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158A - Oil degradation sensor and oil degradation detection method - Google Patents

Oil degradation sensor and oil degradation dete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158A
KR20160003158A KR1020157033812A KR20157033812A KR20160003158A KR 20160003158 A KR20160003158 A KR 20160003158A KR 1020157033812 A KR1020157033812 A KR 1020157033812A KR 20157033812 A KR20157033812 A KR 20157033812A KR 20160003158 A KR20160003158 A KR 20160003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ionic liquid
liquid film
electrode
deteri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64050B1 (en
Inventor
아키히코 야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0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6Glass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01N33/2876Total acid nu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용해, 희석 등의 조작을 가하지 않고 오일을 그대로 측정 대상으로 할 수 있고, 오일 그 자체의 열화를 검출할 수 있는 오일 열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오일 열화 센서 (1) 는, 이온 액체를 함유하고, 오일 (2) 의 열화 검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일 (2) 에 접촉 가능한 이온 액체막 (10) 과, 이온 액체막 (10) 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이고, 오일 (2) 로부터 이온 액체막 (10) 으로의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구성된 감응부 (21) 를 갖는 감응 전극 (20) 과, 이온 액체막 (10) 에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비교 전극 (30) 과,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전위차계 (40) 를 구비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il deteriora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itself without changing operations of the oil, An ionic liquid film 10 capable of at least partly contacting the oil 2 at the time of detection of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2 and at least a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10 covering the ionic liquid film 10 (10), a comparison electrode (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onic liquid film (10), and a comparative electrode (20) in comparison with the electrode And a potentiometer (40) for measur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des (30).

Description

오일 열화 센서 및 오일 열화 검출 방법{OIL DEGRADATION SENSOR AND OIL DEGRADATION DETECTION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degradation sensor and an oil degradation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오일 열화 센서 및 오일 열화 검출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오일 (예를 들어, 엔진유, 터빈유, 유압 작동유, 각종 윤활유 등) 의 열화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deterioration sensor and an oil deterioration dete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sor for detecting deterioration of various oils (for example, engine oil, turbine oil, hydraulic operating oil, various lubricating oils, etc.) And methods.

윤활유 등의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종래부터 JIS K 2501 : 2003「석유 제품 및 윤활유-중화가 시험 방법」에 기재된 방법이 알려져 있다.As a method for detecting deterioration of oil such as lubricating oil, the method described in JIS K 2501: 2003 " Petroleum products and lubricating oil-neutralization test method "

이것은, 톨루엔, 2-프로판올 및 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제에 시료유를 용해시키고, pH 를 모니터하면서 염산 표준 2-프로판올액 또는 수산화칼륨 표준 2-프로판올액으로 적정을 실시함으로써, 오일의 열화의 지표로 여겨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체 산가를 구하는 것이다 (비특허문헌 1 을 참조).This is considered to be an index of deterioration of the oil by dissolving the sample oil in a mixed solvent of toluene, 2-propanol and water and performing titration with a hydrochloric acid standard 2-propanol solution or potassium hydroxide standard 2-propanol solution while monitoring the pH And the total acid value generally used is obtained (see Non-Patent Document 1).

전체 산가란, 시료유 1 g 중에 함유되는 산성 성분의 전체량, 즉 첨가제 중의 산성 물질, 사용 중에 생성된 유기산 등 전부를 합한 양을 중화시키는 데에 필요로 하는 수산화칼륨의 양이며, 일반적으로 오일이 열화됨에 따라, 전체 산가는 증가하는 것이 통상적이다.The amount of potassium hydroxide required to neutralize the total amount of the acid components contained in 1 g of the sample oil, i.e., the total amount of the acidic substance in the additive, the total amount of the organic acid produced during use, etc., It is customary that the total acidity is increased.

그러나, 이와 같이, 시료유의 전체 산가를 측정하는 방법에서는, 기기로부터 채취한 시료유를 상기 혼합 용제에 용해시킨 것을 측정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용제로 희석시키기 전의 오일 그 자체에 대해서는 직접 측정할 수 없고, 또, 오일 열화의 계속적인 변화를 검출할 수 없다.However, i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total acid value of the sample oi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ample oil sampled from the apparatus must be dissolved in the mixed solvent,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oil itself before the dilution with the solvent.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e continuous change of the oil deterioration.

한편, 수용액의 pH 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pH 전극으로서의 유리 전극과 참조 전극을 구비하는 pH 전극 센서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을 참조).On the other hand, as a device for measuring the pH of an aqueous solution, a pH electrode sensor including a glass electrode as a pH electrode and a reference electrode is known (see Patent Document 1).

이와 같은 pH 전극 센서는, 시료 용액에 침지시켜 사용한다. 유리 전극의 유리막이 시료 용액과 접촉하면, 유리막의 표면이 시료 용액의 pH 에 따른 전위차를 발생시킨다. 이 때, 일정한 기준 전위를 제시할 수 있는 참조 전극을 사용하여 이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시료 용액의 pH 를 얻을 수 있다.Such a pH electrode sensor is used by being immersed in a sample solution. When the glass film of the glass electrode contacts the sample solution, the surface of the glass film generates a pote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H of the sample solution. At this time, the pH of the sample solution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potential difference by using a reference electrode capable of presenting a constant reference potential.

또, 특허문헌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유로에 서로 병행하여 설치된 2 장의 극판과, 상기 2 장의 극판 간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에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는 전류계와, 상기 2 장의 극판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그 극판 간의 전압을 계측하는 전압계와, 상기 전류계 및 상기 전압계에 의한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일의 도전율 및 유전율을 구하고, 그 도전율 및 그 유전율에 기초하여 그 오일의 열화를 판단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As shown in Patent Document 2, there are two electrode plates provi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oil passage, an ammeter for measuring a current flowing when an AC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two electrode plates, and an AC voltage An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ductivity and the permittivity of the oil on the basis of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ammeter and the voltmeter and determining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based on the conductivity and the permittivity of the oil, Has been proposed.

일본 특허공보 제4733588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73358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693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9-2693

재단 법인 일본 규격 협회, JIS K 2501 : 2003「석유 제품 및 윤활유-중화가 시험 방법」 Japan Association of Standards, JIS K 2501: 2003 "Petroleum products and lubricants - Test method for neutralization"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pH 전극 센서를 사용하면, pH 전극 센서를 수용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수용액의 pH 를 직접 또한 계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시료가 비극성인 오일인 경우, pH 전극 센서를 직접 오일에 침지시켜도, pH 전극의 유리 전극과 오일의 친화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pH 전극 센서를 그대로 오일의 열화 검출에 적용할 수 없다.When the pH electrode sens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used, it is possible to directly and continuously measure the pH of the aqueous solution while the pH electrode sensor is immersed in the aqueous solution. However, when the sample is a non-polar oil, even if the pH electrode sensor is directly immersed in oil, since the affinity between the glass electrode and the oil of the pH electrode is insufficient, a general pH electrode sensor can not be applied to the deterioration detection of the oil as it is .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수법에서는, 오일 중의 컨태미네이션 혼입에 수반되는 전기 특성의 변화에 대해, 도전율 및 유전율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도전율 및 유전율에 기초하여 오일의 열화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오일의 전체 산가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어서, 전체 산가의 변화에 수반되는 오일 그 자체의 열화를 판단할 수 없다.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is judged based on the conductivity and the permittivity, with reference to the change of the electric characteristics accompanying the contamination incorporation in the oil in view of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permittivity, It is impossible to judge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itself due to the change of the total acid value.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몇 가지의 실시형태는, 용해, 희석 등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오일을 그대로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경우여도, 오일 그 자체의 열화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오일 열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적어도 몇 가지의 실시형태는, 그러한 오일 열화 센서를 사용한 오일 열화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such a situation, at leas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directly detec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itself, even when the oil to which no operation such as dissolution or dilution is applied is directly measur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il deterioration sensor. In addition, at leas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im to provide an oil deterioration detection method using such an oil deterioration sensor.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일 열화 센서는, 오일의 열화에 의해 생성되는 극성 물질을 검지하여 상기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오일 열화 센서로서,An oil deterioration senso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l deterioration sensor that detects a deterioration of the oil by detecting a polar material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oil,

이온 액체를 함유하고, 상기 오일의 열화 검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오일에 접촉 가능한 이온 액체막과,An ion liquid film containing an ionic liquid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oil at least partly upon detection of deterioration of the oil;

상기 이온 액체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이고, 상기 오일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구성된 감응부를 갖는 감응 전극과,A sensing electrode which is covered at least in part by the ionic liquid film and is configured to be sensitive to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상기 이온 액체막에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비교 전극과,A comparative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onic liquid film,

