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536U -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536U
KR20160003536U KR2020150003196U KR20150003196U KR20160003536U KR 20160003536 U KR20160003536 U KR 20160003536U KR 2020150003196 U KR2020150003196 U KR 2020150003196U KR 20150003196 U KR20150003196 U KR 20150003196U KR 20160003536 U KR20160003536 U KR 201600035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ying
frame
b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242Y1 (ko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1391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03536(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filed Critical 이재현
Publication of KR20160003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의 사이에 장착되는 절첩 프레임; 상기 지지대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 측은 지지대에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건조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건조대; 상기 절첩 프레임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신발 건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빨래 건조대를 절첩 구조로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를 구성하는 수평 고정바에는 회동 지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빨래에 따라 건조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빨래의 건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Clothes drying hanger}
본 고안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을 통해 좁은 공간으로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빨래와 함께 신발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아파트나 공동주택 등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유 공간이 많지 않은 장소에서 많은 양의 빨래를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종래의 빨래 건조대는 받침대로 활용되어지도록 양단부를 힌지 결합시켜 절첩이 자유롭도록 된 한 쌍의 지지봉에 다수의 걸이봉이 형성된 건조대를 힌지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펴거나 접도록 한 것으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빨래 건조대는 지지봉의 절첩 정도를 조절하여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빨래 건조대의 높이를 낮추면 점유하는 면적이 넓어져 좁은 장소에서는 그 사용이 곤란하고 반대로 높이를 높이면 양 지지봉의 서 있는 각도가 줄어들어 안정적으로 서 있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첩 회동하는 지지봉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받침대를 필요로 할 뿐 만 아니라 상기 받침대는 각각 지지봉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져 걸이봉 사이로 걸려지게 됨으로써 제조에 따른 공정이 많아지고 받침대가 걸려진 걸이봉으로 걸려진 빨래는 받침대와 걸이봉 사이에 쉽게 접힘이 발생되어 빨래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동화 등 신발은 세탁 후 세워놓아야 건조가 잘되기 때문에 벽에 기대어 놓게 되는데 이때 신발이 잘 세워지지 않아 여러 번의 반복행동을 취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빨래 건조대(등록특허 제10-1381718호)가 개발되었으며, 상기 빨래 건조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는 절첩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 측은 수직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회동 건조대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상부 건조대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하부 건조대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빨래 건조대는 절첩 프레임과 상부 회동 건조대를 통한 절첩구조를 통해 좁은 공간으로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많은 량의 빨래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빨래 건조대는 상부 건조대와 하부 건조대가 평행한 각도로만 설치가 가능하여 빨래의 종류나 채광에 관계없이 일정한 각도로만 설치됨으로써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빨래 건조대는 단순히 의류만을 거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빨래 건조대가 가졌던 신발의 세탁 후 건조시 여러 번 신발을 세워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4943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437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빨래 건조대를 절첩 구조로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지대를 구성하는 수평 고정바에는 회동 지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빨래에 따라 건조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절첩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작동이 가능한 신발 건조대를 장착하여 신발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지대에 건조대 회전 고정구와 건조대 멈춤 고정구를 장착하고, 건조대에는 각도 조절부를 형성하여, 상기 건조대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의 사이에 장착되는 절첩 프레임; 상기 지지대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 측은 지지대에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건조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건조대; 상기 절첩 프레임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신발 건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지지 바와 지지 바의 사이에는 수평 고정바가 고정장착되고, 상기 수평 고정바에는 건조대의 회전작동시 회동 바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동 지지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회동 지지구는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직각 고정부와, 상기 직각 고정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회동 바를 삽입 및 지지되는 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지지구의 직각 고정부에는 수직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걸림부에는 빨래 집게나 빨래 건조시 주머니에 나오는 동전이나 이물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보관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대가 