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698U - 코어시료 보관상자 - Google Patents

코어시료 보관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698U
KR20160003698U KR2020150002466U KR20150002466U KR20160003698U KR 20160003698 U KR20160003698 U KR 20160003698U KR 2020150002466 U KR2020150002466 U KR 2020150002466U KR 20150002466 U KR20150002466 U KR 20150002466U KR 20160003698 U KR20160003698 U KR 201600036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re sample
box part
lid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497Y1 (ko
Inventor
안달용
Original Assignee
(주)보링앤코어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링앤코어박스 filed Critical (주)보링앤코어박스
Priority to KR2020150002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49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상자부를 통하여 코어시료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상자부를 밀폐시켜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코어시료가 안착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각 테두리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며, 양측 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된 상자부 및 상기 상자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어시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상자부의 내부를 구획하여 보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어시료 보관상자 {Core sample storage box}
본 고안은 시추용 코어시료를 보관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어시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 및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이나 퇴적층에 시추공을 형성하여 토양 및 암석 등의 코어시료를 채취한 후, 채취된 코어시료를 통해 그 지역의 지질 구조와 같은 지반 및 퇴적층의 형태, 토양의 성분 및 특성 등의 지질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채취된 토양 코어시료는 토목공사에서 설계를 위한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되거나, 지질의 연대, 지질시대 및 퇴적환경 등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자료를 얻기 위해, 토양 코어시료는 현장에서 채취되어 실험실 등에서 대부분의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채취된 토양 코어시료가 실험실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외부 환경에 의해 코어시료의 변형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토양 코어시료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코어시료 내부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여 토양 코어시료의 특성이 변화될 수 있고, 운반도중 마찰로 인하여 코어시료의 교란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토양 코어시료의 변형에 의해 지층의 정확한 특성을 평가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평가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사각틀 형상으로 내부에 칸막이가 구비된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이용하여 코어시료를 이송시켰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10)는 사각틀 형상의 상자부(11)와, 상자부(11)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코어시료 보관상자(10)의 상자부(11)는 나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자부(11)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조되어, 동일 종류 및 일정한 크기의 코어시료(1)를 보관하거나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자부(11) 및 칸막이(12)는 각각 제조되어, 나사 못(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코어시료 보관상자(10)는 나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고, 나사 못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한번 사용하고 버려져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칸막이(11)가 상자에 고정되어 보관 공간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보관 공간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상자부를 이용함에 따라 조사 및 실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된 토양 코어시료(1)를 별도의 장소로 운반하는데 용이하게 할 수는 있지만, 운반 도중 또는 장기간 토양 코어시료(1)를 상자부(11)에 보관하는 경우, 상자부(11)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어서 토양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고 이로 인하여 토양의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상자부를 통하여 코어시료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상자부를 밀폐시켜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코어시료가 안착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각 테두리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며, 양측 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된 상자부 및 상기 상자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어시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상자부의 내부를 구획하여 보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자부 및 칸막이부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자부의 받침대 및 격벽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대로부터 격벽을 수직하게 접는 구조에 의해 상자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칸막이부는 일자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움 고정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자부의 받침대에는 보조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보조 결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는 단면이‘ㄷ’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코어시료가 놓이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으로 절곡 형성된 구획판, 그리고 상기 각 구획판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ㄷ’ 형상의 칸막이부는 각각 제조되어 상자부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제조되어 상자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자부에는 상기 상자부에 보관되는 상기 코어시료의 채취 깊이를 기록하기 위한 표찰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찰부는 상기 각 칸막이부 중 어느 한 곳에 삽입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표찰부재, 