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582U -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582U
KR20160003582U KR2020150002227U KR20150002227U KR20160003582U KR 20160003582 U KR20160003582 U KR 20160003582U KR 2020150002227 U KR2020150002227 U KR 2020150002227U KR 20150002227 U KR20150002227 U KR 20150002227U KR 20160003582 U KR20160003582 U KR 201600035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rame
case
case bod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917Y1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탐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탐진
Priority to KR2020150002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1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resilient rings acting substantially isotropically, e.g. split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등 케이스 본체를 지지판과 일체화되게 성형하면서도 이종(異種)재료로 결합된 이중사출 구조로 성형하여 제품의 코스트를 다운시키면서도 불빛의 투과율을 좋게하고, 나아가 제품의 강도와 미려감의 향상으로 상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Double Injection lighting Case}
본 고안은 단독 및 공동주택 혹은 사무실 등의 실내의 복도, 현관, 화장실, 창고 및 계단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조명등의 케이스 몸체를 동일 혹은 이종(異種) 재료로 이중 사출구조로 성형하여 미려감을 갖게 하면서도 안가(安價)로 대량 제작할 수 있게 한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빌딩과 같은 건물의 복도, 승강기 출입구, 실내 현관 출입구, 지하 주차장 등 사람의 통행이 있는 곳에는 사람의 통행이 있을 때 만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점등되면서 사람들의 통행에 불편을 없게 하는 센서등이나 혹은 항시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등이 설치되어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하기 특허문헌에서는 센서 조명등의 일예를 인용하였다. 특허문헌1의 센서등은 태양광의 방사량을 감안하여 주변 환경이 어두울 경우에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조도센서와 인체의 체열 감지를 통하여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감지센서가 내장됨에 따라 주간에도 태양광의 방사량이 극히 미미하거나 야간의 어두운 실내 및 실외 장소에서 사람들이 일정시간 동안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점등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고,
특허문헌2의 센서등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내,외부의 조도 차이가 발생하여 일의 능률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조도를 높일 수 있는 전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등은 천장이나 벽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매입등과 그 표면에 고정시켜 설치하는 직착등 및 매다는 등으로 구분되며, 또 전등은 그 조작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ON/OFF 하여 점,소등하는 수동식 전등과 시간이나 밝기에 따라 전자적으로 ON/OFF되어 점소등 하는 자동식이 있다.
또한 위 특허문헌들(1,2)에 기재된 센서등의 경우, 대부분이 본체, 반사경, 소켓, 안정기, 램프 및 커버 등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켓, 안정기, 램프 및 커버가 설치되는 본체의 경우에도 본체와 지지판이 별도의 나사 고정구에 의하여 조립 결합해야 만 되는 구성이어서, 생산 과정에서는 물론 설치과정에서도 작업자들이 일일이 본체에 기판을 결합하여 조립 설치해야 만 되는 조립과정이 더 필요로 하는 만큼 시간과 노동력이 증대로 생산 코스트가 더 많이 소요되고, 또한 설치 작업에도 조립 시간 만큼 작업자들의 수고가 증대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생산 코스트를 낮추면서도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광투명도가 우수한 조명등 케이스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특허등록번호 제10-0568944호, KR 실용공개번호 20-2012-0003329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명등 케이스 본체를 지지판과 일체화되게 성형하면서도 동일 혹은 이종(異種)재료로 결합된 이중사출 구조로 성형하여 제품의 코스트를 다운시키면서도 불빛의 투과율을 좋게하고, 나아가 제품의 미려감의 향상으로 상품의 경쟁력을 높인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는 안정기 및 전원 제어 회로기판을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케이스 본체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게 한 이중 사출 조명등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는, 실내의 벽부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지고, 이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램프로부터 사람들의 이동 통로를 밝혀 주도로록 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양측이 개방된 공간을 이루며 소정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개방부를 폐쇄하는 판형태로 형성된 지지판중 어느 하나를 먼저 금형내에 위치후 투명 혹은 불투명의 합성수지재료를 상기 금형내로 주입하여 상기 지지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개방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일체적으로 성형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판을 감싸는 형태로 일체적으로 성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지지판의 