상기 감응 전극과 상기 비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전위차계를 구비한다.And a potentiometer for measur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비극성 액체에 이온 액체막이 침지된 상태에 있어서, 이온 액체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인 감응부를 갖는 감응 전극과 이온 액체막에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비교 전극 사이에는, 이온 액체막 내에 존재하는 극성 물질의 양에 따른 전위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아냈다. 이것은, 비극성 액체와 감응 전극의 감응부 사이에 극성인 이온 액체막이 개재됨으로써, 비극성 액체로부터 이온 액체막으로의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부가 감응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비극성 액체로부터 이온 액체막으로의 극성 물질의 이동은 비극성 액체와 이온 액체의 평형 관계에 의해 기술 가능하므로,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위차는 비극성 액체 내에 있어서의 극성 물질의 양의 지표이다. 따라서,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위차로부터, 비극성 액체 내에 있어서의 극성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in a state in which an ionic liquid film is immersed in a nonpolar liquid, an ionic liquid film is formed between the ionic liquid film and the reference electrode, A potential difference occu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polar material present.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because the polarity of the ionic liquid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non-polar liquid and the sensitive part of the electrode, thereby allowing the sensitive part to 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non-polar liquid to the ionic liquid film. Since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nonpolar liquid to the ionic liquid film can be described by the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 nonpolar liquid and the ionic liquid, the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is an indicator of the amount of polar material in the nonpolar liquid. Therefore, the polar substance in the non-polar liquid can be detected from the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상기 오일 열화 센서는, 이러한 본 발명자에 의한 지견에 기초한 것이다. 즉, 측정 대상의 오일에 이온 액체막이 접촉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오일 열화 센서를 오일에 침지시키면, 오일의 열화에서 기인하여 오일 내에 생성된 극성 물질이 오일과 이온 액체막 사이의 계면을 통하여 이온 액체막 내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온 액체막에 의해 감응 전극의 감응부의 적어도 일부가 덮이고, 또한 이온 액체막에 비교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 사이에는, 이온 액체막 내에 존재하는 극성 물질의 양에 따른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를 전위차계로 측정함으로써, 그 전위차로부터 오일의 열화도를 검출할 수 있다.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or. That is, when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immersed in the oil because the ionic liquid film can contact the oil to be measured, the polar material generated in the oil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flows into the ionic liquid film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oil and the ion liquid film Move.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sensitive portion of the sensitive electrode is covered by the ionic liquid film and the comparative electrode is electrically communicated with the ionic liquid film, the amount of the polar material existing in the ionic liquid film A potential difference occurs. By measuring this potential difference by a potentiometer,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oil can be detected from the potential difference.

또, 상기 오일 열화 센서의 측정 원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측정 대상 액체가 비극성이어도 성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오일 열화 센서는, 용해, 희석 등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오일을 그대로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경우여도 사용 가능하다.Since the measurement principl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can be established even if the liquid to be measured is non-polar, as described above,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capable of measuring the oil which has not been subjected to operations such as dissolution and dilution, It can be used.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감응부는, 상기 오일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수반되는 상기 이온 액체막 내에 있어서의 수소 이온 농도의 변화에 감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sens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ensitive to a change in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the ionic liquid film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이 경우, 오일 열화 센서의 오일로의 침지시, 감응 전극의 감응부가 수소 이온 농도의 변화에 감응하여, 오일의 열화에 수반되어 생성되는 유기산 등의 산성 물질의 농도에 따른 전위차가 감응 전극과 기준 전극 사이에 발생한다. 따라서, 이 전위차를 전위차계로 측정함으로써, 오일의 열화를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immersed in oil, the sensitive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is sensitive to the change of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acidic substance such as organic acid, And occurs between the electrodes. Therefore, deterioration of the oil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the potential difference with a potentiometer.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감응 전극이 유리 전극 또는 이온 감응성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ISFET) 전극이어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sensing electrode may be a glass electrode or an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 electrode.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비교 전극은, 상기 전위차가 상기 감응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준 전극부와, 상기 기준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내부액과, 상기 내부액과 상기 이온 액체막 사이에 형성되는 액락부 (液絡部) 를 갖고 있어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mparison electrode includes a reference electrode portion in which the potential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the reference electrode portion and the sensing electrode, an inner liqui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erence electrode portion is immersed, (Liquid junction portion) formed on the substrate.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이온 액체막은, 상기 감응부와 상기 액락부의 양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ionic liquid film may be arranged so as to at least partially cover both of the sensitive portion and the liquid reflection portion.

이온 액체막이 감응부와 액락부의 양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음으로써,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의 직접적인 전기적 연통 상태를 이온 액체막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 ionic liquid film at least partially covers both the sensitive portion and the liquid portion, so that the direct electrical communication state of the sensitive electrode and the comparative electrode can be formed by the ionic liquid film.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오일 열화 센서는, 상기 이온 액체막과 상기 오일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이온 액체막을 부분적으로 덮는 보호부를 추가로 구비하고,In some embodiments,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further includes a protec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ionic liquid film and the oil and partially covering the ionic liquid film,

상기 이온 액체막은, 상기 보호부에 의해 덮이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일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ionic liquid film may be configur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not covered by the protectiv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il.

오일 열화 센서가 침지되는 시료 오일이 교반 상태에 있으면, 감응 전극 등을 덮는 이온 액체막의 전부 또는 일부가 유거 (流去)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이온 액체막을 부분적으로 덮는 보호부를 형성함과 함께, 이온 액체막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부로 덮지 않고 오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오일 중의 극성 물질의 이온 액체막으로의 이동을 확보하면서, 이온 액체막의 오일로의 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When the sample oil in which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immersed is in the stirring state, all or a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covering the electrode or the like may be drained off. Thu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y forming the protection part that partially covers the ionic liquid film and at least a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is in contact with the oil without covering with the protection part,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in th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is ensured The outflow of the ionic liquid film into the oil can be reduced.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감응부와 상기 액락부는, 상기 이온 액체막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이온 액체막의 양측에 배치되고,In some embodiments, the sensitive portion and the liquid crystal portion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onic liquid film so as to sandwich the ionic liquid film therebetween,

상기 이온 액체막의 일부는, 상기 감응부 및 상기 액락부에는 덮이지 않고 상기 오일에 접촉 가능해도 된다.A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may be in contact with the oil without covering the sensitive part and the liquid part.

이와 같이, 이온 액체막을 감응부와 액락부 사이에 둠으로써, 이온 액체막의 양방의 측면이 오일에 접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온 액체막의 오일로의 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온 액체막의 일부는 오일에 접촉 가능하기 때문에, 오일 중의 극성 물질의 이온 액체막으로의 이동을 확보할 수 있다.By placing the ionic liquid film between the sensitive portion and the liquid portion in this way, both side surfaces of the ionic liquid film are not in contact with the oil, so that the outflow of the ionic liquid film into the oil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can contact with the oil,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in th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can be ensured.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이온 액체막의 40 ℃ 에서의 동점도가 12 ㎟/s 이상이어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ionic liquid film may have a kinematic viscosity at 40 캜 of 12 mm 2 / s or more.

이온 액체막의 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이온 액체막의 오일로의 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By increasing the viscosity of the ionic liquid film, the outflow of the ionic liquid film into the oil can be reduced.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이온 액체막이, 증조제를 함유해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ionic liquid film may contain a thickening agent.

이온 액체막이 증조제를 함유함으로써, 이온 액체막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이온 액체막의 오일로의 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ionic liquid film contains a thickening agent, the viscosity of the ionic liquid film can be increased, and the outflow of the ionic liquid film into the oil can be reduced.

또한, 이온 액체막에 대한 증조제의 함유량 C (= x/y. 단, x 는 증조제의 첨가량이고, y 는 이온 액체막 전체로서의 질량이다) 는, 1 ∼ 50 질량% 여도 된다.The content C (= x / y, where x is the amount of the thickener and y is the mass of the ionic liquid film as a whole) of the thickener relative to the ionic liquid film may be 1 to 50 mass%.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일 열화 검출 방법은, 이온 액체를 함유하는 이온 액체막과, 상기 이온 액체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인 감응부를 갖는 감응 전극과, 상기 이온 액체막에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비교 전극을 구비하는 오일 열화 센서를 사용하여, 오일의 열화에 의해 생성되는 극성 물질을 검지하여 상기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오일 열화 검출 방법으로서,An oil deterioration detecting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l deterioration detecting method including: an ionic liquid film containing an ionic liquid; a sensing electrode having a sensit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covered by the ionic liquid film; And detecting a deterioration of the oil by detecting a polar material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oil, the oil deterioration detecting method comprising:

상기 오일에 상기 이온 액체막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오일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상기 오일 열화 센서를 상기 오일에 침지시키는 침지 스텝과,An immersion step of immersing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n the oil so that the ionic liquid film at least partially contacts the oil and is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상기 오일 열화 센서를 상기 오일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감응 전극과 상기 비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계측하는 계측 스텝과,A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in a state in which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immersed in the oil;

상기 전위차에 기초하여, 상기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열화 검출 스텝을 구비한다.And a deterioration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based on the potential difference.

상기 오일 열화 검출 방법에 의하면, 오일 열화 센서의 감응 전극의 적어도 일부가 이온 액체막으로 덮여져 있으므로, 그 오일 열화 센서를 측정 대상의 오일에 침지시켰을 때, 오일의 열화에서 기인하여 오일 내에 생성된 극성 물질이 이온 액체막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용해, 희석 등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오일 그 자체를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경우여도, 오일로부터 이온 액체막으로의 극성 물질의 이동에 수반되어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전위차계로 측정하면, 그 전위차로부터 오일 그 자체의 열화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oil deterioration detecting method,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covered with the ion liquid film. Therefore, when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immersed in the oil to be measured, the polarity It becomes possible to move the material to the ionic liquid film. Therefore, even when the oil itself not subjected to the operation such as dissolution or dilution is to be measured, a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comparative electrode accompanied by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to the ionic liquid membrane is measured by a potentiometer It is possible to detect deterioration of the oil itself from the potential difference.

