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82Y1 -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82Y1
KR200461782Y1 KR2020100005720U KR20100005720U KR200461782Y1 KR 200461782 Y1 KR200461782 Y1 KR 200461782Y1 KR 2020100005720 U KR2020100005720 U KR 2020100005720U KR 20100005720 U KR20100005720 U KR 20100005720U KR 200461782 Y1 KR200461782 Y1 KR 200461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urine
cup
disposable
sanitar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333U (ko
Inventor
김관덕
이승준
서인원
Original Assignee
김관덕
서인원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덕, 서인원, 이승준 filed Critical 김관덕
Priority to KR2020100005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8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단부가 개구된 종이컵을 사용하는 대신에 몸체의 상단부에 뚜껑을 일체화시켜, 소변을 몸체 내부에 받은 후 뚜껑을 원터치식으로 닫음으로써, 소변이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취급 및 관리하기가 용이한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Sanitary container useful also as a disposable cup for urinalysis}
본 고안은 주로 소변검사용으로 사용되는 위생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상단부를 견고하게 밀폐시켜 위생성을 향상시킨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면, 질환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의 수립을 위해 엑스레이 촬영, 심전도, 소변 등 기초적인 검사를 받게된다.
이러한 검사들 중 임상 병리 검사로서 대부분의 병원에서 전체 검사량의 약 30% 정도를 점유할 만큼 필수적인 소변검사의 경우에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장과 요로의 질환이나 심장이나 내분비선 또는 그 밖의 여러 기관의 기능과 관련된 질환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의 수립에 중요한 임상 지표로 사용되어 필수적으로 시행하는 검사로 인식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검사 대상인 소변에는 200 여종의 성분이 검출되고, 이러한 각종 성분은 신체와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체외로 배출됨으로써 체내의 장애나 질병에 관한 많은 정보를 갖고 있고, 이러한 배설물인 오줌을 이용하여 당뇨, 신장질환, 방광염, 요도염, 췌장염 등 각종 질병에 대한 조기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변 검사란 소변의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전신의 상태, 병변을 알아내는 진단법으로, 소변을 생성하는 신장을 비롯하여, 그 통로인 요도에 병변이 있으면 혼탁뇨나 혈뇨 등의 이상이 나타나고, 또한 소변 속에는 전신의 대사산물이 배설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소변 검사는 비뇨기 이외의 전신적인 질환의 진단에도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200 여종의 소변 성분 중 질병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중요 성분으로는, 잠혈, 빌리루빈, 유로빌리노겐, 케톤체, 단백질, 아질산염, 포도당, pH, 비중, 백혈구, 비타민C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로부터 소변을 신선하고 깨끗한 용기에 담아 보관하여야 하고, 성분 분석 작업 시에도 불순물이 섞이거나 화학적 반응을 통해 변질된 성분이 검출되는 것을 차단하여야만 정확한 검사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채취된 소변을 진료실에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검사로는, 냄새, 육안적 색조와 혼탁도 검사, 요비중 등의 물리적 검사와 시험지봉(reagent strip)을 이용한 화학적 검사 및 요침사 검사가 있다.
여기서, 물리적 검사로서 채취된 소변의 색깔로부터 알 수 있는 육안적 색조 검사는, 정상 소변이 유로크롬(urochrome)과 유로빌린(urobilin)이란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엷은 황갈색을 띄게 되는데, 색깔의 옅고 짙음은 수분양의 많고 적음을 반영한다.
정상 소변도 오래 방치하면 인산이나 요산 등에 의해 흰색 또는 연한 홍색의 물질이 생겨날 수 있다.
그리고, 색깔이 매우 옅을 경우는 다뇨와 저비중뇨인데 요붕증, 당뇨병, 위축신과 같은 질병에서 흔히 본다.
간질환으로 인한 황달이 있을 경우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다량 빠져나오게 되는데 황갈색을 띄게 되고, 소변을 병에 넣어 흔들면 노란 거품이 나타난다.
또한, 붉은 포도주 색깔의 소변은 폴피린뇨에서 발견되며, 해열제인 안티피 린이나 항생물질인 설파제를 복용해도 소변이 붉은 색을 나타낸다.
