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479U -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 Google Patents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479U
KR20160003479U KR2020150002038U KR20150002038U KR20160003479U KR 20160003479 U KR20160003479 U KR 20160003479U KR 2020150002038 U KR2020150002038 U KR 2020150002038U KR 20150002038 U KR20150002038 U KR 20150002038U KR 20160003479 U KR20160003479 U KR 20160003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water storage
test
contain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이슬기
Original Assignee
이원석
이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이슬기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2020150002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479U/ko
Publication of KR20160003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평평한 곳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마름모꼴 형태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넓어지는 구조의 저수부재로 구성하되 저수부재의 좌우길이에 비해 전후길이를 2배 이상 길게 구성함으로써 소변의 채취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저수공간이 형성된 내부에 소변을 담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채취용 용기에 있어서,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져 평평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 받침부재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저수부재; 저수부재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어 저수공간에 채취된 소변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 및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의 변색에 따른 항목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별 검사 결과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This feature combined with containers for urine test urine samples}
본 고안은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의 채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를 내부에 부착하여 각각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면 질환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의 수립을 위해 엑스레이 촬영이나 심전도 및 소변 등 기초적인 검사를 받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검사들 중 임상 병리 검사로서 대부분의 병원에서 전체 검사량의 약 30% 정도를 점유할 만큼 필수적인 소변검사의 경우에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장과 요로의 질환, 심장이나 내분비선 또는 그 밖의 여러 기관의 기능과 관련된 질환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의 수립에 중요한 임상 지표로 사용되어 필수적으로 시행하는 루틴 검사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검사 대상인 소변에는 200 여종의 성분이 검출되고, 이러한 각종 성분은 신체와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체외로 배출됨으로써 체내의 장애나 질병에 관한 많은 정보를 갖고 있고, 이러한 배설물인 소변을 이용하여 당뇨, 신장질환, 방광염, 요도염, 췌장염 등 각종 질병에 대한 조기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변 검사란 소변의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전신의 상태나 병변을 알아내는 진단법으로, 소변을 생성하는 신장을 비롯하여 그 통로인 요도에 병변이 있으면 혼탁뇨나 혈뇨 등의 이상이 나타나고, 또한 소변 속에는 전신의 대사산물이 배설되고 있기 때문에 소변 검사는 비뇨기 이외의 전신적인 질환의 진단에도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200 여종의 소변 성분 중 질병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중요 성분으로는, 잠혈, 빌리루빈, 유로빌리노겐, 케톤체, 단백질, 아질산염, 포도당, pH, 비중, 백혈구, 비타민C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로부터 소변을 신선하고 깨끗한 용기에 담아 보관하여야 하고, 성분 분석 작업 시에도 불순물이 섞이거나 화학적 반응을 통해 변질된 성분이 검출되는 것을 차단하여야만 정확한 검사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취된 소변을 진료실에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검사로는, 냄새, 육안적 색조와 혼탁도 검사, 요비중 등의 물리적 검사와 시험지봉(reagent strip)을 이용한 화학적 검사 및 요침사 검사가 있다.
여기서, 물리적 검사로서 채취된 소변의 색깔로부터 알 수 있는 육안적 색조 검사는, 정상 소변이 유로크롬(urochrome)과 유로빌린(urobilin)이란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엷은 황갈색을 띄게 되는데, 색깔의 옅고 짙음은 수분양의 많고 적음을 반영한다.
한편, 정상 소변도 오래 방치하면 인산이나 요산 등에 의해 흰색 또는 연한 홍색의 물질이 생겨날 수 있다. 그리고, 색깔이 매우 옅을 경우는 다뇨와 저비중뇨인데 요붕증, 당뇨병, 위축신과 같은 질병에서 흔히 본다. 간질환으로 인한 황달이 있을 경우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다량 빠져나오게 되는데 황갈색을 띄게 되고, 소변을 병에 넣어 흔들면 노란 거품이 나타난다.
