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925U -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925U
KR20160002925U KR2020150001031U KR20150001031U KR20160002925U KR 20160002925 U KR20160002925 U KR 20160002925U KR 2020150001031 U KR2020150001031 U KR 2020150001031U KR 20150001031 U KR20150001031 U KR 20150001031U KR 20160002925 U KR20160002925 U KR 201600029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ospheric environment
environment data
unit
window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엔팩토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팩토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팩토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925U/ko
Priority to CN201520200388.XU priority patent/CN204705831U/zh
Publication of KR20160002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고, 그에 대응하여 창문에 부착되는 정보제공 장치가 대기의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현재 창문을 열어도 무방한지 아니면 열지 않는 것이 나은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문에 부착되는 정보제공 장치가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아 알림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실내 환기를 할 때 창문을 개폐해도 좋은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댁내 거주자의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window adherence type device providing atmosphere environment data}
본 고안은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고, 그에 대응하여 창문에 부착되는 정보제공 장치가 대기의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현재 창문을 열어도 무방한지 아니면 열지 않는 것이 나은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정보제공 장치가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예: 기상청이나 환경공단 등의 서버, 사설 서비스 업체의 서버)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대기오염지수를 분석하고 그 분석한 대기오염지수에 따라 정보제공 장치의 알림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창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도록 도움을 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통 댁내에서는 주기적으로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를 하는 것이 건강상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벽체 등 건축 자재에서 라돈(Radon)이 방출되기 때문에 환기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기후 변화와 중국발 황사로 인해 대기에 오염된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지역별 대기환경에 따라서는 환기를 하는 것이 오히려 오염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꼴이 되어 댁내 거주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예: 인체 순환기 질환)을 미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실내 환기를 위해서는 먼저 공중파 방송이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현재의 외부 대기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을 일일이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매우 귀찮은 일이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자신이 위치하는 지역별 현재 기상상황을 파악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설령 사용자 자신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댁내 창문을 여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닫고 있는 것이 좋은지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 또한, 매번 실내환기를 할 때마다 잊지않고 방송이나 인터넷을 통해 외부 대기상태를 파악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대충 눈으로 살펴보고 판단할 뿐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창문의 개폐 여부 판단을 직관적으로 도와주는 장치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86251호 "날씨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049229호 "이동단말기에 등록된 일정과 연계하여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72777호 "휴대용 단말기의 날씨아이콘 표시 방법"
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67322호 "날씨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의제어가 가능한 홈게이트웨이 및 그 구동방법"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창문에 부착되어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대기환경 데이터를 기초하여 현재 창문의 개폐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는 댁내 창문에 부착되며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것으로서, 대기환경 데이터에 연동하는 알림정보를 표시하는 알림부; 댁내 게이트웨이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제공받은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기오염지수를 판단함으로써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결정하는 표시 판단 처리부; 표시 판단 처리부가 결정한 알림정보에 기초하여 알림부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알림부,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 표시 판단 처리부, 표시 제어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알림부는 알림정보 표시를 복수 개의 패턴으로 구비하고, 표시 판단 처리부는 판단한 대기오염지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패턴 중 하나를 알림정보로 설정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는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는,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 중에서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에 대해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할 하나의 서버를 선택하고 나머지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는 대기환경 데이터의 수신을 차단하는 수신서버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가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서버 선택부는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대기환경 데이터 중에서 가장 불량한 대기오염지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알림정보는 소리 출력 또는 LED 표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정보제공 장치는 라벨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면에는 창문에 부착되는 접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문에 부착되는 정보제공 장치가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아 알림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실내 환기를 할 때 창문을 개폐해도 좋은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댁내 거주자의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댁내의 다른 스마트기기(예: 스마트폰)에 의존하지 않고 댁내 게이트웨이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직접 대기환경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 및 유지관리할 수 있고 알림정보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알림정보를 소리 또는 LED 발광 등 다양한 패턴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직관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의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는 댁내 창문에 부착되며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것으로서, 알림부(100),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 표시 판단 처리부(300), 표시 제어부(400), 전원부(500), 수신서버 선택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알림부(100)는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표시한다. 상세하게, 표시 판단 처리부(300)가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기오염지수를 판단하면 알림부(100)는 이 대기오염지수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알림부(100)는 바람직하게는 알림정보를 복수 개의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는 댁내 게이트웨이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는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 중 어느 하나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표시 판단 처리부(300)는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30)를 통해 제공받은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기오염지수를 판단함으로써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결정하게 된다. 즉, 표시 판단 처리부(300)가 판단한 대기오염지수에 대응하여 알림부(100)에서 설정한 복수 개의 알림정보 패턴 중 하나를 표시할 알림정보로 결정한다.