악성 흑색종은 드물게 나타나는 암이지만, 멜라닌 색소가 소변으로 배출되어 독특한 암갈색을 보인다.
일부 세균 감염이나 비타민제 과량 복용으로 소변이 녹색을 띄는 경우가 있으며, 우유빛을 띄는 소변은 요로감염으로 소변에 고름이 섞여 나오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눈으로 구별할 수 있는 소변 색깔은 일부 질환이나 생리적 변화로 나타나는 것인데, 대표적인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특정 질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임상 병리검사 과정을 거쳐 색깔 변화의 원인을 밝혀야 한다.
또한, "요시험지봉 검사(reagent strip)"는, pH(산도), 요당, 요단백, 빌리루빈, 케톤, 잠혈반응, 유로빌리노겐, 질산, 백혈구 등 검사 항목이 포함된다.
이는 시험지봉 하나로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매우 간편하지만 반 정량 검사이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 소변을 채취하는데 유리 재질의 시험관을 사용하지만, 종래 유리 재질의 시험관은, 소변 채취 및 운반 시에 파손 등 취급상의 불편이 있고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어서 세척을 하는 등 위생상으로도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변 검사에 알맞도록 간편하고 위생적인 일회용 종이컵을 종래 유리 재질의 시험관을 대체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소변검사 대상자는 화장실 등에서 일회용 종이컵에다 소변을 배출시켜 담은 후, 소변이 저장된 일회용 종이컵을 들고 진료실로 이동하여 간호사 등의 의료진에게 갖다 줘서 소변검사를 의뢰하고, 의뢰된 소변을 검사하는 작업자는 소변이 저장된 일회용 종이컵을 검사실로 운반하여 소변 검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 일회용 종이컵은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일회용 종이컵의 상단부를 막을 수 있는 커버가 없기 때문에, 소변검사 대상자가 일회용 종이컵을 가지고 이동할 경우에 소변이 바깥으로 흘러나오기 쉽고, 소변검사 대상장의 부주의로 인해 일회용 종이컵의 개구부를 통해 소변이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경우 소변검사 대상자의 손에 묻거나 바닥에 떨어져서 바닥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소변에 함유된 암모니아 성분으로 인해, 일회용 종이컵에 소변을 담은 후 검사실로 이동할 때까지 소변으로부터 악취가 주변에 급속하게 퍼짐으로써, 주변 사람들의 코를 자극하여 주변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회용 종이컵에 저장된 소변이 일회용 종이컵의 개구부를 통해 바깥으로 노출되어, 주변 사람들이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소변 검사 대상자가 일회용 종이컵에 소변을 담은 후 화장실에서 진료실까지 이동하면서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면서 창피함을 무릅쓰고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회용 종이컵 대신에 플라스틱 컵을 사용하고, 뚜껑으로 플라스틱 컵의 상단부를 닫아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플라스틱 컵(1)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소변을 받을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이고, 플라스틱 컵(1)의 측면에는 용량 게이지(눈금)이 표시되어, 이 눈금을 통해 내용물의 담겨진 용량을 바로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컵(1)의 상단부에 뚜껑(2)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플라스틱 컵(1) 내부에 소변을 받고 뚜껑(2)으로 닫으면 내용물이 바깥으로 흘러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라스틱 컵(1)의 상단부에 뚜껑(2)이 단순히 끼워져 닫힌 상태여서, 뚜껑(2)이 플라스틱 컵(1)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면서 뚜껑(2)을 플라스틱 컵(1)에 반복적으로 열고 닫으면 뚜껑(2)이 헐거워져 플라스틱 컵(1)의 상단부와 뚜껑(2) 사이의 틈으로 내용물이 새어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컵(1)의 다른 일례로서, 도 17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컵(1)의 상단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뚜껑(2)이 플라스틱 컵(1)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돌려서 끼워져, 상기 뚜껑(2)이 플라스틱 컵(1)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내용물이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뚜껑(2)이 끼움식 또는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플라스틱 컵(1)의 경우 뚜껑(2)이 모두 플라스틱 컵(1)과 분리되어 별개로 제작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뚜껑(2)이 플라스틱 컵(1)의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검사 대상자가 화장실에서 플라스틱 컵의 뚜껑(2)을 