또한, 붉은 포도주 색깔의 소변은 폴피린뇨에서 발견되며, 해열제인 안티피 린이나 항생물질인 설파제를 복용해도 소변이 붉은 색을 나타낸다. 악성 흑색종은 드물게 나타나는 암이지만, 멜라닌 색소가 소변으로 배출되어 독특한 암갈색을 보인다. 일부 세균 감염이나 비타민제 과량 복용으로 소변이 녹색을 띄는 경우가 있으며, 우유빛을 띄는 소변은 요로감염으로 소변에 고름이 섞여 나오는 경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눈으로 구별할 수 있는 소변 색깔은 일부 질환이나 생리적 변화로 나타나는 것인데, 대표적인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특정 질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임상 병리검사 과정을 거쳐 색깔 변화의 원인을 밝혀야 한다.
또한, "요시험지봉 검사(reagent strip)"는, pH(산도), 요당, 요단백, 빌리루빈, 케톤, 잠혈반응, 유로빌리노겐, 질산, 백혈구 등 검사 항목이 포함된다. 이는 시험지봉 하나로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매우 간편하지만 반 정량 검사이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 소변을 채취하는데 유리 재질의 시험관을 사용하지만, 종래 유리 재질의 시험관은 소변 채취 및 운반 시에 파손 등 취급상의 불편이 있고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어서 세척을 하는 등 위생상으로도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변 검사에 알맞도록 간편하고 위생적인 일회용 종이컵을 종래 유리 재질의 시험관을 대체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소변검사 대상자는 화장실 등에서 일회용 종이컵에다 소변을 배출시켜 담은 후, 소변이 저장된 일회용 종이컵을 들고 진료실로 이동하여 간호사 등의 의료진에게 갖다 줘서 소변검사를 의뢰하고, 의뢰된 소변을 검사하는 작업자는 소변이 저장된 일회용 종이컵을 검사실로 운반하여 소변 검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회용 종이컵은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일회용 종이컵의 상단부를 막을 수 있는 커버가 없기 때문에 소변검사 대상자가 일회용 종이컵을 가지고 이동할 경우에 소변이 바깥으로 흘러나오기 쉽고, 소변검사 대상자의 부주의로 인해 일회용 종이컵의 개구부를 통해 소변이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경우 소변검사 대상자의 손에 묻거나 바닥에 떨어져서 바닥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소변에 함유된 암모니아 성분으로 인해 일회용 종이컵에 소변을 담은 후 검사실로 이동할 때까지 소변으로부터 악취가 주변에 급속하게 퍼짐으로써 주변 사람들의 코를 자극하여 주변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회용 종이컵에 저장된 소변이 일회용 종이컵의 개구부를 통해 바깥으로 노출되어 주변 사람들이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소변 검사 대상자가 일회용 종이컵에 소변을 담은 후 화장실에서 진료실까지 이동하면서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면서 창피함을 무릅쓰고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회용 종이컵 대신에 플라스틱 컵을 사용하고, 뚜껑으로 플라스틱 컵의 상단부를 닫아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의 경우 남성한테는 소변을 채취하기 매우 용이한 구조이나 여성에게 있어서는 신체 구조상 소변을 채취하는데 있어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35921호(2014.11.27.자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30879호(2014.11.12.자 공개)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8335호(2001.12.31.자 공고)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0497호(2004.02.11.자 공고) 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1782호(2012.08.06.자 공고)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평한 곳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마름모꼴 형태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넓어지는 구조의 저수부재로 구성하되 저수부재의 좌우길이에 비해 전후길이를 2배 이상 길게 구성함으로써 소변의 채취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저수부재의 내측면에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를 부착시켜 채취된 소변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저수부재의 일측을 절개하여 투명창을 형성하되 투명창의 상부 또는 하부측 저수부재면에 몸 상태별 소변색 표를 부착하여 채취된 소변색과 소변색 표와의 비교를 통해 질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내부에 소변을 담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채취용 용기에 있어서,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져 평평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 받침부재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저수부재; 저수부재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어 저수공간에 채취된 소변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 및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의 변색에 따른 항목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별 검사 결과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서 저수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공간 상에 채취된 소변의 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서 투명창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부착되어 채취된 소변 색과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몸 상태별 질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별 소변색 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저수부재의 전후길이는 좌우 길이에 비해 두배 이상 길게 형성되어지되 저수부재의 전방측은 후방측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서 받침부재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저수부재 면에는 접기라인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르면 평평한 곳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마름모꼴 형태의 받침부재와 받침부재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넓어지는 구조의 저수부재로 구성하되 저수부재의 좌우길이에 비해 전후길이를 2배 이상 길게 구성함으로써 소변의 채취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저수부재의 내측면에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를 부착시켜 채취된 소변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저수부재의 일측을 절개하여 투명창을 형성하되 투명창의 상부 또는 하부측 저수부재면에 몸 상태별 소변색 표를 부착하여 채취된 소변색과 소변색 표와의 비교를 통해 질병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좌·우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배면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저면 구성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의 저수부재 내측면에 부착된 항목별 검사 결과표를 평면상으로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의 양호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좌·우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배면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를 보인 저면 구성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의 저수부재 내측면에 부착된 항목별 검사 결과표를 평면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100)는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져 