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90U - 투광등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투광등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90U
KR20160002590U KR2020150000366U KR20150000366U KR20160002590U KR 20160002590 U KR20160002590 U KR 20160002590U KR 2020150000366 U KR2020150000366 U KR 2020150000366U KR 20150000366 U KR20150000366 U KR 20150000366U KR 20160002590 U KR20160002590 U KR 201600025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mounting
coupled
fix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443Y1 (ko
Inventor
고한종
Original Assignee
신영측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측기(주) filed Critical 신영측기(주)
Priority to KR2020150000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4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F21L1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carried on wheeled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광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삼각대 등의 서포트나 철골 구조물 등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투광등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광등과, 상기 투광등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트를 제1 및 제2 마운트로 구비하여 설치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업 환경 및 장소에 따라 투광등을 다양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투광등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광등 고정장치{FLOODLIGHT FIXING DEVICE}
본 고안은 투광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삼각대 등의 서포트나 철골 구조물 등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투광등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광등과, 상기 투광등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트를 제1 및 제2 마운트로 구비하여 설치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업 환경 및 장소에 따라 투광등을 다양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투광등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장 등과 같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넓은 장소에서 주위를 밝혀줄 수 있도록 투광등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투광등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25500호 『이동식 투광등 겸용 상비등』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축전지가 내장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부착된 받침대와 일체로 결합된 손잡이를 형성하고 있는 손잡이 지지대와, 상기 손잡이 지지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한쌍의 바퀴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장착되어 주변의 위협을 알려주기 위한 점멸등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높낮이 조절 및 상하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대에 장착된 할로rps 투광등과, 상기 지지대에 장착된 자력식 부착판에 장착되는 상비등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입력단자 및 도 다른 일측면에 장착된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이동식 투광등 겸용 상비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한 투광등 겸용 상비등에 관한 것으로서, 공사 현장의 지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는 이동이 불편하고 수평을 유지할 수 없으며, 바퀴에 의해 투광등이 흔들리거나 움직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31172호 『바이스가 결합된 투광등』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투광등의 동체에 나사로 부착된 U형 지지구에 협지부와 스트류의 압착부로 구성된 공지한 바이스를 협지부 측에 형성된 부착판과 체결나사로 부착하여 투광등과 바이스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운반 취급이 용이하며 공사장에 가설된 H빔에 바이스에 의하여 투광등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조명할 수 있는 바이스가 결합된 투광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공사장의 H빔에 부착하여 투광등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투광등이 설치 위치가 제약적이라 작업 장소에 따라 효율적으로 빛을 발산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78523호 『엘이디 투광등의 거치대』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설치홀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판이 상호 마주보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판에 형성된 설치홀을 통해서는 거치부재가 유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되, 상기 거치부재는 봉형상의 부재가 절곡 형성되어 "∧" 형상을 갖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양단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판에 형성되는 설치홀은 그 폭이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분은 상기 거치부재의 직경과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재의 양단부 측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을 통해서는 상기 설치홀에 장착된 거치부재의 이탈 방지를 위한 너트가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홀을 갖는 한 쌍의 수직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 및 하면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엘이디 투광등의 거치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엘이디 투광등을 설치용 브라켓트에 거치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용 브라켓트가 없는 경우에는 고정이 용이하지 못하고, 투광등의 각도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42151호 『투광등 거치대』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선덕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선커버와, 하단의 외주면에 단턱지게 확장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에서 수직으로 관통되되 동일한 중심점에 대한 원호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 개의 결합장홀과, 상면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소폭 이격되어 대칭되는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직 관통하는 장홀과, 상기 장홀의 하단으로 상기 장홀이 단턱지게 일정길이 확장되는 볼트가이드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와, 하단에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 중심에서 원기둥의 형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절곡 연장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과, 상기 바닥판의 중심에 대한 동일한 원호형으로 대칭되게 길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고정홀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광등 거치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투광등을 교체하여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몸체가 놓이기 위하여 작업장 내에 평탄한 장소가 필요하여, 작업장 환경에 따라 설치를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투광등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광등과, 상기 투광등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투광등에 탈착 가능한 마운트 키트를 구비하되, 상기 마운트 키트를 서포트에 장착 가능한 제1 마운트와, 자성체로 이루어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그넷이 구비된 제2 마운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손쉽게 투광등과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설치 장소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투광등 고정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마운트를 서포트에 장착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투광등과 체결되는 제2 본체를 구비하여 서포트로부터 상기 투광등이 360도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투광등 고정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 마운트에 마그넷을 구비하여, 자성체로 이루어진 설치벽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투광등 고정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운트 키트에는 고리형 제3 마운트를 더 구비하여 다양한 설치 장소에 따라 각각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는 투광등 고정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투광등;
