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38U - 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 - Google Patents

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38U
KR20160002638U KR2020150001557U KR20150001557U KR20160002638U KR 20160002638 U KR20160002638 U KR 20160002638U KR 2020150001557 U KR2020150001557 U KR 2020150001557U KR 20150001557 U KR20150001557 U KR 20150001557U KR 20160002638 U KR20160002638 U KR 201600026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ion
hooking
ank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5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강원
Original Assignee
조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강원 filed Critical 조강원
Publication of KR20160002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3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6Elastic bands

Abstract

본 고안은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이 개시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목과 발바닥을 감싸 덮어주어 사용자의 발목에 대한 통증을 방지하는 발감싸개(10)와 상기 발감싸개(10)를 덮어 지지하는 지지덮개(20)와, 상기 발감싸개(10)와 지지덮개(20)가 사용자의 발목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끈(30)과, 상기 지지덮개(20)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 고정되는 걸이체(40)와, 상기 걸이체(40)에 연결 고정되는 밴드연결체(50)와, 상기 밴드연결체(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감싸개(10)의 내측에 사용자의 발목부분을 위치하여 감싸 상기 지지덮개(20)와 고정끈(30)에 의해 고정한 후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는 것에 의해 탄력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부분에 대한 재활운동 및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밴드연결체(50)에 연결되는 탄력밴드(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ehabilitation and muscle aiding footwear comprising a foot wrapper (10) for covering the ankle and sole of a user to prevent pain on the user ' s ankle and a foot wrapper (10) covering the foot wrapper A fixing lanyard 30 for fixing the foot covering 10 and the lid 20 to the user's ankle and a fixing lanyard 30 for fixing the lanyard 10 and the lid 20 to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lid 20, And a band connecting member 5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0 and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ing member 50 so that a user can insert the user's foot into the inside of the toe- An ankle part is wrapped around and secured by the support lid 20 and the fixing strap 30 and then the user pulls the ankle part to the back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or the user pulls the ankle part to the front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By taking action, by elasticity And a resilient band 60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or 50 so that a rehabilitative movement and a muscle movement of the user's ankle part are performed.

Description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Rehabilitation and muscular athletic shoes (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

본 고안은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목과 발바닥을 덮어 발목과 발바닥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켜 줄 뿐만 아니라, 탄력밴드를 이용하여 발목에 대한 재활운동은 물론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용성의 용이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탄력밴드와의 고정성을 향상시켜 사용 중 탄력밴드가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habilitation and muscle athletic footwea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kle and foot sole that not only disperses the forces transmitted to the ankle and the sole but also uses the elastic band to perform rehabilitation for the ankle, To a rehabilitation and muscle athletic footwear in which the elasticity ban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ring use by improving the fixability with the elastic band without imposing a burden on the purchase cost owing to the ease of use and simple configuration .

일반적으로,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대개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게 되고 이로 인해 하체 운동량이 줄어들어 상체에 비해 하체의 근육발달이 떨어지게 된다.In general, modern people living in a modern industrial society usually sit on chairs for a long time to see their work, which causes the lower body exercise amount to be lowered, resulting in lowering of the lower body muscles.

더욱이, 식생활의 발달로 섭취하는 영양에 비해서 소비되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체의 상대적 비대화가 가속되고 이를 지탱하는 하체 특히 무릎이나 발목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Furthermore, since the amount of calories to be consumed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nutrients consum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ating habits, the relative enlargement of the upper body accelerates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lower body, especially the knee or ankle, is increasing.

이와 같이, 운동량 부족과 함께 상체 비대화로 인해 현대인들의 하체는 날로 약해져 가고 있으며 이는 무릎이나 발목 등에 이상이 발생하여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과격한 운동 및 빙판길에서 넘어지는 등 각종 안전사고 발생시에도 약해진 하체는 쉽게 골절되거나 인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른 병원치료와 함께 하체 근력을 회복하는 재활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In this way, due to the lack of exercise, the lower body of the modern people is becoming weaker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upper body, which causes the pain caused by the abnormality in the knee or ankle,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the weakened lower body is easily broken or the ligament is damaged. Therefore, there is a rehabilitation exercise to recover the lower body strength with the hospital treatment.

한편, 하체 근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재활운동기구에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대부분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을 단련시키며 무릎관절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들로 발목에 대한 근력을 회복하거나 강화시키는 재활운동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restoring the lower body strength, and most of them are for exercising the thighs and calf muscles and restoring the knee joints. It is true.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20-0461278호인 발목 재활 운동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면에 사용자의 종아리부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종아리거치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로 연장되는 회동아암과, 상기 회동아암의 상단에 구비되어 발을 걸 수 있도록 되는 걸이구와, 상기 회동아암에 연결되어 회동아암을 전후방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종아리거치부에 종아리부위를 올려놓고 발을 상기 걸이구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구동수단으로 회동아암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켜 발목을 운동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종아리거치부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종아리거치부에 올려진 종아리부위 또는 발목을 열찜질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kl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which is a regeneration practice model 20-0461278, which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calf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user's calf port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ivoting arm connected to the pivoting arm to pivot the pivoting arm forward and backward, the pivoting arm being coupled to the pivoting arm, , The calf portion is placed on the calf rest portion, the foot is fixed to the catch portion, the ankle can be moved by rotating the rotation arm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rotation driving means, and the calf rest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ater It is made to heat the calf area or ankle put on the calf mount.

이러한 종래 기술은, 본체의 종아리거치부에 종아리부위를 올려놓고 발을 상기 걸이구에 고정한 상태에서 회동구동수단에 의해 회동아암이 전후진되면서 발목을 전후방으로 회동시켜 발목의 근육을 긴장 및 이완시킴으로써 발목을 효과적으로 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In this prior art, the ankle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pivot arm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pivot drive means in a state where the calf portion is placed on the calf rest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foot is fixed to the catch pawl, thereby tensing and relaxing the muscles of the ankle The ankle is being exercised effectively.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rt, since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purchasing the consumer is not much burdened.

