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23A - 관심 정보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관심 정보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23A
KR20160002523A KR1020140081068A KR20140081068A KR20160002523A KR 20160002523 A KR20160002523 A KR 20160002523A KR 1020140081068 A KR1020140081068 A KR 1020140081068A KR 20140081068 A KR20140081068 A KR 20140081068A KR 20160002523 A KR20160002523 A KR 2016000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est
user
information
list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환
이화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렌즈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렌즈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렌즈랩스
Priority to KR1020140081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523A/ko
Publication of KR2016000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부; 관심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관심 그룹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고, 상기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기존 관심 그룹에 연관된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심 정보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NETWORK SERVICE BASED ON INTEREST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관심 정보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기의 이용한 컨텐츠 제공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SNS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SNS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약자로, 사용자간의 친구 맺기 또는 팔로우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간 사진, 동영상 및 글 공유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보 공유 및 친목 도모의 공간을 온라인상에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SNS 서비스의 문제점으로는 지인 기반의 폐쇄성이 있다. 즉, 서로 아는 사람간에서만 정보 교환, 친구 맺기 및 대화 등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친구와 연결되기 위해서는 지인 또는 지인의 지인 등을 통해야만 연결될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해 원하는 성향의 사용자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SNS 서비스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관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관심 그룹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기존 관심 그룹에 연관된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부; 관심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관심 그룹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고, 상기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기존 관심 그룹에 연관된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정보에 기반한 관심 그룹 및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심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사용자 리스트는 제한 거리 및 위치 정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관심 정보 등록에 따라 관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연동하여 관심 정보가 같은 일정 거리 이내 유저의 프로필을 쉽게 확인하고, 새로운 친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SNS 서비스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관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해 원하는 성향의 사용자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SNS 서비스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SNS 서비스의 폐쇄성을 해제할 수 있으며, 관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연동한 사용자 그룹핑에 따라 다양한 정보 교환, 친구 맺기 및 대화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방형 S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 서버(200) 및 통신망(3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서로 다른 휴대용 단말기들(100, 100a, 100b, 100c)은 서버(200)와 통신망(3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300)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 UPnP(Universal Plug and Play), WiFi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 등)는, 휴대 가능한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100)로서,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로 다른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와도 통신망(3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들은 컨텐츠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구성하고, 각 휴대용 단말기(100)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들은 통신망(300)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고,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본 문서에서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로 가정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할 수 있다. 다만,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소셜 네트워크는 웹 상에서 각 노드들 간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tie)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관계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내에 포함되는 노드들은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주체들을 나타낼 수 있다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들은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들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가 다른 엔티티(entity)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는 현재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와 타 사용자의 타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로 구별하여 설명될 수 있다. 타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와는 서로 상이한 엔티티로 구성되나, 동일한 기종 및 OS를 가질 수는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는 사용자, 건물, 도로, 위치, 서버 등이 엔티티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건물, 도로, 위치, 서버 등과도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노드가, 도로, 건물, 위치 등인 경우, 각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는 각 도로, 건물, 위치 등에 대응하여 생성된 계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망(300)을 통해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와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와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다른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그리고,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로 구성되는 소셜 네트워크의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휴대용 단말기(100, 100a, 100b, 100c)는 서버(200)에 의해 구성되는 소셜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통해, 관심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서버(200)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통신망(300)의 소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 어플리케이션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10)는 리워드 적립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의 방위,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 및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관심 정보, 관심 키워드, 제한 거리, 관심 사용자 리스트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300)에 접속하고, 관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관심 그룹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기존 관심 그룹에 연관된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별도의 필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기초한 제한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제한 거리가 설정된 경우,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위치정보 모듈(115)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과의 통신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타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 주변 일정 거리에 위치한 타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의 식별 정보를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소셜 연결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선택된 사용자에 대한 친구 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친구 요청 메시지는 통신망(30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SMS 또는 MMS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친구 요청을 한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친구 요청 메시지는 통신망(300) 및 서버(200)의 데이터 중계에 의해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타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또는 100c)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사용자를 관심 친구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식별 정보와, 관심 친구 설정 메시지를 조합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관심 친구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정보를 관심 친구로 연결 설정하고, 제2 사용자 식별 정보의 사용자 정보를 현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이미지 정보, 나이 정보, 닉네임 정보, 성별 정보, 인기 정보,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관심 그룹에 등록함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심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관심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영역에 하나 이상의 추천 관심 키워드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추천 관심 키워드 리스트는 서버(200)에서 소정의 조건에 따라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되거나,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채팅 채널 연결을 생성하도록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들과 채팅 채널로 연결되어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8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방문자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방문자 리스트를 블라인드 리스트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 리스트는 상기 방문자 리스트에 대응되는 닉네임, 나이, 성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특정 방문자에 대응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결제정보 처리부(240), 사용자 정보 관리부(250), 관심 정보 관리부(260), 관계 정보 관리부(270) 및 대화 채널 관리부(280)를 포함한다.