본 발명의 오일 열화 센서에 의하면, 측정 대상의 오일에 이온 액체막이 접촉 가능하여, 오일 중에서 생성된 극성 물질이 이온 액체막 내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용해, 희석 등의 조작을 가하지 않고 오일을 그대로 측정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 감응 전극의 감응부는, 오일의 열화에 의해 생성된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오일 그 자체의 열화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nic liquid film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il to be measured and the polar material generated in the oil can be moved into the ionic liquid film. Therefore, . In addition, since the sensitive portion of the sensing electrode is configured to be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oil, deterioration of the oil itself can be detected.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일 열화 센서의 전체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일 열화 센서의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의 전위차와 오일의 전체 산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리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리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리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ISFET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ISFET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ISFET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ISFET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ISFET 전극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il deterio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a glass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a glass electr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a glass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an ISFET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an ISFET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an ISFET electr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9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an ISFET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SFET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imensions, materials, shapes, relative arrangements and the like of the constituent part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y include specific descriptions, and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일 열화 센서의 전체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오일 열화 센서의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의 전위차와 오일의 전체 산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il deterio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and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열화 센서 (1) 는, 감응부 (21) 를 갖는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과,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 가능한 전위차계 (40) 를 구비한다.1,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includes a sensing electrode 20 having a sensing section 21, a comparison electrode 30,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20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30, And a potentiometer (40) capable of detecting the potential.

오일 열화 센서 (1) 의 측정 원리는, 비극성 액체에 이온 액체막이 침지된 상태에 있어서, 이온 액체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인 감응부를 갖는 감응 전극과 이온 액체막에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비교 전극 사이에는, 이온 액체막 내에 존재하는 극성 물질의 양에 따른 전위차가 발생한다는 본 발명자의 지견에 기초한 것이다.The measurement principl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is such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ionic liquid film is immersed in the nonpolar liquid, between the reference electrode having the sensitive portion at least partially covered by the ionic liquid film and the reference electrode electr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ionic liquid film,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ors, that a potential difference occu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polar material present in the liquid film.

이 측정 원리를 실현하기 위해,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일 열화 센서 (1) 는, 오일 (2) 의 열화 검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일 (2) 에 접촉 가능한 이온 액체막 (10) 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온 액체막 (10) 은, 감응 전극 (20) 의 감응부 (21) 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한다. 한편, 비교 전극 (30) 은 이온 액체막 (10) 에 전기적으로 연통시킨다.In order to realize this measurement principle,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the ionic liquid film 10 capable of contacting the oil 2 at least partly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2. The ionic liquid film 10 is formed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ensitive portion 21 of the electrode 20.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electrode 30 electrically communicates with the ionic liquid film 10.

상기 구성의 오일 열화 센서 (1) 에 의하면, 측정 대상의 오일 (2) 에 이온 액체막 (10) 이 접촉 가능하기 때문에, 오일 열화 센서 (1) 를 오일 (2) 에 침지시키면, 오일 (2) 의 열화에서 기인하여 오일 (2) 내에 생성된 극성 물질이 오일 (2) 과 이온 액체막 (10) 사이의 계면을 통하여 이온 액체막 (10) 내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온 액체막 (10) 에 의해 감응 전극 (20) 의 감응부 (21) 의 적어도 일부가 덮이고, 또한 이온 액체막 (10) 에 비교 전극 (30) 이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사이에는, 이온 액체막 (10) 내에 존재하는 극성 물질의 양에 따른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를 전위차계 (40) 로 측정함으로써, 그 전위차로부터 오일 (2) 의 열화도를 검출할 수 있다.When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is immersed in the oil 2 because the ionic liquid film 10 can contact the oil 2 to be measured by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olar material generated in the oil 2 moves into the ionic liquid film 10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oil 2 and the ionic liquid film 10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2.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sensitive portion 21 of the sensitive electrode 20 is covered by the ionic liquid film 10 and the comparative electrode 30 is electrically communicated with the ionic liquid film 10, 20 and the comparative electrode 30,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polar material existing in the ionic liquid film 10. By measuring this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potentiometer 40,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oil 2 can be detected from the potential difference.

오일 열화 센서 (1) 의 상기 측정 원리는, 측정 대상 액체가 비극성이어도 성립할 수 있으므로, 오일 열화 센서 (1) 는, 용해, 희석 등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오일 (2) 을 그대로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경우여도 사용 가능하다.Since the measurement principl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can be established even if the liquid to be measured is non-polar,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can measure the oil 2 to which the operation such as dissolution, dilution, It can be used.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감응 전극 (20) 의 감응부 (21) 는, 오일 (2) 의 열화에 의해 오일 (2) 중에 생성되는 극성 물질의 이온 액체막 (10) 으로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오일 (2) 의 열화에 의해 오일 (2) 중에 생성되는 극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등의 유기산이나 황산을 들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nsitive portion 21 of the sensing electrode 20 is configured to be sensitive to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generated in the oil 2 by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2 to the ionic liquid film 10 do. Examples of the polar material produced in the oil 2 by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2 include organic acids such as carboxylic acid and sulfuric acid.

감응 전극 (20) 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 도 9 를 참조하면서 이후에 상세히 서술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Fig.

비교 전극 (30) 은, 감응 전극 (20) 의 감응부 (21) 를 덮는 이온 액체막 (10) 에 전기적으로 연통된다.The comparative electrode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onic liquid film 10 covering the sensitive portion 21 of the electrode 20.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비교 전극 (3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응 전극 (20) 의 감응부 (21) 를 덮는 이온 액체막 (10) 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이온 액체막 (10) 과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비교 전극 (30) 은, 예를 들어, 염화칼륨 수용액이나 염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전해질 용액이나, 도전성 금속이나 도전성 수지 등의 도전체로 구성되는 고체를 통하여, 감응 전극 (20) 의 감응부 (21) 를 덮는 이온 액체막 (10) 에 전기적으로 연통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mparison electrode 30 directly contacts the ionic liquid film 10 covering the sensitive portion 21 of the electrode 20 as shown in Fig. 1, And is electrically communicate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arison electrode 30 is connected to the reference electrode 30 of the electrode 20 via an electrolyte solution such as an aqueous solution of potassium chloride or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chloride, or a solid compos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conductive metal or a conductive resi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onic liquid film (10) covering the cathode (21).

비교 전극 (30) 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 도 9 를 참조하면서 이후에 상세히 서술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mparative electrode 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Fig.

전위차계 (40) 는,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 가능한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41) 을 통하여 감응 전극 (20) 에 일방의 단자가 접속되고, 도선 (42) 을 통하여 비교 전극 (30) 에 타방의 단자가 접속된 전압계를 사용할 수 있다.The potentiometer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electrode 20 and the reference electrode 30 can be measur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20,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mparative electrode 30 via the lead 42. [0064]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오일 열화 센서 (1) 는, 전위차계 (40) 에 의해 얻어진 전위차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의 오일 (2) 의 열화도를 판정하기 위한 열화 판정부 (50) 를 구비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is provided with a deterioration judgment portion 50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oil 2 to be measured based on the potential difference obtained by the potentiometer 40.

열화 판정부 (50) 는,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의 전위차와 오일 열화도의 상관 관계가 기억된 기억부를 갖고 있고, 그 상관 관계에 전위차계 (40) 에 의한 측정값을 적용시킴으로써, 오일 (2) 의 열화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상관 관계는, 열화도가 이미 알려진 시료 오일을 사용하여 미리 취득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시료 오일을 사용하여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의 전위차와 오일의 전체 산가의 관계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교정 곡선 (100)) 를 미리 취득하고, 열화 판정부 (50) 의 기억부에 기억해 두면, 열화 판정부 (50) 는, 전위차계 (40) 의 측정값을 상기 관계에 적용시켜 오일 (2) 의 전체 산가를 추정함으로써 오일 (2) 의 열화도를 판정 가능하다. 또한, 열화 판정부 (50) 는, 오일 (2) 의 열화도의 판정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도시가 생략된 출력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The deterioration determining section 50 has a storage section in whi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20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30 and the oil deterioration degree is stored and the measured value by the potentiometer 40 is applied to the correlation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oil 2 may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correl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may be previously acquired using sample oil whose degree of deterioration is already known. For exa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20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30 and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for example, the calibration curve 100 shown in FIG. 2) is obtained in advance using the sample oil, The deterioration judging unit 50 estimates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2 by apply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potentiometer 40 to the above relationship so as to obtain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oil 2 Judgment is possible. The deterioration judging section 50 may also have an output section for omitting the output for outputting the judgment result of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oil 2.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이온 액체막 (10) 에 함유되는 이온 액체는, 오일의 열화 검출을 실시하는 환경하에 있어서 액체로 존재하는 염이다. 예를 들어, 이온 액체막 (10) 의 이온 액체는, 오일의 열화 검출이 실시되는 온도를 t0 [℃] 으로 하였을 때, t0 - 20 ≤ t ≤ t0 + 100 의 온도 범위 내에서 액체로서 존재하는 이온 액체여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ionic liquid contained in the ionic liquid film 10 is a salt present as a liquid under an environment in which deterioration of the oil is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is to be detected is assumed to be t 0 [占 폚], the ionic liquid of the ionic liquid film 10 is a liquid in a temperature range of t 0 - 20 ≤ t ≤ t 0 + 100 It may be an existing ionic liquid.