또한, 본체, 회동아암, 걸이구, 회동구동수단, 히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중량이 무거워 휴대하고 다닐 수 없어 운동을 위한 장소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is heavy due to the components such as the body, the pivot arm, the hanger, the rotation driving means, and the heater.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목이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이구에 발등을 걸어준 후 걸이구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발목 인대를 다치거나 또는 발목을 움직일 수 없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발등이 걸어진 걸이구를 밀어주는 동작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발목운동을 제대로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performs the exercise by pushing the hanger after the user hangs his / her foot on the hanger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ankle is not supported, the ankle ligament can be injured or the ankle can be moved In the case of a user who does not have an ankle, the ankle can not be properly moved because the user can not take an action to push the knee.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1278호(2012.06.26. 등록)Korea Registration Practice 20-0461278 (Registered on June 26, 2012)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67394호(2013.05.20.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67394 (Registered on May 20, 2013)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고 휴대가 용이하여 운동장소에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의 발목과 발바닥이 결속된 상태에서 탄성밴드에 의해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발목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목이나 발바닥은 물론 발등에 대한 근력운동은 물론 재활운동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imple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n ankle movement can be performed by pulling by an elastic band in a state where the ankle and the soles of the user are engaged whil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exercise place, And to provide a rehabilitation and muscle training assistance foot which can easily and easily perform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s well as the strength exercise for the ankle or the sole of the foot as well as the foo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은, 사용자의 발목과 발바닥을 감싸 덮어주어 사용자의 발목에 대한 통증을 방지하도록 발목을 감싸 덮어주는 발목밀착부와 발바닥을 감싸 덮어주는 발바닥밀착부와 상기 발목밀착부와 발바닥밀착부 사이에 위치되어 발뒤꿈치가 끼워지는 뒤꿈치끼움부가 구비되고 양측방향으로 벌어지고 모아지도록 개방부를 갖는 발감싸개와; 상기 발감싸개를 덮어 발감싸개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시켜주도록 상기 발목밀착부에 밀착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1체결구멍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발바닥밀착부에 밀착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고 발등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복수개의 결속구멍을 갖는 지지덮개와; 상기 지지덮개의 제3지지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상기 복수개의 결속구멍을 연결하여 묶어주어 상기 지지덮개를 고정하여 상기 발감싸개와 지지덮개가 사용자의 발목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끈과; 상기 지지덮개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 고정되는 걸이체와; 상기 걸이체에 연결 고정되는 밴드연결체와; 상기 밴드연결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감싸개의 내측에 사용자의 발목부분을 위치하여 감싸 상기 지지덮개와 고정끈에 의해 고정한 후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는 것에 의해 탄력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부분에 대한 재활운동 및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밴드연결체에 연결되는 탄력밴드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habilitation and muscular athletic shoe comprising an ankle tightening part for wrapping an ankle to cover the ankle and the sole of a user so as to cover the user's ankle to prevent pain, A foot having a sole attachment portion, a heel insertion portion located between the ankle attachment portion and the foot attachment portion and having a heel thereo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A first support portion which is attached to the ankle tightening portion and which has first fastening hol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ankle fastening portions so as to support the foot fastening dog and support the ankle of the user so as to fix the user's ankle, A third support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foot,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ortions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 support lid having a hole; A fixing strap for connecting and fastening the plurality of binding holes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lid to fix the support lid to fix the foot wrap and the support lid to the user's ankle; A transfer lid coupl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li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 band connecting body fixedly connected to the spacer; A user is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or to place the user's ankle part in the inside of the foot wrap and fix the user with the support lid and the fixing strap and then pull the user's ankle part to the back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And a resilient band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ing body so that a user performs an operation of pulling the ankle portion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so as to perform rehabilitation and muscl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user's ankle by elastic force.

나아가, 상기 걸이체는, 상기 지지덮개의 상기 제1지지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제1결합구멍이 통공되어 상기 제1체결구멍과 상기 제1결합구멍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중앙에 돌출된 제1걸이링이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구 및 제2걸이구와; 상기 지지덮개의 제2지지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이 통공되어 상기 제2체결구멍과 상기 제2결합구멍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중앙에 돌출된 제2걸이링이 각각 구비되는 제3걸이구 및 제4걸이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연결체는, 상기 제1걸이구 및 제2걸이구에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링에 연결되어 끼워져 상기 지지덮개의 제1지지부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는 제1연결끈과, 상기 제1연결끈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끈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걸어 고정하는 제1걸고리로 구비되는 제1밴드연결구와; 상기 제3걸이구 및 제4걸이구에 각각 구비되는 제2걸이링에 연결되어 끼워져 상기 지지덮개의 제2지지부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는 제2연결끈과, 상기 제2연결끈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끈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4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와 제4연결부를 걸어 고정하는 제2걸고리로 구비되는 제2밴드연결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the engaging body may be formed such that a first engaging hole corresponding to a first engaging ho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of the supporting lid is passed therethrough, and the first engaging hole and the first engaging hole are pin- A first hook and a second hook that are respectively fit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have first hooking rings protruding from the center, respectively; A second engaging hole corresponding to a second engaging ho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lid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engaging hole and the second engaging hole are pin- And a third hook and a fourth hook respectively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rings, respectively, the second hooking ring and the fourth hooking ring being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openings and the second hooking opening, respectively, A first connection cord which is connected to the hook ring and is loca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lid,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and a second connection cord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A first connecting part having a second connecting part and a first hooking part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A second connecting cord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oking ring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third hooking hole and the fourth hooking hole and is position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of the supporting lid, And a second hook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ng part and the fourth connecting part to each other, and a second hook connecting part for hooking the third connecting part and the fourth connecting part.

나아가, 상기 제1밴드연결구의 제1연결끈에는 상기 제1연결끈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걸어 고정하는 제1걸고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및 제1걸고리를 포설하는 제1방지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밴드연결구의 제2연결끈에는, 상기 제2연결끈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3연결부 및 제4연결부와 상기 제3연결부와 제4연결부를 걸어 고정하는 제2걸고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연결부와 제4연결부 및 제2걸고리를 포설하는 제2방지커버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the first connecting strap of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 may have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strap,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a first cover cover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hook to prevent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 third connecting portion and a fourth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to each other, And a second prevention cover for laying hooks.

나아가, 상기 걸이체는, 상기 지지덮개의 상기 제1지지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제3결합구멍이 통공되어 상기 제1체결구멍과 상기 제3결합구멍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내측에 각각 제1연결구멍이 통공된 제1연결편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5걸이구 및 제6걸이구와; 상기 지지덮개의 제2지지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제4결합구멍이 통공되어 상기 제2체결구멍과 상기 제4결합구멍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내측에 각각 제2연결구멍이 통공된 제2연결편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7걸이구 및 제8걸이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연결체는, 상기 제5걸이구 및 제6걸이구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편의 내측에 통공된 제1연결구멍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측에 제1나사체결부가 구비되는 제1고정구멍이 내측에 각각 통공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편 및 제2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을 연결하는 제3밴드연결구와; 상기 제7걸이구 및 제8걸이구에 각각 구비되는 제2연결편의 내측에 통공된 제2연결구멍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측에 제2나사체결부가 구비되는 제2고정구멍이 내측에 각각 통공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3고정편 및 제4고정편과 상기 제3고정편과 제4고정편을 연결하는 제4밴드연결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밴드연결구의 제1고정구멍과 이 제1고정구멍에 대응되는 상기 제5걸이구 및 제6걸이구의 제1연결구멍을 연결하고 상기 제1고정구멍의 제1나사체결부에 나사체결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4밴드연결구의 제2고정구멍과 이 제2고정구멍에 대응되는 상기 제7걸이구 및 제8걸이구의 제2연결구멍을 연결하고 상기 제2고정구멍의 제2나사체결부에 나사체결되는 제2고정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Further, the fastening body may be formed such that a third fitt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of the supporting lid is opened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third fitting hole are pin- A fifth hook and a sixth hook that are respectively fit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have first connection pieces each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formed therein on both sides thereof; A fourth engaging hole corresponding to a second engaging hol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lid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engaging hole and the fourth engaging hole are pin- And a fifth hook and an eighth hook that are respectively fitted to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having the second connecting hole penetrated inside thereof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fth hook and the sixth hook, A first fixing hole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connection hol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holes and each having a first screw fixing portion in the inside thereof, A third band connecting por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And a second fixing hole located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hole 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seventh and eighth hanger holes and having a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 on the inner side, And a fourth band connecting port for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fixing pieces to each other,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fixing pieces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hole and the second fixing hole, A first fixtur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and the first fixing hole of the sixth fixing hole and screwed into the first screw fixing portion of the first fixing hole; The second fixing hole of the fourth band connecting po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ok hole of the seventh hook hole and the eighth hook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hole and the second screw hole of the fourth fixing hole is screwed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본 고안은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발감싸개에 의해 발목에 대한 재활운동 또는 근력운동시에 통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발감싸개를 덮어주는 지지덮개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밴드연결구와 탄력밴드에 의해 사용자의 발을 앞으로 당겨주거나 또는 뒤로 당겨주면서 발목부분에 대한 재활운동 및 근력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휴대가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됨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pain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or strength exercise by the foot wrapped around the user's foot, and the user's ankle can be easily fixed by the support lid covering the foot wrap However, the band connector and the elastic band can pull the user's foot forward or pull back,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he strength exercise can be performed on the ankle part. By the simple constitution, it does not burden the purchase cost of the consumer and is easy to carry It is possible to use without any place.