열고, 변기 위에 또는 기타 다른 장소에 뚜껑(2)을 놓은 후 소변을 플라스틱 컵(1)의 내부에 받아야 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컵(1)에 소변을 받은 후 변기 또는 다른 장소에 위치된 뚜껑(2)을 가져와서 플라스틱 컵(1)에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소변검사자의 실수로 뚜껑(2)을 깜빡 잊고 닫지 않은 채로 소변이 담긴 플라스틱 컵(1)을 들고 가다가 플라스틱 컵(1)으로부터 소변을 흘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플라스틱 컵(1)과 뚜껑(2)이 분리된 제품을 유통시킬 때, 플라스틱 컵(1)과 뚜껑(2)을 별개로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하고, 유통시 뚜껑(2)을 잃어버릴 수가 있기 때문에 뚜껑(2)이 없는 플라스틱 컵(1)을 사용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거나, 뚜껑(2)이 없는 플라스틱 컵(1)을 아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기존의 플라스틱 컵으로부터 뚜껑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대신에 몸체의 상단부에 뚜껑을 일체화시켜, 소변을 몸체 내부에 받은 후 뚜껑을 원터치식으로 쉽게 개폐함으로써, 소변이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 및 관리하기가 용이한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고, 소변 검사를 위해 화장실에서 몸체 내부에 소변을 받은 후 뚜껑을 원터치로 닫음으로써, 소변이 몸체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에 의해 소변에서 발생된 악취가 주변으로 신속하게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검사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의 저면에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뚜껑의 체결홈을 몸체 상단의 테두리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몸체의 상단부를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을 원터치로 제껴서 쉽게 열어 내용물을 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절개부를 볼펜 등과 같은 뾰족한 것으로 눌러 안쪽으로 밀면 구멍이 형성되어, 뚜껑을 열지 않고도 쉽게 몸체 내부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몸체의 상단부에 뚜껑을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몸체 내부에 소변을 받은 후 뚜껑을 원터치식으로 닫으면 소변이 바깥으로 흘러나오지 않아 기존의 소변이 손에 묻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소변에서 발생된 악취로 인해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뚜껑을 몸체의 상단부에 닫아서 견고하게 체결하여, 소변이 저장된 몸체를 주머니에 넣어 은폐시킴으로써, 화장실에서 검사실 까지 주변 사람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마음놓고 이동할 수 있다.
3. 바람직한 일예에서는 뚜껑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절개부를 볼펜 등으로 눌러 구멍을 형성한 다음 뚜껑을 열지 않고도 용이하게 몸체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A-A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뚜껑을 닫은 채로 내용물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용기가 포개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뚜껑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소변검사용기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용기의 앞쪽에서 본 정면도
도 11은 도 7에서 용기가 포개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7의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가 꽂이대에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꽂이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 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 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소변을 내부에 간편하게 보관하면서 소변을 운반하는 동안에도 소변이 바깥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용기의 상단에 뚜껑(11)이 개폐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장착됨으로써, 뚜껑(11)을 닫으면 용기를 흔들어도 용기 내부에 저장된 소변 등이 바깥으로 흘러나올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는 소변검사용으로 주로 사용되지만, 소변 외에도 정액이나 침 등의 인체분비물을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에 담아 다른 종류의 임상병리검사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위생상 한번 사용된 위생용기는 버려지는 일회용 용기이다.
