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03U - 자세교정 ''v'' 무릎의자 - Google Patents

자세교정 ''v'' 무릎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03U
KR20160002603U KR2020150000391U KR20150000391U KR20160002603U KR 20160002603 U KR20160002603 U KR 20160002603U KR 2020150000391 U KR2020150000391 U KR 2020150000391U KR 20150000391 U KR20150000391 U KR 20150000391U KR 20160002603 U KR20160002603 U KR 201600026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vis
chair
center
hip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금자
Original Assignee
정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금자 filed Critical 정금자
Priority to KR202015000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603U/ko
Publication of KR20160002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6Seats made of wooden, plastics, or metal sheet material; Panel seat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안은 좌식생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릎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에 앉는 사람의 골반과 고관절이 의자의 경사에 따라 지지를 받아 바른 형태를 취하여 그와 연결된 척주를 바르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의자는 드문 편이다. 많은 의자들은 평평하거나 엉덩이가 들어가 폭 들어가는 "U" 형태와 비슷한 유선형의 상판을 채택하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는 골반과 고관절을 밖으로 외전 되는 것과, 골반과 고관절에 실리는 무게중심이 몸 밖에 있게 되는 것을 방치하거나 심화시킴으로써 척주의 바른 자세를 취하는데 방해적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 자세교정 무릎의자를 만드는데, 상세하게는 무릎의자의 상판(A)을 "V"형태를 사용하고 "V"형태의 상판을 정면 방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기울기(D)를 주어 사용자의 체격과 엉덩이 크기에 상관없이 골반을 동일한 각도로 받쳐주고, 골반과 고관절에 실리는 무게중심을 몸 안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그 효과는 골반과 고관절을 안으로 내전 시킴과 동시에 골반과 고관절에 실리는 무게중심을 가운데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른 골반과 고관절의 형태를 만들고, 이와 연결된 척주를 바로 세워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할 때에 고관절 및 골반의 교정을 포함한 자세교정이 가능하고, 바른 자세를 취함으로써 혈액순환 및 내분비계 순환이 더 원활해 질 수 있으며, 척추협착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교정 'V' 무릎의자{CORRECTION OF POSTURE V KNEE CHAIR}
본 안은 좌식생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릎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릎의자의 상판을 "V"형태를 사용하고 "V"형태의 상판을 정면 방향이 지면을 항하도록 기울기를 주어 사용자의 체격과 엉덩이 크기에 상관없이 골반을 동일한 각도로 받쳐주고, 골반과 고관절에 실리는 무게중심을 몸 안으로 이동시켜, 골반과 고관절을 안으로 내전 시킴으로 골반과 연결된 척주를 바로 세워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무릎의자에 관한 것이다.
자세 불균형에 따른 질환 및 통증이 확산 되고 있는 상황에서 바른 자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것은 척주를 바로 펴는 것일 것이다. 하지만 척주를 바로 펴기 위해서는 척주를 기저(基底)에서 지탱하고 있는 골반과 고관절의 형태 및 자세가 중요하다.
골반과 연결되어있는 미추와 요추는 골반의 형태에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골반과 고관절이 바깥으로 외전 되고 그에 실리는 무게 중심이 몸 뒤쪽으로 이동한 상태일 때, 미추와 요추는 본연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척주는 그에 맞추어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척주를 올바로 펴기 위해서 필요한 골반과 고관절 형태는 안쪽으로 모아져 그 중심이 몸 가운데 있어 장기를 감싸는 입체(둥근 엉덩이 형태)에 가까운 것이어야지, 바깥으로 벌어져 그 중심이 몸 뒤쪽으로 넘어가 평면에 가까운 것(넓적하고 평평한 엉덩이 형태)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가 무릎의자에 앉을 때 평평하거나 완만한 "U"곡선형태의 의자 상판에 앉으면, 몸의 무게 중심이 몸 뒤쪽으로 이동하고, 고관절과 골반은 밖으로 외전된다.
몸의 무게 중심이 뒤로 이동하고 고관절과 골반이 밖으로 외전 되어 있으면, 척주를 올바로 펼 수 없으며,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없다.
하지만 골반과 고관절이 안쪽으로 내전 된 상태에서 골반과 고관절에 실리는 몸의 무게 중심이 몸 가운데로 이동했을 때 척주를 올바로 펴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척주를 바르게 하는데에 방해가 되는 좌식자세 및 평평한 상판을 가진 "-" 형태 와 "U"형태의 의자는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골반과 고관절의 외전을 방치하거나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를 탈피하여 골반과 고관절에 실리는 무게중심을 가운데로 두고 골반과 고관절의 내전을 돕는 무릎의자를 제작하여 사람들이 바른 자세로 앉아 척주를 바르게 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릎 의자 상판을 좌부가 폭 방향으로 양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하여 "V"형태로 하고
동시에 무릎의자 상판의 정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앞을 향해 약간의 기울기를 준다.
상기의 두 가지를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만이 척주를 올바로 펼 수 있고, 자세교정을 할 수 있다.
"V"상판의 도입은 "V"상판의 양 날개 부분이 골반과 허벅지의 일부를 받쳐주어 밖으로 넘어가려고 하는 골반과 고관절을 안으로 내전 시켜주게 된다.
또한 무릎의자 "V"상판의 정면을 향한 약간의 기울기는 골반과 고관절에 실리는 몸의 무게 중심을 몸 가운데로 이동시켜 주어 고관절과 골반을 안으로 내전 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며 나아가 척주를 올바로 펼 수 있는 자세를 만든다.
따라서 상기의 두 가지 작용이 동시에 작용할 때, 골반과 고관절을 안으로 내전시킴과 동시에 골반과 고관절에 실리는 무게중심을 가운데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른 골반과 고관절의 형태를 만들고, 이와 연결된 척주를 바로 세워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할 때에 고관절 및 골반의 교정을 포함한 자세교정이 가능하고, 바른 자세를 취함으로써 혈액순환 및 내분비계 순환이 더 원활해 질 수 있으며, 척추협착을 예방할 수 있다.
도1은 사시도이다.
도2는 정면도이다.
도3은 좌측면도이다.
도4는 우측면도이다.
도5는 배면도이다.
도6은 저면도이다.
도7은 다리 위치 변경에 따른 응용도(저면도)이다.
도8은 다리 위치 변경에 따른 응용도(사시도)이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만든 대표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하지만 각 부위의 각도나 길이, 너비, 높이, 폭 등의 치수는 그 이용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먼저 의자의 상판을 "V"자 형태로 만든다. "V"형태의 무릎의자 상판을 만들 때에는 좌부가 폭 방향으로 양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하는 데, 대표도 A같은 형태를 띤다.
"V"형태 무릎의자 상판은 골반과 고관절을 외전 되는 것을 지탱하기 위하여, 인간의 골반 폭 보다는 넓어야 하며, 너비 또한 엉덩이보다 넓어야한다.
"V"형태 무릎의자 상판의 양 날개는 서로 대칭을 이룬다.
"V"형태 무릎의자 상판의 양 날개 사이의 각 C는 이용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최소한 180°보다 좁은 각이어야 한다. 각이 너무 좁으면 이용하는 사람이 불편할 수 있으니 적당한 각도를 유지한다.
무릎의자 상판을 지지하는 양다리 B는 넓이와 높이는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지만, B의 높이가 너무 짧으면 사용하는 사람의 하체 혈액순환이 원할 하지 않을 수 있고, B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사용하는 사람의 무릎에 하중이 많이 생겨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는 보통 사람의 종아리 두께를 기준으로 해서 정한다.
무릎의자 상판의 기울기 D는 몸 바깥쪽으로 이동한 고관절과 골반에 걸리는 체중의 무게중심을 가운데로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데, 그 기울기는 사용 용도와 목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최소한 0°보다는 크고 45°보다는 작아야 한다.
무릎의자 상판의 기울기 D를 만들기 위하여 상판A와 다리 B가 접합하는 부분에 각을 줘서 D를 만들 수도 있고, 다리와 지면이 만나는 E에 각을 주어 D를 만들 수도 있다.
도면 7과 같이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 B 사이의 거리 F는 사용자의 종아리와 발을 B 사이에 둘 것이냐, B 바깥에 둘 것이냐에 따라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때에 B의 회전각인 G 또한 이동할 수 있다.
대표도의 A - 무릎의자의 상판
대표도의 B - 무릎의자의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
대표도의 C - "V"형태 무릎의자 상판을 구성하는 각도
대표도의 D - "V"형태 무릎의자 상판의 기울기
대표도의 E -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 B와 땅이 만나는 지면
대표도의 F -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 B 사이의 거리
대표도의 G -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 B의 회전된 각도