각 코너부분에는 상기 커버를 나사 체결하기 나사체결부가, 그리고 지지판의 안정기와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용 탄성편들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선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사(Taper)를 이루면서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혹은 선단에 걸림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와 지지편들의 결합력을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지지판이 성형되는 대응 부분에는 성형되는 지지판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지지편이 돌출설치되고, 상기 지지편은 선단을 향하여 경사(Taper)를 이루면서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혹은 선단에 걸림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금속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AS수지, PS수지, 아크릴수지, PC수지, 아크릴 수지 및 ABS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 혹은 서로 다른 2가지 수지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프레임은 투명수지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명등 케이스 본체를 지지판과 일체화된 형태로 성형하여 조명등 제품의 코스트를 다운시키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이종 재료로 이중사출구조로 성형하여 불빛 투과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부여하고, 나아가 제품의 미려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본 고안은 또한 케이스 본체에 일체로 설되는 취부 수단에 의하여, 안정기 및 전원 제어 회로기판을 케이스 본체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는 작업상의 편리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의 내부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절단면도이고,
도 3a, 도3b는 도 2의 지지편(102-2)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지지편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가 이중 사출되는 성형 과정을 각각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 4a는 일차 사출성형된 조명등 케이스의 본체를, 그리고 도 4b는 도 4a의 일차 성형품을 금형에 넣은후 일차 성형품에 대하여 이중사출하는 성형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와 같은 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의 내부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절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100)의 내부에 사람들의 이동감지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혹은 소등되는 센서(10)등(燈)이 설치된 경우의 일예를 도시하였다. 도면부호 12는 안정기이고, 14는 안정기를 콘트롤하는 전원제어 회로기판(PCB)이다. 이러한 센서등의 구성부품들이 수용설치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100)는 수용공간(106)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102)와 그리고 케이스 본체(102)의 일측을 폐쇄하는 지지판(104)과 조명등 커버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1에서 램프와 조명등 커버의 도시(圖示)는 생략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100)는 지지판(104)이 본체(102)와 이중구조로 일체로 사출성형된 구성이 특징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 본체(102)와 지지판(104)을 동일 혹은 이종의 재료로 이중 사출성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게 하였고, 또 케이스 본체(102)와 지지판(104)에 형성되어 조명등 커버와 안정기(12) 및 전원제어 회로기판(14)을 취부함에 제공되는 나사 체결부(103) 및/혹은 체결용 탄성편(105) 또한 케이스 본체(102)와 지지판(104)이 일체로 되는 이중사출 성형시 같이 성형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본체와 지지판을 별개로 제작후 나사를 이용하여 다시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조립하는 것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점을 얻을 수 있게 하고, 또한 나사 체결부(103)와 체결용 탄성편(105)을 케이스 본체(102)와 지지판(104)에 일체로 형성되게 한 것은, 작업자로 하여금 조명등 커버와 안정기(12) 및 전원제어 회로기판(14)을 케이스 본체(102)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취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4a,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 케이스가 이중 사출되는 성형 과정을 각각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 4a는 일차 사출성형된 조명등 케이스의 본체를, 그리고 도 4b는 금형에서 이중사출되는 성형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차 성형품은 케이스 본체(102)에서 지지판(104)을 제외한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사각 프레임(102-1)이고, 이 사각 프레임(102-1)의 일측 개방부의 연부(緣部)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된 지지편(102-2)이 구비되어 있다. 이는 일차 성형품인 사각 프레임(102-1)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는데, 지지편(102-1)은 프레임(102-1)에 대한 상기 지지판(104)의 결합력을 증대시키어 이중사출성형 구조에 있어서 지지판(104)이 프레임(102-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상기 지지편(l02-2)의 개수나 크기는 사각 프레임(102-1)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변형가능하다.
