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82U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82U
KR20160002682U KR2020150000556U KR20150000556U KR20160002682U KR 20160002682 U KR20160002682 U KR 20160002682U KR 2020150000556 U KR2020150000556 U KR 2020150000556U KR 20150000556 U KR20150000556 U KR 20150000556U KR 20160002682 U KR20160002682 U KR 201600026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groove
fastened
body par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348Y1 (ko
Inventor
신유능
Original Assignee
신유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유능 filed Critical 신유능
Priority to KR2020150000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4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Abstract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일회용 차를 음용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로 차를 우려낼 수 있도록 내측에 차 잎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물에 잠수되어 차를 우려내는 특징이 있다. 또한, 리드부에 리드홈이 형성되어 몸체부를 체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조작함에 있어 더욱 편리하다는 특징을 갖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HEIGHT ADJUSTABLE AND DISPOSABLE TEA INFUSER}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일회용 차를 음용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로 차를 우려낼 수 있도록 내측에 차 잎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물에 잠수되어 차를 우려내는 특징이 있다. 또한, 리드부에 리드홈이 형성되어 몸체부를 체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조작함에 있어 더욱 편리하다는 특징을 갖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에 관한 것이다.
커피숍과 같은 음료 전문점에서 차를 판매 시에 매장 내에서는 차 잎을 그대로 넣은 채로 차를 우려내 판매되기 때문에 보다 진한 향의 차를 마실 수 있는데, 테이크 아웃과 같은 경우에는 일회용품으로 구성된 차를 우려낼 수 있는 구성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본연의 참 맛을 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크 아웃에서 주로 사용되는 일회용 티백은 가루 형식으로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테이크 아웃에 사용되는 일회용 티백은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로 차를 우려내기 위해 물 속에 티백을 잠수시키거나 빼내는 등 물속에서 티백을 우려내는 시간을 조절해야 하는데, 종래의 티백에는 물에서 티백을 꺼내놓았을 때 티백을 보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715호는 티백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뚜껑의 저면에 티백을 탈장착하여 차를 우려내는 구성을 가진다. 하지만, 사용자가 차를 원하는 만큼 우려내기 위해 티백을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병뚜껑 형상의 뚜껑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771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또는 농도까지 차를 우려낼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는 인퓨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물속에서 티백을 꺼내었을 시, 다시 티백을 물 속에 넣기 전 까지 임시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인퓨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잘게 빻은 차 잎이 아닌, 차 잎 그대로를 사용하여 차를 우려낼 수 있도록 하는 인퓨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이 개구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체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가 체결되는 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내측에 차 잎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몸체부 일단에 하나 이상의 몸체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부 내측은 차 잎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차 잎을 그대로 우려내어 차 본연의 맛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부를 리드부에 탈장착 체결하여 보관할 수 있어 차를 우려내지 않을 시에 효과적으로 몸체부를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부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체결홈을 리드부에 형성된 리드홈에 체결할 수 있어 몸체부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를 원하는 농도 및 시간으로 우려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는 제 1 몸체부(100) 및 제 2 몸체부(200)로 이루어진 몸체부(10), 덮개부(300) 및 리드부(2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몸체부(10)는 상측이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차 잎(30)을 넣을 수 있고, 내측에 차 잎(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종래의 차를 우려내는 인퓨저와의 차이점으로서, 차 잎(30)을 그대로 넣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를 우려서 음용할 때에 차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몸체부(10)는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몸체부(100) 및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몸체부(200)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몸체부(100) 및 제 2 몸체부(200)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고, 제 1 몸체부(100) 및 제 2 몸체부(200)는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몸체부(100)는 몸체부(10) 내측에 구비되는 차 잎(30)이 물에 우러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몸체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몸체부(100)는 저면에 하나 이상의 몸체홈(110)이 구비되어 몸체부(10) 내부에 구비되는 차 잎(30)을 물에 닿게 하여 차를 우려낼 수 있다.