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952U - beauty tray - Google Patents

beauty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952U
KR20160002952U KR2020150001108U KR20150001108U KR20160002952U KR 20160002952 U KR20160002952 U KR 20160002952U KR 2020150001108 U KR2020150001108 U KR 2020150001108U KR 20150001108 U KR20150001108 U KR 20150001108U KR 20160002952 U KR20160002952 U KR 201600029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in body
neck
neutralizer
finish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1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2513Y1 (en
Inventor
김용남
Original Assignee
김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남 filed Critical 김용남
Priority to KR2020150001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513Y1/en
Publication of KR201600029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5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51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8Protecting mantles; Shoulder-shields; Collars; B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용실에서 헤어 미용을 할 때 목에 끼워서 중화제나 퍼머약 등이 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화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개구부와 목끼움부가 형성되고 목끼움부의 둘레를 따라서 수용부가 형성되며 형태유지를 위하여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본체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수용부를 구성하는 벽체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마감테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본체의 전면에는 개구부의 폭을 조절하여 목끼움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중화제 받침대의 형태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착용감을 높이고 사용차의 신체에 대응하여 조절하여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utralizing agent support used to prevent neutralizing agent or perming agent from falling down into the neck when a hairdressing beauty is performed in a hairdressing salon. An opening portion and a necking portion are formed to surround the wearer's neck, And a finishing fram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fitted in a shape of '∩'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dge of the wall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band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neck-in portion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hape retention of the neutralizing agent pedestal can be firmly maintained, So that the adhesion can be increased All.

Description

중화제 받침대{beauty tray}Neutralizer stand {beauty tray}

본 고안은 미용실에서 헤어 미용을 할 때 목에 끼워서 중화제나 퍼머약 등이 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화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약재가 흘러내린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거나 여러 번 반복사용하는 경우에도 받침대의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utralizer support used to prevent neutralizing agents and the like from falling into the throat when the hair cosmetics in the hairdressing room are put on the neck, and when the medicinal materials are flowing down for a long time or repeatedly used, So that the shape of the body is maintained without being disturbed.

일반적으로 중화제 받침대는 미용실에서 파마 등의 헤어 미용 시술시 사용하는 것으로, 중화제를 모발에 도포할 때 중화제가 목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퍼머를 할 때 사용한 롤 등의 미용도구를 일시적으로 담아서 보관하는 용도로도 사용한다.In general, the neutralizer stand is used in hairdressing in hairdressing salon, etc. When applying neutralizing agent to hair, it prevents the neutralizing agent from flowing down to the neck, temporarily stores beauty tools such as rolls used for perming It is also used for the purpose.

중화제 받침대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을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착용자의 어깨에 얹어서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흘러내린 중화제가 담겨져 고일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e of the neutralizer bracket is inserted in the form of wrapping around the neck and placed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a receptacl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flowing neutralizing agent.

종래의 중화제 받침대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발포폼으로 제작한 것은 시간이 지나면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흐물흐물해지게 되어서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Conventional neutralizer bases are mainly made of foaming materials such as styrofoam. However, since the foaming foam is not maintained in shape over time, it is very uncomfortable to use.

따라서 최근에는 블로우 성형(Blow Molding)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제품이 제안되어 약액이 흘러내린 상태에서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중화제 받침대를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방안이 제안되었다.In recent years, a product made of plastic using a blow molding method has been proposed. The shape is not deformed even when the chemical liquid flows down, and the shape is maintained even though the neutralizing agent pedestal is repeatedly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 plan was proposed.

하지만,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제품은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경량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원가절감을 위해서는 두께를 매우 얇게 제작하는데, 이 경우 마감부위가 매우 날카로워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plastic molded products have the advantages of durability because they keep their shape firm, but they are made of lightweight structure but they are made very thin to reduce cost. In this case, have.

즉, 중화제 받침대를 목에 끼울 때 노출된 마감부위가 피부와 직접 마찰되므로 상처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또한 중화제가 목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화제 받침대와 목이 긴밀히 밀착되게 장착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피부가 눌려져 착용자가 통증이 발생하거나, 또는 피부가 눌려져 자국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neutralizer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neck, the exposed portion is directly rubbed against the skin, which may cause scratche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neutralizer from flowing down through the neck, the neutralizer bracket and the neck must b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A problem may arise such that the skin is pressed and the wearer paints, or the skin is pressed and marks are formed.