장착되는 지지대에는 간격을 두고 건조대 회전 고정구와 건조대 멈춤 고정구가 장착되고, 상기 건조대에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한 후 상기 건조대 멈춤 고정구와 함께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건조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 상기 각도 조절홈의 반대 측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 작동홈;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돌출형성되고 회전작동 후 상기 건조대 멈춤 고정구에 지지되는 끝단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일 측에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 고정구 삽입홈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끝단 지지부에는 건조대 멈춤 고정구가 이동작동하는 이동부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끝단에는 건조대 멈춤 고정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구 멈춤 스토퍼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 건조대는 절첩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사각형 형상의 신발 틀; 상기 신발 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보강바; 상기 신발 틀과 절첩 프레임 및 지지바와 결합되는 체결구; 상기 지지바와 절첩 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 틀의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절첩 프레임에는 고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 틀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구비되는 지지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빨래 건조대를 절첩 구조로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를 구성하는 수평 고정바에는 회동 지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빨래에 따라 건조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빨래의 건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절첩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작동이 가능한 신발 건조대를 장착하여 신발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을 경사지게 배치한 상태에서 건조하므로 신발의 건조 효율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대에 건조대 회전 고정구와 건조대 멈춤 고정구를 장착하고, 건조대에는 각도 조절부를 형성하여, 상기 건조대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와 건조대 멈춤 고정구를 통해 건조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지지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절첩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회동 건조대와 건조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내지 10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건조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a) 및 11(b)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신발 건조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12(b)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회동 지지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 및 2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지지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절첩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회동 건조대와 건조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 내지 10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건조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a) 및 11(b)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신발 건조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a) 및 12(b)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구성하는 회동 지지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고안인 빨래 건조대(10)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절첩 프레임(30)과, 상기 지지대(20)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 측은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건조대(4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와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건조대(50)와, 상기 절첩 프레임(30)에 장착되는 신발 건조대(60) 등으로 구성된다.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2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바(21)와, 상기 지지 바(21)와 지지 바(21)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수평 고정바(22)와, 상기 지지 바(21)의 상부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 캡(2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대(20)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 바(21)와 지지 바(21)의 사이에 수평 고정바(22)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하고, 상기 지지 바(21)의 상부에는 마감을 위한 지지 캡(23)을 장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 캡(23)의 내측에는 회동 건조대(40)의 회전작동과 착·탈을 위하여 결합돌기(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 바(21)의 하부에는 원활한 이동 및 고정을 위하여 스토퍼(26)가 구비된 이동바퀴(25)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절첩 프레임(30)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경사 작동바(31)와, 상기 경사 작동바(31)의 교차 부분에 장착되는 힌지부(32)와, 상기 경사 작동바(31)과 지지대(20)에 양측 끝단이 고정되는 경사 보강바(3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절첩 프레임(30)은 한 쌍의 지지대(20)의 작동에 따른 보관시 경사 작동바(31)의 교차부분을 중심으로 절첩되고, 빨래 건조시에는 상기 지지대(2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경사 작동바(31)는 두 개가 X자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하부 끝단이 지지대(20)의 지지 바(21)에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32)는 경사 작동바(31)를 구성하는 두 개의 바가 교차하는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경사 보강바(33)는 일 측 끝단이 경사 작동바(31)의 상부 도중에 결합되고 반대 측이 지지대(20)의 