그리고 상기 표찰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각 구획판 사이에 끼움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자부에는 상기 상자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자부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강도 보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상자부의 받침대에 설치되되, 상기 코어시료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의 양끝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자부의 양측 격벽에 밀착 설치되는 절곡부, 그리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상자부의 받침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보강 프레임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자부의 받침대 외부측에는 상기 상자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강도 보강부의 보강 프레임과 볼팅 결합에 의해 상자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자부의 상측에는 상기 상자부를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덮개를 가진 덮개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자부 및 덮개부에는 상기 상자부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자부의 격벽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제1 손잡이 및 상기 덮개의 양측에 상기 제1 손잡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에는 일단은 상기 덮개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자부의 일측 격벽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를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자부의 받침대에는 상기 상자부 내부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물고임 방지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는 착탈 가능한 칸막이부가 설치됨에 따라 하나의 코어시료 보관상자 내에서 코어시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자부 내부에 강도 보강부가 제공된 것에 상자부의 내구성이 증가하여 코어시료의 하중에 의해 상자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이격부재 및 손잡이부가 제공된 것에 의해 지면에 대해 상자부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상자부를 용이하게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자부 상부에 덮개부가 제공된 것에 의해 코어시료가 밀폐된 상태로 수납되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여 변형 없이 장기간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자부에 물고임 방지홀이 형성된 것에 의해 상자부 내부에 빗물 등이 유입되어도 바로 배출시킬 수 있어 코어시료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자부의 받침대와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접는 구조에 의해 상자부를 제조함과 더불어 칸막이부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별도의 나사 못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버려지지 않고 분해해 재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어 이에 따라 환경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자부에 표찰부가 구비된 것에 의해 코어시료의 채취 깊이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강도 보강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부와 이격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덮개부가 설치된 상태의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강도 보강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부와 이격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에 덮개부가 설치된 상태의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100)는 크게 상자부(110) 및 칸막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자부(110)는 지반 및 암석으로부터 시추공을 통해 채취한 코어시료(1)를 보관하도록 제공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자부(110)는 코어시료(1)가 내부에 보관된 상태에서 코어시료(1)를 필요한 곳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송시키거나 코어시료(1)를 장기간 보관할 때 안전하게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자부(110)는 직사각형 형상의 받침대(111)와, 받침대(111)의 상면에 놓이는 코어시료(1)를 보호하기 위해 받침대(111)의 각 테두리에 수직으로 돌출된 격벽(112)을 포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자부(110) 및 칸막이부(120)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고, 상자부(110)의 받침대(111) 및 격벽(112)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대로(111)부터 격벽을 수직(112)하게 접는 구조에 의해 상자부(110)가 형성한 것이 제시한다. 이에 따라 코어시료 보관상자(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해해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격벽(112) 중 상호 대응되는 양측 격벽(112)에는 후술하는 칸막이부(120)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113)이 형성되고, 결합홈(113)은 칸막이부(120)가 코어시료(1)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상자부(110) 내부를 구획할 수 있도록 격벽(11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부(120)는 상자부(1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코어시료(1)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각각 보관할 수 있도록 상자부(110)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부(120)는 일자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구획판(121)과, 구획판(12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홈(11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22)를 포함한다.
이때, 구획판(121)은 코어시료(1)의 종류 및 크기에 맞게 구획판(121)에 형성된 결합돌기(122)를 격벽(112)에 형성된 결합홈(113) 중 어느 한 결합홈(113)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상자부(110) 내부 영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는 보조 결합홈(114)이 형성되고, 구획판(121)의 하단부에는 보조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되는 보조 결합돌기(1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자부(110)에 각 구획판(121)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부(120)의 다른 실시예로, 칸막이부(120)는 단면이‘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어시료(1)가 놓이는 받침판(124)과, 받침판(124)의 양측으로 절곡 형성된 구획판(121), 그리고 각 구획판(121)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홈(11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22)를 포함한다.