평평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110), 받침부재(110)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저수공간(122)을 형성하는 저수부재(120), 저수부재(120)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어 저수공간(122)에 채취된 소변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 및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의 변색에 따른 항목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접기 형태의 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의 개구된 부분이 매우 넓게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변의 채취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특히, 상부의 개구된 부분이 매우 넓기 때문에 신체 구조상 여성들에게 있어 보다 용이하게 소변의 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100)는 저수부재(120)의 내측면에 부착된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의 변색과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 상의 색을 비교 확인함으로써 소변 검사자 자신 스스로가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를 통해 진단할 수가 있다. 물론, 진단에 대한 확신은 의사의 소견에 따라야 하겠지만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의 변색과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 상의 색을 비교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진단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100)를 평평한 곳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110)는 마름모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름모꼴 형태의 받침부재(110)는 4개의 꼭지점이 전후 및 좌우의 위치를 점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받침부재(110)의 마름모꼴 형태는 보다 균형적이면서 안정감을 주기 위해 4변이 동일한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형성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100)를 구성하는 저수부재(120)는 받침부재(110)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저수부재(120)를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한 것은 남성은 물론 여성들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소변의 채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100)는 저수부재(120)를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남성은 물론 여성들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소변의 채취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과 저수부재(120)의 내측면 상에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의 변색과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를 통해 소변 검사자 스스로가 어느 정도의 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받침부재(110)는 소변 채취용 용기(100)를 평평한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부재(12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져 평평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마름모꼴 형태의 받침부재(11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4개의 꼭지점이 전후 및 좌우의 위치를 점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받침부재(110)의 마름모꼴 형태는 보다 균형적이면서 안정감을 주기 위해 4변이 동일한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구성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저수부재(120)는 소변을 담아 채취가 가능하도록 저수공간(122)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저수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10)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저수공간(122)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저수부재(120)는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남성에 비해 여성들에게 있어 보다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즉, 여성의 경우에는 신체구조상 앉아서 소변을 보기 때문에 아무래도 본 고안에서와 같이 개구된 상부가 넓은 구조라면 보다 용이하게 소변의 채취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저수부재(120)의 전후길이는 좌우 길이에 비해 두배 이상 길게 형성되어지되 저수부재(120)의 전방측은 후방측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어 소변을 검사하기 위해 실험실의 비이커 등에 소변을 옮기는 경우 비이커에 보다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전술한 저수부재(120)에는 전후 및 좌우측으로 접기라인(124)이 더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접기라인(12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변을 검사하기 위해 본 고안의 소변 채취용 용기(100)에 채취된 소변을 실험실의 비이커 등에 옮기는 경우 비이커에 보다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접기라인(124)은 받침부재(110)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저수부재(120)면에 전후 및 좌우측 각각에 상단에 까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변 채취용 용기(100)의 저수부재(120) 후방측 끝단은 뒤로해서 하부로 뒤딥은 상태로 형성되는 손잡이(170)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170)는 저수부재(120) 후방측 끝단을 뒤로 뒤딥어 접은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부위에 비해 두꺼워져 손잡이(170)로 작용하기에 매우 양호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는 채취된 소변으로 인하여 몸 상태에 따른 색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부재(120)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어 저수공간(122)에 채취된 소변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를 통해 각각의 항목을 지단하기 위해서는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가 채취된 소변에 침적되어야 하기 때문에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는 대체적으로 저수부재(120)의 내즉면 하부에 부착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에는 총 10가지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되어진다. 즉,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에는 총 10가지의 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색띠가 구성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의 총 10가지 항목은 뇨중의 잠혈,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케톤체, 단백질, 알질산염, 포도당, pH, 비중 및 백혈구로, 본 고안에서의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는 뇨중의 잠혈,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케톤체, 단백질, 알질산염, 포도당, pH, 비중 및 백혈구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10가지 항목은 다음과 같은 검사를 하기 위함이다.