Claims (3)

  1. 앉았을 때에 골반과 고관절이 밖으로 외전 되지 않고, 안으로 내전 될 수 있도록 하는 좌부가 폭 방향으로 양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C) 만들어진 무릎의자의 "V"형태 상판(A)과
    골반과 고관절에 실린 무게중심이 몸 뒤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몸 가운데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지닌 배면보다 정면이 낮아 지면을 향하는 형태의 기울기(D)가
    복합적으로 작용을 하여 척주를 올바로 펼 수 있는 자세교정용 무릎의자에 관한 것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상판(A)를 지탱하는 다리(B)의 위치(F,G)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무릎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V"형태 상판(A)에 편의와 용도에 따라 합성수지와 피혁재의 쿠션을 추가해 제작될 수 있는 자세교정용 무릎의자
KR2020150000391U 2015-01-16 2015-01-16 자세교정 ''v'' 무릎의자 KR201600026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391U KR20160002603U (ko) 2015-01-16 2015-01-16 자세교정 ''v'' 무릎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391U KR20160002603U (ko) 2015-01-16 2015-01-16 자세교정 ''v'' 무릎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03U true KR20160002603U (ko) 2016-07-26

Family

ID=5661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391U KR20160002603U (ko) 2015-01-16 2015-01-16 자세교정 ''v'' 무릎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6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991A (ko) 2018-06-04 2019-12-12 동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및 골반 교정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991A (ko) 2018-06-04 2019-12-12 동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및 골반 교정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9252B2 (ja) 姿勢装置
KR101155211B1 (ko) 요추지지방석
JP6954985B2 (ja) 調節可能な人間工学に基づく椅子
FI81247C (fi) Stol.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JP2007507281A (ja) 高さ調節可能なワークチェア
JP6028108B2 (ja) 椅子
JP2009219506A (ja) 椅子用姿勢改善補助椅子
KR101607921B1 (ko) 자세유지 보조 용구
WO2019064321A1 (en) PERSONALIZED PELVIC SUPPORT FOR CORRECTING AN ASSISTED POSITION
JP3733369B1 (ja) 椅子
US9687078B2 (en) Portable therapeutic seat device
JP2005052317A (ja) 椅子
KR20160002603U (ko) 자세교정 ''v'' 무릎의자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CN210077162U (zh) 一种半站立式坐垫
KR20180007942A (ko) 관절형 등받이 의자
KR20160003876U (ko) V방석
JP7440901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トレーニング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椅子
KR20190081416A (ko) 자세 유도용 의자
KR101438755B1 (ko) 척추 직립 장치
KR102487012B1 (ko) 다리의 벌어짐을 고정하는 자세교정용 보조 의자
RU170350U1 (ru) Опора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ая
KR200470425Y1 (ko) 골반균형 및 둔부고정용 방석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