도 1은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의 발감싸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의 지지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이 결합된 상태의 좌측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이 결합된 상태의 우측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의 걸이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의 밴드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의 밴드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에 탄력밴드가 전방측으로 연결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에 탄력밴드가 후방측으로 연결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가 연결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 및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가 연결된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 및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에 탄력밴드가 전방측으로 연결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1 및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에 탄력밴드가 전방측으로 연결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ot wrapp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habilitation and muscle training assistance shoe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habilitation and muscle exercise assistance shoe.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joining state of the rehabilitation and muscle exercise auxiliary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eft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ehabilitation and muscle training assistant shoes are combined.
FIG. 5 is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ehabilitation and muscle training assistant shoes are combine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nger of a rehabilitation and muscle exercise assistanc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n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rehabilitation and muscle training assistance shoe.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rehabilitation and a muscle exercise assistant shoe.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in the rehabilitation and muscle exercise assistanc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rehabilitation and muscle exercise assistance sho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nstituent parts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habilitation and muscle exercise assistance shoes.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nstituent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habilitation and muscle exercise assistance shoes.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constituent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Figs. 11 and 12 are connecte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tate in which constituent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FIGS. 11 and 12 are connected. FIG.
Fig. 1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elastic bands ar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in another embodiment of Figs. 11 and 12. Fig.
Fig. 1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in another embodiment of Figs. 11 and 12. Fig.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ehabilitation and muscle training assistance sho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은, 사용자의 발목에 대한 통증을 방지하는 발감싸개(10)와 상기 발감싸개(10)를 덮어 지지하는 지지덮개(20)와, 상기 발감싸개(10)와 지지덮개(20)가 사용자의 발목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끈(30)과, 상기 지지덮개(20)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 고정되는 걸이체(40)와, 상기 걸이체(40)에 연결 고정되는 밴드연결체(50)와, 상기 밴드연결체(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감싸개(10)의 내측에 사용자의 발목부분을 위치하여 감싸 상기 지지덮개(20)와 고정끈(30)에 의해 고정한 후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는 것에 의해 탄력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부분에 대한 재활운동 및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밴드연결체(50)에 연결되는 탄력밴드(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rehabilitation and muscle training assistanc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 wrapping 10 for preventing pain on the user's ankle, a support lid 20 for covering the foot wrapping 10, A fixing strap 30 for allowing the foot wrap 10 and the support lid 20 to be fixed to the user's ankle, a transfer body 40 to be coupl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lid 20 in a corresponding manner, A band connecting body 50 connected to the hooking body 40 and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ing body 50 so that a user can place a user's ankle part in the inside of the footing wrapping body 10, After the user fixes the cover 20 and the fixing strap 30, the user takes an action of pulling the ankle portion to the back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or the user takes an action of pulling the ankle portion to the front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user's ankle and Yi yuk movement to occur takes plac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6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nd body 50.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어 장소에 구애됨 없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다.Because it is made up of this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arry around the rehabilitation and muscular athletic shoes with this design, and it can be used anytime without any place.

본 고안인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은, 상기 발감싸개(10)를 먼저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하고 지지덮개(20)로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한 발감싸개(10)를 덮은 다음, 고정끈(30)을 이용하여 발감싸개(10)와 지지덮개(20)를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 고정시킨다.In this rehabilitation and muscle training auxiliary shoe, the foot wrapper 10 is first worn on the user's ankle and the foot wrapper 10 worn on the user's ankle with the support lid 20 is covered, (10) and the support lid (20) are worn and fixed to the user's ankle using the lid (30).

다음으로, 상기 걸이체(40)에 밴드연결체(50)를 연결한 후, 밴드연결체(50)에 탄력밴드(60)의 일측을 연결하고 밴드연결체(50)에 일측이 연결된 탄력밴드(60)의 타측을 움직이지 않는 고정물(미도시)에 고정한다.Next, a band connecting body 50 is connected to the spacer 40, and then one side of the elastic band 60 is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ing body 50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and 60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ing body 50 (Not shown) which does not move.

이와 같이 탄력밴드(60)를 연결한 다음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함으로써 탄력밴드에 의한 발목부분의 재활운동은 물론 근력운동이 이루어진다.After the elastic band 60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f pulling the ankle portion to the rear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thereby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ankle portion by the elastic band as well as the strength exercise.

반대로,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할 경우에도 탄력밴드에 의한 발목부분의 재활운동 및 근력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발목부분을 하체 후방측으로 당겨줄 때에는 상기 탄력밴드(60)가 사용자의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발목부분을 하체 전방측으로 당겨줄 때에는 상기 탄력밴드(60)가 사용자의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하면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pulls the ankle portion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the rehabilitative movement and the strength movement of the ankle portion due to the elastic band are performed. When the user's ankle portion is pull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lower body, The elastic band 60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and the elastic band 60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user when the user's ankle part is pull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ody.

이 때, 사용자는 의자에 앉거나 또는 침대에 눕거나 또는 서서 운동을 진행하면 되는 것을 상기 탄력밴드(60)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ser may sit on a chair, lie on a bed, or perform standing motion. Preferably, the elastic band 60 is made of,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상기 발감싸개(10)는, 발목을 감싸 덮어주는 발목밀착부(11)와 발바닥을 감싸 덮어주는 발바닥밀착부(12)와 상기 발목밀착부(11)와 발바닥밀착부(12) 사이에 위치되어 발뒤꿈치가 끼워지는 뒤꿈치끼움부(13)가 구비되고 양측방향으로 벌어지고 모아지도록 개방부(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foot wrapper 10 includes an ankle tightening portion 11 covering the ankle and a foot tightening portion 12 wrapping around the foot so as to cover the ankle and the foot tight contact portion 12, And a heel insertion portion 13 for receiving the heel. The opening portion 14 is formed so that the heel insertion portion 13 extends in both directions.

상기 발감싸개(10)는,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하체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당겨줄 때 상기 탄력밴드(60)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부분에 가해지는 가압에 의한 통증을 방지하여 주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발감싸개(10)는 자체적인 쿠션기능을 갖는 스펀지나 실리콘, 고무와 같은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ot wrapper 10 prevents pain caused by pressing applied to the ankle part of the user by the elastic band 60 when the user pulls the ankle part toward the front or back side of the lower body. The foot wrapper 10 is preferably made of a sponge having its own cushioning function or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또한, 상기 개방부(14)가 발감싸개(1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목에 상기 발감싸개(10)를 착용할 때 발감싸개(10)를 사용자의 발목 후방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14)를 벌린 후 벌어진 개방부(14)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목이 들어가도록 하여 발감싸개(10)를 쉽고 용이하게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14 is provided on the foot wrap 10, when the user wears the foot wrap 10 on the ankle, the foot wrap 10 is positioned in a state behind the user's ankle The user's ankle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ed portion 14 after the opening portion 14 is opened in the opening portion 14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easily wear the opening portion 10 on the user's ankle.

