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726U -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 Google Patents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726U
KR20160002726U KR2020150000646U KR20150000646U KR20160002726U KR 20160002726 U KR20160002726 U KR 20160002726U KR 2020150000646 U KR2020150000646 U KR 2020150000646U KR 20150000646 U KR20150000646 U KR 20150000646U KR 20160002726 U KR20160002726 U KR 20160002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outsole
footwear
wearer
smooth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조
Original Assignee
신신상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신상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신상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0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726U/ko
Publication of KR20160002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7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족구는 모래맨땅, 인조잔듸, 실내 나무마루바닥 및 우레탄 바닥 등 다양한 재질의 경기장에서 진행되는바,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경기장 조건에서도 경기력(순간스파이크, 적당한 그립감, 내마모성 및 충격흡수성 등)의 저하 없이 발휘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족구화용 멀티 아웃 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outsole for jokgushose}
본 고안은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족구는 모래맨땅, 인조잔듸, 실내 나무마루바닥 및 우레탄 바닥 등 다양한 재질의 경기장에서 진행되는바,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경기장 조건에서도 경기력(순간스파이크, 적당한 그립감, 내마모성 및 충격흡수성 등)의 저하 없이 발휘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족구화용 멀티 아웃 솔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068405호(등록일 : 2011년 09월 22일)족구화는,
신발 몸체(100)와 밑창(200)이 구비되고, 신발 몸체(100) 내측 중앙에 족구공을 받기 위한 빗살무늬 바운드부(300)가 구비된 족구화에 있어서,
상기 빗살무늬 바운드부(300)는 일정한 간격으로 빗살무늬 형태로 이격되어 밑창(200)의 바닥면에 폭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바닥 바운드 돌기(310)와;
상기 신발 몸체(100)의 내측 중앙에 바닥 바운드 돌기(310)와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내측 바운드 돌기(320)와;
상기 바닥 바운드 돌기(310)와 내측 바운드 돌기(320) 사이에 구비되어 공을 가격하여 회전시키는 다수의 모서리 회전돌기(330)와;
상기 내측 바운드 돌기(320)와 내측 바운드 돌기(320) 사이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바운드 홈(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족구화는 족구경기가 진행되는 운동장의 다양한 지면형태(예를들어, 모래맨땅이나 인조잔듸 또는 실내 나무마루바닥 및 우레탄바닥)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미끄러짐이 발생하거나 순간 순발력을 요구하는 스파이크 성능 및 충격흡수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하여 각각의 지면 형태에 맞는 최적화된 족구화가 개발될 수 있으나, 다양한 지면에 최적화된 족구화를 여러 개 고루 갖추기에는 비용적으로나 사용상으로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지면의 특성을 파악하고 가장 핵심적인 장점만을 모은 족구화용 아웃솔을 제작함으로써 모래맨땅이나 인조잔디 또는 실내 나무마룻바닥 및 우레탄바닥 등 다양한 형태의 경기장에서 기능성이 최대한 발휘되어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족구화 아웃솔의 바닥면을 모래맨땅이나 인조잔디 또는 실내 나무마룻바닥 및 우레탄바닥 등 다양한 형태의 경기장에서도 순간스파이크, 적당한 그립감, 부분별 내마모성, 충격흡수 등의 기능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양한 경기장환경에서도 경기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족구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족구화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부분과 안쪽 발바닥 부분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끝부분에 평활면(12)과 상기 평활면(12)의 중앙부분에 "Y"형태의 홈(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돌기부(10);와,
족구화 착용자의 발 바닥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끝부분에 평활면(21)을 갖는 한 쌍의 삼각형 형태의 돌기(22, 23) 일면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사각평면돌기부(20);와,
상기 사각평면돌기부(20)의 내측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끝 부분에 평활면(31)을 갖는 서로 다른 크기의 한 쌍의 삼각형 형태의 돌기(32, 33) 일면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경사평면돌기부(30);와,
상기 경사평면돌기부(30)의 내측 착용자의 발 앞꿈치와 뒷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내마모부(4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형돌기부(10)는 각기 다른 크기와 홈(11)의 방향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 아웃솔 중 착용자의 뒷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쇄기형태의 돌기(34)를 복수 개 형성하여 적당한 슬립기능은 유지하면서도 가장 먼저 바닥면에 접지되는 부분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은,