표시 제어부(400)는 표시 판단 처리부(300)가 결정한 알림정보에 기초하여 알림부(100)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한다.
전원부(500)는 배터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알림부(100),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 표시 판단 처리부(300), 표시 제어부(400), 수신서버 선택부(6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수신서버 선택부(600)는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가 여러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들(20,30) 중에서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을 하나의 서버(예: 20)를 선택하고 나머지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예: 30)에 대해서는 대기환경 데이터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수신서버 선택부(600)가 사설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설정되면 공공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30)로부터는 대기환경 데이터의 제공이 차단된다.
또한, 수신서버 선택부(600)가 공공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30)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설정되면 사설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로부터는 대기환경 데이터의 제공이 차단된다.
이처럼, 수신서버 선택부(600)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 선택을 통해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 간의 대기환경 데이터 오차를 극복할 수 있고, 정보제공 장치(10)가 위치한 지역에 따라 최적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수신서버 선택부(600)는 복수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로부터 동시에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서버(20,30)로부터 제공되는 대기환경 데이터 중 상대적으로 불량한 대기오염지수에 따라 정보제공 장치(10)의 알림부(100)가 알림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정보제공 장치(10)는 라벨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면에는 창문에 부착되는 접착부(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알림부(100)에서 출력되는 알림정보는 소리 또는 LED에 의한 발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서 알림부(100)에 의한 알림정보가 발광에 의해 표시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는 댁내 창문에 부착되며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것으로서, 발광 표시부(100'),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 표시 판단 처리부(300'), 표시 제어부(400'), 전원부(500'), 수신서버 선택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광 표시부(100')는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표시한다. 상세하게, 발광 판단 처리부(300')가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기오염지수를 판단하면 발광 표시부(100')는 이 대기오염지수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로서 발광을 하게 된다.
여기서, 발광 표시부(100')는 바람직하게는 발광을 복수 개의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LED,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LCD 등 다양한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는 댁내 게이트웨이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는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 중 어느 하나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발광 판단 처리부(300')는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30)를 통해 제공받은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기오염지수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한 대기오염지수에 대응하여 발광 표시부(100')에서 미리 설정한 복수 개의 발광 패턴 중 하나를 발광 패턴으로 결정한다.
발광 제어부(400')는 발광 판단 처리부(300')가 결정한 발광 패턴에 기초하여 발광 표시부(100')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한다.
전원부(500)는 발광 표시부(100'),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 발광 판단 처리부(300'), 발광 제어부(400'), 수신서버 선택부(6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수신서버 선택부(600')는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가 여러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들(20,30) 중에서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을 하나의 서버(예: 20)를 선택하고 나머지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예: 30)에 대해서는 대기환경 데이터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수신서버 선택부(600')가 사설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설정되면 공공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30)로부터는 대기환경 데이터의 제공이 차단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수신서버 선택부(600')가 공공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30)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설정되면 사설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로부터는 대기환경 데이터의 제공이 차단되도록 설정된다.