상기 지지덮개(20)는, 상기 발목밀착부(11)에 밀착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1체결구멍(21)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지지부(22)와 상기 발바닥밀착부(12)에 밀착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2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지지부(24)와 상기 제1지지부(22)와 제2지지부(24)를 연결하고 발등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25)와 상기 제3지지부(25)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복수개의 결속구멍(26)이 구비되어 상기 발감싸개(10)를 덮어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upport lid 2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nkle tightening portion 11 and has first fastening holes 21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s 2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21 respectivel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tightening portion 12, A second support portion 2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2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 and a third support portion 25 And a plurality of binding holes 26 passing through the third support portion 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o cover the foot wrap 10.

상기 지지덮개(20)는, 상기 발감싸개(10)를 덮어 지지하여 줌과 동시에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하체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당겨줄 때 탄력밴드(60)에 의해 발생되는 흔들거림에 의한 사용자 발목부분이 흔들거리거나 뒤틀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지지덮개(2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가죽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lid 20 covers the foot cover 10 and zooms in. At the same time, when the user pulls the ankle part to the front side or the back side of the lower body, The support lid 20 is preferably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leather material so as to prevent the ankle part from being shaken or twisted.

상기 지지덮개(20)의 제3지지부(25)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복수개의 결속구멍(26)은 상기 고정끈(30)이 묶어지는 것으로 이 때 복수개의 결속구멍(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장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 plurality of binding holes 26 penetrating the third support portion 25 of the support lid 20 are bundled with the fixing straps 30 so that a plurality of binding holes 26 are shown And may be circular or square.

상기 고정끈(30)은, 상기 지지덮개(20)의 제3지지부(25)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상기 복수개의 결속구멍(26)을 연결하여 묶어주어 상기 지지덮개(20)를 고정하는 것으로, 이 때 고정끈(30)에 의해 지지덮개(20)의 제3지지부(25)가 사용자의 발등에 대해 묶어지기 때문에 상기 지지덮개(20)는 상기 지지덮개(20)에 의해 덮어진 발감싸개(1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The fixing strap 30 connects and binds the plurality of binding holes 26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25 of the supporting lid 20 to fix the supporting lid 20 Since the third support portion 25 of the support lid 20 is tied to the user's foot by the fixing strap 30 at this time, the support lid 20 is covered with the support lid 20 covered by the support lid 20 The dog 10 is fixed firmly.

물론, 고정끈(30)을 묶는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나, 대개 운동화 끈을 묶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묶는 것이 가장 좋다.Of course, the fixing straps 30 can be bound in various ways, but it is usually best to bundle the straps in the same manner as the straps.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끈(30)을 대신하여 벨크로테잎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덮개(20)를 사용자의 발목에 고정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상기 지지덮개(20)의 벌어진 제3지지부(25) 일측에는 암벨크로테잎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수벨크로테잎을 구비하여 암수벨크로테잎에 의해 상기 벌어진 제3지지부(25)를 당겨 고정함으로써 지지덮개(20)를 사용자의 발목에 고정할 수 있다.The supporting lid 20 may be fixed to the user's ankle using a Velcro tape in place of the fixing lanyard 30. The supporting lid 20 may be fixed to the user's ankle by a third supporting part 25 of the supporting lid 20,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male Velcro tape and the third supporting part 25 is pulled and fixed by a male and female Velcro tape to fix the supporting lid 20 to the user's ankle.

상기 지지덮개(20)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 고정되는 걸이체(40)는, 상기 지지덮개(20)의 상기 제1지지부(22)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구멍(21)에 대응되는 제1결합구멍(411)이 통공되어 상기 제1체결구멍(21)과 상기 제1결합구멍(411)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22)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중앙에 돌출된 제1걸이링(412)이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구(410) 및 제2걸이구(410a)와, 상기 지지덮개(20)의 제2지지부(24)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체결구멍(23)에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421)이 통공되어 상기 제2체결구멍(23)과 상기 제2결합구멍(421)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24)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중앙에 돌출된 제2걸이링(422)이 각각 구비되는 제3걸이구(420) 및 제4걸이구(420a)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body 4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lid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holes 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2 of the support lid 20 The first engaging hole 411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hole 411 so that the first engaging hole 21 and the first engaging hole 41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2, A first hooking hole 410 and a second hooking hole 410a each having a protruded first hooking ring 412 and a second hooking hole 410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4 of the supporting lining 20, The second engaging hole 421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hole 23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engaging hole 23 and the second engaging hole 421 are pin- And a third hooking hole 420 and a fourth hooking hole 420a, respectively, which are respectively fitted to the first hooking ring 422 and the second hooking ring 422 protruded from the center, respectively.

또한, 상기 밴드연결체(50)는, 상기 제1걸이구(410) 및 제2걸이구(410a)에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링(412)에 연결되어 끼워져 상기 지지덮개(20)의 제1지지부(22)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는 제1연결끈(511)과, 상기 제1연결끈(511)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512) 및 상기 제1연결끈(511)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513)와, 상기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를 걸어 고정하는 제1걸고리(514)로 구비되는 제1밴드연결구(510)와, 상기 제3걸이구(420) 및 제4걸이구(420a)에 각각 구비되는 제2걸이링(422)에 연결되어 끼워져 상기 지지덮개(20)의 제2지지부(24)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는 제2연결끈(521)과, 상기 제2연결끈(521)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3연결부(522) 및 상기 제2연결끈(521)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4연결부(523)와, 상기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를 걸어 고정하는 제2걸고리(524)로 구비되는 제2밴드연결구(5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nd connecting body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oking ring 412 provided in the first hooking hole 410 and the second hooking hole 410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hooking ring 412, A first connection cord 511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and a second connection cord 512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A first band connection port 510 provided at a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513 and a first hook 514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13 by fix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13, The second hook 422 is connected to the third hook 420 and the fourth hook 420a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ok 422 of the fourth hook 420a, A third connection part 522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and a fourth connection part 523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523, Is provided with a second band connector 520 is provided with a ring 524 may be made.

상기 탄력밴드(60)는, 상기 밴드연결체(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감싸개(10)의 내측에 사용자의 발목부분을 위치하여 감싸 상기 지지덮개(20)와 고정끈(30)에 의해 고정한 후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는 것에 의해 탄력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부분에 대한 재활운동 및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밴드연결체(50)에 연결된다.The elastic band 60 is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or 50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user's ankle part inside the foot wrapper 10 to wrap the support lid 20 and the fixing strap 30, The user takes an action of pulling the ankle portion to the back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or the user takes an action of pulling the ankle portion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or (50) so that muscle movement is performed.

상기 제1걸이구(410)와 제2걸이구(410a)는, 상기 제1지지부(22)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걸이구(410)와 제2걸이구(410a)에 각각 통공된 제1결합구멍(411)을 상기 제1지지부(22)의 양측에 각각 통공된 제1체결구멍(21)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후 리벳핀과 같은 핀을 이용하여 체결고정하면 된다.The first hooking part 410 and the second hooking part 410a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22 an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hooking hole 410 and the second hooking hole 410a, The first engaging hole 411 may b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engaging hole 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2 and then fastened and fixed using a pin such as a rivet pin.