1. 잠혈(Urine Occult blood)
잠혈 검사는 육안적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량인 소변중의 적혈구 또는 헤모글로빈(혈색소)등의 혈액성분을 화학적 반응을 통해서 검출할수 있는 검사이다.
★ normal: negative
★ 임상적 의의
ㆍpositive : 요중 잠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될때는 신우신염, 방광염, 신요로종양, 신요관 결석, 전립선염,용혈성 질환,출혈소인, 교원병, 급성감염증 등이 의심된다.
2. 빌리루빈(Bilirubin)
빌리루빈은 노화적혈구의 파괴로 헤모글로빈에서 유래하여 망상내피계에서 헤모글로빈이 합성되는 과정이나 골수내 적혈구 파괴 등에 의해 생성된다. 통상 건강인에서 요중 빌리루빈은 극미량이기 때문에 검출되지 않으나 간세포 장애성 황달 등에 의해 빌리루빈이 혈중으로 역류하며 그 농도가 2.0-3.0mg/이 이상으로 되면 요로 배설된다.
★ normal: negative
★ 임상적 의의
ㆍpositive : 간염, 간경변, 간암, 담관질환, 췌장질환, 임신, 황달, 수혈후, 약물중독 등을 의심할 수 있다.
3. 빌리노겐(Urobilinogen)
빌리노겐은 담즙 중 빌리루빈이 하부 소장 또는 대장에서 장내세균에 의해 환원되어 생성된다. 이 빌리노겐의 일부는 장에서 재흡수되어 간으로 이동하고 이중 대부분은 간세포에서 산화되어 다시 빌리루빈이 되고 일부는 유로빌리노겐 자체로 간을 통과하여 신장을 통해 요로 배설된다.
★ normal: negative
★ 임상적 의의
ㆍpositive : 간기능장애, 간담관질환, 울혈성 심부전, 발열, 운동후 용혈성 빈혈, 악성빈혈 등을 의심할 수 있다.
4. 케톤체(Ketone body)
케톤체는 당뇨병과 같이 인슐린 부족으로 포도당 대신에 지방이 연료로 쓰여 생체 에너지 의존도가 당질보다 지방산으로 기울때 혈중 또는 요중에 증가하게 된다. 통상 케톤체라 칭하는 것은 Acetoacetic acid, 3-hydroxybutyric acid 및 acetone(아세톤)을 말한다. 아세톤은 중성이므로 혈액 pH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숨을 내쉴때는 배출되기 때문에 ketosis에서 아세톤 냄새가 난다.
★ normal: negative
★ 임상적 의의
ㆍpositive : 당뇨병성 산증(acidosis), 과잉지방섭취, 저탄수화물섭취, 소화흡수장애, 공복, 빈번한 구토, 설사, 기아상태 등이 의심된다.
5. 요단백(Protein)
정상인에게서도 어느 정도 단백이 배출될수 있으나 하루 150mg이상의 단백질이 소변에 검출될때는 단백뇨라고 한다. 특히, 정상인에게서도 오랫동안 서있거나(기립성 단백뇨), 운동, 고열, 심한 스트레스(일과성 단백뇨)에 의해 단백뇨가 나타날 수 있다. 일상 생활 중 소변에 거품이 많이 일어 난다면 단백뇨를 의심할 수 있다.
★ normal: negative
★ 임상적 의의
ㆍpositive : 신염, 신우신염, 방광염, 당뇨병 신증, 심부전, 용혈성 질환, 교원병, 발열, 과로, 중독성 질환 등이 의심된다.
6. 아질산염(Nitrite)
요로감염증을 선별하기 위한 검사법으로 요중 세균이 있을 때 검출된다. 요로감염증의 원인균인 대장균, 포도상구균, 녹농균 및 변형균 등은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시키는 효소를 가지고 있어서 이들 세균이 있을시 요에서 아질산염이 검출된다.