도 3a및 도3b는, 상기 프레임(102-1)에서 상기 지지판(104)이 일체로 성형되는 대응 부분에 설치되어 지지판(104)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역활을 하도록 돌출 설치된 상기 지지편(102-2)의 변형예들을 각각 나타낸 것인데, 하나는 선단을 향하여 경사(Taper)를 이루면서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한 지지편(102-2a)을, 다른 하나는 선단에 화살촉 모양의 걸림턱부가 형성된 지지편(102-2b)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의 케이스 본체(102)제조를 위해 일차 성형품으로 완성된 상기 프레임(102-1)은 다시 상,하부로 분리되는 금형(20)의 사이로 위치한 후, 금형(20)의 사이로 존치되는 공간(21)으로 기 준비한 합성수지성형재료를 주입하면 도 4b의 표시와 같이, 공간(21)을 채우면서(점으로 찍은부분)일차 성형품인 사각 프레임(102-1)과 일체로 되는 데 이것이 지지판(104)이다. 특히 지지판(104)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성형물은 금형(20)내부의 공간(21)으로 주입되어 성형되는 과정에서 금형(20)내부에 이미 위치하여 있던 일차 성형제품인 사각 프레임(102-1)에 돌출 설치된 지지편(102-2)(혹은 102-2a,102-2b)이 일체로 성형되는 지지판(104)의 내부로 먹혀들어가는 상태로 성형되므로 지지판(104)에 물리적인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사각 프레임(104)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상호 잡아주는 고리 역활을 하면서 견실한 케이스 본체(102)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성형되는 사각 프레임(102-1)은 LED 혹은 일반 Lamp의 불빛 투과율을 좋게하고자 AS 수지(아크릴니트릴과 스티렌 성분의 혼성중합체), PS수지(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수지 혹은 PC 수지(폴리 카본네이트)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밖에 투과율이 좋은 투명수지이면서 열에 강하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사각 프레임(102-1)과 일체로되는 지지판(104)은 조명등을 설치시 천장쪽으로 위치되어 조명등을 천장부에 고정지지하는 고정기능만 유지하면되므로, 사각프레임(104)과 같은 투명재료보다는,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빛의 불필요한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불투명 재료인 ABS 수지 혹은 PS수지 재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명등 케이스 본체(102)는 이중사출성형방법으로 사각프레임(102-1)과 지지판(104)을 색이 대비되는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와 같은 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a)는, 케이스 본체(112)의 지지판(114)을 금속판재로 하여 금형(20)(도 4b 참조)에 일차 성형품으로 먼저 위치 시킨후, 상기에서 밝힌 투명의 합성수지 성형재료를 주입함에 의해, 주입되는 합성수지 성형재료가 금속재질의 지지판(114)을 인서트(INSERT) 형태로 감싸면서 지지판(114)과 일체화되는 프레임(112-1)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성형과정에서 나사 체결부(113)는 물론 미 도시한 커버 체결용 탄성편도 같이 성형될 수 있다.
