 계류 장치 |
KR101018742B1 (ko) | 2010-12-30 | 2011-03-04 | 삼성물산 주식회사 |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기화 설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32796B2 (en) | Transfer structure, a transfer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ferring LNG and/or electric power | |
MY172125A (en) | Floating lng plant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converted lng carrier and a method for obtaining the floating lng plant | |
CN107067820A (zh) | 一种基于航道与泊位资源的船舶调度优化方法 | |
MY191122A (en) | 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roge and/or processing plant,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ull, vessel comprising such a vessel hull, as well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aving such a vessel hull | |
Schelfn et al. | The vessel in port: Mooring problems | |
KR20120030059A (ko) | 근해 구조물 및 계류 장치 | |
Kołakowski et al. | Ships-To-Ship Magnetic Mooring Systems-The New Perspectives. | |
KR20160003728U (ko) | 부유식 해상구조물 | |
KR101938918B1 (ko) |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 |
Kim et al. | A ship-to-ship automatic docking system for ocean cargo transfer | |
KR20210051841A (ko) | 무인 예인장치 | |
KR20130032168A (ko) | 해양 구조물의 탄뎀하역 장치의 충돌방지 시스템 | |
KR200434344Y1 (ko) | 선박의 라이저 파이프 설치구조 | |
KR101952978B1 (ko) | 부유식 해상구조물 | |
CN205381370U (zh) | Lng船舶甲板护舷平台 | |
CN110077545A (zh) | 一种可伸缩式减摇装置 | |
NL2019989B1 (en) | Ship to ship or ship to shore moor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oring as well as a mooring vessel | |
KR102443625B1 (ko) | 액화 천연 가스의 나란한 배열 하역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
Buchner et al. | The behaviour of tugs in waves assisting LNG carriers during berthing along offshore LNG terminals | |
Malinetsky et al. | Robotic solutions for Arctic transit corridor cargo autonomous undersea vehicles | |
KR101894298B1 (ko) |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 |
KR20130054524A (ko) | 상대운동감소장치 | |
Zhao et al. | Investigation on the Hydrodynamic Performance of a FLNG in South China Sea | |
Díaz-Ruiz-navamuel et al. | Commercial maritime ports with innovative mooring technology | |
Barclay et al. | Berth Mooring Influenced by Passing Effect of Ships in a River Chan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