첫째, 모래맨땅이나 실내마루 및 우레탄 재질의 경기장에서는 엄지발이 위치하는 부분과 테두리 부에 원형돌기부와 사각 평면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순간 순발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높은 수준의 스파이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인조잔디가 형성된 경기장에서는 타원형의 경사평면돌기부의 구성에 의하여 전방스파이크의 효과와 적당한 슬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걸림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엄지발가락이 위치하는 부분과 뒷굽 부분에는 내마모성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신발의 마모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은 부분적으로 경기장의 형태의 문제점에 따른 경기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들을 요소요소에 배치함으로써 모래맨땅이나 인조잔디 또는 실내 나무마룻바닥 및 우레탄바닥 등 다양한 형태의 경기장에서도 높은 수준의 경기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의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중 원형돌기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중 사각 평면돌기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중 경사평면돌기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중 뒷굽 부분을 나타낸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의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중 원형돌기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중 사각 평면돌기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중 경사평면돌기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중 뒷굽 부분을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100)은 족구화 착용자가 경기 중 경기장 바닥면과의 접지와 분리가 이루어지는 과정 및 형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 분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웃솔의 바닥면에 각기 다른 형태를 갖는 여러 개의 돌기와 부분적인 재질의 변경을 통하여 모래맨땅이나 실내마루 및 우레탄 재질 등 다양한 형태의 경기장에서 선수의 경기력을 최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100)은 아웃솔의 바닥부분에 부분적으로 원형돌기부(10)와 사각평면돌기부(20)와, 경사평면돌기부(30) 및 내마모부(40)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원형돌기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솔(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끝부분에 평활면(12)과 상기 평활면(12)의 중앙부분에 대략 "Y"형태의 홈(1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돌기부(10)는 족구화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부분과 안쪽 발바닥 부분에 형성되어 순간 순발력과 순간 스파이크를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원형돌기부(10)에 형성된 홈(11)의 방향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모래맨땅에서의 순발력 및 스파이크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형돌기부(10)는 족구화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부분과 안쪽 발바닥 부분에 넓은 범위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원형 돌기부(10)의 크기를 달리형성함으로써 스파이크의 원활한 동작의 특징은 유지하면서도 착용자가 바닥면에 접지와 분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각 평면돌기부(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솔(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끝부분에 평활면(21)을 갖는 한 쌍의 삼각형 형태의 돌기(22, 23)가 서로 마주보며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한 것으로, 족구화의 양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전/후방 역돌기 스파이크 동작을 미끄러짐 없이 수행할 수 있으며 순간 정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마루바닥 경기장이나 우레탄 바닥의 경기장에서 선수가 경기력의 저하 없이 안정된 경기력을 확보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경사평면돌기부(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솔(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끝 부분에 평활면(31)을 갖는 서로 다른 크기의 한 쌍의 삼각형 형태의 돌기(32, 33)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 족구화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각 평면돌기(2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전방 스파이크 기술을 원활하게 발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적당한 슬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조잔디구장에서의 급격한 동작에 따른 발목 염좌 등의 부상을 방지하고 안정된 경기력을 확보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경사평면돌기부(30)의 다른 실시예로 발 뒤꿈치 부분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쐐기형태의 돌기(34)를 복수 개 형성하여 적당한 슬립기능은 유지하면서도 가장 먼저 바닥면에 접지되는 부분의 충격흡수 기능을 더하여 선수의 피로도를 저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마모부(4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솔(100)의 바닥면 상부(착용자의 발 앞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와 하부(착용자의 발 