지지바(21)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 작동바(31)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회동 건조대(40)는 상기 지지대(20)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 측은 지지대(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 건조대(40)는 다수개의 건조봉(42)과 프레임(43)으로 구성되는 건조부(41)와, 상기 건조부(41)의 일 측면에 배치되면서 지지대(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44)와, 상기 건조부(41)의 반대 측면에 배치되고 반대 측 지지대(20)의 지지 캡(23)의 결합돌기(24)에 탈착 또는 부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45)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 건조대(40)는 다수개의 건조봉(42)과 상기 건조봉(42)의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되는 프레임(43)으로 이루어진 건조부(41)를 구성한 후, 상기 건조부(41)의 일 측면에 지지 캡(23)의 결합돌기(24)와 회동가능하게 회동부(44)를 장착하고, 상기 건조부(41)의 반대 측면에는 반대 측 지지 캡(23)의 결합돌기(24)와 탈착 또는 부착되는 결합부(45)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 건조대(40)를 구성하는 건조부(41)의 전후에는 다수개의 건조봉(47)과 상기 다수개의 건조봉(47)의 가장자리 부분에 장착되는 프레임(48)으로 구성되는 보조 건조대(46)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보조 건조대(46)는 회동 건조대(40)의 전후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빨래의 양에 따라 회전작동을 통해 빨래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와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건조대(50)는 다수개의 건조봉(52)과 프레임(53)으로 구성되는 건조부(51)와, 상기 건조부(51)의 양측 장착되는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바(54)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건조대(50)는 다수개의 건조봉(52)의 가장자리 부분을 프레임(53)을 감싼 후, 상기 프레임(53)의 끝단을 지지대(20)의 지지 캡(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다음, 상기 프레임(53)의 양측에 " ㄷ "자 형상의 회동 바(54)를 장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대(55)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 6 내지 10과 같은 각도 조절부(55)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대(50)가 장착되는 지지대(20)에 간격을 두고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와 건조대 멈춤 고정구(84)를 각각 장착하고, 상기 건조대(50)에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82)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한 후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82) 및 건조대 멈춤 고정구(84)와 함께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부(55)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와 건조대 멈춤 고정구(84)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원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부(55)를 도시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각도 조절부(55)는 건조대(50)의 내측 끝단 부분에 형성되며, 프레임(53)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55a)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홈(55a)의 반대 측 중앙에는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82)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 작동홈(55b)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53)의 끝단에는 회전작동 후 상기 건조대 멈춤 고정구(84)에 지지되는 끝단 지지부(55c)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건조대(50)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에 각도 조절부(55)이 회전 작동홈(55b)을 지지시킨 후, 상기 회전 작동홈(55b)을 중심으로 원하는 각도로 건조대(50)를 회전작동시킨 다음, 상기 각도 조절홈(55a)을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에 삽입하면서 끝단 지지부(55c)가 건조대 멈춤 고정구(84)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건조대(50)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와 회전 작동홈(55b)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한 후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에 각도 조절홈(55a)을 삽입하면서 끝단 지지부(55c)의 상부가 건조대 멈춤 고정구(84)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 조절부(55)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된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은 각도 조절부(55)가 구비된 건조대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각도 조절부(55)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10은 각도 조절부(55)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각도 조절부(55)는 건조대(50)의 내측 끝단 부분에 형성되며, 프레임(53)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55a)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홈(55a)의 반대 측 중앙에는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82)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 작동홈(55b)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53)의 끝단에는 회전작동 후 상기 건조대 멈춤 고정구(84)에 지지되는 끝단 지지부(55c)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55)의 일 측에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8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 고정구 삽입홈(55d)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건조대(50)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에 회전 고정구 삽입홈(55d)을 가압하여 삽입한 후, 상기 회전 작동홈(55b)을 중심으로 원하는 각도로 건조대(50)를 회전작동시킨 다음, 상기 각도 조절홈(55a)을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에 삽입하면서 끝단 지지부(55c)가 건조대 멈춤 고정구(84)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홈(55a)은 도시된 도 6 및 7과 상이하게 수평방향과 상부 방향으로 건조대(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과 하부경사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작동홈(55b)은 