또, 이온 액체막 (10) 의 이온 액체는 비유용성 (非油溶性) 이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온 액체는, 측정 대상인 오일 (2) 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The ionic liquid of the ionic liquid film 10 may be non-oil-soluble (non-oil-soluble). In one embodiment, the ionic liquid has a property that it does not substantially dissolve in the oil 2 to be measured.

이온 액체의 염은, 다양한 카티온과 아니온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The salt of the ionic liquid can be constitut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cation and anion.

이온 액체의 염을 구성하는 카티온으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륨계 이온, 피리디늄계 이온, 피라졸륨계 이온, 피페리디늄계 이온, 피롤리디늄계 이온, 모르폴린계 이온, 피롤계 이온, 포스포늄계 이온, 제 4 급 암모늄 이온, 술포늄계 이온, 및 이소옥사졸륨계 이온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를 들 수 있다.The cation that constitutes the salt of the ionic liquid includes, for example, an imidazolium ion, a pyridinium ion, a pyrazolium ion, a piperidinium ion, a pyrrolidinium ion, a morpholine ion, , A phosphonium ion, a quaternary ammonium ion, a sulfonium ion, and an isoxazolium ion, and the like.

한편, 이온 액체의 염을 구성하는 아니온으로는, 예를 들어, 포스피네이트계 이온, 이미드계 이온, 카르복실산 이온, 포스페이트계 이온, 보레이트계 이온, 티오시아네이트계 이온, 및 티오살리실레이트계 이온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를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ion constituting the salt of the ionic liquid includes, for example, a phosphinate ion, an imide ion, a carboxylic acid ion, a phosphate ion, a borate ion, a thiocyanate ion, Silicate ion, and the like.

이온 액체의 염 (카티온/아니온)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Specific examples of salts of ionic liquids (cationic / anionic) include, for example,

트리헥실-테트라데실-포스포늄/비스(2,4,4-트리메틸-펜틸)포스피네이트,Trihexyl-tetradecyl-phosphonium / bis (2,4,4-trimethyl-pentyl) phosphin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펜타플루오로에틸술포닐)이미드,1-ethyl-3-methyl-imidazolium / bis (pentafluoroethylsulfonyl) imide,

1-부틸-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1-butyl-1-methyl-pyrrolidinium / bis (trifluoromethylsulfonyl) imide,

테트라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Tetrabutyl-ammonium / bis (trifluoromethylsulfonyl) imide,

트리헥실-테트라데실-포스포늄/데카노에이트,Tetrahexyl-tetradecyl-phosphonium / decanoate,

1-부틸-3-(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 (3,3,4,4,5,5,6,6,7,7,8,8,8-tridecafluorooctyl) -imidazolium / hexafluorophosphate,

1-메틸-3-(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methyl-3- (3,3,4,4,5,5,6,6,7,7,8,8,8-tridecafluorooctyl) -imidazolium / hexafluorophosph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 hexafluorophosphate,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 hexafluorophosphate,

1-헥실-4-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hexyl-4-methyl-imidazolium / hexafluorophosphate,

1-부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4-methyl-pyridinium / hexafluorophosphate,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methyl-3-octyl-imidazolium / hexafluorophosphate,

트리헥실-테트라데실-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Trihexyl-tetradecyl-phosphonium / hexafluorophosphate,

테트라부틸-암모늄/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Tetrabutyl-ammonium / nonafluoro-butanesulfonate,

테트라부틸-암모늄/헵타데카플루오로-옥탄술포네이트,Tetrabutyl-ammonium / heptadecafluoro-octanesulfonate,

테트라부틸-포스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etrabutyl-phosphonium / tetrafluoroborate,

테트라헥실-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etrahexyl-ammonium / tetrafluoroborate,

테트라펜틸-암모늄/티오시아네이트,Tetrapentyl-ammonium / thiocyanate,

트리옥틸메틸암모늄/티오살리실레이트, 또는Trioctylmethylammonium / thiosalicylate, or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1-hexyl-3-methyl-imidazolium / trifluoromethanesulfonate, and the like.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온 액체막 (10) 의 40 ℃ 에서의 동점도는 12 ㎟/s 이상이다. 이 경우, 교반 상태에 있는 오일 (2) 을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경우여도, 감응 전극 (20)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이온 액체막 (10) 을 전극 표면에 유지하기 쉬워진다.In one embodiment, the ionic liquid film 10 has a kinematic viscosity at 40 캜 of 12 mm 2 / s or more. In this case, even when the oil 2 in the stirring state is to be measured, the ionic liquid film 10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20 can be easily held on the electrode surface.

이온 액체막 (10) 은, 증조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The ionic liquid film 10 may contain a thickening agent.

이온 액체막 (10) 이 증조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이온 액체막 (10) 이 그리스 상태 또는 이것에 준하는 상태가 되어, 이온 액체막 (10) 의 점도가 증대된다. 따라서, 교반 상태에 있는 오일 (2) 을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경우여도, 이온 액체막 (10) 을 전극 표면에 유지하기 쉬워진다.When the ionic liquid film 10 contains a thickener, the ionic liquid film 10 is in a grease state or a state similar thereto, and the viscosity of the ionic liquid film 10 is increased. Therefore, even when the oil 2 in the stirring state is to be measured, the ionic liquid film 10 can be easily held on the electrode surface.

증조제로는, 예를 들어, 칼슘 비누, 리튬 비누 등의 비누류 외에, 우레아계 증조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멜라민시아누레이트 (MCA) 로 대표되는 유기계 증조제, 또는 구리 및 은 등의 금속,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 질화붕소 등 질화물, 카본 블랙 등의 무기의 미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thickening agent include organic thickeners represented by urea thickener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melamine cyanurate (MCA), or copper salts such as copper and tin, as well as soaps such as calcium soap and lithium soap. Metal such as silver, metal oxide such as zinc oxide and titanium oxide, nitride such as boron nitride, and inorganic fine powder such as carbon black.

또한, 이온 액체막에 대한 증조제의 함유량 C (= x/y. 단, x 는 증조제의 첨가량이고, y 는 이온 액체막 전체로서의 질량이다) 는, 1 ∼ 50 질량% 여도 되고, 3 ∼ 30 질량% 여도 된다.The content C (= x / y, where x is the amount of the thickener added and y is the mass of the ionic liquid film as a whole) may be from 1 to 50 mass%, preferably from 3 to 30 mass% %.

또, 이온 액체막 (10) 은, 증조제 대신에 또는 증조제에 추가하여, 무기물 또는 유기물에 의해 구성되는 미분말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The ionic liquid film 10 may contain,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thickening agent, a fine powder composed of an inorganic material or an organic material.

이온 액체막 (10) 이 무기물 또는 유기물의 미분말을 함유하는 경우, 이온 액체막 (10) 은 반고체상이 되어, 이온 액체막 (10) 의 점도가 증대된다. 따라서, 교반 상태에 있는 오일 (2) 을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경우여도, 이온 액체막 (10) 을 전극 표면에 유지하기 쉬워진다.When the ionic liquid film 10 contains a fine powder of an inorganic substance or an organic substance, the ionic liquid film 10 becomes a semi-solid phase and the viscosity of the ionic liquid film 10 is increased. Therefore, even when the oil 2 in the stirring state is to be measured, the ionic liquid film 10 can be easily held on the electrode surface.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미분말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 알루미나, 질화규소 등의 세라믹스, 질화붕소 등의 질화물, PTFE 등의 불소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fine powder made of an inorganic or organic material include metal oxides such as zinc oxide and titanium oxide; ceramics such as alumina and silicon nitride; nitrides such as boron nitride; and fluororesins such as PTFE.

계속해서, 도 3 ∼ 10 을 참조하면서, 오일 열화 센서 (1) 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will be described.

도 3 ∼ 도 5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리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 도 9 는 ISFET 전극을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 은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ISFET 전극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3 to 5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glass electrod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6 to 9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showing an oil deterioration sensor using an ISFET electrode.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SFET electrode in some embodiments.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감응 전극 (20) 의 감응부 (21) 는, 오일 (2) 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 (10) 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수반되는 이온 액체막 (10) 내에 있어서의 수소 이온 농도의 변화에 감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감응부 (21) 로서, 예를 들어,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유리 전극 (20A) 의 유리 박막 (21A) 이나, 도 6 ∼ 도 9 에 나타내는 ISFET 전극 (20B) 의 이온 감응막 (21B) 을 들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nsing portion 21 of the sensing electrode 20 is configured to sense hydrogen in the ionic liquid film 10 accompanied by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2 to the ionic liquid film 10, And is configured to be sensitive to a change in ion concentration. The glass thin film 21A of the glass electrode 20A shown in Figs. 3 to 5 and the glass thin film 21A of the ISFET electrode 20B shown in Figs. 6 to 9 may be used as the sensitive portion 21 having the above- And an ion-sensitive film 21B.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감응 전극 (20) 은, 유리 박막 (21A) 을 감응부 (21) 로서 갖는 유리 전극 (20A) 이다. 이 경우, 감응부 (21) 로서의 유리 박막 (21A) 은, 오일 (2) 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 (10) 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수반되는 이온 액체막 (10) 내에 있어서의 수소 이온 농도의 변화에 감응하여,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사이에 상기 수소 이온 농도에 따른 전위차가 형성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5, the sensing electrode 20 is a glass electrode 20A having a glass thin film 21A as a sensing portion 21. In this case, the glass thin film 21A serving as the sensitive portion 21 is formed so that the change of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the ionic liquid film 10 accompanying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2 to the ionic liquid film 10 A pote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s formed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20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30.