뒤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대략 넓은 범위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마모부(40)는 아웃솔(100)의 제품 성형시 내마모부(40)가 위치하는 부분에 강도가 높은 별도의 재료를 위치시키고 나머지 부분의 성형을 위한 재료를 충진 후 성형함으로써 각기 다른 이종의 재료를 일체로 성형하여 부분적인 내마모성이 향상된 아웃솔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은 아웃솔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원형돌기부(10)와, 사각평면돌기부(20)와, 경사평면돌기부(30) 및 내마모부(40)의 구성에 의하여 착용자가 경기중 접지와 분리가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충격의 최소화 및 순간 순발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족구화의 바닥면이 경기장에 접지되는 과정이 뒷부분 내마모부(40)에서부터 양측의 사각평면돌기부(20)와 경사면 평면돌기부(30)와 원형돌기부(10) 및 앞부분 내마모부(40) 순으로 접지됨으로서 충격이 최소화되고 순간순발력이 국대화 됨으로써 착용자의 피로도 절감 및 부상방지, 아웃솔의 마모 최소화와 같은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원형돌기부 11 : 홈
12 : 평활면 20 : 사각평면돌기부
21 : 평활면 22, 23 : 돌기
30 : 경사평면돌기부 31 : 평활면
32, 33 : 돌기 40 : 내마모부

Claims (3)

  1. 족구화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부분과 안쪽 발바닥 부분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끝부분에 평활면(12)과 상기 평활면(12)의 중앙부분에 "Y"형태의 홈(11)이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돌기부(10);와,
    족구화 착용자의 발 바닥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끝부분에 평활면(21)을 갖는 한 쌍의 삼각형 형태의 돌기(22, 23) 일면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사각평면돌기부(20);와,
    상기 사각평면돌기부(20)의 내측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끝 부분에 평활면(31)을 갖는 서로 다른 크기의 한 쌍의 삼각형 형태의 돌기(32, 33) 일면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경사평면돌기부(30);와,
    상기 경사평면돌기부(30)의 내측 착용자의 발 앞꿈치와 뒷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내마모부(4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은 사각평면돌기부(20)와 경사평면돌기부(30) 및 원형돌기부(10) 순으로 경기장에 접지됨으로써 충격흡수 및 마모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아웃솔 중 착용자의 뒷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쇄기형태의 돌기(34)를 복수 개 형성하여 적당한 슬립기능은 유지하면서도 가장 먼저 바닥면에 접지되는 부분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KR2020150000646U 2015-01-28 2015-01-28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KR201600027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646U KR20160002726U (ko) 2015-01-28 2015-01-28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646U KR20160002726U (ko) 2015-01-28 2015-01-28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26U true KR20160002726U (ko) 2016-08-05

Family

ID=5671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646U KR20160002726U (ko) 2015-01-28 2015-01-28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7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6893B2 (en) Golf shoe
US20230088924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edial contact portion
US10595585B2 (en) Golf shoe with an outsole having wave-like flex channels
US11589640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soccer
EP3220766B1 (en) Outsole with grip reduction extension members
US10016020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forefoot secondary studs
CN106231943B (zh) 用于带鞋钉的鞋类的可更换的底板
CN103619204B (zh) 具有触球构件的鞋类物件
US850521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directional sole structure
US9585434B2 (en) Upper with sensory feedback
US8516723B2 (en) Midfoot insert construction
JP6169696B2 (ja) フィントラクション要素を有するアウトソールを備えた履物物品
CN106963028B (zh) 具有地面啮合构件支撑特征的鞋底布置
US20170224053A1 (en) Outer sole for spikeless footwear
US10405611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lateral offset heel stud
US20160150853A1 (en) Footwear with Power Kick Plate
US20090100716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Walled Cleat System
US20100115796A1 (en) Heel construction for footwear
US20200170353A1 (en) Athletic Cleat
JP2020099671A (ja) 全表面型トラクション領域を伴うアウトソールを具備するゴルフ靴
KR20160002726U (ko) 족구화용 멀티 아웃솔
US10736382B2 (en) Pair of asymmetrical footwear articles
KR20160018082A (ko) 접지력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골프화
KR20170055029A (ko) 밑창변경형 풋살축구화
US20120304504A1 (en) Stu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