이처럼, 수신서버 선택부(600')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 선택을 통해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 간의 대기환경 데이터 오차를 극복할 수 있고, 정보제공 장치(10')가 위치한 지역에 따라 최적의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수신서버 선택부(600')는 복수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20,30)로부터 동시에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서버(20,30)로부터 제공되는 대기환경 데이터 중 상대적으로 불량한 대기오염지수에 따라 정보제공 장치(10')의 발광 표시부(100')가 발광 패턴을 표시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정보제공 장치(10')는 라벨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면에는 창문에 부착되는 접착부(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의 예시도이다. 상세하게 [도 5]는 발광 표시부의 전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정보제공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슬림한 라벨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발광 표시부(100')가 배치되고 후면에는 창문에 부착되는 접착부가 구비된다.
[도 5]의 (a)는 발광 표시부(100')의 제 1 실시예로서, 발광 표시부(100')는 제공받은 대기환경 데이터 중 발광 판단 처리부(300')의 판단에 의한 대기오염지수에 따라 미리 설정한 복수의 색 중에서 하나 이상의 색을 선택하여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발광 표시부(100')의 색상이 초록색으로 발광하는 경우에는 대기오염지수가 낮은 상태로서 창문을 열어도 환기하는 것이 좋다는 표시이고, 발광 표시부(100')의 색상이 노랑색으로 발광하는 경우에는 대기오염지수가 중간 상태로서 창문을 열어도 무방하다는 표시이고, 발광 표시부(100')의 색상이 빨강색으로 발광하는 경우에는 대기오염지수가 높은 상태로서 창문을 닫아 두는 것이 좋다는 표시일 수 있다.
[도 5]의 (b)는 발광 표시부(100')의 제 2 실시예로서, 발광 표시부(100')는 소정 문양에 의해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대기오염지수에 따라 둘 이상의 영역이 상호 구별되도록 미리 설정한 복수의 색 중에서 하나 이상의 색을 선택하여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발광 표시부(100')의 기본 바탕 발광색은 특정의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하고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3개의 문양(예: 원형)도 특정의 색상으로 일정하게 발광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대기오염지수가 높은 경우에는 3개의 문양 중 빨강색으로 특정된 문양이 발광되고 나머지는 소등되도록 하고, 대기오염지수가 중간인 경우에는 3개의 문양 중 노랑색으로 특정된 문양이 발광되고 나머지는 소등되도록 하며, 대기오염지수가 낮은 경우에는 3개의 문양 중 초록색으로 특정된 문양이 발광되고 나머지는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c)는 발광 표시부(100')의 제 3 실시예로서, 발광 표시부(100')는 소정 문양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수집된 대기의 기상상태 정보 중 강수확률 지수에 따라 복수의 영역이 상호 구별되도록 미리 설정한 복수의 색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색을 선택하여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강수확률 지수가 높은 경우에 발광 판단 처리부(300')에 의한 발광 상태 신호에 따라 정보제공 장치(10')의 발광 제어부(400')가 동작하는 경우 발광 표시부(100')의 기본 바탕 부분과 소정 문양(예: 우산 표시) 부분이 상이한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머지 않아 비가 올 확률이 높거나 비가 오고 있다는 표시로서 사용자는 창문을 닫아 두는 것이 좋다는 판단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다.