또,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감응 전극 (20) 으로서의 유리 전극 (20A) 은, 절연성의 유리 전극 지지관 (22A) 과, 유리 전극 지지관 (22A) 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수소 이온 농도의 변화에 응답하는 유리 박막 (21A) 과, 유리 전극 지지관 (22A) 내에 충전된 유리 전극 내부액 (23A) 과, 유리 전극 내부액 (23A) 에 침지되도록 유리 전극 지지관 (22A) 내에 형성된 내부 전극 (24A) 을 구비한다. 내부 전극 (23) 으로는, 예를 들어, 은·염화은 전극이 사용된다. 유리 전극 내부액 (24) 으로는, 예를 들어, pH 가 7 정도로 일정한, 염화칼륨을 함유하는 완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3 to 5, the glass electrode 20A as the sensing electrode 20 is formed of an insulating glass electrode supporting pipe 22A and a glass electrode supporting pipe 22A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glass electrode supporting pipe 22A A glass thin film 21A 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and a glass electrode inner liquid 23A filled in the glass electrode supporting tube 22A and a glass electrode supporting tube 23A so as to be immersed in the glass electrode inner liquid 23A And an internal electrode 24A formed in the electrode 22A. As the internal electrode 23, for example, a silver chloride electrode is used. As the glass electrode inner liquid 24, for example, a buffer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chloride having a constant pH of about 7 may be used.

또한,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비교 전극 (30) 은, 감응 전극 (20) 으로서의 유리 전극 (20A) 의 외주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전극 (20A) 의 유리 전극 지지관 (22A) 을 둘러싸도록, 비교 전극 (30) 의 환상의 비교 전극 지지관 (31) 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비교 전극 (30) 은, 감응 전극 (20) 으로서의 유리 전극 (20A) 의 내주측에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비교 전극 (30) 의 비교 전극 지지관 (31) 을 둘러싸도록, 유리 전극 (20A) 의 환상의 유리 전극 지지관 (22A) 이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5, the comparison electrode 3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glass electrode 20A as the electrode 20. Concretely, an annular comparison electrode supporting tube 31 of the comparison electrode 3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glass electrode supporting tube 22A of the glass electrode 20A.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arison electrode 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glass electrode 20A as the electrode 20. For example, an annular glass electrode supporting pipe 22A of a glass electrode 20A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comparison electrode supporting pipe 31 of the comparison electrode 30. [

도 6 ∼ 도 9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감응 전극 (20) 은, 이온 감응막 (ISM) (21B) (도 10 을 참조) 을 감응부 (21) 로서 갖는 이온 감응성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ISFET) 전극 (20B) 이다. 이 경우, 감응부 (21) 로서의 이온 감응막 (21B) 은, 오일 (2) 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 (10) 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수반되는 이온 액체막 (10) 내에 있어서의 수소 이온 농도의 변화에 감응하여, 후술하는 드레인 전류 (Id) 에 영향을 미친다.6 to 9, the sensing electrode 20 includes an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 21B having an ion sensitive membrane (ISM) 21B (see FIG. 10) ) Electrode 20B. In this case, the ion-sensitive film 21B as the sensitive portion 21 has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of the ionic liquid film 10 in the ionic liquid film 10 accompanied by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2 to the ionic liquid film 10 And influences the drain current I d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response to the change.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감응 전극 (20) 으로서의 ISFET 전극 (20B)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 (60) 과, 절연층 (25) 을 개재하여 반도체 기판 (60) 상에 형성된 감응부 (21) 로서의 이온 감응막 (21B) 을 구비한다. 반도체 기판 (60) 은, P 형 반도체 부분 (27) 과, P 형 반도체 부분 (27) 상에 형성된 1 쌍의 N 형 반도체 부분 (26 (26S, 26D)) 을 포함한다. 1 쌍의 N 형 반도체 부분 (26 (26S, 26D)) 은, 각각 이온 감응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 (26S) 와 드레인 (26D) 에 상당한다. 소스 (26S) 와 드레인 (26D) 은, 채널 영역 (28) 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온 감응막 (21B) 은, 절연층 (25B) 에 의해 반도체 기판 (60) 으로부터 절연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ISFET 전극 (20B) 을 감응 전극 (20) 으로서 사용한 오일 열화 센서 (1) 의 경우, 전위차계 (40) 는, 도선 (41) 을 통하여 ISFET 전극 (20B) 의 소스 (26S) 에 접속됨과 함께, 도선 (42) 을 통하여 비교 전극 (30) 에 접속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ISFET electrode 20B as the sensing electrode 20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60 via the semiconductor substrate 60 and the insulating layer 25, as shown in Fig. 10 And an ion sensitive film 21B serving as the sensitive portion 21. The semiconductor substrate 60 includes a P-type semiconductor portion 27 and a pair of N-type semiconductor portions 26 (26S and 26D) formed on the P-type semiconductor portion 27. [ The pair of N type semiconductor portions 26 (26S and 26D) correspond to the source 26S and the drain 26D of the ion-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respectively. The source 26S and the drain 26D are disposed with the channel region 28 therebetween. The ion-sensitive film 21B is insulated from the semiconductor substrate 60 by the insulating layer 25B. In the cas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using the ISFET electrode 20B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the electrode 20, the potentiometer 40 is connected to the source 26S of the ISFET electrode 20B through the lead 41 And is connected to the comparative electrode 30 via the lead 42.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비교 전극 (30) 의 비교 전극 지지관 (31) 의 외주면 상에, 감응 전극 (20) 으로서의 ISFET 전극 (20B) 이 배치된다. 또, 도 7 ∼ 도 9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비교 전극 지지관 (31) 에 형성된 구멍에 감응 전극 (20) 으로서의 ISFET 전극 (20B) 이 끼워 넣어져 있다.6, an ISFET electrode 20B as a sensing electrode 2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parison electrode supporting tube 31 of the comparison electrode 30. In this examp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s. 7 to 9, an ISFET electrode 20B as a sensing electrode 20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omparative electrode supporting tube 31. Fig.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ISFET 전극 (20B) 을 구비한 오일 열화 센서 (1) 의 측정 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measurement principl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having the ISFET electrode 20B in the embodiment is as follows.

채널 영역 (28) 을 통하여 소스 (26S) 와 드레인 (26D) 사이를 흐르는 전류 (드레인 전류 (Id)) 는, 소스 (26S) 와 드레인 (26D) 사이의 전압 (Vds) 뿐만 아니라, 이온 액체막 (10) 에 접촉하는 이온 감응막 (21B) 의 표면 전위에도 의존한다. 이것은, 이온 액체막 (10) 내에 있어서의 수소 이온 농도에 따라 이온 감응막 (21B) 의 표면 전위가 변화하는 결과, 반도체 기판 (60) 에 실제로 가해지는 실행 게이트 전압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드레인 전류 (Id) 및 소스-드레인 간 전압 (Vds) 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전위차계 (40) 에 의해 계측되는 소스 (26S) 와 비교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는, 이온 액체막 (10) 내에 있어서의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ISFET 전극 (20B) 을 구비한 오일 열화 센서 (1) 에 의해, 전위차계 (40) 에 의해 계측되는 감응 전극 (20) (ISFET 전극 (20B)) 과 비교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 (구체적으로는, 소스 (26S) 와 비교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 에 기초하여, 오일 (2) 의 열화를 검출할 수 있다.The current (drain current I d ) flowing between the source 26S and the drain 26D through the channel region 28 is not only the voltage V ds between the source 26S and the drain 26D, Depends on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ion sensitive film 21B in contact with the liquid film 10. This is because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ion sensitive film 21B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the ionic liquid film 10, and the execution gate voltage actual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60 changes.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ource 26S and the comparative electrode 30 measured by the potentiometer 40 in a state where the drain current I d and the source-drain voltage V ds are kept constant, And can be used as an index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ions in the liquid film 10. In this way,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provided with the ISFET electrode 20B can detect the potential difference (i.e., the electric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ison electrode 30 and the sensing electrode 20 (ISFET electrode 20B) measured by the potentiometer 40 Specifically,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2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ource 26S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30).