서버(200)의 제어부(21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통신부(220), 저장부(230), 결제정보 처리부(240), 사용자 정보 관리부(250), 관심 정보 관리부(260), 관계 정보 관리부(270) 및 대화 채널 관리부(280) 각각과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구성, 데이터 통신, 결제 정보 처리, 사용자 등록, 사용자 정보 관리, 관심 정보 관리 및 그룹핑, 관계 정보 관리 등을 위한 관련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의 제어부(210)는 저장부(230)를 제어하여,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설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데이터와,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 관심 정보, 관계 정보, 결제 정보 또는 대화 채널 정보 등을 미리 지정된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각종 데이터 또는 설치 데이터를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에 소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위치 정보 및 관심 정보에 기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의 통신부(22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망(3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통신 및 휴대용 단말기(100)와 타 휴대용 단말기(100a, 100b, 100c)간 메시지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의 통신부(220)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 사용자 등록 정보, 추천 관심 정보 리스트, 관심 사용자 리스트, 타 사용자 정보 등을 휴대용 단말기(100)로 송신하거나 결제 정보, 로그인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정보 처리부(24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하고,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2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25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정보가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생년월일, 성별,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프로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일정 주기마다 갱신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관심 정보 관리부(26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관심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관심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관심 키워드에 대응될 수 있다. 관심 키워드는 각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어 등록될 수 있으며,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하나 또는 복수의 관심 키워드가 등록될 수 있다. 또한, 관심 키워드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50)와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키워드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되는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관심 키워드는 관심 정보 관리부(260)로 전송될 수 있다. 관심 정보 관리부(260)는 수신된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식별하고, 사용자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정보 관리부(260)는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관심 정보 관리부(260)는 관심 정보가 동일한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들을 하나의 관심 그룹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관심 정보를 갖는 사용자들이 하나의 관심 그룹으로서 등록 및 관리될 수 있으며, 상호간 교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관심 정보 관리부(260)는 관심 그룹이 생성되면,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게시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시판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게시물 작성 권한을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에게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정보 관리부(260)는 복수의 관심 그룹이 생성되면, 각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인기도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산출된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여, 관심 그룹들을 인기 순위에 따라 확인하고, 가입하고자 하는 관심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인기있는 관심 정보를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인기도는 예를 들어, 작성 게시물, 작성 댓글, 가입자 수, 총 게시물, 총 댓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관심 정보 관리부(260)는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인기도에 따라 추천 관심 그룹들을 별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추천 관심 그룹 리스트를 생성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관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천 관심 그룹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추천 관심 그룹 리스트는 예를 들어, 복수의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관심 키워드 정보, 가입자 수 정보, 친구 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계 정보 관리부(27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사용자 정보간 관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관계 정보 관리부(270)는 사용자 정보간 관계 정보를 생성하되, 관계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 정보는 관계 정도에 따라, 친구 관계, 관심 관계, 방문자 관계 중 어느 하나의 관계로 지정될 수 있다.
관계 정보 관리부(270)는 제1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친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가 친구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두 사용자를 친구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계 정보 관리부(270)는 제1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관심 지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를 제1 사용자의 관심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계 정보 관리부(270)는 제1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사용자에 대한 방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사용자를 제2 사용자의 방문자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대화 채널 관리부(280)는 사용자간의 대화 채널 생성 및 대화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한다. 대화 채널 관리부(28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대화 채널을 생성하고, 각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대화 메시지들을 임시 저장하며, 수신할 사용자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다(S101).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3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관심 정보가 입력되면(S103), 관심 그룹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105),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 관심 그룹 생성 및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며(S107), 존재하는 경우 관심 그룹에 사용자 등록을 수행한다(S109).
