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482U - 기구물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기구물 취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3482U KR20160003482U KR2020150002041U KR20150002041U KR20160003482U KR 20160003482 U KR20160003482 U KR 20160003482U KR 2020150002041 U KR2020150002041 U KR 2020150002041U KR 20150002041 U KR20150002041 U KR 20150002041U KR 20160003482 U KR20160003482 U KR 2016000348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upled
- engaging member
- bolt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resilient rings acting substantially isotropically, e.g. split rings
-
- F21Y2101/02—
-
- Y02B20/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구물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명, 액자, 벽시계, TV와 같은 각종 기구물을 벽이나 천장에 장착하기 용이하고, 반복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기구물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구물 취부장치는,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플레이트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지는 걸림구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측면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설부가 형성되며 LED가 형성된 기판이 부착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구물 취부장치는,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플레이트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지는 걸림구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측면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설부가 형성되며 LED가 형성된 기판이 부착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구물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 액자, 벽시계, TV와 같은 각종 기구물을 벽이나 천장에 장착하기 용이하고, 반복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기구물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는 형광등, 백열전구에 비하여 수명이 장기간 지속될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어 최근 조명장치에서 일반 전구 및 형광등을 대체하는 광원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하나로 격자 형태로 되는 프레임 내측에 엘이디 소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실장된 엘이디모듈이 적용된 엘이디 조명판이 있다.
프레임 내측에 엘이디소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실장된 엘이디모듈이 적용된 엘이디 조명판은 다수의 엘이디 소자로부터의 빛이 도광패널을 거쳐 외부로 전달되는 것으로, 일반 전구 및 형광등을 사용하는 조명장치에 비해 밝을 뿐만 아니라 일반 전구 및 형광등을 사용하는 조명장치에 비해 슬림화되어 있어 그 적용범위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허공개 제2009-0017916호의 조립형 엘이디 조명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는 건물의 천장을 형성하는 정사각형의 패널부재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LED 조명을 제조함에 있어, 간단한 조립을 통하여 제조의 편의성을 높히고 LED 자체의 발열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킴으로써 LED 조명등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조립구조의 LED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분리조립이 가능한 램프몸체프레임과 상기 램프몸체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램프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LED 모듈 삽입홈, 상기 LED 모듈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의 다수의 LED가 장착되는 복합 LED 모듈 및 상기 LED 모듈 삽입홈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도광판이 슬라이딩방식으로 장착될수 있는 구조의 도광판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천장에 장착되는 조명등, LED엣지형 등기구는 알루미늄테에 여러개의 구멍을 뚫어 설치가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시간이 오래걸리며 천장 석고에 여러개의 앙카를 취부하고 피스를 박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장에 프레임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 조명, 액자, 벽시계, TV와 같은 각종 기구물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잦은 착탈작업에도 훼손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기구물 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플레이트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지는 걸림구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측면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설부가 형성되며 LED가 형성된 기판이 부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취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각각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의 일측에는 호형의 각도조절장공이 형성되며, 통공의 타측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각도조절장공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도록 길이조절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에 상기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에 연결된 제1단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단턱 및 상기 제1단턱과 제2단턱을 각기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에 상기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에 연결된 제1단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측벽과 제1단턱을 각기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천장이나 벽면과 같은 대상면에 프레임부재를 장착하고, 프레임부재에 조명, 액자, 벽시계, TV와 같은 각종 기구물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잦은 착탈작업에도 대상면이 훼손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에서 '걸림부재'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에서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의 결합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에서 '걸림부재'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에서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의 결합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에서 '걸림부재'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는,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부(110)와, 상기 측면부(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0)로 구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플레이트(12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200)에 걸려지는 걸림구(310)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측면부(11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설부(320)가 형성되며 LED가 형성된 기판이 부착된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사각형의 각 변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측면부(110)와, 이들 측면부(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0)로 구성되며, 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오목한 요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20)는 중앙에 통공(125)이 형성되고, 이 통공(125)을 통해 전선이 통과되도록 한다.
그리고 플레이트(120)는 통공(125)의 일측에는 호형의 각도조절장공(126)이 형성되며, 통공(125)의 타측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각도조절장공(126)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도록 길이조절장공(127)이 형성된다.
각도조절장공(126)은 주로 본체(100)를 통공(1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만곡진 호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각도조절장공(126)에는 도시되지 않은 피스가 결합된다.