★ normal: negative
★ 임상적 의의
ㆍpositive : 신우신염, 방광염, 뇨도염 및 무증후성 세균뇨 등을 의심할 수 있다.
7. 포도당(Glucose)
포도당은 사구체로 자유롭게 여과된 다음 세뇨관에서 재흡수 된다. 건강인에게서는 혈중 포도당 농도가 약 180mg/dl 까지 사구체로 여과되는 모든 포도당이 세뇨관에서 재 흡수되어 요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혈중 포도당 농도가 약 375mg/dl 이상이 되면 포도당의 재흡수는 최대한계에 달하게 되며 포도당의 요중 배설량은 사구체 여과량에 병행하여 증가하게 된다.
★ normal: negative
★ 임상적 의의
ㆍpositive : 당뇨병, 췌장염, 갑상선 기능 항진증, 임신, 두개 내압 항진, 스테로이드 복용자 등이 의심된다.
8. pH
생체는 식사나 운동등의 생명유지를 위하여 다량의 산이 생산된다. 체액은 이들 대사로 생기는 산에도 불구하고 중성으로 유지되는 것은 폐의 호습성 조절기구와 더불어 신장이 일정량의 산을 배설하여 체내 산염기 평형을 유지시켜 준다.
★ normal: 5.0-8.0
★ 임상적 의의
ㆍ과도한 산성(pH 5.0 미만) : 중증 당뇨병, 통풍, 기아, 공복, 탈수증, 발열 등일 때.
ㆍ과도한 알칼리성(pH 8.0 초과) : 뇨로 감염증, 제산제의 장기투여, 과호흡, 빈번한 구토 등일 경우이다.
9. 비중(S.G)
일반적으로 신장기능이 저하되면 농축력,희석력이 모두 저하되는데 초기에는 농축력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보통 아무것도 용해되지 않은 증류수가 비중이 1.000 인데 소변이 1.000에 가깝다는 것은 그만큼 희석되어 있다는 뜻이고, 1.000에 멀어질수록 그만큼 소변이 농축되었음을 의미한다.
★ normal: 1.005-1.030
★ 임상적 의의
ㆍ저비중(1.005 미만) : 수분 과잉 섭취, 신부전, 요붕증,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등
ㆍ고비중(1.030 초과) : 수분 섭취 제한, 탈수증, 당뇨병, 울혈성 심장염 등
10. 백혈구(WBC)
요에 백혈구가 혼입되어 있는 상태는 신장이나 요로계통에 염증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요중에 백혈구가 다량 검출되는 것을 농뇨라 하며 소변이 혼탁하게 보인다.
★ normal: negative
★ 임상적 의의
ㆍpositive : 방광염, 신우신염,등 신장 요로계 감염 등이 의심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는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의 10가지 항목별 색변화를 비교하여 소변 검사자 스스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는 도 4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 상부측으로 10가지 항목 각각의 해당하는 라인상에 맞추어 저수부재(120)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인쇄되어진다.