상기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는 내부에 일정한 체적의 수용부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뚜껑(11)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의 상단부가 개구되고, 몸체(10)의 측면과 하단부가 막혀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10)의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에 가까운 구조로 이루어지고, 몸체(10)의 측면부는 몸체(10)의 하단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방향으로 직사각형에 가까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 상단의 테두리부 앞쪽에는 주둥이부(15)가 앞쪽으로 뾰족하게 돌출 형성되고, 이 주둥이부(15)가 아래쪽으로 향하게 몸체(10)를 기울이는 경우 몸체(10) 내부의 액체가 주둥이부(15)로 모아지면서 바깥으로 배출됨으로써, 몸체(10) 내부의 액체를 시험관 등의 다른 용기에 옮겨 담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단부에 커링부가 커링 작업에 의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뚜껑(11)은 몸체(10)의 개구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10) 상단부의 테두리부의 형상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뚜껑(11)의 저면에 체결홈(13)이 형성되어, 몸체(10) 상단의 커링부에 뚜껑(11)의 체결홈(13)을 견고하게 삽입 및 고정함으로써, 몸체(10)의 개구부를 뚜껑(11)으로 닫아서 몸체(10) 내부를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뚜껑(11)은 힌지부(12)에 의해 몸체(10) 상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디서든지 몸체(10) 내부에 소변을 받은 후 바로 뚜껑(11)을 몸체(10)의 상단부에 원터치식으로 닫아 체결고정하여 몸체(10)의 상단부를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부(12)의 하단부가 몸체(10)의 상단 뒤쪽에 폭방향으로 길게 한몸체(10)로 형성되어 있고, 힌지부(12)의 상단부가 뚜껑(11)의 뒤쪽에 폭방향으로 길게 한몸체(10)로 형성되며, 힌지부(12)의 중간부는 "ㄷ" 단면 구조로 절곡 형성되어, 뚜껑(11)이 힌지부(12)에 의해 몸체(10)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도 5는 도 1에서 뚜껑을 닫은 채로 내용물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뚜껑(11)의 앞쪽에는 주둥이덮개부(16)가 형성되어 몸체(10)의 상단 앞쪽에 위치한 주둥이부(15)를 커버하고, 이 주둥이덮개부(16)에 인접하게 절개부(14)가 형성되어, 이 절개부(14)를 볼펜 등과 같은 것으로 누르면 내부쪽으로 구멍이 뚫려 뚜껑(11)을 열지 않고도 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다.
이때, 절개부(14)의 앞쪽 부분은 몸체(10)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모으면서 따를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고, 절개부(14)의 뒤쪽 부분은 볼펜으로 눌러 구멍이 뚫린 후에도 절개부(14)가 뚜껑(11)에서 분리되지 않게 뚜껑(11)에 붙어 있다.
이때 절개부(14)의 형상은 절개부가 뚫린 후에 소변이 주변으로 흐르지 않고 안전하게 쏟아질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말발굽 모양, "V"자 모양, "U"자 모양 등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절개부(14)는 사출금형에서 절개되는 라인의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되도록 설계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뚜껑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용기의 앞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몸체(10)의 하단부가 타원형 구조를 가지고, 몸체(10)의 측면부는 몸체(10) 하단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몸체(10)의 상단부가 개구되고, 몸체(10)의 하단부와 측면부가 막힌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전체면에 걸쳐 체결돌기(18)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뚜껑(11)의 저면에 체결홈(13)이 형성되어, 뚜껑(11)을 닫으면 몸체(10) 상단의 체결돌기(18)가 뚜껑(11)의 체결홈(13)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뚜껑(11)으로 몸체(10) 상단의 개구부를 닫아 몸체(1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부의 뒤쪽에는 힌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뚜껑(11)이 힌지부(12)에 의해 몸체(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몸체(10)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부의 앞쪽에는 주둥이부(15)가 앞쪽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시험관 등과 같은 용기에 바깥으로 흘리지 않고 따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0) 상단의 테두리부는 전체면에 걸쳐 높이가 일정한 평면형으로 되어 있으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 상단의 테두리부 중 가운데가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 상단의 테두리부의 가운데를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여성들이 좌변기 또는 변기의 주변에 앉아서 소변을 볼 때 회음부의 구조상 소변의 배출각도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성들이 뚜껑(11)을 잡고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회음부에서 배출되는 소변의 각도에 맞게 각도 조절함으로써, 소변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3은 도 7의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가 꽂이대에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꽂이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몸체(10)의 구조가 