상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운트 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마운트 키트는
서포트 상단에 장착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는 제1 마운트와,
마그넷이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마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본체에는 회전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본체에는 복수개의 볼트가 제2 본체 내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볼트 단부가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어 제2 본체가 제1 본체로부터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는 장착부가 구비된 투광등에 제1 마운트와 제2 마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운트 키트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서 서포트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제1 마운트를 결합하고 철골, 쇠 등의 공사현장에 다양하게 구비되는 쇠붙이에 제2 마운트에 구비되는 마그넷을 통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투광등이 필요한 작업 환경에 맞게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고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운트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에 360도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본체로 이루어져 투광등을 고정하는 경우, 투광등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위치에 투광등의 빛을 발광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의 제1 마운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의 제1 마운트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의 제2 마운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의 변형 실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A)는 투광등(10)과, 상기 투광등(10)에 구비되는 마운트 키트(K)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마운트 키트(K)는 제1 마운트(20), 제2 마운트(30), 제3 마운트(40)를 설치 장소에 따라 상기 마운트들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마운트로 이루어진 세트(SET)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시 상기 투광등(10)은 종래에 사용되는 공지된 것으로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5)가 구비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되는 장착부(13)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착부(13)는 상기 하우징(11)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장착부(13)에는 복수개의 장착공(131)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마운트 키트(K)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A)에는 마운트 키트(K)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마운트 키트(K)는 투광등(10)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서포트(A1), 벽면 등에 맞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마운트(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3 마운트(40)는 상기 장착부(13)에 교체가능하게 결합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A)에서 제1 마운트(20)가 결합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마운트(20)는 서포트(A1) 상단에 장착되는 제1 본체(21)와, 상기 제1 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13)에 결합되는 제2 본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서포트(A1)는 공사장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삼각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삼각대가 아닌 폴(Pole)등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설명의 간편화를 위하여 삼각대를 기준으로 도면을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서포트(A1)의 상부에는 체결부(A1-1)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A1-1)에는 체결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나사에 제1 마운트(20)가 결합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마운트(20)는 서포트(A1)의 체결부(A1-1)에 결합되는 제1 본체(21)와, 상기 제1 본체(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장착부(13)와 체결되는 제2 본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본체(21)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211)가 중앙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11) 중앙을 관통하는 제1 체결너트(213)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제1 체결너트(213)는 상기 서포트(A1)의 체결부(A1-1)에 구비되는 체결나사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서포트(A1)에 상기 제1 본체(21)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본체(21)의 상부에는 제2 본체(23)가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제2 본체(23)는 내측의 상기 돌출부(211)가 안착되는 안착부(231)가 형성되어 있어, 제2 본체(23)가 돌출부(211)를 감싸며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11)에는 돌출단턱(211B)이 구비되고, 이 돌출단턱(211B)에 대응되는 내측단턱(231A)이 상기 안착부(231) 내부에 형성되어 제2 본체(23)가 제1 본체(21)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본체(23)에 결합되는 투광등(10)을 자유롭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본체(23)는 제1 본체(21)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본체(21)의 돌출부(211) 외주면에는 회전홈(2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23)에는 복수개의 볼트공(235)이 구비되며, 가각의 볼트공(235)에 볼트(235A)가 결합되어 있다. 이 때 볼트(235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본체(23)의 안착부(231)를 침범하도록 볼트공(235)에 결합되는데, 침범된 볼트(235A)의 단부가 상기 회전홈(211A)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볼트(235A)가 회전홈(211A)을 따라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제2 본체(23)가 제1 본체(21) 상부에서 360도 회전하게 된다.