이온 감응막 (21B) 은, 수소 이온에 감응하는 것이면 되며, 그 재료로는, 예를 들어 Si3N4, Al2O3 또는 Ta2O5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ion-sensitive film 21B may be one sensitive to hydrogen ions, for example, Si 3 N 4 , Al 2 O 3, Ta 2 O 5 , or the like can be used.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3 ∼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 전극 (30) 은, 비교 전극 지지관 (31) 과, 비교 전극 지지관 (31) 의 내부에 형성되는 기준 전극부 (32) 와, 기준 전극부 (32) 를 침지시키기 위해 비교 전극 지지관 (31) 내에 충전되는 내부액 (33) 과, 내부액 (33) 과 측정 대상의 시료 사이에 형성되는 액락부 (34) 를 갖는다. 액락부 (34) 는, 내부액 (33) 과 이온 액체막 (10) 이 전기적으로 접하는 부분이다.3 to 9, the comparison electrode 30 includes a comparison electrode support tube 31, a reference electrode portion 32 formed inside the comparison electrode support tube 31 An internal liquid 33 filled in the comparison electrode supporting tube 31 to immerse the reference electrode portion 32 and a liquid immersion portion 34 formed between the internal liquid 33 and the sample to be measured . The liquid portion 34 is a portion where the internal liquid 33 and the ionic liquid film 10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액락부 (34) 는, 비교 전극 (30) 과 이온 액체막 (10) 이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미세한 구멍을 갖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어, 알루미나나 지르코니아 등의 다공성 재료를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liquid portion 34 may be any material having fine pores so that the comparison electrode 30 and the ionic liquid film 10 are electrical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 porous material such as alumina or zirconia can be used as the material.

기준 전극부 (31) 로는, 측정 대상의 시료의 수소 이온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위를 나타내는 전극이면 되며, 예를 들어, 은·염화은 전극이 사용된다.The reference electrode unit 31 may be any electrode that exhibits a constant potential irrespective of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of the sample to be measured. For example, a silver chloride electrode is used.

내부액 (32) 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칼륨 용액이 사용된다.As the internal liquid 32, for example, a potassium chloride solution is used.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3 ∼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온 액체막 (10) 은, 감응 전극 (20 (20A, 20B)) 의 감응부 (21 (21A, 21B)) 와 비교 전극 (30) 의 액락부 (34) 의 양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된다.3 to 9, the ionic liquid film 10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sensitive portions 21 (21A, 21B) of the sensing electrodes 20 (20A, 20B) and the sensing electrodes 21 ) Of the liquid-tight portion 34 of the liquid-receiving portion.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온 액체막 (10) 은, 감응 전극 (20 (20A, 20B)) 의 감응부 (21 (21A, 21B)) 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이온 액체막 (10) 은, 비교 전극 (30) 의 액락부 (34) 는, 예를 들어, 염화칼륨 수용액이나 염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전해질 용액이나, 도전성 금속이나 도전성 수지 등의 도전체로 구성되는 고체를 통하여, 이온 액체막 (10) 에 전기적으로 연통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onic liquid film 10 is arranged to at least partially cover only the sensitive portions 21 (21A, 21B) of the sensing electrodes 20 (20A, 20B). In this case, in the ionic liquid film 10, the liquid portion 34 of the comparative electrode 30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an electrolytic solution such as an aqueous solution of potassium chloride or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chloride, a solid To the ionic liquid film (10).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열화 센서 (1) 는, 이온 액체막 (10) 을 부분적으로 덮는 보호부 (11) 를 추가로 구비한다. 보호부 (11) 는, 이온 액체막 (10) 과 오일 (2) 사이에 형성된다. 이온 액체막 (10) 중 보호부 (11) 에 덮이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오일 (2) 과 접촉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4, 7, and 8,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further includes a protection portion 11 that partially covers the ionic liquid film 10. The protective portion 11 is formed between the ionic liquid film 10 and the oil 2.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of the ionic liquid film 10 not covered with the protective portion 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il 2. [

이온 액체막 (10) 을 덮는 보호부 (11) 를 형성함으로써, 감응 전극 (20 (20A, 20B)) 의 감응부 (21 (21A, 21B)) 를 덮는 이온 액체막 (10) 의 오일 (2) 로의 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온 액체막 (10) 중 보호부 (11) 에 덮이지 않은 영역의 일부가 오일 (2) 과 접촉하므로, 이온 액체막 (10) 과 오일 (2) 의 접촉이 확보된다.The protective portion 11 covering the ionic liquid film 10 is formed so that the ionic liquid film 10 covering the sensitive portions 21 (21A and 21B) of the electrode 20 (20A and 20B) The leakage can be reduced. A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10 not covered with the protective portion 11 comes in contact with the oil 2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ionic liquid film 10 and the oil 2 is ensured.

보호부 (11)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판상 등, 이온 액체 (10) 가 덮는 감응 전극 (20) 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이온 액체 (10) 가 감응 전극 (20) 을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The shape of the protective portion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20 covered with the ionic liquid 10 such as a plat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ionic liquid 10 covers the electrode 20 Shaped.

보호부 (11) 의 재료는, 보호부 (11) 가 접촉하는 오일 (2) 이나 이온 액체막 (10) 에 용해되지 않는 것이면 되며, 다공질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portion 11 may be any material that does not dissolve in the oil 2 or the ionic liquid film 10 with which the protective portion 11 contacts, and a porous material or the like can be used.

도 4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구상의 유리 전극 (20A) 및 유리 전극 지지관 (22A) 의 주위에 형성된 비교 전극 (30) 을 덮는 이온 액체 (10) 와 오일 (2) 사이에, 유리 전극 (20A) 및 유리 전극 지지관 (22A) 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의 보호부 (11) 가 형성된다. 또,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평판상의 이온 액체 (10) 와 오일 (2) 사이에 판상의 보호부 (11) 가 형성된다.4, between the ionic liquid 10 covering the spherical glass electrode 20A and the reference electrode 30 formed around the glass electrode supporting tube 22A and the oil 2, A protecting portion 11 having a shape surrounding a part of the electrode 20A and the glass electrode supporting tube 22A is formed. 7 and 8, a plate-like protective portion 11 is formed between the ionic liquid 10 and the oil 2 on the flat plate.

그리고, 도 4 및 도 8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 (11) 에 형성된 적어도 1 개의 개구 (13) 에 의해, 이온 액체막 (10) 이 보호부 (11) 에 덮이지 않는 영역이 형성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이온 액체막 (10) 의 단부 (12) 가 보호부 (11) 에 의해 덮이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온 액체막 (10) 이 보호부 (11) 에 덮이지 않는 영역이 형성된다.4 and 8, the region where the ionic liquid film 10 is not covered with the protective portion 11 is formed by the at least one opening 13 formed in the protective portion 11 do. 7, the end portion 12 of the ionic liquid film 10 is not covered with the protective portion 11, so that the ionic liquid film 10 is not covered by the protective portion 11 Regions are formed.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응부 (21 (21A, 21B)) 와 액락부 (34) 는, 이온 액체막을 사이에 두도록 이온 액체막 (10) 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온 액체막 (10) 의 일부는, 감응부 (21 (21A, 21B)) 및 액락부 (34) 에는 덮이지 않아 오일 (2) 에 접촉 가능하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5 and 9, the sensitive portions 21 (21A and 21B) and the liquid portion 34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ion liquid film 10 so as to sandwich the ion liquid film therebetween do. A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10 is not covered with the sensitive portions 21 (21A and 21B) and the liquid portion 34 and can contact the oil 2.

이온 액체막 (10) 을 감응부 (21 (21A, 21B)) 와 액락부 (34) 사이에 둠으로써, 이온 액체막 (10) 의 양방의 측면이 오일 (2) 에 접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온 액체막 (10) 의 오일 (2) 로의 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온 액체막 (10) 의 일부는, 감응부 (21 (21A, 21B)) 및 액락부 (34) 에는 덮이지 않아 오일 (2) 에 접촉 가능하므로, 이온 액체막 (10) 과 오일 (2) 의 접촉이 확보된다.The side surfaces of the ionic liquid film 10 are not in contact with the oil 2 by placing the ionic liquid film 10 between the sensitive portions 21 (21A and 21B) and the liquid portion 34, (10) to the oil (2) can be reduced.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10 can be contacted to the oil 2 without covering the sensitive portions 21 (21A and 21B) and the liquid portion 34, .

도 5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전극 (20A) 의 유리 박막 (21A) 과, 유리 박막 (21A) 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비교 전극 (30) 의 액락부 (34) 사이에 이온 액체막 (10) 을 형성하고 있고, 이온 액체막 (10) 중, 유리 전극 (20A) 의 바닥부를 덮는 부분 (29) 은, 유리 박막 (21A) 및 액락부 (34) 에는 덮이지 않기 때문에, 오일 (2) 에 접촉 가능하다.5, the ionic liquid film 10 is formed between the glass thin film 21A of the glass electrode 20A and the liquid crystal portion 34 of the comparison electrode 30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glass thin film 21A, And the portion 29 cover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glass electrode 20A among the ionic liquid film 10 is not covered with the glass thin film 21A and the liquid portion 34. Therefore, It is possible.

도 9 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ISFET 전극 (20B) 의 이온 감응막 (21B) 과 비교 전극 (30) 의 액락부 (34) 를 대향시키고, 이것들 사이의 공간에 이온 액체막 (10) 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온 액체막 (10) 의 단면 (14) 은, 이온 감응막 (21B) 및 액락부 (34) 에는 덮이지 않아, 오일 (2) 에 접촉 가능하다.9, the ion sensitive film 21B of the ISFET electrode 20B and the liquid crystal portion 34 of the comparison electrode 3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ion liquid film 10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m . The end face 14 of the ionic liquid film 10 is not covered with the ion sensitive film 21B and the liquid portion 34 and can contact the oil 2.