제어부(180)는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관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는 추천 관심 그룹 리스트와, 각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가입자 수, 인기도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가능한 관심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관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관심 그룹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관심 정보가 입력된 경우, 해당 관심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0)의 제어부(210)는 관심 정보 관리부(260)를 통해, 기존 관심 그룹인지 신규 관심 그룹인지를 판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관심 정보가 기존 관심 그룹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판별 결과에 따라, 신규 관심 그룹 생성 및 사용자 등록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기존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사용자 등록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관심 그룹이 생성되거나, 기존 그룹에 대한 사용자 등록 과정이 서버(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S111),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113).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관심 그룹 등록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100a, 100b, 100c)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생성하며,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특정 사용자가 선택되면(S115),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117).
제어부(180)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간 관계 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이미지, 사용자 친구 정보, 사용자 인기 순위, 사용자 관심 정보, 친구 요청 인터페이스, 관심 지정 인터페이스 및 채팅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친구 요청, 관심 지정 요청, 채팅 요청 등의 적절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심 정보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관심 정보를 관리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는 추천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추천 관심 그룹 리스트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추천 관심 그룹 리스트에 기초하여 추천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추천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는 각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가입자 수, 인기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추천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관심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관심 키워드 결정을 위한 관심 그룹 선택 버튼(101)이 관심 그룹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관심 그룹 선택 버튼(101)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관심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관심 키워드가 결정되면, 관심 키워드를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관심 키워드에 대응되는 관심 그룹 식별 정보와 등록 요청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는 내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내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는 관심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102)와 등록 관심 그룹 리스트(10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관심 키워드에 대한 관심 그룹 등록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기 등록된 관심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는 삭제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기 등록된 관심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관심 그룹에 대한 커뮤니티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정보 인터페이스는 커뮤니티 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티 정보 인터페이스는 추천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 또는 내 관심 그룹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특정 관심 그룹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커뮤니티 정보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관심 그룹에 대응되는 관심 그룹 게시판 메뉴(104)와, 관심 그룹에 등록된 사용자를 표시하기 위한 관심 그룹 멤버 메뉴(105)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각 메뉴 선택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관심 그룹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는 관심 그룹에 대한 게시물 업로드, 게시물 추천, 답글 입력, 공유, 신고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별도의 필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한 거리에 따른 관심 정보가 동일한 타 사용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S201), 필터 정보를 입력받고(S203), 제한 거리 설정 여부를 판단한다(S205).
제어부(180)는 검색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필터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필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부(180)는 검색시 다양한 검색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검색 조건은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성별,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와는 별도로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거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사용자들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 정보와의 거리에 따라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들만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거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관심 키워드가 동일한 사용자를 검색한다(S207).
그러나, 제한 거리가 설정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면서, 제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검색한다(S209).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검색 결과에 따라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S211).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필터 인터페이스에서의 제한 거리 설정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한 거리가 설정된 경우,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100a, 100b, 100c)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위치정보 모듈(115)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과의 통신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타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100a, 100b, 100c)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 주변 일정 거리에 위치한 타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100a, 100b, 100c)의 식별 정보를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이에 기초하여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인터페이스는 성별 필터(106), 연령 필터(107), 제한 거리 필터(108), 관심 정보 필터(10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한 거리 필터(108)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필터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필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필터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결정된 검색 조건을 서버(200)로 전송하고, 전송된 검색 조건에 대응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출력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수신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제한 거리가 설정된 경우의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나타내며, 도 11은 제한 거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나타낸다.