특히, 미용실 대부분의 고객은 여성인데, 여성은 남자보다 피부와 미관에 민감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고객만족도가 매우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most customers in beauty salons are women. Women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skin and aesthetics than men, and therefore there is a danger that customer satisfaction will be greatly reduc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형태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플라스틱으로 중화제 받침대를 제작하여 내구성을 확보함에도 불구하고, 신체에 긴밀히 밀착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utralizer pedestal that does not cause deformation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purpose of devising.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하여 조절가능하도록 한 것이다.Further, it is adjustable in response to the user's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착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개구부와 목끼움부가 형성되고 목끼움부의 둘레를 따라서 수용부가 형성되며 형태유지를 위하여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본체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수용부를 구성하는 벽체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마감테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echnical Sol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body having a neck and an opening formed to surround a neck of a wearer, And a finish frame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dge of the wall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또한, 본체의 전면 양측에 체결되어 개구부의 폭을 조절하고 목끼움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또 ㄷ다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comprising an adjustment band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to adjust the width of the opening and to adjust the size of the neck fitting.

본 고안의 중화제 받침대에 의하면, 중화제와 같은 약제가 묻은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도 형태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고, 수용부에 임시로 여러 종류의 미용 도구들을 임시수납할 경우에도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neutraliz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ape deformation does not occur even when a chemical agent such as a neutralizing agent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ug from flowing down and to use it cleanly.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keeps its shape stable even when temporarily stored.

또한, 목끼움부가 착용자의 목에 긴밀히 밀착되므로 중화제 등의 약제가 새나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착용자의 목 둘레 길이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목에 중화제 받침대가 긴밀히 밀착됨에도 불구하고 연질의 마감테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므로 착용감을 증대시키고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eck fitting portion is closely attached to the neck of the wear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medicines such as a neutralizing agent from the source, and to appropriately adjus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neckline of the wearer. Even when the neutralizer bracket is closely attached to the wearer's neck And the soft finis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thereby increasing the fit and increas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또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기능과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에도 불구 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상승요인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provides ease of use, improves the function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and can improve product quality.

도 1은 종래의 중화제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중화제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본체와 마감테의 끼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중화제 받침대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본체와 마감테의 또 다른 끼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중화제 받침대에 임시고정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조절밴드의 탈착구조를 나타낸 중화제 받침대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중화제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neutralizer pedestal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neutralizer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tting structure of the finish frame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neutralizing agent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itting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nish frame
6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in a state in which the temporary fixing part is formed on the neutralizer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utralizing agent pedestal showing the desorption structure of the control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a neutralizer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착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개구부(11)와 목끼움부(12)가 형성되고, 목끼움부(12)의 둘레를 따라서 수용부(13)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3)를 구성하는 벽체(14)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마감테(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portion 11 and a neck fitting portion 12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a wearer's neck and a receiving portion 13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neck- And a closure frame 20 which is fitted to cover the upper edge of the wall body 14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는 형태유지를 위하여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수용부(13)가 내입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성형하고 개구부(11)와 목끼움부(12)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블로우 성형 후, 프레스 가공으로 절단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여러 플라스틱 원료 중에서도 PET(Polyethylene phthalate)가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made of hard plastic for holding the shape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urved form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13 is inwardly inserted and the opening 11 and the neck- For example, PET (polyethylene phthalate) may be used among various plastic raw materials for blow molding and blow molding.

상기 마감테(20)는 본체(10)의 수용부(13)를 구성하는 벽체(14)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끼워질 수 있게 '∩'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감테(20)의 재질은 연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nishing frame 20 may be formed in an ∩ shape so as to be fitted so as to enclose the upper end of the wall body 14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The material of the finishing frame 20 Soft silicone, rubber, or the like may be used.