또한, 상기 제3걸이구(420)와 제4걸이구(420a)는, 상기 제3지지부(24)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3걸이구(420)와 제4걸이구(420a)에 각각 통공된 제2결합구멍(421)을 상기 제3지지부(24)의 양측에 각각 통공된 제2체결구멍(23)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후 리벳핀과 같은 핀을 이용하여 체결고정하면 된다.The third hooking part 420 and the fourth hooking part 420a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supporting part 24 and are provided on the third hooking part 420 and the fourth hooking part 420a The second engagement holes 421 may b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s 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24 and then fastened and fixed using pins such as rivet pins.

상기 제1걸이구(410)와 제2걸이구(410a)에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걸이링(412)은,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를 끼우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를 내측으로 끼울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것이면 제1걸이링(41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hooking ring 412, which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hooking hole 410 and the second hooking hole 410a, respectively, has a semi-circular shape as shown by means for fitting the first band connecting hole 510 The first hook ring 412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as long as the first hook ring 412 has a space for fitting the first band coupling hole 510 inward.

또한, 상기 제3걸이구(420)와 제4걸이구(420a)에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걸이링(422)은, 상기 제2밴드연결구(520)를 끼우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밴드연결체(50)를 내측으로 끼울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것이면 제2걸이링(42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hooking ring 422 protruding from the third hooking hole 420 and the fourth hooking hole 420a may be formed as a means for fitting the second band connecting hole 520, The second hooking ring 422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as long as it has a space in which the band connecting body 50 can be inserted inward.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는, 상기 제1걸이구(410) 및 제2걸이구(410a)에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링(412)에 연결되어 끼워져 상기 지지덮개(20)의 제1지지부(22)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band connection port 510 is connected to a first hook ring 412 provided on the first hooking hole 410 and the second hooking hole 410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hooking ring 412 of the first cover ring 20, So as to be position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ortion 22. [

이에 따라,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의 제1연결끈(511)이 상기 제1걸이구(410) 및 제2걸이구(410a) 각각에 구비되는 제1걸이링(412)을 모두 통과하도록 제1밴드연결구(510)를 상기 제1걸이구(410) 및 제2걸이구(410a) 각각에 구비되는 제1걸이링(412)을 연결하여 끼운 다음, 상기 제1연결끈(511)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를 상기 제1걸고리(514)로 걸어 고정하면 된다.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of the first band connection port 510 passes through the first hook ring 412 provided in the first hooking hole 410 and the second hooking hole 410a, The first hooking ring 4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oking ring 410 and the first hooking ring 412 provided in the second hooking hole 410a so that the first hooking ring 410 and the second hooking ring 41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ng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513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514 may be fixed by the first hook 514.

또한, 상기 제2밴드연결구(520)는, 상기 제3걸이구(420) 및 제4걸이구(420a)에 각각 구비되는 제2걸이링(422)에 연결되어 끼워져 상기 지지덮개(20)의 제2지지부(24)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는 제2연결끈(521)과, 상기 제2연결끈(521)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3연결부(522) 및 상기 제2연결끈(521)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4연결부(523)와, 상기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를 걸어 고정하는 제2걸고리(524)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2밴드연결구(520)의 제2연결끈(521)이 상기 제3걸이구(420) 및 제4걸이구(420a) 각각에 구비되는 제2걸이링(422)을 모두 통과하도록 제2밴드연결구(520)를 상기 제3걸이구(420) 및 제4걸이구(420a) 각각에 구비되는 제2걸이링(422)을 연결하여 끼운 다음, 상기 제2연결끈(521)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를 상기 제2걸고리(524)로 걸어 고정하면 된다.The second band connection port 5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ok ring 422 provided in the third hook hole 420 and the fourth hook hole 420a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ok ring 420, A second connection cord 521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522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and a second connection cord 523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520 is provided with the fourth connecting part 523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second hooking part 524 for fixing the third connecting part 522 and the fourth connecting part 523, And the second hooking ring 522 of the fourth hooking hole 420a of the fourth hooking hole 420a passes through the second hooking ring 422 of the third hooking hole 420 and the fourth hooking ring 420a of the fourth hooking hole 420a, The second hooking ring 422 provided at each of the three hooks 420 and the fourth hooking mouth 420a is connected and inserted and then the third hooking ring 422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cord 521, The conn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523 are connected to the second hanging- When walking is fixed at 524.

이와 같이 제1걸이구(410)와 제2걸이구(410a) 및 제3걸이구(420)와 제4걸이구(420a)를 연결하는 제1밴드연결구(510)와 제2밴드연결구(520)에 상기 탄력밴드(60)를 연결하여 발목에 대한 재활운동 및 근력운동을 진행하면 된다.The first and second band couplings 510 and 520 connecting the first hooking hole 410 and the second hooking hole 410a and the third hooking hole 420 and the fourth hooking hole 420a, The elastic band 60 may be connected to the ankle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he muscle strength exercise.

이 때, 탄력밴드(60)는,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와 제2밴드연결구(520)를 동시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와 제2밴드연결구(520)를 각각 연결하여 재활운동 및 근력운동을 진행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elastic band 60 connects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 510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 520 at the same time, or connects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 510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 520 Rehabilitation exercise and strength exercise can be done.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의 제1연결끈(511)에는 상기 제1연결끈(511)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부(512) 및 제2연결부(513)와 상기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를 걸어 고정하는 제1걸고리(51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 및 제1걸고리(514)를 포설하는 제1방지커버(5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511 of the first band connection part 5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513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The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13 and the first hook 514 to prevent the first hook 514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13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irst protection cover 530 for installing the first protection cover 530.

또한, 상기 제2밴드연결구(520)의 제2연결끈(521)에는, 상기 제2연결끈(521)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3연결부(522) 및 제4연결부(523)와 상기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를 걸어 고정하는 제2걸고리(52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 및 제2걸고리(524)를 포설하는 제2방지커버(5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part 52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523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of the second band connection port 520,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523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23 to prevent the second hooking portion 524 for fixing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522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523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protection cover 540 for installing the hook 524 thereon.

이와 같이 제1방지커버(530)와 제2방지커버(540)가 상기 제1연결끈(511)과 제2연결끈(521)에 각각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를 구비하는 제1연결끈(511)의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 및 이들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를 걸어 연결하는 제1걸고리(514)는 물론, 상기 제2밴드연결구(520)를 구비하는 제2연결끈(521)의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 및 이들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를 연결하는 제2걸고리(524)가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Since the first protection cover 530 and the second protection cover 540 are further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and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The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13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hav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514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13, Of course, the third connection part 52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523 of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having the second band connection port 52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522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523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hooks 52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제1방지커버(530)와 제2방지커버(540)에 의해 제1걸고리(514)와 제2걸고리(524)가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제1걸고리(514)와 제2걸고리(524)에 의한 사용자의 발목부분에 대한 상해사고 즉, 제1걸고리(514)와 제2걸고리(524)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부분이 긁히거나 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hook 514 and the second hook 524 ar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irst prevention cover 530 and the second prevention cover 540,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al injury to the ankle part of the user by the hook 524, that is, an accident that the user's ankle part is scratched by the first hook 514 and the second hook 524.