길이조절장공(127)은 주로 본체(100)를 양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일정 길이로 직선형태로 형성되며, 역시 도시되지 않은 피스가 체결된다.
각도조절장공(126)과 길이조절장공(127)을 이용하여 플레이트(1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200)는 플레이트(120)의 저면 양측에 볼트(240)로 결합되는 판재(220)와, 상기 판재(220)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230)로 구성된다.
따라서 2개의 걸림부재(200)가 대칭되게 배열되며 각 후크(230)는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후크(230)는 판재(220)의 하단이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이렇게 호형으로 구부러짐에 따라 탄성을 갖게되므로 하우징(300)을 자유롭게 탈착 결합시킬 수 있다. 후크(230)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걸림부재(200)에 걸려지는 걸림구(310)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측면부(11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설부(320)가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는 LED가 형성된 기판이 부착되도록 다단의 장착부가 형성된다.
물론 하우징(300)에 LED기판이 부착되어 조명으로 사용되는 것은 하나의 예시일뿐이며 장착부에 전시를 목적하는 작품이 장착되어 액자로 활용되거나 벽시계 TV 등도 취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에서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의 결합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이 걸림부재는 스프링에 의한 탄력적인 착탈작동을 하게 된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00b)는, 플레이트(120)의 저면 양측에 볼트(240)로 결합되는 판재(220)와, 상기 판재(220)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장공(124)에 상기 볼트(240)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240)에 연결된 제1단턱(250)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제2단턱(260)과 제1단턱(250)을 각기 연결하는 스프링(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일측에는 스프링(270)으로 작동되는 걸림부재(200b)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걸림부재(200)를 형성하여 조합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도 5와 같이, 양측에 스프링(270)으로 작동되는 걸림부재(200b)를 각기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을 밀면 스프링(270)의 이완작동에 의해 장공(124)을 따라 볼트(240)가 이동되었다가 스프링(270)의 복원력으로 걸림부재(200)가 당겨지면서 걸림상태가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A2)는,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부(110)와, 상기 측면부(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0)로 구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플레이트(12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200c);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200c)에 걸려지는 걸림구(310)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측면부(11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설부(320)가 형성되며 LED가 형성된 기판이 부착된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재(200c)는 후크(230)가 하우징(300)의 걸림구(310) 안쪽에 걸려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재(200d)는, 플레이트(120)의 저면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판재(220)와, 상기 판재(220)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2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장공(124)에 상기 볼트(240)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240)에 연결된 제1단턱(250)과, 상기 플레이트(120)의 측벽(155)과 제1단턱(250)을 각기 연결하는 스프링(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스프링(270)의 이완작동에 의해 장공(124)을 따라 볼트(240)가 이동됨으로 걸림부재(200)의 걸림 및 해제작동이 실행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A3)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구물 취부장치(A3)는,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부(110)와, 상기 측면부(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20)로 구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플레이트(12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200d);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200d)에 걸려지는 걸림구(310)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측면부(11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설부(320)가 형성되며 LED가 형성된 기판이 부착된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는 걸림부재(200c)가 장착되고, 우측에는 걸림부재(200)이 장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는 걸림부재(200d)가 장착되고, 우측에는 걸림부재(200)이 장착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는 걸림부재(200d)가 장착되고, 우측에는 걸림부재(200b)가 장착된다.