그리고 마감테(20)의 길이는 벽체(14)의 내측에 끼워지는 내벽(20a)과 벽체의 외측에 끼워지는 외벽(20b)의 길이를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내벽(20a)과 외벽(20b)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nishing frame 20 is set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inner wall 20a fitted to the inside of the wall 14 and the outer wall 20b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20b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예를 들면, 벽체(14)의 내측에 끼워져 수용부(13)로 삽입되는 내벽(20a)을 외벽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고,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맞닿게 벽체(14)의 외측에 끼워지는 외벽(20b)은 내벽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n inner wall 20a, which is fitted in the wall 14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 is formed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outer wall, and an outer wall (20b) can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inner wall.

한편,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3)를 구성하는 벽체(14)가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내측벽체(14a)와 수용부(13)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측벽체(14b)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내측벽체(14a)는 목끼움부를 향하여 내부로 기울어지면서 수용부(13)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측벽체(14b)는 외부로 기울어지도록 하면 마감테(20)가 기울어짐 방향이 상이한 내,외측벽체(14a,14b)를 순차적으로 번갈아 끼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마감테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끼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wall 14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is composed of an inner wall 14a surrounding the wearer's neck and an outer wall 14b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The inner wall 14a is tilted inward toward the neck fitting portion and the outer wall 14b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 is til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nishing frame 20, The walls 14a and 14b are alternately inserted in turn so that the finish frame can be maintained firmly without any deviation.

그리고 상기 벽체(14)는 상단부에 마감테(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부(14c)를 형성할 수 있다.The wall 14 may have a flange portion 14c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o prevent the finishing frame 20 from coming off.

플랜지부(14c)는 본체(10)를 성형한 후, 프레스 가공으로 재단할 때 외주면에 여분을 두고 재단하면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가공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플랜지부(14c)를 구현할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14c can be easily realized without requiring any additional steps when the main body 10 is formed by cut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ith an extra portion when the main body 10 is cut by press working.

그리고 상기 마감테(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상기 벽체(14)의 플랜지부(14a)에 걸려 마감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21)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nishing frame 20 may have an engaging portion 21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nishing frame 20 to prevent the finishing frame from detaching from the flange 14a of the wall body 14.

이때, 걸림부(21)는 마감테(20)가 개구되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마감테(20)가 본체(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21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frame 2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while being easy to insert by forming a recess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in which the finishing frame 20 is opened, It is preferable to prevent it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또한, 상기 마감테(20)는 내,외측벽체(14a,14b)에 순차적으로 번갈아 끼워 조립할 때 벽체(14)와 더 긴밀히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마감테(20)의 내벽(20a)을 상,하 수직으로 형성하고, 외벽(20b)은 내측으로 오므라지게 경사지게 형성하면 마감테(20)가 벽체(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 분리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assemble the finishing frame 20 more closely with the wall body 14 when the finishing frame 20 is assembled alternately in turn on the inner and outer walls 14a and 14b, the inner wall 20a of the finishing frame 20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outer wall 20b is inclined to be inwardly inclined,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any separation of the finishing frame 20 in a state where it is sandwiched by the wall 14.

그리고 이때, 마감테(20)의 용이한 조립을 위해서는 내,외벽(20a,20b)의 하단부에 진입유도부(22)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easily assemble the finishing frame 20, an entry guide 2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20a and 20b.

또한, 마감테(20)가 본체(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감테(20)의 단부에는 체결클립(23)을 끼우면 마감테(20)가 본체(10)에 더 긴밀히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마감테(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clamping clip 23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finishing frame 20 in a state where the finishing frame 20 is fitted in the main body 10, the finishing frame 20 is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frame 20 can be expos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마감테(20)는 본체(10)와 마감테(20)를 관통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구(24)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ishing frame 20 can be assembled by a plurality of fasteners 24 which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nishing frame 20.

이때, 상기 체결구(24)는 리벳이나 아일렛 등에 의하여 본체(10)를 구성하는 벽체(14)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마감테(20)가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체결구(24)가 조립되는 위치는 본체(10)의 측벽에서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tool 24 is fixed by the rivet, the eyelet or the like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wall body 14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assembled position includes a curved portion i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부(11)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밴드(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ing band 30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opening 11.