본 고안의 상기 걸이체(40)는, 상기 지지덮개(20)의 상기 제1지지부(22)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구멍(21)에 대응되는 제3결합구멍(431)이 통공되어 상기 제1체결구멍(21)과 상기 제3결합구멍(431)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22)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내측에 각각 제1연결구멍(432)이 통공된 제1연결편(43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와, 상기 지지덮개(20)의 제2지지부(24)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체결구멍(23)에 대응되는 제4결합구멍(441)이 통공되어 상기 제2체결구멍(23)과 상기 제4결합구멍(441)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24)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내측에 각각 제2연결구멍(442)이 통공된 제2연결편(44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pac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engagement hole 4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ement hole 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2 of the support lid 20 is formed The first fastening hole 21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431 are pin-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respectively fit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2, A fifth hooking hole 430 and a sixth hooking hole 430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433 and a second fastening hole 430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4 of the supporting lid 20, The fourth engaging hole 441 corresponding to the hole 23 is passed through and the second engaging hole 23 and the fourth engaging hole 441 are pin-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seventh hook 440 and a seventh hook 440a each having a second connecting piece 443 fitted to the inside thereof and having a second connecting hole 442 formed therein at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이 때, 상기 밴드연결체(50)는, 상기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편(433)의 내측에 통공된 제1연결구멍(432)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측에 제1나사체결부(551)가 구비되는 제1고정구멍(552)이 내측에 각각 통공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편(553) 및 제2고정편(554)과 상기 제1고정편(553)과 제2고정편(554)을 연결하는 제3밴드연결구(550)와, At this time, the band connector 5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hole 432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433 provided in the fifth hook hole 430 and the sixth hook hole 430a, And a first fixing part 552 having a first screw fixing part 551 and a second fixing part 552. The first fixing part 553 and the second fixing part 553, 554, a third band connecting port 550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iece 553 and the second fixing piece 554,

상기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에 각각 구비되는 제2연결편(443)의 내측에 통공된 제2연결구멍(442)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측에 제2나사체결부(561)가 구비되는 제2고정구멍(562)이 내측에 각각 통공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3고정편(563) 및 제4고정편(564)과 상기 제3고정편(563)과 제4고정편(564)을 연결하는 제4밴드연결구(5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hooking holes 440 and 440a ar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442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443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seventh hooking hole 440 and the eighth hooking hole 440a, The third fixing piece 563 and the fourth fixing piece 564 and the third fixing piece 563, which ar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second fixing holes 562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561, And a fourth band connecting port 560 connecting the fourth fixing piece 564.

또한, 상기 제3밴드연결구(550)의 제1고정구멍(552)과 이 제1고정구멍(552)에 대응되는 상기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구멍(432)을 연결하고 상기 제3밴드연결구(550)의 제1고정구멍(552) 내측에 구비되는 제1나사체결부(551)에 나사체결되는 제1고정구(570)와, 상기 제4밴드연결구(560)의 제2고정구멍(562)과 이 제2고정구멍(562)에 대응되는 상기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에 각각 구비되는 제2연결구멍(442)을 연결하고 상기 제4밴드연결구(560)의 제2고정구멍(562) 내측에 구비되는 제2나사체결부(561)에 나사체결되는 제2고정구(58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ixing hole 552 of the third band connecting port 550 and the fifth and sixth hooking holes 430 and 43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552 A first fixture 570 that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hole 432 and is screwed to the first screw connection portion 551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ing hole 552 of the third band connection port 550, The second fixing hole 562 of the fourth band connecting port 560 and the second hook hole 440 and the eighth hook hole 440a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hole 562, And a second fixture 58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442 and screwed into the second screw connection part 561 provided inside the second fixing hole 562 of the fourth band connection port 560 Lt; / RTI >

상기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의 상기 제1연결편(433)은 상기 제3결합구멍(431)에 대해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것으로, 이는 밴드연결체(50)를 이루고 있는 상기 제3밴드연결구(550)를 상기 제1연결편(433)에 밀착하여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fth hooking hole 430 and the first connecting piece 433 of the sixth hooking hole 430a are bent so as to protrude from the third engaging hole 431. This forms the band connecting body 50 So that the third band connecting port 550 with the first connecting piece 433 can be tightly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433.

또한, 상기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의 상기 제2연결편(443) 역시 상기 제4결합구멍(441)에 대해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것으로, 이는 밴드연결체(50)를 이루고 있는 상기 제4밴드연결구(560)를 상기 제2연결편(443)에 밀착하여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ourth hooking hole 4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443 of the eighth hooking hole 440a are also bent so as to protrude from the fourth engaging hole 441, So that the fourth band connecting port 560, which is formed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443, can be tightly attach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ece 443.

상기 제1고정구(570)와 제2고정구(5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나사체결수단으로 상기 제1고정구(570)는 상기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의 제1연결편(433) 내측에 각각 통공된 제1연결구멍(432)과 상기 제3밴드연결구(550)의 제1고정구멍(552)을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제1연결구멍(432)과 제1고정구멍(552)을 상기 제1고정구(570)에 의해 나사체결하여 제3밴드연결구(550)의 제1고정편(553)과 제2고정편(554)을 상기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에 연결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3밴드연결구(550)를 고정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fixing member 57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580 are screw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nd the first fixing member 570 is fixed to the fifth hanger 430 and the sixth hanger 430a The first connection hole 432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iece 433 of the first band connection port 550 and the first fixing hole 552 of the third band connection port 550 ar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432 And the first fixing hole 552 are screwed together with the first fixing hole 570 so that the first fixing piece 553 and the second fixing piece 554 of the third band connecting hole 550 are screw- And the third band connector 550 is fixed by connecting to the sixth hook 430 and the sixth hook 430a.

또한, 상기 제2고정구(580)는, 상기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의 제2연결편(443) 내측에 각각 통공된 제2연결구멍(442)과 상기 제4밴드연결구(560)의 제2고정구멍(562)을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제2연결구멍(442)과 제2고정구멍(562)을 상기 제2고정구(580)에 의해 나사체결하여 제4밴드연결구(560)의 제3고정편(563)과 제4고정편(564)을 상기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에 연결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4밴드연결구(560)를 고정한다.The second fixture 580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hole 442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seventh hook 4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443 of the eighth hook 440a, The second fixing hole 562 is screw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 562 by the second fixing hole 560 while the second fixing hole 562 of the band connecting hole 560 is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third fixing piece 563 and the fourth fixing piece 564 of the band connecting port 560 to the seventh hooking hole 440 and the eighth hooking hole 440a, ).