프레임(53)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55a)에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 안내면(55b-1)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회전 고정구 삽입홈(55d)의 외측 끝단에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82)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구 삽입홈 경사면(55d)이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고정구 삽입홈(55d)의 지름은 건조대 회전 고정구(82)가 회전작동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된 도 8 내지 10의 끝단 지지부(55c)는 건조대 멈춤 고정구(84)가 이동작동하는 이동부(55c-1)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이동부(55c-1)의 끝단에는 건조대 멈춤 고정구(84)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구 멈춤 스토퍼(55c-2)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끝단 지지부(55c)는 건조대(50)의 회전작동시 건조대 멈춤 고정구(84)가 이동부(55c-1)의 외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도 상기 건조대(50)의 각도 조절 후에는 고정구 멈춤 스토퍼(55c-2)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절첩 프레임(30)에 장착되는 신발 건조대(60)는 절첩 프레임(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사각형 형상의 신발 틀(61)과, 상기 신발 틀(6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보강바(62)와, 상기 신발 틀(61)과 절첩 프레임(30) 및 지지바(21)와 결합되는 체결구(63)와, 상기 지지바(21)와 절첩 프레임(30)의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6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신발 건조대(60)는 절첩 프레임(30)의 내측에 보강바(62)가 구비되는 신발 틀(61)을 배치한 후 상기 체결구(63)를 이용하여 상기 신발 틀(61)과 절첩 프레임(30) 및 지지바(21)를 고정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바(21)와 절첩 프레임(30)의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64)는 소정의 지름과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는 체결구(63)와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발 틀(61)의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6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65)와 대응하는 절첩 프레임(30)에는 고정 홀(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신발 틀(61)은 물기가 있는 신발의 하중에 의하여 유동이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65)를 돌출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절첩 프레임(30)의 고정 홀(34)은 상기 신발 틀(61)의 고정돌기(65)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구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신발 틀(61)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67)가 구비되는 지지판(6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판(66)은 상부에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67)를 형성하여 신발 건조대(60)의 사이즈보다 작은 신발이나 바닥이 미끄러운 신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돌기(67)를 흡착력이 우수한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지지대(20)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되는 회동 지지구(70)는 건조대(50)의 회전작동시 회동 바(54)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회동 지지구(70)는 지지대(20)를 구성하는 지지 바(21)와 지지 바(21)의 사이에는 고정장착되는 수평 고정바(2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건조대(50)의 회전작동시 회동 바(54)를 여러 지점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 지지구(70)는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끝단에는 걸림턱(72)이 형성되는 직각 고정부(71)와, 상기 직각 고정부(71)의 전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73)와, 상기 수직부(73)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회동 바(54)가 삽입 및 지지되는 고리부(74)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동 지지구(70)는 수평 고정바(22)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움삽입되면서 직각 고정부(71)의 걸림턱(72)이 수평 고정바(22)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부(73)의 전면에 형성되는 고리부(74)에 회동 바(54)가 삽입 및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 지지구(70)를 구성하는 직각 고정부(71)에는 수직 걸림부(75)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걸림부(75)에는 빨래 집게나 빨래 건조시 주머니에 나오는 동전이나 이물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보관통(76)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관통(76)은 빨래의 건조작업시 회동 지지구(70)의 수직 걸림부(75)에 끼움결합되면서 내부에 빨래 집게나 건조하고자 하는 빨래의 주머니에서 발생하는 동전이나 이물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빨래 건조대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바(21)와, 상기 지지 바(21)와 지지 바(21)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수평 고정바(22)와, 상기 지지 바(21)의 상부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 캡(23)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대(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고정 홀(34)이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 작동바(31)와, 상기 경사 작동바(31)의 교차 부분에 장착되는 힌지부(32)와, 상기 경사 작동바(31)과 지지대(20)에 양측 끝단이 고정되는 경사 보강바(33)로 이루어지는 절첩 프레임(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0)이 일 측으로 다수개의 건조봉(42)과 프레임(43)으로 구성되는 건조부(41)와, 상기 건조부(41)의 일 측면에 배치되면서 지지대(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44)와, 상기 건조부(41)의 반대 측면에 배치되고 반대 측 지지대(20)의 지지 캡(23)의 결합돌기(24)에 탈착 또는 부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45)로 구성되는 회동 건조대(4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다수개의 건조봉(52)과 프레임(53)으로 구성되는 건조부(51)와, 상기 건조부(51)의 양측 장착되는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바(54)로 구성되는 건조대(50)를 각각 장착한다.