10, 10' : 정보제공 장치
20 : 사설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
30 : 공공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
100 : 알림부
100' : 발광 표시부
200, 200' :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
300 : 표시 판단 처리부
300' : 발광 판단 처리부
400 : 표시 제어부
400' : 발광 제어부
500, 500' : 전원부
600, 600' : 수신서버 선택부

Claims (6)

  1. 댁내 창문에 부착되며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정보제공 장치로서,
    대기환경 데이터에 연동하는 알림정보를 표시하는 알림부(100);
    댁내 게이트웨이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200);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기오염지수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결정하는 표시 판단 처리부(300);
    상기 표시 판단 처리부가 결정한 알림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400);
    상기 알림부,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 상기 표시 판단 처리부, 상기 표시 제어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100)는 상기 알림정보 표시를 복수 개의 패턴으로 구비하고,
    상기 표시 판단 처리부(300)는 상기 판단한 대기오염지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패턴 중 하나를 상기 알림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 장치(10)는 라벨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면에는 창문에 부착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는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 중에서 대기환경 데이터를 제공받을 하나의 서버를 선택하고 나머지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는 대기환경 데이터의 수신을 차단하는 수신서버 선택부(6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기환경 데이터 수신부는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대기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대기환경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대기환경 데이터 중에서 가장 불량한 대기오염지수를 선택하는 수신서버 선택부(6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는 소리 출력 또는 LED 표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KR2020150001031U 2015-02-13 2015-02-13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KR20160002925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31U KR20160002925U (ko) 2015-02-13 2015-02-13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CN201520200388.XU CN204705831U (zh) 2015-02-13 2015-04-03 窗户附着式大气环境信息提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31U KR20160002925U (ko) 2015-02-13 2015-02-13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25U true KR20160002925U (ko) 2016-08-23

Family

ID=5428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031U KR20160002925U (ko) 2015-02-13 2015-02-13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02925U (ko)
CN (1) CN20470583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153B1 (ko) * 2018-03-29 2018-07-31 노상호 환경재난정보를 제공하는 led 무드등
KR20190064422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알림 시스템에서의 정보 알림 동작방법
KR20190064421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알림장치
KR20190142091A (ko) 2018-06-15 2019-12-26 (주)공존에스앤티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777A (ko) 2001-03-12 2002-09-1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표시장치용 기판
KR20050067322A (ko) 2003-12-27 2005-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60049229A (ko) 2004-06-18 2006-05-18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들동안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방법 및 장치
KR20080086251A (ko) 2007-03-22 2008-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777A (ko) 2001-03-12 2002-09-1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표시장치용 기판
KR20050067322A (ko) 2003-12-27 2005-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60049229A (ko) 2004-06-18 2006-05-18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들동안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방법 및 장치
KR20080086251A (ko) 2007-03-22 2008-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422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알림 시스템에서의 정보 알림 동작방법
KR20190064421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알림장치
KR101884153B1 (ko) * 2018-03-29 2018-07-31 노상호 환경재난정보를 제공하는 led 무드등
KR20190142091A (ko) 2018-06-15 2019-12-26 (주)공존에스앤티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US10859279B2 (en) 2018-06-15 2020-12-08 Gongzone S&T Co., Ltd. Window-type smart air purifying venti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705831U (zh)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19987B (zh) 连接的照明系统
US9397709B2 (en) Light device and pos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04635505A (zh) 一种与室内智能设备的交互方法
KR20160002925U (ko) 창문 부착형 대기환경 정보제공 장치
US20230047010A1 (en) Camera-based commissioning
JP2019506073A (ja) 追加導入されたデバイスの設定と立ち上げ
JP2021168309A (ja) 照明システム
WO2015128735A2 (en)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KR101590055B1 (ko) 대기환경 정보를 활용한 창문 부착형 앱세서리 장치
CN105636202A (zh) 一种室内融合定位系统
KR101723885B1 (ko) 창 외면 부착형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IoT 홈케어 시스템
JPWO201812799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10697664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2017060096A (ja) 操作器及び通信システム
CN205545960U (zh) 一种室内融合定位装置
WO2023120251A1 (ja) 情報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90058766A1 (en) Location-bas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JP2015091044A (ja) リモコンモジュール
TW201843563A (zh) 顯示方法、程式、及顯示系統
KR20190072842A (ko) 스마트 조명기기의 조명 등록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5341394U (zh) 一种具有红外网关功能的电视氛围灯
CN210323804U (zh) 智能家居控制系统
KR102490657B1 (ko) 스마트 온실 모니터링 시뮬레이터의 제어방법
KR102188130B1 (ko) 스마트 조명시스템 및 조명시스템의 id 등록 및 그룹핑 방법
KR102188131B1 (ko) 휴대용 조명제어장치 및 그를 가지는 스마트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