사각형이나 타원형 인 경우 다수의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꽂이대(20)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보관 및 관리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예를 들면, 상기 꽂이대(20)의 내부에는 다수의 격벽(21)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다수의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가 격벽(21)에 의해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꽂이대(20)에 수납 및 관리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상기 꽂이대(20)는 가로 및 세로 면적이 넓고 높이가 낮은 납작한 형태의 직사각체 구조이기 때문에, 뚜껑(11)에 바코드 스티커 및 이름표가 부착된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꽂이대(20)에 넣고, 이러한 꽂이대(20)를 여러단으로 용이하게 쌓아 올릴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사각형 또는 타원형 외에도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몸체(10)의 높이가 높은 원통형이나 몸체(10)의 높이가 낮은 납작한 형태이든 특정 형상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뚜껑(11)의 상면에는 환자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스티커 또는 이름표가 부착됨으로써,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뚜껑(11)에 부착된 바코드 스티커 및 이름표를 이용하여 검사대상물인 환자의 소변을 효율적으로 식별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서 용기가 포개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에서 용기가 포개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몸체(10)의 하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점점 커지게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유통시킬 경우에 종이컵과 같이 포개어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측면 일측에는 눈금(용량게이지)(17)이 양각으로 형성되어, 이 눈금(17)을 보고 작업자가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 및 뚜껑(11)의 재질을 임상 병리 검사용으로 사용가능한 임의의 위생적 재질을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몸체(10)와 함께 블리스터(PVC,PET) 또는 PP 재질을 사용할 경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 및 뚜껑(11)은 스티로폼 등 다른 어떤 재료로도 제작가능하고, 뚜껑(11)이 몸체(10)에 연결되어 있기만 하면 어떠한 구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 및 뚜껑(11)은 진공성형방법 또는 사출 성형방법에 의해 한 몸체(10)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간호사 등은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뚜껑(11) 위에 환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스티커를 부착한 후, 소변검사대상자에게 바코드 스티커가 부착된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주면서 소변을 받아오라고 지시한다.
그 다음, 소변검사대상자가 소변검사를 위해 화장실에서 소변을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에 받고 뚜껑(11)을 원터치로 닫아 몸체의 상단부를 완전히 밀폐시킨 다음, 진료실 또는 검사실로 이동하여 간호사 등의 의료진에게 제출한다.
이때, 소변검사대상자는 화장실 등에서 소변을 받은 후 소변이 저장된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감추기 위해 주머니에 넣고 진료실 또는 검사실로 이동할 수 있다.
간호사 등은 소변검사대상자로부터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받아 전용 꽂이대(20)의 삽입부에 꽂아서 용이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11)을 원터치로 제껴 쉽게 몸체(10)의 상단부를 열어서 내용물을 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11)을 닫은 채로 뚜껑(11)에 형성된 절개부(14)를 볼펜과 같은 것으로 눌러서 구멍을 뚫어서 뚜껑(11)을 열지 않고도 내용물을 따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에 의하면, 뚜껑(11)을 몸체(10)의 상단부에 닫아 몸체(10)의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몸체(10) 내부에 유입되거나, 몸체(10)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말해서, 상기 뚜껑(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홈에 의해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상단부가 견고하게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이 저장된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들고 걸어서 진료실 또는 검사실로 이동할 경우에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가 흔들리더라도, 소변이 바깥으로 흘러나오거나, 소변에서 발생된 냄새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뚜껑(11)을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의 상단부에 닫아 용기 내부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장실에서 소변을 받아 나올때 소변이 흘러넘칠까봐 컵을 앞에 들고 조심조심 걸어갈 필요없이 화장실에서 검사실까지 소변이 담긴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를 주머니에 넣어 은닉시킬 수 있다.
이는 소변검사대상자들이 화장실에서 소변을 받아 나오면서 창피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감안할 때 매우 큰 장점이라 생각된다.
또한, 뚜껑(11)의 앞쪽에 주둥이덮개부(16)와 인접하게 절개부(14)를 형성함으로써, 볼펜등과 같은 것으로 구멍을 뚫은 다음 뚜껑(11)을 열지 않고도 몸체(10)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다.