다음으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일 열화 검출 방법을 설명한다. 즉, 오일 열화 센서 (1) 를 사용하여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를 전위차계 (40) 에 의해 계측하고, 그 전위차계 (40) 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오일 (2) 의 열화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oil deterioration detect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at is,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20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30 is measured by the potentiometer 40 using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an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otentiometer 40, Will be described.

먼저, 측정 대상의 오일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기 전에, 산성 성분의 함유량이 이미 알려진 시료 오일을 사용하여,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의 전위차와 오일의 전체 산가의 관계 (도 2 참조) 를 구한다.First, before conducting the measurement with respect to the oil to be measu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de of the comparison electrode and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see Fig. 2) is obtained by using the sample oil whose content of the acid component is already known.

전체 산가가 상이한 5 종류의 시료 오일 (도 2 에 나타내는 시료 오일 1 ∼ 시료 오일 5) 의 각각에 대해, 오일 열화 센서 (1) 의 감응 전극 (20) 과 기준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를 전위차계 (40) 로 계측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료 오일에 대하여 이온 액체막 (10) 이 접촉하고, 각 시료 오일로부터 이온 액체막 (10) 으로의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상기 오일 열화 센서 (1) 를 각 시료 오일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감응 전극 (20) 과 기준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를 계측한다. 그리고, 횡축에 전체 산가 (단위 : ㎎KOH/g), 종축에 각 전체 산가에 있어서 계측된 전위차 (단위 : V) 의 계측 결과를 플롯하고,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의 전위차와 오일의 전체 산가의 관계 (교정 곡선 (100)) 를 얻는다. 이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의 전위차와 오일의 전체 산가의 관계 (교정 곡선 (100)) 를, 오일 열화 센서 (1) 의 열화 판정부 (50) 의 기억부에 기억시켜 둔다.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20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and the reference electrode 30 is measured by a potentiometer 32 for each of five kinds of sample oils (the sample oil 1 to the sample oil 5 shown in Fig. 2) (40). Specifically,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is immersed in each sample oil so that the ionic liquid film 10 is in contact with each sample oil and is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each sampl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10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electrode 30 and the reference electrode 30 is measured.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total acid value (unit: mgKOH / g) on the abscissa and the measured potential difference (unit: V) on the total acid value on the ordinate are plotted. For exa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and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calibration curve 100) is ob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comparative electrode and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calibration curve 10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deterioration determining unit 50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다음으로, 측정 대상의 오일에 이온 액체막 (10) 이 접촉하고, 측정 대상의 오일로부터 이온 액체막 (10) 으로의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상기 오일 열화 센서 (1) 를 측정 대상의 오일에 침지시킨다. 그리고, 오일 열화 센서 (1) 를 측정 대상의 오일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감응 전극 (20) 과 비교 전극 (30) 사이의 전위차를 계측한다. 열화 판정부 (50) 는, 미리 기억한 상기 감응 전극과 비교 전극의 전위차와 오일의 전체 산가의 관계로부터, 계측된 전위차에 대응하는 전체 산가를 구하고, 이 전체 산가에 의해 측정 대상의 오일의 열화를 판정한다.Next,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il to be measured so that the ionic liquid film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il to be measured and is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to be measured to the ionic liquid film 10 Immerse.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20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30 is measured while the oil degradation sensor 1 is immersed in the oil to be measured. The deterioration determining section 50 determines the total acid valu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potential differenc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and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stored in advance, .

실시예Example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일 열화 센서 (1) 를 제조하고,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The oil deterioration sensor 1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as manufactured and tested for detecting oil deterioration.

유리 박막을 갖는 유리 전극과 액락부를 갖는 비교 전극을 구비하고, 유리 전극과 액락부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하는 pH 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pH 전극을 준비하였다. 유리 전극의 유리 박막과 비교 전극의 액락부를 덮도록 이온 액체막을 형성함으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오일 열화 센서를 얻었다. 이 때, 이온 액체막은,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이온을 카티온으로 하고, 염소 이온을 아니온으로 하는 이온 액체를 98 % 의 함유율로 함유하는 이온 액체를 사용하여 성막하였다.A pH electrode having a glass electrode having a glass thin film and a comparative electrode having a liquid-crystal portion and configured to exhibit a pH corresponding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glass electrode and the liquid-crystal portion was prepared. An ionic liquid film was formed so as to cover the glass thin film of the glass electrode and the liquid reflection portion of the comparative electrode, thereby obtaining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ionic liquid film was formed by using an ionic liquid containing 98% of an ionic liquid having 1-methyl-3-octyl-imidazolium ion as cation and chlorine ion as anion.

실시예 1Example 1

전체 염기가 6.8 ㎎KOH/g, 전체 산가 1.8 ㎎KOH/g 의 미열화의 엔진유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오일 열화 센서를 침지시켰다. 이 때, 오일 열화 센서의 이온 액체막이 엔진유에 접촉하도록 하였다.The oil deterioration sensor obtained as described above was immersed in an engine oil having a total base of 6.8 mgKOH / g and a total acid value of 1.8 mgKOH / g. At this time, the ionic liquid film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ine oil.

침지 개시 전에는 오일 열화 센서의 pH 지시값은 5.7 이었다. 침지 개시 직후부터 오일 열화 센서에 의한 pH 지시값은 증가를 계속하였고, 침지 개시로부터 약 4 분에서 오일 열화 센서에 의한 pH 지시값이 7.0 으로 거의 일정해졌다.Before the start of immersion, the pH indicator valu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was 5.7.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immersion, the pH indicated by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pH indicated by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became almost constant at about 4 minutes from the start of immersion.

실시예 2Example 2

전체 염기가 1.1 ㎎KOH/g, 전체 산가 4.8 ㎎KOH/g 의 열화된 엔진유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오일 열화 센서를 침지시켰다. 이 때, 오일 열화 센서의 이온 액체막이 엔진유에 접촉하도록 하였다.The oil degradation sensor obtained as described above was immersed in the deteriorated engine oil having a total base of 1.1 mgKOH / g and a total acid value of 4.8 mgKOH / g. At this time, the ionic liquid film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ine oil.

침지 개시 전에는 오일 열화 센서의 pH 지시값은 5.9 였다. 침지 개시 직후부터 오일 열화 센서에 의한 pH 지시값은 저하를 계속하였고, 침지 개시로부터 약 4 분에서 오일 열화 센서에 의한 pH 지시값이 5.0 으로 거의 일정해졌다.Prior to the start of immersion, the pH indicator value of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was 5.9. Immediately after the initiation of immersion, the pH indicating value by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continued to decrease, and the pH indicated value by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became almost constant at 5.0 in about 4 minutes from the start of immersion.

상기 실시예 1 및 2 로부터, 상기 오일 열화 센서의 오일로의 침지 후에 소정 시간 경과하면, 오일과 이온 액체막 간의 극성 물질의 이동이 평형 상태가 되고, 오일의 열화 상태에 따른 전위차가 유리 전극과 비교 전극 사이에 발생하여, 이 전위차에 대응한 pH 지시값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용해, 희석 등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전체 산가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오일에 상기 오일 열화 센서를 침지시켜, 상기 평형 상태가 되었을 때의 pH 값을 판독함으로써 오일의 전체 산가를 알 수 있고,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From Examples 1 and 2,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between the oil and the ionic liquid film becomes equilibrium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immersing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n the oil,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state of the oil is compared with the glass electrode It was found that a pH indicated value corresponding to this potential difference wa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s. In view of this, the oil acid deterioration sensor is immersed in an oil whose total acid value not yet subjected to operations such as dissolution and dilution is unknown, and the pH value at the time of the equilibrium state is read, whereby the total acid value of the oil can be known ,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deterioration of oil.

1 : 오일 열화 센서
2 : 오일
10 : 이온 액체막
11 : 보호부
12 : 단부
13 : 개구
14 : 단면
15 : 액락부와 접하지 않는 부분
20 : 감응 전극
20A : 유리 전극
20B : ISFET 전극
21 : 감응부
21A : 유리 박막
22A : 유리 전극 지지관
23A : 유리 전극 내부액
24A : 내부 전극
25B : 절연층
26S, 26D : N 형 반도체 부분
27B : P 형 반도체 기판
28B : 채널 영역
29A : 유리 전극 바닥부
30 : 비교 전극
31 : 비교 전극 지지관
32 : 기준 전극부
33 : 내부액
34 : 액락부
40 : 전위차계
41, 42 : 도선
50 : 열화 판정부
1: Oil degradation sensor
2: Oil
10: ion liquid film
11: Protection section
12: end
13: aperture
14: Cross section
15: part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part
20:
20A: glass electrode
20B: ISFET electrode
21:
21A: glass thin film
22A: glass electrode supporting tube
23A: glass electrode inner liquid
24A: internal electrode
25B: Insulating layer
26S, 26D: an N-type semiconductor portion
27B: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28B: channel area
29A: Glass electrode bottom
30: Comparative electrode
31: Comparative electrode support tube
32: Reference electrode part
33: internal solution
34:
40: Potentiometer
41, 42: conductor
50: deterioration judgment section

Claims (11)