이 때 상기 제2 본체(23)의 상부에는 상기 장착부(13)에 구비되는 장착공(131)에 결합되기 위한 제1 장착볼트(2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장착볼트(233)를 장착공(131)에 삽입시킨 후 제1 장착핸들(233A)을 제1 장착볼트(233)에 결합시켜, 상기 장착부(13)를 제2 본체(23)의 상부에 견고하고,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장착핸들(233A)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4 및 도 5는 상기 마운트 키트(K)에 포함되는 제2 마운트(30)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마운트(30)는 마그넷(35)이 구비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 절곡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13)에 결합되는 결합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그 측면 형상이 'ㄴ'자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 마운트(3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마운트(30)는 투광등(10)이 설치되는 공사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쇠붙이 등에 손쉽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마그넷(35)이 구비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서 절곡 형성되어 투광등(10)의 장착부(13)가 결합되는 결합부(33)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31)의 후면(쇠붙이 등의 설치벽(A3))에는 복수개의 마그넷(3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넷(35)은 일반적으로 자성이 강한 네오디늄 자석 또는 기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마운트(30)와 설치벽(A3)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그넷(35)의 개수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31)에는 보조고정공(311)이 더 구비되어 마그넷(35)의 자성으로 부착되지 않는 설치벽(A3)에 못 등의 걸이수단을 걸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31)에 후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부(31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부(313)는 고무 등의 재질로 완충기능과 설치벽(A3)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견고하게 설치벽(A3)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1)의 일측에는 눈금부(315)가 더 구비되어 공사 현장에서 길이를 측정하는 자의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31)에 절곡되어 연결되는 연장부에는 상기 투광등(10)의 장착부(13)가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33)에는 제1 위치이동공(331)이 구비되고, 제1 위치이동공(331) 상부에는 제2 위치이동공(3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이동공(331)에는 제2 장착볼트(335) 및 상기 제2 장착볼트(335)를 회전할 수 있는 제3 장착핸들(331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장착핸들(331A)이 상기 제1 위치이동공(331)을 따라 결합부(3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장착볼트(335)의 단부는 상기 제2 위치이동공(333)을 관통하여 결합부(33) 상단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33) 상단으로 돌출되는 제2 장착볼트(335)에 장착부(13)를 결합하고, 제2 장착핸들(335A)로 고정함으로서 투광등(10)을 상기 제2 마운트(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마운트(30)에 고정된 투광등(10)을 작업 환경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거나 거리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느 상기 제3 장착핸들(331A)을 풀어 제2 장착볼트(335)와 장착부(13)와의 결합력을 약화시킨 후 상기 제3 장착핸들(331A)을 제1 위치이동공(331)을 따라 전후 이동시키면, 상기 제2 장착볼트(335)가 제2 위치이동공(333)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 장착볼트(335)에 결합되어 있는 투광등(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이 완료된 경우 다시 상기 제3 장착핸들(331A)을 조여 투광등(10)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킴으로서 손쉽게 이동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운트(30)의 고정부(31) 하부에는 제1 결합공(337)과 제2 결합공(339)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의 위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제2 마운트(30)가 설치벽(A3)에 마그넷(35)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마운트(20)와 같이 서포트(A1)에 직접 결합되는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결합공(337)은 서포트(A1)의 체결볼트(235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나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투광등(10)을 서포트(A1)에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서포트(A1)에 장착된 제1 마운트(20)를 제거하고 제2 마운트(30)를 결합해야한다는 불편함과, 360도 회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마운트(30)의 고정부(31)에는 제2 결합공(339)을 더 구비하게 되고, 상기 제2 결합공(339)은 제1 마운트(20)에 구비되는 제1 장착볼트(233)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마운트(30)의 제2 결합공(339)을 서포트(A1)에 장착된 제1 마운트(20)의 제1 장착볼트(233)에 결합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설치벽(A3) 또는 서포트(A1)에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투광등(10)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7은 상기 마운트 키트(K)에 포함되는 고리형 제3 마운트(40)에 관한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 마운트(40)는 고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고리형 프레임(41)과, 고리형 프레임(41) 일측에 구비되는 인입부(4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인입부(43)는 고리형 프레임(41) 내측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탄성힌지부(4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탄성힌지부(431)는 인입부(43)가 고리형 프레임(41) 외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인입부(43)가 고리형 프레임(4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인입부(43)의 단부(탄성힌지부(431)의 반대쪽)에는 걸림홈(435)이 있고, 고리형 프레임(41)에는 상기 걸림홈(435)에 대응되는 걸림부(4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마운트(40)를 공사장에 있는 설치봉(A2) 등과 장착부(13)를 함께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서 투광등(10)을 설치 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투광등 고정장치(A)는 서포트(A1), 설치벽(A3), 설치봉(A2) 등에 다양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마운트(40)를 각각 손쉽게 장착부(13)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서 투광등(10) 설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투광등(10)을 설치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투광등 고정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투광등 고정장치 A1 : 서포트
A1-1 : 체결부 A2 : 설치봉
A3 : 설치벽
10 : 투광등 11 : 하우징
13 : 장착부 131 : 장착공
15 : 발광부 K : 마운트 키트
20 : 제1 마운트 21 : 제1 본체
211 : 돌출부 211A : 회전홈
211B : 돌출단턱 213 : 제1 체결너트
23 : 제2 본체 231 : 안착부
231A : 내측단턱 233 : 제1 장착볼트
233A : 제1 장착핸들 235 : 볼트공
235A : 볼트 30 : 제2 마운트
31 : 고정부 311 : 보조고정공
313 : 미끄럼방지부 315 : 눈금부
33 : 결합부 331 : 제1 위치이동공
331A : 제3 장착핸들 333 : 제2 위치이동공
335 : 제2 장착볼트 335A : 제2 장착핸들
337 : 제1 결합공 339 : 제2 결합공
35 : 마그넷 40 : 제3 마운트
41 : 고리형 프레임 43 : 인입부
431 : 탄성힌지부 433 : 걸림부
435 : 걸림홈

Claims (4)

  1. 장착부가 구비되는 투광등;
    상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운트 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마운트 키트는
    서포트 상단에 장착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는 제1 마운트와,
    설치벽에 고정되는 마그넷이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마운트를 포함하는 세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에는 회전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본체에는 복수개의 볼트가 제2 본체 내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볼트 단부가 상기 회전홈에 삽입되어 제2 본체가 제1 본체로부터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트의 결합부에는
    상기 서포트 상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공 또는 상기 제1 마운트 상단에 결합되는 제2 결합공 또는 이들 모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고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키트는
    상기 장착부와 체결되어, 투광등을 고정할 수 있는 고리형 제3 마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고정장치.