이 케이스(100a)는, 케이스 본체(112)의 내부에 금속판재가 심재되는 형태로 매입되어 지지판(114)을 형성하므로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강하여 내구성을 갖게하는 유리한 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조명등용 케이스를 사각으로 이중사출하여 성형하는 것을 일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원형,타원형 혹은 다각형으로도 이중사출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을 위 실시예로부터 충분히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케이스 본체(102)의 이중사출성형은 종래의 분리 성형후 일체로 조립하는 것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고, 또한 이종 재료에의한 성형으로 조명등의 케이스 본체(102)의 외관을 이종 재료로부터 유발되는 질감 차이와 색상의 차이로 미려감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 선택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 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0 :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102 : 케이스 본체
102-1 : 프레임
102-2, 102-2a,102-2b : 지지편
104,114 : 지지판
114-1 : 금속판재

Claims (5)

  1. 실내의 벽부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지고, 이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램프로부터 사람들의 이동 통로를 밝혀 주도로록 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양측이 개방된 공간을 이루며 소정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개방부를 폐쇄하는 판형태로 형성된 지지판중 어느 하나를 먼저 금형내에 위치후 투명 혹은 불투명의 합성수지재료를 상기 금형내로 주입하여 상기 지지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개방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일체적으로 성형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판을 감싸는 형태로 일체적으로 성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지지판의 각 코너부분에는 상기 커버를 나사 체결하기 나사 체결부가, 그리고 지지판의 안정기와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용 탄성편들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지지판이 성형되는 대응 부분에는 성형되는 지지판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지지편이 돌출설치되고, 상기 지지편은 선단을 향하여 경사(Taper)를 이루면서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혹은 선단에 걸림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금속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AS수지, PS수지, 아크릴수지, PC수지, 아크릴 수지 및 ABS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 혹은 서로 다른 2가지 수지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프레임은 투명수지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KR2020150002227U 2015-04-08 2015-04-08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KR200482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227U KR200482917Y1 (ko) 2015-04-08 2015-04-08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227U KR200482917Y1 (ko) 2015-04-08 2015-04-08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582U true KR20160003582U (ko) 2016-10-18
KR200482917Y1 KR200482917Y1 (ko) 2017-03-15

Family

ID=5723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227U KR200482917Y1 (ko) 2015-04-08 2015-04-08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1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944B1 (ko) 2004-07-21 2006-04-07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라이트 이미팅 다이오드를 이용한 센서등
KR20120003329U (ko) 2010-11-04 2012-05-14 주식회사 아이룩스 조립성 및 체결력이 우수한 엘이디 센서등
KR101355503B1 (ko) * 2011-12-30 2014-01-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차폐가 용이한 엘이디 면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16692B1 (ko) * 2012-08-30 2014-07-15 이호경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944B1 (ko) 2004-07-21 2006-04-07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라이트 이미팅 다이오드를 이용한 센서등
KR20120003329U (ko) 2010-11-04 2012-05-14 주식회사 아이룩스 조립성 및 체결력이 우수한 엘이디 센서등
KR101355503B1 (ko) * 2011-12-30 2014-01-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차폐가 용이한 엘이디 면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16692B1 (ko) * 2012-08-30 2014-07-15 이호경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17Y1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953B1 (ko) 사용이 편리한 광고판넬 조립구조
US9303843B2 (en) Lighting assembly
US9612003B2 (en) Vandal resistant light fixture
KR100863212B1 (ko) 벽면매입타입용 터치스위치유닛
KR200482917Y1 (ko)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KR102042122B1 (ko) 현관용 센서등
KR20190000020U (ko) 센서를 구비한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
JP2006241877A (ja) 機能門柱
KR200471698Y1 (ko) 천장 직접조명용 전등갓을 구비한 천장직착등 구조
US20210404643A1 (en) Sink lighting system
KR20160093832A (ko) 실내 살균기능을 갖는 조명등 장치
KR20080085257A (ko) 등기구가 내장된 기능성 출입문
KR20140001836U (ko) 센서 일체형 형광등 타입 엘이디 조명등
WO2005073626A1 (en) Illuminator capable of providing smooth light
KR102075231B1 (ko) 조립식 화장실
KR200466434Y1 (ko) 매립형 조명등용 케이스
KR101883267B1 (ko) 원형 센서등의 엘이디모듈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101561933B1 (ko) 다기능 센서등
KR101138451B1 (ko) 천장 간접조명 모듈
KR101553523B1 (ko)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KR20120138533A (ko) 냉장고용 엘이디 전등 구조
JP2016004753A (ja) 装飾部品および装飾部品付きパネル型照明装置
KR20100013823A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 마감재
CN210069583U (zh) 一种鞋柜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