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차를 우려낼 수 있는 형상을 가지기 위해 반 구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제 2 몸체부(200)는 상측이 개구되고,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는데, 원통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몸체로 구비될 수 있지만, 리드부(20)에 구비되는 리드홈(21)에 손쉽게 체결하기 위해 원형의 둘레를 가지고 있는 원통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제 2 몸체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체결홈(210)은 하나의 리드홈(21)에 체결되는데, 리드홈(21)의 직경과 두 개 이상의 체결홈(210)이 같은 직경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제 2 몸체부(200)를 원통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 2 몸체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체결홈(210)은 리드홈(21)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같은 직경을 가지게 된다면, 제 2 몸체부(200)의 외형은 원통형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몸체부(200)는 제 2 몸체부(200)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여진 형상의 체결홈(210)이 구비되고, 제 2 몸체부(200)의 체결홈(210)은 리드부(20)에 구비되는 리드홈(21)에 체결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제 2 몸체부(200)의 체결홈(210)은 높낮이가 상이하도록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제 2 몸체부(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홈(210)은 리드부(20)에 구비되는 리드홈(2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체결위치에 따라 높낮이를 변화시켜 차를 우려내는 농도를 조절하게 뒤는데, 이를 위해 제 2 몸체부(200)의 둘레를 따라 상이한 높이를 가지고, 소정 간격 이격되는 체결홈(210)이 두 개 이상 구비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측 및 하측에 두 개의 체결홈(210)이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덮개부(300)는 몸체부(10)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11)에 탈장착 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1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11)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덮개부(300)는 저면에 제 2 몸체부(200)의 내주면과 같은 직경을 가지는 덮개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제 2 몸체부(200)에 삽입하여 덮개부(300)가 제 2 몸체부(200)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추가적으로, 덮개부(300)의 덮개돌출부가 보다 견고하게 제 2 몸체부(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덮개돌출부 일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덮개체결부가 형성된다. 덮개돌출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덮개돌출부가 제 2 몸체부(200)에 삽입시 덮개홈에 체결되어 탈장착된다. 또한, 제 2 몸체부(200)는 상측 내주면에 덮개돌출부가 체결될 수 있도록 덮개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덮개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다만, 이와 같이 덮개돌출부, 덮개체결부 및 덮개홈을 이용하여 덮개부(200)를 제 2 몸체부(200)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구성은 일례를 들어 설명한 방법 중 한가지에 지나지 않고, 기술적 특징과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다양한 체결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덮개부(300)의 상단에 끈부(310)가 구비되어 연결되고, 사용자가 끈부(310)의 일단을 파지하여 몸체부(10) 및 덮개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끈부(310)는 줄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덮개부(300)에 체결되고, 타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끈부(310)는 일단이 덮개부(300)의 상면에 체결되고, 타단은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끈으로 이루어진 끈부(310)보다 비교적 높은 면적을 가지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종이가 타단에 부착된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리드부(20)는 일반적인 일회용 테이크 아웃 종이컵(25)에 체결되는 덮개형상을 일례로 설명하고,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 또는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리드부(20)는 리드홈(21)이 형성되어 몸체부(10)가 체결되어 탈부착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리드부(20)에 형성된 리드홈(21)의 외측 직경은 제 2 몸체부(200)에 형성된 체결홈(210)의 내측 직경과 같은 직경으로 구비되고, 리드홈(21)에 제 2 몸체부(200)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체결홈(2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체결홈(210)을 체결하여 몸체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특징을 가진다.