이와 같이 제5걸이구(430)와 제6걸이구(430a) 및 제7걸이구(440)와 제8걸이구(440a)를 연결하는 제3밴드연결구(550)와 제4밴드연결구(560)에 상기 탄력밴드(60)를 연결하여 발목에 대한 재활운동 및 근력운동을 진행하면 된다.
The third band connecting port 550 and the fourth band connecting port 560 connecting the fifth hook 430, the sixth hook 430a, the seventh hook 440 and the eighth hook 440a, The elastic band 60 may be connected to the ankle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he muscle strength exercis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the lik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발감싸개 11 : 발목밀착부
12 : 발바닥밀착부 13 : 뒤꿈치끼움부
14 : 개방부 20 : 지지덮개
21 : 제1체결구멍 22 : 제1지지부
23 : 제2체결구멍 24 : 제2지지부
25 : 제3지지부 26 : 결속구멍
30 : 고정끈 40 : 걸이체
50 : 밴드연결체 60 : 탄력밴드
410 : 제1걸이구 410a : 제2걸이구
411 : 제1결합구멍 412 : 제1걸이링
420 : 제3걸이구 420a : 제4걸이구
421 : 제2결합구멍 422 : 제2걸이링
430 : 제5걸이구 430a : 제6걸이구
431 : 제3결합구멍 432 : 제1연결구멍
433 : 제1연결편 440 : 제7걸이구
440a : 제8걸이구 441 : 제4결합구멍
442 : 제2연결구멍 443 : 제2연결편
510 : 제1밴드연결구 511 : 제1연결끈
512 : 제1연결부 513 : 제2연결부
514 : 제1걸고리 520 : 제2밴드연결구
521 : 제2연결끈 522 : 제3연결부
523 : 제4연결부 524 : 제2걸고리
530 : 제1방지커버 540 : 제2방지커버
550 : 제3밴드연결구 551 : 제1나사체결부
552 : 제1고정구멍 553 : 제1고정편
554 : 제2고정편 560 : 제4밴드연결구
561 : 제2나사체결부 562 : 제2고정구멍
563 : 제3고정편 564 : 제4고정편
570 : 제1고정구 580 : 제2나사고정구
10: Wrapped feet 11: Ankle tightness
12: soles of the feet 13: heel portion
14: opening 20: support lid
21: first fastening hole 22: first supporting portion
23: second fastening hole 24: second supporting portion
25: third supporting portion 26: binding hole
30: fixing strap 40:
50: band connector 60: elastic band
410: first hook hole 410a: second hook hole
411: first engagement hole 412: first hook ring
420: Third hook 420a: Fourth hook
421: second engagement hole 422: second hook ring
430: The fifth hook 430a: The sixth hook
431: third engagement hole 432: first engagement hole
433: first connecting piece 440: seventh hook
440a: eighth hook 441: fourth engaging hole
442: second connection hole 443: second connection piece
510: first band connector 511: first connection string
512: first connection part 513: second connection part
514: first hooks 520: second band connector
521: second connecting cord 522: third connecting portion
523: fourth connection part 524: second hook
530: first prevention cover 540: second prevention cover
550: third band connecting port 551: first screw connecting part
552: first fixing hole 553: first fixing piece
554: second fixing piece 560: fourth band fitting
561: second screw fixing part 562: second fixing hole
563: third fixing piece 564: fourth fixing piece
570: first fixture 580: second screw fixture

Claims (4)

사용자의 발목과 발바닥을 감싸 덮어주어 사용자의 발목에 대한 통증을 방지하도록 발목을 감싸 덮어주는 발목밀착부(11)와 발바닥을 감싸 덮어주는 발바닥밀착부(12)와 상기 발목밀착부(11)와 발바닥밀착부(12) 사이에 위치되어 발뒤꿈치가 끼워지는 뒤꿈치끼움부(13)가 구비되고 양측방향으로 벌어지고 모아지도록 개방부(14)를 갖는 발감싸개(10)와;
상기 발감싸개(10)를 덮어 발감싸개(10)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시켜주도록 상기 발목밀착부(11)에 밀착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1체결구멍(21)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지지부(22)와 상기 발바닥밀착부(12)에 밀착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2체결구멍(2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지지부(24)와 상기 제1지지부(22)와 제2지지부(24)를 연결하고 발등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25)와 상기 제3지지부(25)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복수개의 결속구멍(26)을 갖는 지지덮개(20)와;
상기 지지덮개(20)의 제3지지부(25)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상기 복수개의 결속구멍(26)을 연결하여 묶어주어 상기 지지덮개(20)를 고정하여 상기 발감싸개(10)와 지지덮개(20)가 사용자의 발목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끈(30)과;
상기 지지덮개(20)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 고정되는 걸이체(40)와;
상기 걸이체(40)에 연결 고정되는 밴드연결체(50)와;
상기 밴드연결체(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감싸개(10)의 내측에 사용자의 발목부분을 위치하여 감싸 상기 지지덮개(20)와 고정끈(30)에 의해 고정한 후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발목부분을 사용자의 하체 전방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취하는 것에 의해 탄력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부분에 대한 재활운동 및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밴드연결체(50)에 연결되는 탄력밴드(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
An ankle tightening part 11 covering the ankle to cover the user's ankle and sole to prevent pain on the user's ankle, a sole tightening part 12 covering the sole, and the ankle tightening part 11, A foot-wrapping dog 10 having an heel-fitting portion 13 located between the foot-tightening portions 12 and having a heel to be fitted thereon and having an opening 14 so as to spread and gather in both directions;
A first fastening hole 2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tightening part 11 and is in contact with the ankle fastening part 10 so as to support the ankle 10 to support the ankle 10, A second support portion 24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3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tight contact portion 12 and correspond to each other, A supporting lid 20 having a third supporting portion 25 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 24 and supporting the foot and a plurality of binding holes 26 passing through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binding holes 26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25 of the support lid 20 are connected and bundled to fix the support lid 20 to support the foot support 10, A fixing strap (30) for allowing the lid (20) to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user ' s ankle;
(40) coupled to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lid (20)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 band connecting body (50) connected and fixed to the spacer (40);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or 50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ankle part of the user on the inner side of the foot wrapper 10 and fasten it by the support lid 20 and the fixing strap 30
The user takes an action of pulling the ankle portion to the back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or the user takes an action of pulling the ankle portion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ser's lower body so that the rehabilitation movement and the muscle movement are performed on the user's ankle portion by the elasticity And a resilient band (60) connected to the band connecting body (50) so that the elastic band (60)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and (6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체(40)는,
상기 지지덮개(20)의 상기 제1지지부(22)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구멍(21)에 대응되는 제1결합구멍(411)이 통공되어 상기 제1체결구멍(21)과 상기 제1결합구멍(411)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22)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중앙에 돌출된 제1걸이링(412)이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구(410) 및 제2걸이구(410a)와;
상기 지지덮개(20)의 제2지지부(24)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체결구멍(23)에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421)이 통공되어 상기 제2체결구멍(23)과 상기 제2결합구멍(421)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24)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중앙에 돌출된 제2걸이링(422)이 각각 구비되는 제3걸이구(420) 및 제4걸이구(420a)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연결체(50)는,
상기 제1걸이구(410) 및 제2걸이구(410a)에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링(412)에 연결되어 끼워져 상기 지지덮개(20)의 제1지지부(22)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는 제1연결끈(511)과, 상기 제1연결끈(511)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512) 및 상기 제1연결끈(511)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513)와, 상기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를 걸어 고정하는 제1걸고리(514)로 구비되는 제1밴드연결구(510)와;
상기 제3걸이구(420) 및 제4걸이구(420a)에 각각 구비되는 제2걸이링(422)에 연결되어 끼워져 상기 지지덮개(20)의 제2지지부(24)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는 제2연결끈(521)과, 상기 제2연결끈(521)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3연결부(522) 및 상기 제2연결끈(521)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4연결부(523)와, 상기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를 걸어 고정하는 제2걸고리(524)로 구비되는 제2밴드연결구(5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member (40)
A first engaging hole 4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hole 21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2 of the support lid 20 is formed to be penetrated through the first engaging hole 21, A first hooking hole 410 and a second hooking ring 412, which are respectively fit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2 by pin-coupling the first engagement portions 411, Two hooks 410a;
A second engaging hole 42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gaging hole 2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 of the support lid 20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econd engaging hole 23, A third hooking ring 420 and a fourth hooking ring 422 are respectively fitt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4 by fitting the coupling holes 421 and are respectively projected to the center, And a hooking hole 420a,
The band connector (50)
The first hooking ring 412 and the second hooking ring 412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oking ring 410 and the second hooking ring 410a, A first connection part 512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513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And a first hooking hole (514)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ng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513) to each other;
The second hooking ring 422 is connected to the third hooking ring 420 and the fourth hooking ring 420a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oking ring 422. The second hooking ring 422 is connected to the third hooking ring 420, A third connecting part 522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cord 521 and a fourth connecting part 523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cord 521, And a second band connecting port 520 having a second hook 524 for fastening the third connecting part 522 and the fourth connecting part 523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연결구(510)의 제1연결끈(511)에는,
상기 제1연결끈(511)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부(512) 및 제2연결부(513)와 상기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를 걸어 고정하는 제1걸고리(51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512)와 제2연결부(513) 및 제1걸고리(514)를 포설하는 제1방지커버(5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밴드연결구(520)의 제2연결끈(521)에는,
상기 제2연결끈(521)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3연결부(522) 및 제4연결부(523)와 상기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를 걸어 고정하는 제2걸고리(52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연결부(522)와 제4연결부(523) 및 제2걸고리(524)를 포설하는 제2방지커버(5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first connection string 511 of the first band connector 510,
A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513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ord 51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513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5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13, A first prevention cover 530 for install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12,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13 and the first hook 514 to prevent the hook 51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cord 521 of the second band connector 520,
A third connecting part 522 and a fourth connecting part 523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cord 521 and a third connecting part 522 and a fourth connecting part 523 which are engaged with the third connecting part 522 and the fourth connecting part 523, And a second protection cover 540 for installing the third connection part 522, the fourth connection part 523 and the second hook 524 to prevent the two hooks 52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Features rehabilitation and muscle athletic footw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체(40)는,
상기 지지덮개(20)의 상기 제1지지부(22)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구멍(21)에 대응되는 제3결합구멍(431)이 통공되어 상기 제1체결구멍(21)과 상기 제3결합구멍(431)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22)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내측에 각각 제1연결구멍(432)이 통공된 제1연결편(43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와;
상기 지지덮개(20)의 제2지지부(24)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체결구멍(23)에 대응되는 제4결합구멍(441)이 통공되어 상기 제2체결구멍(23)과 상기 제4결합구멍(441)이 핀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24)의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내측에 각각 제2연결구멍(442)이 통공된 제2연결편(44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연결체(50)는,
상기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편(433)의 내측에 통공된 제1연결구멍(432)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측에 제1나사체결부(551)가 구비되는 제1고정구멍(552)이 내측에 각각 통공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편(553) 및 제2고정편(554)과 상기 제1고정편(553)과 제2고정편(554)을 연결하는 제3밴드연결구(550)와;
상기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에 각각 구비되는 제2연결편(443)의 내측에 통공된 제2연결구멍(442)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측에 제2나사체결부(561)가 구비되는 제2고정구멍(562)이 내측에 각각 통공되고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3고정편(563) 및 제4고정편(564)과 상기 제3고정편(563)과 제4고정편(564)을 연결하는 제4밴드연결구(5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밴드연결구(550)의 제1고정구멍(552)과 이 제1고정구멍(552)에 대응되는 상기 제5걸이구(430) 및 제6걸이구(430a)에 각각 구비되는 제1연결구멍(432)을 연결하고 상기 제3밴드연결구(550)의 제1고정구멍(552) 내측에 구비되는 제1나사체결부(551)에 나사체결되는 제1고정구(570)와;
상기 제4밴드연결구(560)의 제2고정구멍(562)과 이 제2고정구멍(562)에 대응되는 상기 제7걸이구(440) 및 제8걸이구(440a)에 각각 구비되는 제2연결구멍(442)을 연결하고 상기 제4밴드연결구(560)의 제2고정구멍(562) 내측에 구비되는 제2나사체결부(561)에 나사체결되는 제2고정구(58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및 근육운동 보조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member (40)
A third engaging hole 4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hole 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2 of the supporting lid 20 is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hole 43, The first connection piece 433 is fit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2 by the pin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holes 431 and 431, A fifth hooking hole 430 and a sixth hooking hole 430a;
A fourth engaging hole 44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gaging hole 2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 of the support lid 20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engaging hole 23, The second connection pieces 443 are fitt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 by the pin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holes 44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s 443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A seventh hook 440 and an eighth hook 440a,
The band connector (50)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holes 430 and 430a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s 432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433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fth hooking hole 430 and the sixth hooking hole 430a, A first fixing part 552 and a second fixing part 554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5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53, A third band connector 550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piece 554;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holes 440 and 440a ar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s 442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iece 443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seventh and eighth hooking holes 440 and 440a, The third fixing piece 563 and the fourth fixing piece 564 and the third fixing piece 563, which ar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second fixing holes 562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561, And a fourth band connecting port 560 connecting the fourth fixing piece 564,
The first fixing hole 552 of the third band connecting port 550 and the first fixing hole 552 of the third band connecting hole 550 are formed in the fifth hooking hole 430 and the sixth hooking hole 430a, A first fixture 570 that connects the connection hole 432 and is screwed into the first screw connection portion 551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ing hole 552 of the third band connection port 550;
The second fixing hole 562 of the fourth band connecting port 560 and the second hook hole 440 and the eighth hook hole 440a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hole 562, And a second fixture 58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442 and screwed into the second screw connection part 561 provided inside the second fixing hole 562 of the fourth band connection port 560 And a rehabilitation and muscle exercise auxiliary shoe.
KR2020150001557U 2015-01-20 2015-03-12 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 KR20160002638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0434 2015-01-20
KR2020150000434 2015-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38U true KR20160002638U (en) 2016-07-28