조절밴드(30)는 본체(10)의 전면 양측에 체결되어 개구부(11)의 폭을 조절하고 목끼움부(12)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조절밴드(30)의 양단부가 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10)의 전면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The adjustment band 3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adjust the width of the opening 11 and to adjust the size of the neck 12, And can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이때, 상기 조절밴드(30)는 일단이 본체(10)의 전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에 리벳고정 되도록 하고, 조절밴드(30)의 타단은 개구부(11)를 경유하여 본체(10)의 전면 타측에 탈부착 되도록 함으로써 개구부(11)의 폭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조절밴드(30)의 탈부착은 조절밴드(30)의 내면에 밸크로퍼스너를 부착하고, 그에 대응되게 본체(10)에 고정부(15)를 형성하면 밸크로퍼스너를 탈부착하면서 사용자가 개구부(11)의 폭을 자유롭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justment band 30 is riveted to one side of the front left or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end of the adjustment band 30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11 can be adjust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adjusting band 30 to the other side. At this time, the adjusting band 30 is attached and detached by attaching a balclus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djusting band 30, When the fixing part 15 is formed, the width of the opening 11 can be freely and easily adjusted by the user while detaching the balancer fastener.

또한, 상기 본체(10)는 벽체(14)의 외면에 조절밴드(30)를 탈착할 수 있는 임시 고정부(16)를 더 형성하면 조절밴드(3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절밴드(30)를 임시 고정부(16)에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temporary fixing part 16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adjusting band 3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14 so that the adjusting band 30 Can be fixed to the temporary fixing part 16 and then used.

이때, 임시 고정부(16)는 목끼움부(12)를 구성하는 내측벽체(14a) 또는 외측벽체(14b) 또는 본체의 바닥에 형성할 수 있으며, 임시 고정부(16)와 조절밴드(30)의 표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체(14b)의 표면에 임시 고정부(16)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또는 중화제가 흘러서 지저분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외관을 깔끔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체(14a)의 표면에 임시 고정부(16)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emporary fixing part 16 can be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14a or the outer side wall 14b or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neck-in part 12, and the temporary fixing part 16 and the adjusting band 3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16 on the surface of the outer wall 14b as shown in Fig. 6, or to prevent the neutralizing agent from flowing and becoming dirty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16 on the surface of the inner side wall 14a as shown in Fig.

그리고 조절밴드(30)가 본체(10)에 리벳고정되는 부분은 도 6와 같이 똑딱이 단추로 구성하여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조절밴드(30)가 필요치 않은 사용자는 조절밴드(30)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adjustable band 30 can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by a detachable structure such that the adjustable band 3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You can use it without removing it.

10: 본체 11: 개구부
12: 목끼움부 13: 수용부
14: 벽체 14a: 내측벽체
14b: 외측벽체 14c: 플랜지부
15: 고정부 16: 임시 고정부
20: 마감테 20a: 내벽
20b: 외벽 21: 걸림부
22: 진입유도부 23: 체결클립
30: 조절밴드
10: main body 11: opening
12: neck-fitted portion 13: accommodating portion
14: wall 14a: inner wall
14b: outer wall 14c: flange portion
15: Goh government 16: Provisional government
20: Finishing frame 20a: Inner wall
20b: outer wall 21:
22: entry guide portion 23: fastening clip
30: Adjustable band

Claims (7)