전술한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는 채취된 소변에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가 침적되어 소변의 상태에 따라 총 10가지 항목의 색에 변화가 이루어지면 생이 변화된 해당 항목을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 상의 색과 비교하여 소변 검사자 스스로가 자신의 질병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는 저수부재(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공간(122) 상에 채취된 소변의 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150)이 더 구성된다. 이처럼 투명창(150)을 저수부재(120)의 일측에 설치함으로써 소변 검사자 스스로가 소변의 색깔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에는 투명창(150)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부착되어 채취된 소변 색과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몸 상태별 질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별 소변색 표(160)가 더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별 소변색 표(160)는 투명창(150)을 통해 눈에 보이는 소변의 색과 상태별 소변색 표(160)에 표시된 색을 비교함으로써 그 즉시 몸 상태별 질병을 소변 검사자 스스로 확인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저수부재(120)를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남성은 물론 여성들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소변의 채취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저수부재(120)의 내측면 상에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130)의 변색과 항목별 검사 결과표(140)를 통해 소변 검사자 스스로가 어느 정도의 진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소변 채취용 용기 110. 받침부재
120. 저수부재 122. 저수공간
124. 점기라인 130.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
140. 항목별 검사 결과표 150. 투명창
160. 상태별 소변색 표 170. 손잡이

Claims (5)

  1. 저수공간이 형성된 내부에 소변을 담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채취용 용기에 있어서,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져 평평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 각각의 변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저수부재;
    상기 저수부재의 내측면 상에 부착되어 상기 저수공간에 채취된 소변에 의해 변색되는 것을 통해 각각의 항목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 및
    상기 소변 검사용 리트머스지의 변색에 따른 항목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항목별 검사 결과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공간 상에 채취된 소변의 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부착되어 채취된 소변 색과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몸 상태별 질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별 소변색 표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의 전후길이는 좌우 길이에 비해 두배 이상 길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저수부재의 전방측은 후방측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 상기 받침부재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저수부재 면에는 접기라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KR2020150002038U 2015-03-31 2015-03-31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KR201600034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38U KR20160003479U (ko) 2015-03-31 2015-03-31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38U KR20160003479U (ko) 2015-03-31 2015-03-31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79U true KR20160003479U (ko) 2016-10-10

Family

ID=5713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038U KR20160003479U (ko) 2015-03-31 2015-03-31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4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2228A (zh) * 2018-09-27 2018-11-23 成都仕康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集成尿液检测的采尿杯
KR20220001104A (ko) * 2020-06-29 2022-01-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 소변 자동 분리용 검체 포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35Y1 (ko) 2001-09-19 2001-12-31 윤은수 소변 검사용 일회용 컵
KR200340497Y1 (ko) 2003-09-30 2004-02-11 손진산 소변 검사용 컵
KR200461782Y1 (ko) 2010-06-01 2012-08-06 김관덕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KR20140130879A (ko) 2013-05-02 2014-11-12 최광성 소변 검사 방법 및 관련 장치
KR20140135921A (ko) 2014-10-06 2014-11-27 최광성 소변 검사용 소변 스트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35Y1 (ko) 2001-09-19 2001-12-31 윤은수 소변 검사용 일회용 컵
KR200340497Y1 (ko) 2003-09-30 2004-02-11 손진산 소변 검사용 컵
KR200461782Y1 (ko) 2010-06-01 2012-08-06 김관덕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KR20140130879A (ko) 2013-05-02 2014-11-12 최광성 소변 검사 방법 및 관련 장치
KR20140135921A (ko) 2014-10-06 2014-11-27 최광성 소변 검사용 소변 스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2228A (zh) * 2018-09-27 2018-11-23 成都仕康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集成尿液检测的采尿杯
KR20220001104A (ko) * 2020-06-29 2022-01-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 소변 자동 분리용 검체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ne et al. Urinalysis interpretation: how to squeeze out the maximum information from a small sample
US20190090859A1 (en) Point of care urine tester and method
CN101310182B (zh) 用于测量体液的新型定量和定性分析装置
US20200390423A1 (en) Toilet for Analysis of Urine
Sink et al. Practical veterinary urinalysis
JP2019511705A (ja) 体液の自動的採取および分析
KR20140016353A (ko) 체액 내 유기체의 빠른 식별
Laroute et al.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in healthy Beagle puppies and mature dogs
US20040133090A1 (en) Sanitary article for an organism state analysis and a method of an organism state analysis
Kohn et al. Laboratory diagnosis and characterization of renal disease in horses
KR20160003479U (ko)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Baig Biochemical composition of normal urine
KR200461782Y1 (ko)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Sheets et al. Urinalysis
CN207662802U (zh) 芯片及具有该芯片的纸尿裤
CN108872228A (zh) 一种新型集成尿液检测的采尿杯
CN110161272A (zh) 一种收集腔
KR100696432B1 (ko) 건강진단용 팬티
CN208860748U (zh) 一种新型集成尿液检测的采尿杯
Andreev-Andrievskiy et al. Chronic bladder catheterization for precise urine collection in awake mice
CN208114714U (zh) 纸尿裤
KARK et al. Simple Tests of Renal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I. A Reappraisal of Their Value in the Light of Serial Renal Biopsies
JPH0432612Y2 (ko)
CN213875139U (zh) 一种肾内科护理用尿液取样装置
Test Assessing Urine’s Physic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