즉, 단면이‘ㄷ’형상으로 형성된 칸막이부(120)는 구획판(121)이 이중으로 겹치는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통해 코어시료(1)를 더욱 안정된 상태로 상자부(11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ㄷ’형상의 칸막이부(120)는 각각 제조되어 상자부(110)에 설치되는 것이 제시되었지만, ‘ㄷ’형상의 칸막이부(120)를 다수개가 결합된 상태의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상자부(110)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칸막이부(120)는 그 단면이‘ㄴ’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어시료(1)가 놓이는 받침대(111)와, 받침대(111)의 일측에만 돌출 형성된 구획판(121)으로 이루어진 구조로도 제조될 있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부(110)에는 상자부(110)에 보관되는 코어시료(1)의 채취 깊이를 기록하기 위한 표찰부(170)가 더 포함된 것이 제시되며, 이러한 표찰부(170)는 지지부재(171)와, 표찰부재(172), 그리고 한쌍의 고정부재(172)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재(171)는 상자부(110)에 설치되는 각 칸막이부(12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코어시료(1)가 놓이는 끝단을 표시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표시부재(172)는 지지부(171)의 일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코어시료(1)의 위치 및 깊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부재(173)는 표찰부재(172)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칸박이부(120)의 각 구획판(121) 사이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표찰부(170)를 칸막이부(1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토양 및 암석 등에서 코어시료(1) 채취 시 코어시료(1)의 채취 깊이 및 위치 정보를 기록해야만 한다. 이때 표찰부(170)는 채취되어 상자부(110)에 보관된 코어시료(1)의 채취 깊이 및 위치 정보를 표찰부(170)의 표찰부재(172)에 기록하여 사용자가 어느 위치의 어느 정도 깊이에서 채취된 코어시료(1)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부(110)에는 상자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자부(110)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강도 보강부(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어시료(1)를 상자부(110)에 보관하여 이송할 경우 코어시료(1)의 하중에 의해 상자부(110)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코어시료(1)가 불안정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자부(110)내부에 강도 보강부(130)가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강도 보강부(130)는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 설치되되, 코어시료(1)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어 코어시료(1)를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131)과, 보강 프레임(131)의 양끝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자부(110)의 양측 격벽(112)에 밀착 설치되는 절곡부(132), 그리고 보강 프레임(131)을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보강 프레임(131)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133)을 포함한다.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의 외부측에는 상자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운반자가 코어시료(1)가 보관된 상자부(110)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이송할 경우, 코어시료(1)의 무게로 인해 상자부(110)를 파지하기가 쉽지 않다. 이때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격부재(140)가 설치된 것에 의해 상자부(110)를 손쉽게 파지하여 들어 올려 이송 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재(140)는 강도 보강부(130)의 보강 프레임(131)과 일체로 상자부(110)에 고정된 것을 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강 프레임(131)과 이격부재(140)는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강 프레임(131)에 형성된 관통홀(133)을 통하여 볼팅 체결됨으로써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 보강 프레임(131)과 이격부재(140)가 일체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이격부재(140)를 상자부(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시료 보관상자(1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부(110)의 상측에는 상자부(110)를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덮개(151)를 가진 덮개부(150)를 더 포함한다.
즉, 덮개부(150)는 덮개(151)를 통하여 상자부(110) 내부에 보관된 코어시료(1)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안전하게 보관 및 이송시키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이때, 덮개부(150)에는 일단은 덮개(15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자부(110)의 일측 격벽(112)에 연결되어, 덮개(151)를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첩부(152)를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50)의 일예로, 덮개부(150)는 하나의 덮개(151)를 통해 상자부(110)를 덮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제시된다. 즉, 덮개(151)는 덮개 내부에 상자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자부(11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50)의 다른 예로, 덮개부(150)는 하나의 덮개(151)와, 덮개(151)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덮개(151) 일측에 경첩부(152)가 설치된 것이 제시된다. 즉, 덮개(151)는 경첩부(152)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자부(11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50)의 또 다른 예로, 덮개부(150)는 한쌍의 덮개(151)와, 덮개(151)의 각각의 덮개(151)가 양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경첩부(152)가 각각 설치된 것이 제시된다. 즉, 덮개부(150)는 각 경첩부(152)에 의해 두 개의 덮개(151)가 중심으로부터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자부(11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자부(110) 및 덮개부(150)에는 상자부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80)가 더 포함된 것이 제시된다.