10 : 몸체 11 : 뚜껑
12 : 힌지부 13 : 체결홈
14 : 절개부 15 : 주둥이부
16 : 주둥이덮개부 17 : 눈금
20 : 꽂이대 21 : 격벽

Claims (7)

  1.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상단부에 힌지부(12)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몸체(10)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뚜껑(11);
    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11)에 절개부(14)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4)를 눌러 구멍을 형성한 후 이 구멍을 통해 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11)의 저면에는 체결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3)에 의해 뚜껑(11)을 몸체(10)의 상단부에 원터치식으로 체결고정하여 몸체(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4)의 형상은 말발굽 모양, V자 모양 또는 U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및 뚜껑(11)의 재질은 블리스터, PP 또는 스티로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및 뚜껑(11)은 진공성형방법 또는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한 몸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KR2020100005720U 2010-06-01 2010-06-01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KR200461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20U KR200461782Y1 (ko) 2010-06-01 2010-06-01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20U KR200461782Y1 (ko) 2010-06-01 2010-06-01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33U KR20110011333U (ko) 2011-12-07
KR200461782Y1 true KR200461782Y1 (ko) 2012-08-06

Family

ID=4713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720U KR200461782Y1 (ko) 2010-06-01 2010-06-01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79U (ko) 2015-03-31 2016-10-10 이원석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WO2019009653A1 (ko) * 2017-07-06 2019-01-10 (의) 삼성의료재단 소변검체용 보관용기
KR20190057825A (ko) 2017-11-21 2019-05-29 김민구 부착형 소변검사 스티커
KR102056484B1 (ko) * 2017-10-25 2019-12-16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검사용 컵 방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29Y1 (ko) * 2011-01-31 2013-03-08 (주)한디 소변검사용 일회용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9892A (en) 1990-01-10 1992-07-14 Mccarthy Dennis S Anatomically designed, disposable specimen cup
US5147342A (en) 1990-11-21 1992-09-15 Kane Patricia B Systems for collecting urine and other body fluids
US5342330A (en) 1991-05-01 1994-08-30 Kane Patricia B Assemblies for collecting urine and other body fluids
KR200401183Y1 (ko) 2005-08-30 2005-11-15 이종욱 소변채집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9892A (en) 1990-01-10 1992-07-14 Mccarthy Dennis S Anatomically designed, disposable specimen cup
US5147342A (en) 1990-11-21 1992-09-15 Kane Patricia B Systems for collecting urine and other body fluids
US5342330A (en) 1991-05-01 1994-08-30 Kane Patricia B Assemblies for collecting urine and other body fluids
KR200401183Y1 (ko) 2005-08-30 2005-11-15 이종욱 소변채집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79U (ko) 2015-03-31 2016-10-10 이원석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WO2019009653A1 (ko) * 2017-07-06 2019-01-10 (의) 삼성의료재단 소변검체용 보관용기
KR101953722B1 (ko) 2017-07-06 2019-03-04 (의)삼성의료재단 소변검체용 보관용기
KR102056484B1 (ko) * 2017-10-25 2019-12-16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검사용 컵 방출방법
KR20190057825A (ko) 2017-11-21 2019-05-29 김민구 부착형 소변검사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33U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7321B2 (en) Urine-specimen collection, storage, and testing device
RU2630038C2 (ru) Женский мочеприемник
KR200461782Y1 (ko) 일회용 소변검사용 컵 겸 위생용기
US20180103934A1 (en) Urine-specimen collection, storage and testing device
US6616893B1 (en) Diagnostic testing kit for collection and testing of fluid samples with user configurable test strips and timer
US20160243543A1 (en) Devices, systems, methods, and kits for receiving a swab
US20050106753A1 (en) Sanitary fluid collection, application and storage device and methods of use of same
JP2018528413A (ja) トイレ中の排泄物の移動分析装置及び方法
AU2008247479A1 (en)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hydration and other conditions
RU2182476C1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US20170067872A1 (en) Urine Test Device
US20160258937A1 (en) Urine test device incorporating urinary catheter or urinary bag attachme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US20180317891A1 (en) Improved urine test container for urine separation and infection control
US20050081793A1 (en) Container for urine
CN215575183U (zh) 一种检测装置
KR20160003479U (ko) 소변 검사 기능이 겸비된 소변 채취용 용기
RU2332966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бора мочи и комплектующие его средства
CN212622612U (zh) 一种检测装置
KR200340497Y1 (ko) 소변 검사용 컵
KR200465729Y1 (ko) 소변검사용 일회용 용기
CN211634065U (zh) 一种便盆
US11793496B2 (en) Means for collecting samples of urine, data and methods thereof
KR102083072B1 (ko) 소변 검사용 채뇨 용기
EP4374793A1 (en) Device for testing analyte in liquid sample
US20140303516A1 (en) Urine coll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