착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개구부(11)와 목끼움부(12)가 형성되고, 목끼움부(12)의 둘레를 따라서 수용부(13)가 형성되며, 형태유지를 위하여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본체(10);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3)를 구성하는 벽체(14)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마감테(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화제 받침대.
A neck portion 12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wearer's neck and a receiving portion 13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neck portion 12 and a body made of hard plastic (10);
(20) which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shape of '∩'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dge of the wall (14) constituting the receiving part (13) of the main body (10);
Wherein the neutralizer base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3)를 구성하는 벽체(14)는,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내측벽체(14a)와 수용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측벽체(14b)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벽체(14a)는 목끼움부를 향하여 내부로 기울어지고, 수용부(13)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측벽체(14b)는 외부로 기울어져 마감테(20)가 기울어짐 방향이 상이한 내,외측벽체(14a,14b)를 순차적으로 번갈아 끼워져 마감테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제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14 constitut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An inner wall 14a surrounding the neck of the wearer and an outer wall 14b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ptacle,
The inner wall 14a is tilted inward toward the neck portion and the outer wall 14b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 is tilted outward so that the finish frame 20 tilts inward and outward (14a, 14b) are alternately sandwiched in turn so that the finish frame is not dislocated arbitrari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14)는 상단부에 마감테(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부(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제 받침대.The neutralizer brack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all (14) has a flange portion (14a)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o prevent the finishing frame (20) from being separat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테(20)는 내면에 벽체(14)의 플랜지부(14a)에 걸려 마감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제 받침대.4. The neutralizer bracke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nishing frame (20) has an engaging portion (21)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lange (14a) of the wall body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테(20)는 본체(10)와 마감테(20)를 관통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구(24)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때, 상기 체결구(24)는 리벳이나 아일렛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nishing frame (20) is assembled by a plurality of fasteners (24) which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nishing frame (20)
At this time, the fastening tool 24 may be fixed by a rivet, an eyelet, or the lik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 폭을 조절하고 목끼움부(12)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밴드(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조절밴드(30)를 탈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제 받침대.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adjustment band (30)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opening (11) of the main body (10)
Wherein a fixing part (15) for detachably fixing the adjusting band (30) is formed on the main body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벽체(14)의 외면에 조절밴드(30)를 탈착할 수 있는 임시 고정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제 받침대.The neutralizer bracke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temporary fixing part (16) for detachably attaching an adjustment band (30) to an outer surface of the wall body (14).
KR2020150001108U 2015-02-16 2015-02-16 beauty tray KR2004825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08U KR200482513Y1 (en) 2015-02-16 2015-02-16 beauty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08U KR200482513Y1 (en) 2015-02-16 2015-02-16 beauty t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52U true KR20160002952U (en) 2016-08-24
KR200482513Y1 KR200482513Y1 (en) 2017-02-06

Family

ID=5685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108U KR200482513Y1 (en) 2015-02-16 2015-02-16 beauty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513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155B1 (en) 2015-11-09 2017-11-29 이성림 Neutralizer receiving apparatus for per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03B1 (en) * 1988-02-29 1996-03-20 아네트 울프강 Drip tray
KR200293376Y1 (en) * 2001-07-23 2002-11-01 서남숙 Neckband and neutralizer support for hair beauty treatment
KR101221729B1 (en) * 2012-02-28 2013-01-11 김범진 Tray for receiving counterag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03B1 (en) * 1988-02-29 1996-03-20 아네트 울프강 Drip tray
KR200293376Y1 (en) * 2001-07-23 2002-11-01 서남숙 Neckband and neutralizer support for hair beauty treatment
KR101221729B1 (en) * 2012-02-28 2013-01-11 김범진 Tray for receiving counter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513Y1 (en)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984B2 (en) Protective headband
US20090223530A1 (en) Facial hair trimming template and method
US6581808B2 (en) Cap for dispensing container having separate dispensing orifice and air intake passage
US20070000566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US7628160B2 (en) Tool and apparatus for use in hair coloring and other treatments
KR200482513Y1 (en) beauty tray
US10779627B1 (en) Adjustable facial shaving guide
US20110154556A1 (en) Splash guard
US20160309882A1 (en) Hair Extension Multifunctional Styling Bar/Case, Storing and Travel Kit Assembly
US7310827B2 (en) Splash guard
US10441055B2 (en) Packaging and application device
KR101873912B1 (en) Hand Mannequin for Training Nail-Art
US20070095780A1 (en) Scalp massaging container cap
KR101134788B1 (en) Neutralizer hair tray for perm
KR200481757Y1 (en) Mascara container inserted soft metal in brush holder
CN206621304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bathing basket
US20080128567A1 (en) Bottle holder
US10588395B2 (en) Apparatus for proper application of makeup and nail polish and methods thereof
KR20180109728A (en) Lip stamp
CN205233772U (en) Cosmetic instrument
CA3116318A1 (en) Applicator for ophthalmic solutions in single-dose packs and a kit containing same
KR101663263B1 (en) Cutting Guide For Hair
JP2013248365A (en) Face cover for hairdressing
KR102383414B1 (en) Bath basket
US20190231646A1 (en) Apparatus for Holding Baby Bot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