이때, 손잡이부(180)는 상자부(110)의 격벽(112)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제1 손잡이(181) 및 덮개(151)의 양측에 제1 손잡이(18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제2 손잡이(182)를 포함한다. 즉, 상자부(110) 및 덮개부(150)에 손잡이부(180)가 형성된 것에 의해 상자부(110) 및 덮개(151)로 밀폐된 코어시료 보관상자(1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자부(100)의 받침대(111)에는 상자부(110) 내부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물고임 방지홀(160)이 더 형성된 것이 제시된다. 즉, 물고임 방지홀(160)은 상자부(100) 내부에 코어시료(1)가 보관된 상태에서 우천 작업 시 빗물 등과 같은 유체가 유입될 경우, 상자부 외부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자부(110) 내부에 유체가 고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유입된 유체에 의해 코어시료(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코어시료 보관상자 110: 상자부
111: 받침대 112: 격벽
113: 결합홈 114: 보조 결합홈
120: 칸막이부 121: 구획판
122: 결합돌기 123: 보조 결합돌기
124: 받침판 130: 강도 보강부
131: 보강프레임 132: 절곡부
133: 관통홀 140: 이격부재
150: 덮개부 151: 덮개
152: 경첩부 160: 물고임 방지홀
170: 표찰부 171: 지지부재
172: 표찰부재 173: 고정부재
180: 손잡이부 181: 제1 손잡이
182: 제2 손잡이

Claims (16)

  1. 내부에 코어시료(1)가 안착되는 받침대(111)와, 상기 받침대(111)의 각 테두리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격벽(112)을 포함하며, 양측 격벽(112)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13)이 마련된 상자부(110); 및
    상기 상자부(1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어시료(1)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상자부(110)의 내부를 구획하여 보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110) 및 칸막이부(120)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자부(110)의 받침대(111) 및 격벽(112)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대로(111)부터 격벽을 수직(112)하게 접는 구조에 의해 상자부(1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120)는
    일자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구획판(121); 및
    상기 구획판(121)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13)에 끼움 고정되는 결합돌기(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는 보조 결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121)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조 결합홈(114)에 끼움 결합되는 보조 결합돌기(12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120)는 단면이‘ㄷ’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코어시료(1)가 놓이는 받침판(124);
    상기 받침판(124)의 양측으로 절곡 형성된 구획판(121); 그리고,
    상기 각 구획판(121)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1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ㄷ’ 형상의 칸막이부(120)는 각각 제조되어 상자부(110)에 설치되거나 일체로 제조되어 상자부(1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110)에는
    상기 상자부(110)에 보관되는 상기 코어시료(1)의 채취 깊이 및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표찰부(17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찰부(170)는
    상기 각 칸막이부(120) 중 어느 한 곳에 삽입 설치되는 지지부재(171);
    상기 지지부재(171)의 일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표찰부재(172); 그리고,
    상기 표찰부재(172)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각 구획판 사이(112)에 끼움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재(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110)에는
    상기 상자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자부(110)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강도 보강부(13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130)는
    상기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 설치되되, 상기 코어시료(1)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 프레임(131);
    상기 보강 프레임(131)의 양끝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자부(110)의 양측 격벽에 밀착 설치되는 절곡부(132); 그리고,
    상기 보강 프레임(131)을 상기 상자부(110) 받침대(111)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보강 프레임(131) 상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110)의 받침대(111) 외부측에는
    상기 상자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1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140)는 상기 강도 보강부(130)의 보강 프레임(131)과 볼팅 결합에 의해 상자부(11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110)의 상측에는
    상기 상자부(110)를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덮개(151)를 가진 덮개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110) 및 덮개부(150)에는
    상기 상자부(110)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8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80)는
    상기 상자부(110)의 격벽(112)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제1 손잡이(181) 및 상기 덮개부(150)의 덮개(151)의 양측에 상기 제1 손잡이(18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제2 손잡이(1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50)에는
    일단은 상기 덮개(15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자부(110)의 일측 격벽(112)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151)를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첩부(1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110)의 받침대(111)에는
    상기 상자부(110) 내부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물고임 방지홀(16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시료 보관상자.