이때 상기 건조대(50)를 구성하는 프레임(53)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55a)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홈(55a)의 반대 측 중앙에는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82)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 작동홈(55b)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53)의 끝단에는 회전작동 후 상기 건조대 멈춤 고정구(84)에 지지되는 끝단 지지부(55c)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55)의 일 측에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8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 고정구 삽입홈(55d)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55)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첩 프레임(30)의 하부로 절첩 프레임(30)의 내측으로 사각형 형상의 신발 틀(61)과, 상기 신발 틀(6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보강바(62)와, 상기 신발 틀(61)과 절첩 프레임(30) 및 지지바(21)와 결합되는 체결구(63)와, 상기 지지바(21)와 절첩 프레임(30)의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64)로 이루어진 신발 건조대(6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의 수평 고정바(22)에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끝단에는 걸림턱(72)이 형성되는 직각 고정부(71)와, 상기 직각 고정부(71)의 전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73)와, 상기 수직부(73)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회동 바(54)가 삽입 및 지지되는 고리부(74)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동 지지구(70)를 적어도 두 개 이상 각각 장착하면 빨래 건조대(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빨래 건조대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빨래 건조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빨래 건조대(1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0)에 각각 수평으로 장착되는 건조대(50)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킨 후, 상기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동 건조대(40)의 일 측을 지지대(20)에서 분리한 다음, 상기 지지대(20)의 반대 측을 일 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회동 건조대(40)는 지지대(20)를 구성하는 지지 캡(23)의 결합돌기(24)와 결합된 결합부(25)를 제거한 후, 상기 회동부(44)를 중심으로 회전작동시킨 다음, 상기 회동 건조대(40)와 분리된 지지대(20)를 반대 측 지지대(20)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절첩 프레임(30)은 내측을 절첩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압되는 지지대(20)는 반대 측의 지지대(20)에 밀착된 후,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이동바퀴(25)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킨 다음,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빨래 건조대(10)를 이용하여 빨래를 건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빨래 건조대(10)를 구성하는 지지대(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이동바퀴(25)를 이용하여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의 일 측을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절첩 프레임(30)은 펼쳐지고,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회동 건조대(40)는 회동부(44)를 중심을 회동시킨 후 상기 회동 건조대(40)의 결합부(45)를 지지 캡((23)의 결합부(45)를 지지 캡(23)의 결합돌기(24)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0)에 접혀진 건조대(50)를 각각 회전작동시킨 후, 상기 건조대(50)의 회동 바(54)를 회동 지지구(70)의 고리부(74)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건조대(40, 46, 50)에 빨래를 건조하면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건조대(50)의 회동 바(54)를 대신하여 각도 조절부(55)를 통해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건조대(50)를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와 회전 작동홈(55b)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한 후,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82)에 각도 조절홈(55a)을 삽입하면서 끝단 지지부(55c)의 상부가 건조대 멈춤 고정구(84)에 지지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빨래 건조대(10)에 신발을 건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절첩 프레임(30)의 내부에 장착되는 신발 건조대(60)를 구성하는 신발 틀(31)의 상부에 신발을 안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신발 건조대(60)는 절첩 프레임(30)과 함께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자연적으로 단시간에 신발을 건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빨래 건조대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빨래 건조대, 20 : 지지대,
21 : 지지 바, 22 : 수평 고정바,
23 : 지지 캡, 24 : 결합돌기,
25 : 이동바퀴, 26 : 스토퍼,
30 : 절첩 프레임, 31 : 경사 작동바,
32 : 힌지부, 33 : 경사 보강바,
40 : 회동 건조대, 41 : 건조부,
42 : 건조봉, 43 : 프레임,
44 : 회동부, 45 : 결합부,
46 : 보조 건조대, 47 : 건조봉,
48 : 프레임, 50 : 건조대,
51 : 건조부, 52 : 건조봉,
53 : 프레임, 54 : 회동 바,
55 : 각도 조절부, 60 : 신발 건조대,
61 : 신발 틀, 62 : 보강바,
63 : 체결구, 64 : 간격유지구,
65 : 고정돌기, 66 : 지지판,
67 : 미끄럼 방지돌기, 70 : 회동 지지구,
71 : 직각 고정부, 72 : 걸림턱,
73 : 수직부, 74 : 고리부,
75 : 수직 걸림부, 76 : 보관통,
82 : 건조대 회전 고정구, 84 : 건조대 멈춤 고정구.