오일의 열화에 의해 생성되는 극성 물질을 검지하여 상기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오일 열화 센서로서,
이온 액체를 함유하고, 상기 오일의 열화 검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오일에 접촉 가능한 이온 액체막과,
상기 이온 액체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이고, 상기 오일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구성된 감응부를 갖는 감응 전극과,
상기 이온 액체막에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비교 전극과,
상기 감응 전극과 상기 비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전위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An oil deterioration sensor for detecting a deterioration of the oil by detecting a polar material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oil,
An ion liquid film containing an ionic liquid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oil at least partly upon detection of deterioration of the oil;
A sensing electrode which is covered at least in part by the ionic liquid film and is configured to be sensitive to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A comparative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onic liquid film,
And a potentiometer for measur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부는, 상기 오일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수반되는 상기 이온 액체막 내에 있어서의 수소 이온 농도의 변화에 감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ensitive to a change in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the ionic liquid film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 전극이 유리 전극 또는 이온 감응성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ISFET)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 is a glass electrode or an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 electrod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전극은, 상기 전위차가 상기 감응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준 전극부와, 상기 기준 전극부의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내부액과, 상기 내부액과 상기 이온 액체막 사이에 형성되는 액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ference electrode includes a reference electrode portion in which the potential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the reference electrode portion and the reference electrode portion, and an inner liquid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erence electrode portion is immersed, and a liquid crystal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ner liquid and the ion liquid film Features an oil degradation sens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액체막은, 상기 감응부와 상기 액락부의 양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onic liquid film is disposed so as to at least partially cover both of the sensitive portion and the lug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액체막과 상기 오일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이온 액체막을 부분적으로 덮는 보호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온 액체막은, 상기 보호부에 의해 덮이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일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오일 열화 센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protecti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ionic liquid film and the oil and partially covering the ionic liquid film,
Wherein the ionic liquid film is configur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not covered by the protectiv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il.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부와 상기 액락부는, 상기 이온 액체막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이온 액체막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온 액체막의 일부는, 상기 감응부 및 상기 액락부에는 덮이지 않고 상기 오일에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ensitive portion and the liquid crystal portion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onic liquid film so as to sandwich the ionic liquid film therebetween,
Wherein a part of the ionic liquid film is contactable with the oil without covering the sensitive portion and the liquid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액체막의 40 ℃ 에서의 동점도가 12 ㎟/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ionic liquid membrane has a dynamic viscosity at 40 캜 of 12 mm 2 / s or more.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액체막이, 증조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ionic liquid film contains a thickening age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액체막 100 질량% 에 대하여, 상기 증조제의 함유량이 1 ∼ 50 질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센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ent of the thickening agent is 1 to 50 mass% with respect to 100 mass% of the ionic liquid film.
이온 액체를 함유하는 이온 액체막과, 상기 이온 액체막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인 감응부를 갖는 감응 전극과, 상기 이온 액체막에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비교 전극을 구비하는 오일 열화 센서를 사용하여, 오일의 열화에 의해 생성되는 극성 물질을 검지하여 상기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오일 열화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오일에 상기 이온 액체막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오일로부터 상기 이온 액체막으로의 상기 극성 물질의 이동에 감응하도록, 상기 오일 열화 센서를 상기 오일에 침지시키는 침지 스텝과,
상기 오일 열화 센서를 상기 오일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감응 전극과 상기 비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계측하는 계측 스텝과,
상기 전위차에 기초하여, 상기 오일의 열화를 검출하는 열화 검출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열화 검출 방법.
An oil deterioration sensor comprising an ionic liquid film containing an ionic liquid, a sensing electrode having a sensing part at least partially covered by the ionic liquid film, and a comparative electrode electr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ionic liquid film, An oil deterioration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deterioration of oil by detecting a polar material to be produced,
An immersion step of immersing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n the oil so that the ionic liquid film at least partially contacts the oil and is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the polar material from the oil to the ionic liquid film;
A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comparison electrode in a state in which the oil deterioration sensor is immersed in the oil;
And a deterioration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oil based on the potential difference.
KR1020157033812A 2013-06-21 2014-06-10 Oil degradation sensor and oil degradation detection method KR10176405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0735A JP6140001B2 (en) 2013-06-21 2013-06-21 Oil deterioration sensor and oil deterioration detection method
JPJP-P-2013-130735 2013-06-21
PCT/JP2014/065293 WO2014203764A1 (en) 2013-06-21 2014-06-10 Oil degradation sensor and oil degradation dete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58A true KR20160003158A (en) 2016-01-08
KR101764050B1 KR101764050B1 (en) 2017-08-01

Family

ID=5210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812A KR101764050B1 (en) 2013-06-21 2014-06-10 Oil degradation sensor and oil degradation detection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0001B2 (en)
KR (1) KR101764050B1 (en)
CN (1) CN105229456A (en)
WO (1) WO201420376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1897B2 (en) * 2015-01-09 2018-12-25 Xerox Corporation Sensors incorporating palladium electrodes
JP6724632B2 (en) * 2016-07-28 2020-07-1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Diesel engine engine oil deterioration estimation method
US10315137B2 (en) * 2016-11-18 2019-06-11 Caterpillar Inc. Sensing system for detecting machine fluid degradation
CN110095381B (en) * 2019-05-20 2020-10-2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Engine oil dilutio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2693A (en) 2007-06-19 2009-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Oil deterioration detector
JP4733588B2 (en) 2005-08-03 2011-07-27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Reference electrode, salt bridge and ion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using th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945B2 (en) * 1992-01-16 2000-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Odor sensor and odor measurement device
JP3303413B2 (en) * 1993-03-15 2002-07-22 株式会社デンソー pH sensor
US5518590A (en) * 1994-06-21 1996-05-21 Pennzoil Products Company Electrochemical sensors for motor oils and other lubricants
JP2004212174A (en) * 2002-12-27 2004-07-29 Dkk Toa Corp METHOD OF pH MEASUREMENT, COMPARISON ELECTRODE, AND MULTIPLE ELECTRODE
KR20060087293A (en) * 2005-01-28 2006-08-02 한국과학기술원 Ph-sensor for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proton in the engine oil to detect the extent of the degradation of the engine oil
JP2007046914A (en) * 2005-08-05 2007-02-22 Denso Corp Reference electrode for detecting acidity and basicity of oil
JP2008064578A (en) * 2006-09-06 2008-03-21 Horiba Ltd Ionic liquid property measuring method
JP5036003B2 (en) * 2006-09-13 2012-09-26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Ionic liquid-coated reference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measurement apparatus using the reference electrode
WO2012026514A1 (en) * 2010-08-27 2012-03-01 株式会社堀場製作所 Reference electrode
JP5356336B2 (en) * 2010-08-27 2013-12-04 株式会社堀場製作所 Reference electrode
JP2012163506A (en) * 2011-02-09 2012-08-30 Gunze Ltd In-oil hydrogen detection sensor
JP5946782B2 (en) * 2013-02-22 2016-07-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pH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oil deterioration using the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3588B2 (en) 2005-08-03 2011-07-27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Reference electrode, salt bridge and ion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using them
JP2009002693A (en) 2007-06-19 2009-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Oil deterioration detect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재단 법인 일본 규격 협회, JIS K 2501 : 2003「석유 제품 및 윤활유-중화가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40001B2 (en) 2017-05-31
KR101764050B1 (en) 2017-08-01
JP2015004615A (en) 2015-01-08
CN105229456A (en) 2016-01-06
WO2014203764A1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050B1 (en) Oil degradation sensor and oil degradation detection method
US5518590A (en) Electrochemical sensors for motor oils and other lubricants
EP2335061B1 (en) Reducing capacitive charging in an electrode comprising a heater
JP5718822B2 (en) Lubricating oil degradation state judging method and judging device, and lubricating oil monitoring system in machine / equipment
US8753495B2 (en) Electrochemical half cell, electrochemical sensor and method for measuring at least one measured variable of a measured medium with an electrochemical sensor
US11125714B2 (en) Potentiometric sensor
CN103119431A (en) Measurement arrangement and method for ascertaining an analyte concentration in a measurement medium
Cantu et al. Determination of the dissociation constants (pKa) of secondary and tertiary amines in organic media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their role in the electrophoretic mobility order inversion
CN101294927A (en) Ion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ion concentration measuring element
CN103257174A (en) Measur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gistering analyte concentration in measured medium
Zhao et al. Floating-Gate Ion Sensitive Field-Effect Transistor for Chemical and Biological Sensing
CN111788478B (en) Corrosion measuring device
CN105353000B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its detection method
JP5946782B2 (en) pH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oil deterioration using the sensor
CN102841120B (en) Measure transducer
JP2015004615A5 (en)
RU2480734C2 (en) Measuring device of polarisation potential of pipelines
RU2471171C1 (en) Evaluation device 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as to value of deflection from natural potential
US5419826A (en) Ion-selective reference probe
RU2795673C1 (en) Non-aqueous solution for filling silver chloride reference electrode
CN112567237A (en) Potentiometric measuring chain and method for determining pH value
RU164491U1 (en) DEVICE FOR PH MEASUREMENT WITH IONOSELECTIVE ELECTRODES
KR20060087293A (en) Ph-sensor for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proton in the engine oil to detect the extent of the degradation of the engine oil
Ochoa et al. Membrane Composition Effects on the Analytical Behavior of Solid Contact Potentiometric Pb2+ Selective Electrodes Based on Diazadibenzo‐18‐crown‐6 Ionophores
Branham et al. Optimization of a robust and reliable ISFET sensor for measuring pH in the deep oce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