즉, 도 2 내지 도 6을 순서대로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는 몸체부(10) 내측에 차 잎(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및 몸체부(10) 상측에 구비되는 개구부(11)를 통해 차 잎(30)을 넣어 보관할 수 있고, 그 뒤 덮개부(300)를 몸체부(10) 상측에 체결하고, 리드부(20)에 구비되는 리드홈(21)에 제 2 몸체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체결홈(210) 중 비교적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홈(210)을 체결하여 사용하고, 이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홈(210)을 체결 시에는 제 1 몸체부(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몸체홈(110)이 일회용 컵(25)에 보관된 물에 잠수되어 몸체부(10) 내측에 구비되는 차 잎(30)이 물에 우러나와 차를 우려내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그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로 차를 우려냈을 때에는 제 2 몸체부(200)에 형성된 체결홈(210) 중 비교적 하측에 위치하는 체결홈(210)을 리드홈(21)에 체결하여 제 1 몸체부(100)를 물에서 이격 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차를 우려내는 것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멈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를 음용하여 소량의 물이 남아있을 시에는 리드홈(21)에 체결된 체결홈(210)을 리드부(20) 하측으로 밀어 넣어 일회용 컵(25)으로 몸체부(10)를 넣을 수 있고, 이와 같이 일회용 컵(25) 내측으로 몸체부(10)를 밀어 넣게 되면 소량의 물이 남아있더라도, 몸체부(10)가 일회용 컵(25) 내측으로 낙하하여 물에 잠수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차를 우려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몸체부(10)는 종래에 차를 우려내기 위해 사용되는 티백보다 넓은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차 잎(30)을 그대로 넣어 사용할 수 있어, 차 잎(30)을 가루로 빻아 가공하는 티백과 달리 차 본연의 맛 그대로 차를 우려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몸체부 11 : 개구부
20 : 리드부 21 : 리드홈
25 : 컵 30 : 차 잎
100 : 제 1 몸체부 110 : 몸체홈
200 : 제 2 몸체부 210 : 체결홈
300 : 덮개부 310 : 끈부

Claims (7)

  1. 상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 체결되는 덮개부(300); 및
    상기 몸체부(10)가 체결되는 리드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는 내측에 차 잎(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몸체부(10) 일단에 하나 이상의 몸체홈(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넓이와 같은 넓이를 가지는 리드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홈(21)에 상기 몸체부(1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홈(110)이 형성되는 제 1 몸체부(100) 및 상기 리드홈(21)에 체결되는 제 2 몸체부(200)로 구획되고,
    상기 제 2 몸체부(200)는 상기 리드홈(21)에 체결되는 체결홈(210)이 상기 제 2 몸체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210)은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두 개 이상 구비되는 체결홈(210)은 서로 높낮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210)은 두 개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체결홈(21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2 몸체부(20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210)의 내측 직경은 리드홈(21)의 외측 직경과 같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탈장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0)는 일단에 끈부(3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KR2020150000556U 2015-01-23 2015-01-2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KR200481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56U KR200481348Y1 (ko) 2015-01-23 2015-01-2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56U KR200481348Y1 (ko) 2015-01-23 2015-01-2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82U true KR20160002682U (ko) 2016-08-02
KR200481348Y1 KR200481348Y1 (ko) 2016-09-20

Family

ID=5671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556U KR200481348Y1 (ko) 2015-01-23 2015-01-2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4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716A (ko) 2007-12-21 2009-06-25 옥윤선 티백용 병뚜껑
KR200448621Y1 (ko) * 2008-05-13 2010-05-03 (주)아모레퍼시픽 인퓨저를 구비한 차 포장 용기
KR101450181B1 (ko) * 2014-05-27 2014-10-13 노신현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716A (ko) 2007-12-21 2009-06-25 옥윤선 티백용 병뚜껑
KR200448621Y1 (ko) * 2008-05-13 2010-05-03 (주)아모레퍼시픽 인퓨저를 구비한 차 포장 용기
KR101450181B1 (ko) * 2014-05-27 2014-10-13 노신현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48Y1 (ko)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510A (en) Device for making coffee
USD856730S1 (en) Combination portable beverage brewer and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US10405688B2 (en) Advanced mug cap apparatus
US2328599A (en) Device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US20200140186A1 (en) Ground coffee drip bag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100757255B1 (ko) 차 우림구
KR200471638Y1 (ko) 일회용 컵용 컵뚜껑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USD897767S1 (en) Combination portable pour over coffee maker and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KR200481348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일회용 차 인퓨저
CN100548827C (zh) 饮料运载器
EP3257406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for serving and entertaining children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CN203943430U (zh) 一种带过滤结构的杯子
KR200404021Y1 (ko) 여과기가 마련된 종이컵
KR100552044B1 (ko) 티백
KR101288241B1 (ko)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JP3197073U (ja) ドリップ具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200426927Y1 (ko) 차 우림구
GB2517182A (en) Tea Brewing Equipment
KR20190001718U (ko) 얼음 분리컵을 구비한 텀블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