Family

ID=566137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557U KR20160002638U (en) 2015-01-20 2015-03-12 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
KR2020150003450U KR20160002640U (en) 2015-01-20 2015-05-29 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450U KR20160002640U (en) 2015-01-20 2015-05-29 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02638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78Y1 (en) 2012-04-30 2012-07-04 신봉규 Ankle rehabilitation medicine apparatus
KR101267394B1 (en) 2011-03-11 2013-05-30 (주)헥사시스템즈 Portable rehabilitation machine device for knee joi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394B1 (en) 2011-03-11 2013-05-30 (주)헥사시스템즈 Portable rehabilitation machine device for knee joint
KR200461278Y1 (en) 2012-04-30 2012-07-04 신봉규 Ankle rehabilitation medicin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40U (en)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7235B2 (en) Stretching and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4869499A (en) Toe exercise device
US7608026B1 (en) Device for strengthening, training, and rehabilitating isolated muscle groups using elastic resistance elements
US5688213A (en) Exercise apparatus
US4478414A (en) Elastic ankle and knee exerciser
US20160256732A1 (en) Foot harness for resistance exercise
US10383380B2 (en) Yoga apparatus
US11571604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20180055710A1 (en) Flexible Ankle-Based Inversion Device
US10413775B2 (en) Foot harness for resistance exercise
US11660493B2 (en) Foot harness for lower body cable machine exercises
US4602782A (en) Device for doing situps
KR100975991B1 (en) Walking aid footwear
KR20120137225A (en) Functionality shoes suppoting the balance of the body
US20090239723A1 (en) Foot Harness to Aid Athletic Stretching Exercises
KR20160002638U (en) supporting sho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uscular motion
US20090100706A1 (en) Heel shoe for squatting exercises
KR200454409Y1 (en) Ankle protector
JP2003126295A (en) Expander for lower body
US20090100720A1 (en) Lower body exercising device
KR100971949B1 (en) The sport outfits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training and situps
JP3157654U (en) Training footwear and training equipment
WO2013109830A1 (en) Port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437335B1 (en) Apparatus for exercise
JP3981320B2 (en) Suppor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