걸림부재(200d) 및 걸림부재(200b)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스프링(270)의 이완작동에 의해 양쪽의 걸림부재(200d,200b)의 걸림 및 해제작동이 실행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본체 110 : 측면부
120 : 플레이트 125 : 통공
126 : 각도조절장공 127 : 길이조절장공
200 : 걸림부재 220 ; 판재
230 : 후크 300 ; 하우징
310 : 걸림구 320 : 착설부
120 : 플레이트 125 : 통공
126 : 각도조절장공 127 : 길이조절장공
200 : 걸림부재 220 ; 판재
230 : 후크 300 ; 하우징
310 : 걸림구 320 : 착설부
Claims (5)
-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플레이트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지는 걸림구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측면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설부가 형성된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취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각각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의 일측에는 호형의 각도조절장공이 형성되며,
통공의 타측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각도조절장공과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도록 길이조절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취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취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에 상기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에 연결된 제1단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단턱 및 상기 제1단턱과 제2단턱을 각기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취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에 상기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에 연결된 제1단턱과, 상기 플레이트의 측벽과 제1단턱을 각기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물 취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041U KR200482259Y1 (ko) | 2015-03-31 | 2015-03-31 | 기구물 취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041U KR200482259Y1 (ko) | 2015-03-31 | 2015-03-31 | 기구물 취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482U true KR20160003482U (ko) | 2016-10-10 |
KR200482259Y1 KR200482259Y1 (ko) | 2017-01-04 |
Family
ID=5713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2041U KR200482259Y1 (ko) | 2015-03-31 | 2015-03-31 | 기구물 취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259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4593B1 (ko) * | 2018-09-20 | 2019-12-10 | 양병모 |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한 조명등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명등 프레임 |
CN110630943A (zh) * | 2017-10-31 | 2019-12-31 | 王鲁洋 | 一种重型吊灯隐形底座的安装方法 |
KR20210002920U (ko) * | 2020-06-19 | 2021-12-28 | 주식회사 나인라이팅 | 조명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1417Y1 (ko) * | 2018-07-25 | 2020-04-03 | 우철균 | 일체형 전등의 천장 고정구 |
KR102390609B1 (ko) * | 2020-04-24 | 2022-04-26 | 박병기 | 조명등장치 |
KR20240131548A (ko) | 2023-02-24 | 2024-09-02 |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 천장 설치 제품 고정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5050Y1 (ko) * | 2002-11-29 | 2003-02-19 | 홍상호 | 천정 조명기구용 지지구 |
KR101260438B1 (ko) * | 2013-01-24 | 2013-05-07 | 황은분 | 엘이디 조명등의 장착장치 |
-
2015
- 2015-03-31 KR KR2020150002041U patent/KR20048225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5050Y1 (ko) * | 2002-11-29 | 2003-02-19 | 홍상호 | 천정 조명기구용 지지구 |
KR101260438B1 (ko) * | 2013-01-24 | 2013-05-07 | 황은분 | 엘이디 조명등의 장착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30943A (zh) * | 2017-10-31 | 2019-12-31 | 王鲁洋 | 一种重型吊灯隐形底座的安装方法 |
CN110630943B (zh) * | 2017-10-31 | 2021-12-17 | 莆田市阳柳贸易有限公司 | 一种重型吊灯隐形底座的安装方法 |
KR102054593B1 (ko) * | 2018-09-20 | 2019-12-10 | 양병모 |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한 조명등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명등 프레임 |
KR20210002920U (ko) * | 2020-06-19 | 2021-12-28 | 주식회사 나인라이팅 | 조명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2259Y1 (ko) | 2017-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2259Y1 (ko) | 기구물 취부장치 | |
JP5474985B2 (ja) | 取り替え可能な照明器具 | |
US9004730B2 (en) | Interlocking lighting fixture | |
KR101224867B1 (ko) |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 |
US11131443B2 (en) | Horizontal light guide based lighting fixture | |
TWM483366U (zh) | Led燈具 | |
TW201542968A (zh) | Led燈具 | |
JP6104856B2 (ja) | 照明器具、光源部品および取付部品 | |
KR101979326B1 (ko) | 원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 |
KR20150069241A (ko) | 엘이디 조명등용 가변설치형 브라켓 | |
KR101355304B1 (ko) | 엘이디램프 조명장치 | |
KR200483716Y1 (ko) | Led 모듈 장착장치 | |
KR20170000511U (ko) | 시스템 조명등기구 | |
JP6404384B2 (ja) | 照明器具、光源部品および取付部品 | |
CN107525047B (zh) | 一种led筒灯的组装结构 | |
KR101783106B1 (ko) | 조명등 장착장치 | |
JP2012049079A (ja) | 照明器具 | |
KR20120004628U (ko) |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간접 조명식 등기구 | |
KR101999980B1 (ko) | 조명유닛 | |
JP2012089425A (ja) | 照明器具 | |
KR101731768B1 (ko) |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 |
KR200458781Y1 (ko) | Led 모듈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등기구 | |
KR20170022204A (ko) | 체결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 |
KR200473660Y1 (ko) | 착탈형 엘이디 등기구 | |
JP6279333B2 (ja) | 照明用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