KR2020150000366U 2015-01-15 2015-01-15 투광등 고정장치 KR200481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366U KR200481443Y1 (ko) 2015-01-15 2015-01-15 투광등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366U KR200481443Y1 (ko) 2015-01-15 2015-01-15 투광등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90U true KR20160002590U (ko) 2016-07-26
KR200481443Y1 KR200481443Y1 (ko) 2016-10-05

Family

ID=5661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366U KR200481443Y1 (ko) 2015-01-15 2015-01-15 투광등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4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752A1 (en) * 2019-11-22 2021-05-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Work light
US11035556B2 (en) 2018-04-27 2021-06-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lighting device
US11589434B2 (en) 2018-11-30 2023-02-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lighting device
US11672068B2 (en) 2020-12-22 2023-06-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ighting device with state of charge based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859B1 (ko) * 2020-04-29 2021-02-03 주식회사 동서기술 교량 재하 시험용 차량위치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690Y1 (ko) * 1991-06-12 1994-03-23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영상표시 기기의 수평회전 조절장치
KR100944521B1 (ko) * 2007-10-29 2010-03-03 주식회사 웰라이트 가로등용 조명장치
CN103807662A (zh) * 2012-11-12 2014-05-21 张灿 一种可移动照明灯
KR101391584B1 (ko) * 2013-03-19 2014-05-27 주식회사 남영전구 Led 투광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690Y1 (ko) * 1991-06-12 1994-03-23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영상표시 기기의 수평회전 조절장치
KR100944521B1 (ko) * 2007-10-29 2010-03-03 주식회사 웰라이트 가로등용 조명장치
CN103807662A (zh) * 2012-11-12 2014-05-21 张灿 一种可移动照明灯
KR101391584B1 (ko) * 2013-03-19 2014-05-27 주식회사 남영전구 Led 투광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5556B2 (en) 2018-04-27 2021-06-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lighting device
US11589434B2 (en) 2018-11-30 2023-02-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lighting device
US11871487B2 (en) 2018-11-30 2024-01-0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lighting device
WO2021101752A1 (en) * 2019-11-22 2021-05-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Work light
US11448372B2 (en) 2019-11-22 2022-09-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Work light
US11879603B2 (en) 2019-11-22 2024-01-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Work light
US11672068B2 (en) 2020-12-22 2023-06-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ighting device with state of charge based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43Y1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443Y1 (ko) 투광등 고정장치
US10082281B1 (en) Omnidirectional lighting stand
EP3565240B1 (en) Display device and stand set
US20140197291A1 (en) Light Fixture Support Assembly
CN204477637U (zh) 啮合式角度固定结构
KR20150069241A (ko) 엘이디 조명등용 가변설치형 브라켓
CN108204574B (zh) 可调式固定结构以及照明装置
CN102486263B (zh) 户外照明灯具
CN205026612U (zh) 一种灯具电器盒调节机构
US9505124B2 (en) Bicycle service kits
EP3309445A1 (en) Solar-powered streetlamp structure
CN104913278A (zh) 手电筒的固定装置
JP2008113478A (ja) 可搬式柱上機器
US20130320165A1 (en) Recess Can Adapter Bracket
CN109546945B (zh) 一种彩钢瓦上用太阳能支撑架
KR101396891B1 (ko) 전동 공구 지지대
CN205155863U (zh) 一种面板卡扣机构
CN214948509U (zh) 一种大角度转动的旋转灯
CN204567887U (zh) 多自由度单车附件固定装置
CN103123096B (zh) 灯具快捷安装结构
CN211210255U (zh) 一种物联网网关设备安装柜
CN209812253U (zh) 一种计算机放置架
CN220647758U (zh) 一种显示屏双安装结构
CN214547600U (zh) 一种带有手电的安全帽
CN214034760U (zh) 一种爬升模板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