KR2020150002466U 2015-04-16 2015-04-16 코어시료 보관상자 KR200482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66U KR200482497Y1 (ko) 2015-04-16 2015-04-16 코어시료 보관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66U KR200482497Y1 (ko) 2015-04-16 2015-04-16 코어시료 보관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98U true KR20160003698U (ko) 2016-10-26
KR200482497Y1 KR200482497Y1 (ko) 2017-02-13

Family

ID=5723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66U KR200482497Y1 (ko) 2015-04-16 2015-04-16 코어시료 보관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4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83326A (zh) * 2024-04-26 2024-05-28 天泓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耕地土壤检测的样品暂存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745A (ja) * 2002-04-19 2003-11-06 I Develop Consultants:Kk コア収納箱
KR200420395Y1 (ko) * 2006-04-10 2006-07-04 박영인 어류 보관용 케이스
KR20110002494U (ko) * 2009-09-04 2011-03-10 (주)우신특수포장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KR101029862B1 (ko) * 2009-11-10 2011-04-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말목이 구비된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745A (ja) * 2002-04-19 2003-11-06 I Develop Consultants:Kk コア収納箱
KR200420395Y1 (ko) * 2006-04-10 2006-07-04 박영인 어류 보관용 케이스
KR20110002494U (ko) * 2009-09-04 2011-03-10 (주)우신특수포장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KR101029862B1 (ko) * 2009-11-10 2011-04-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말목이 구비된 시추용 코어시료 보관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83326A (zh) * 2024-04-26 2024-05-28 天泓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耕地土壤检测的样品暂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497Y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02328A1 (en) Storage insert for travel suitcase
US8991134B2 (en) Reconfigured modular building unit and method
CN207748202U (zh) 一种岩芯储存装置
AU2014300904B2 (en) Enclosur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US20170303421A1 (en) Enclosure Mounting System
AU2010201733A1 (en) Drill Core Sample Storage Container with Stake
US9688214B1 (en) Attachment for a toolbox
US4122944A (en) Tool box
AU2010200897B2 (en) Soil Core Sample Storage Container for Visual Inspection with the Naked Eye
KR200482497Y1 (ko) 코어시료 보관상자
FR2572761A1 (fr) Dispositif articule de rangement permettant d'utiliser la partie superieure d'un volume
CN109625556A (zh) 一种用于岩土工程勘探的土样保存箱
CN104176384A (zh) 一种岩心箱
US11084514B2 (en) Semipermanent wheelbarrow enclosure
CN106697582A (zh) 一种气囊组合式多功能岩心箱
JP3610344B2 (ja) コア収納箱
US4429929A (en) Portable tube holder
US20190169949A1 (en) Modular storage box system for storing core samples
KR20110006939A (ko) 분리책용 시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분리책
AU2017213436B2 (en) Equipment housing assembly
CN204124583U (zh) 一种岩心箱
WO2008072943A1 (es) Caja núcleo para transportar o almacenar materiales minerales y muestras de roca con un dispositivo de seguro o sin seguro, candado o broche tipo cincho lateral en la base de la misma
KR200197086Y1 (ko) 피스톤 샘플러의 시료교란 방지장치
AU2014203321A1 (en) Document Storage Device
KR200456358Y1 (ko) 휴대용 검색장비의 액체 유기물 점검용 시편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