각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는 사용자 정보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닉네임, 성별, 나이, 가입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거리가 설정된 경우에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 거리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거리 정보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1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와 다른 사용자들간의 위치 정보 차이에 기반한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들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간 관계 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이미지, 거리 정보, 사용자 프로필, 사용자 친구 정보, 사용자 인기 순위, 사용자 관심 정보, 친구 요청 인터페이스, 관심 지정 인터페이스 및 채팅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필은 사용자 아이콘, 사용자 ID, 나이 정보, 성별 정보, 당일 방문자 수, 전체 방문자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친구 요청, 관심 지정 요청, 사용자 차단, 채팅 요청 등의 적절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는 친구 요청 버튼, 채팅 버튼, 차단 버튼 및 관심 지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가 제공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간의 거리 및 관심 정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은 관계 정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관계 정보 인터페이스는 친구 수락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구 수락 인터페이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친구 요청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친구 요청에 따라 친구 수락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계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는 관심 유저 인터페이스와 방문자 조회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관심 유저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방문자 조회 인터페이스에는 방문자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관심 지정 메시지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방문자 정보에 따라 관심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방문자 조회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각 관심 유저 리스트 또는 방문자 리스트는 블라인드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블라인드 리스트를 통해 관심 유저 또는 방문자 리스트에 대응되는 닉네임, 나이, 성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표시하되, 결제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응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라인드 리스트에서 확인된 유저에 대한 친구 요청, 대화 요청 또는 관심 유저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은 블라인드 리스트에서 특정 사용자에 대한 프로필 인터페이스 접근을 위해 표시되는 과금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상 화폐가 '민트'로 지정된 경우 선택된 사용자를 블라인드 리스트에서 확인하기 위한 과금 인터페이스가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의 가상 화폐가 부족한 경우에는 도 16 하단과 같이 충전을 유도하는 메시지가 과금 인터페이스에 더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는관심 정보에 기반한 관심 그룹 및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심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사용자 리스트는 제한 거리 및 위치 정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심 정보 등록에 따라 관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연동하여 관심 정보가 같은 일정 거리 이내 유저의 프로필을 쉽게 확인하고, 새로운 친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SNS 서비스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7)

  1.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관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관심 그룹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기존 관심 그룹에 연관된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한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사용자로 친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사용자를 관심 친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심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영역에 하나 이상의 추천 관심 키워드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채팅 채널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방문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자 리스트를 블라인드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 리스트에 대응되는 닉네임, 나이, 성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결제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방문자에 대응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부;
    관심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관심 그룹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고, 상기 신규 관심 그룹 또는 상기 기존 관심 그룹에 연관된 관심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소셜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 대응되는 제한 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되는 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 중, 상기 관심 키워드가 동일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타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사용자로 친구 요청을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사용자를 관심 친구로 설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관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심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관심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영역에 하나 이상의 추천 관심 키워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관심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채팅 채널 연결을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방문자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 리스트를 블라인드 리스트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 리스트에 대응되는 닉네임, 나이, 성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방문자에 대응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81068A 2014-06-30 2014-06-30 관심 정보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2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68A KR20160002523A (ko) 2014-06-30 2014-06-30 관심 정보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68A KR20160002523A (ko) 2014-06-30 2014-06-30 관심 정보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23A true KR20160002523A (ko) 2016-01-08

Family

ID=5517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068A KR20160002523A (ko) 2014-06-30 2014-06-30 관심 정보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5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7441A (zh) * 2016-05-12 2016-08-24 河南智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行政区属的实名社交通讯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7441A (zh) * 2016-05-12 2016-08-24 河南智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行政区属的实名社交通讯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09952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2467574B (zh) 移动终端及其元数据设置方法
KR10164773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방법
CN101893985B (zh) 在移动终端中控制菜单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CN103516780A (zh) 移动终端、服务器、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209800B (zh) 设备权限共享方法和装置
KR20130072109A (ko) 이동 단말기, 서버,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
US20150134687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profile image card for communication
CN104969591A (zh) 通过近场通信(nfc)链路共享两个移动设备用户共同的信息
KR10169569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105679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03891317A (zh) 用于与位置相关的个性化隐私推荐的自动方法
CN104035995A (zh) 群标签生成方法及装置
CN109039877A (zh) 一种显示未读消息数量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5744470B (zh) 定位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5407160B (zh) 界面显示方法和装置
US115955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CN106484822B (zh) 地图修改方法和终端
US11057492B2 (en) Selectiv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users of a social network
JP201401154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サーバ及び携帯端末
CN104572848A (zh) 基于浏览器的搜索方法及装置
CN105634928B (zh) 基于可穿戴设备的社交提醒方法和装置
KR20150128482A (ko) 전자 장치들 간의 연동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516998B1 (ko) 모바일 기기간 위치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253754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