Claims (10)

  1.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의 사이에 장착되는 절첩 프레임;
    상기 지지대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 측은 지지대에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건조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건조대;
    상기 절첩 프레임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신발 건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지지 바와 지지 바의 사이에는 수평 고정바가 고정장착되고, 상기 수평 고정바에는 건조대의 회전작동시 회동 바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동 지지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회동 지지구는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직각 고정부와, 상기 직각 고정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회동 바를 삽입 및 지지되는 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구의 직각 고정부에는 수직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걸림부에는 빨래 집게나 빨래 건조시 주머니에 나오는 동전이나 이물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보관통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가 장착되는 지지대에는 간격을 두고 건조대 회전 고정구와 건조대 멈춤 고정구가 장착되고,
    상기 건조대에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한 후 상기 건조대 멈춤 고정구와 함께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건조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
    상기 각도 조절홈의 반대 측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대 회전 고정구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 작동홈;
    상기 프레임의 끝단에 돌출형성되고 회전작동 후 상기 건조대 멈춤 고정구에 지지되는 끝단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일 측에는 건조대 회전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 고정구 삽입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지지부에는 건조대 멈춤 고정구가 이동작동하는 이동부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끝단에는 건조대 멈춤 고정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구 멈춤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건조대는,
    절첩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사각형 형상의 신발 틀;
    상기 신발 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보강바;
    상기 신발 틀과 절첩 프레임 및 지지바와 결합되는 체결구;
    상기 지지바와 절첩 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틀의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절첩 프레임에는 고정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틀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구비되는 지지판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KR2020150003196U 2015-04-03 2015-05-19 빨래 건조대 KR2004822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31 2015-04-03
KR20150002131 2015-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536U true KR20160003536U (ko) 2016-10-12
KR200482242Y1 KR200482242Y1 (ko) 2017-01-03

Family

ID=5713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196U KR200482242Y1 (ko) 2015-04-03 2015-05-19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463A (zh) * 2021-11-23 2022-05-10 安徽省无为县天井茶叶有限公司 一种防细菌滋生的高品质高山绿茶的晾晒装置及晾晒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190U (ko) * 1987-04-30 1988-11-08
KR19980014376A (ko) 1996-08-10 1998-05-25 유기범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제어문자의 스터핑/디스터핑 장치
KR200254943Y1 (ko) 2001-08-27 2001-11-27 전영숙 절첩식 빨래건조대
KR100953909B1 (ko) * 2009-08-17 2010-04-22 주식회사 태일몰드텍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KR101224795B1 (ko) * 2011-08-31 2013-01-21 최만복 신발 겸용 의류 건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190U (ko) * 1987-04-30 1988-11-08
KR19980014376A (ko) 1996-08-10 1998-05-25 유기범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제어문자의 스터핑/디스터핑 장치
KR200254943Y1 (ko) 2001-08-27 2001-11-27 전영숙 절첩식 빨래건조대
KR100953909B1 (ko) * 2009-08-17 2010-04-22 주식회사 태일몰드텍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KR101224795B1 (ko) * 2011-08-31 2013-01-21 최만복 신발 겸용 의류 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463A (zh) * 2021-11-23 2022-05-10 安徽省无为县天井茶叶有限公司 一种防细菌滋生的高品质高山绿茶的晾晒装置及晾晒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242Y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KR100953909B1 (ko)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KR200482242Y1 (ko) 빨래 건조대
KR101920054B1 (ko) 수납이 간편한 휴대용 건조대
KR101656215B1 (ko) 베란다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KR20150002987U (ko) 빨래 건조대
KR200391887Y1 (ko)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456736Y1 (ko) 빨래 건조대
KR100615395B1 (ko) 세탁물 건조대
KR200473741Y1 (ko) 회전형 수건걸이
KR20110007989U (ko) 건조체의 기울기 조절이 자유로운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349479Y1 (ko) 천장 빨래 건조대
KR101822379B1 (ko) 수납식 세탁물 건조대
KR20170043395A (ko) 건조용 옷걸이
KR20150145961A (ko) 빨래 건조대를 갖는 빨래 바구니
KR200487531Y1 (ko) 빨래 건조대
KR200390398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1877762B1 (ko) 협소한 공간용 접이식 빨래 건조대
EP2145994A1 (en) Rotary washing line
JP3784020B2 (ja) 物干し竿掛け
KR101660642B1 (ko) 스탠드형 세탁물 건조대
JPH0120918B2 (ko)
KR200458567Y1 (ko) 안정된 지지력을 갖는 신발건조부가 형성된 빨래건조대
JP3927166B2 (ja) 物干し用折畳式ハンガー
KR101898719B1 (ko) 휴대용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250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0731

Effective date: 201908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45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507

Effective date: 2020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