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04U -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04U
KR20160002504U KR2020150000120U KR20150000120U KR20160002504U KR 20160002504 U KR20160002504 U KR 20160002504U KR 2020150000120 U KR2020150000120 U KR 2020150000120U KR 20150000120 U KR20150000120 U KR 20150000120U KR 20160002504 U KR20160002504 U KR 201600025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bed frame
bed
hospital bed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홍
Original Assignee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0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504U/ko
Publication of KR20160002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1)과, 침대프레임(1)의 하부 각 모서리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다리(3)와, 침대프레임(1)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등받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등받이(5) 하부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힌지부(6)에 의해 등받이(5)를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로서, 침대프레임(1)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2)와, 구동모터(10) 일측에 마련되되 연장되는 일단부위는 힌지부(6)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16)로 이루어지는 전동각도조절수단(10)과; 내면에는 나사산(21)이 형성되되 일단부위는 구동모터(12)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개구된 타측부위는 침대프레임(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봉(22)과, 침대프레임(1) 후방 하측에 마련되는 조작핸들(26)과, 외면에는 나사산(23)이 형성되되 일단부위에 조작핸들(26)과 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가이드봉(22)에 삽입되는 가이드스크류(24)로 이루어지는 수동각도조절수단(20)을;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A controlling equipment for hospital bed with motor drived and manually drived}
본 고안은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등받이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킴에 있어 구동모터에 의한 전동각도조절과 조작핸들에 의한 수동각도조절이 가능한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병원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하여 등받이가 일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병원침대에 있어 등받이 회동기구는 보호자가 조작핸들을 돌려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동식이 있는 반면, 구동모터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동식이 있다.
수동식은 별도의 장치가 매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교적 저렴한 이점이 있으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소요되기 때문에 거동 자체가 불편한 환자들은 보호자가 없는 경우 사용자체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근자에는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더라도 보다 편리한 전동식의 병원침대가 선호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전형적인 전동식 병원침대의 일례를 보여준다. 종래 전동식 병원침대는,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전동수단(60) 및 피스톤로드(30)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설치하고, 피스톤로드(30)의 일단부위를 등받이(2)의 하부에 마련되는 힌지축(13)과 결합한 상태에서 전동수단(60)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작동하면, 피스톤로드(30)가 이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등받이(2)가 일정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전동식 병원침대의 경우, 수동식 병원침대에 비해 상당한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전동수단(60)에 문제가 발생하여 전동수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등받이(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한 제0423041호이다.
이 기술은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침대프레임(3) 하부 일측에는 조작핸들(11)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각도조절수단(7)을 마련하고, 침대프레임(3) 하부 타측에는 전동수단(13)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각도조절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전동수단(13)에 문제가 발생하면 곧 바로 수동각도조절수단(7)을 사용할 수 있음에 그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수동각도조절수단(7) 및 전동각도조절수단 각각이 침대프레임의 등받이(4)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리판(4)과 등받디(4) 각각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전술한 기술과 대동소이한 단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1099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23041호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전동식과 수동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되, 전동식에 작동이상이 발생하거나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겸용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침대프레임(1)과, 침대프레임(1)의 하부 각 모서리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다리(3)와, 침대프레임(1)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등받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등받이(5) 하부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힌지부(6)에 의해 등받이(5)를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로서, 침대프레임(1)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2)와, 구동모터(10) 일측에 마련되되 연장되는 일단부위는 힌지부(6)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16)로 이루어지는 전동각도조절수단(10)과; 내면에는 나사산(21)이 형성되되 일단부위는 구동모터(12)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개구된 타측부위는 침대프레임(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봉(22)과, 침대프레임(1) 후방 하측에 마련되는 조작핸들(26)과, 외면에는 나사산(23)이 형성되되 일단부위에 조작핸들(26)과 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가이드봉(22)에 삽입되는 가이드스크류(24)로 이루어지는 수동각도조절수단(20)을;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본 고안은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등받이 하부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대하여 전동각도조절수단과 수동각도조절수단을 동일축상에 배치하고 이들을 상호 연계시킴으로써, 전동식 병원침대가 가지는 편리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장치의 이상으로 인해 작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이를 바로 수동식으로 전환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임의 조절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3은 종래 병원침대에 있어 전동식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종래 병원침대에 있어 전동식 및 수동식이 혼용된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등받이(5)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전동각도조절수단(10)과 수동각도조절수단(20)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병원침대는 종래 병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병원침대이면 무방하다. 즉, 일정길이의 금속파이프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침대프레임(1), 침대프레임(1)의 하부 각 모서리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다리(3), 그리고 침대프레임(1)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등받이(5)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이다.
전동각도조절수단(10)은 구동모터(12) 및 피스톤로드(16)로 이루어진다. 구동모터(12)는 전기적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통상적인 모터로서, 침대프레임(1) 하부 일측에 마련된다. 피스톤로드(16)는 구동모터(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단부위는 연장되어 등받이(5)의 하부에 구비되는 힌지부(6)와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2)가 작동하면 피스톤로드(16)는 일방향으로 전진하거나 또는 타방향으로 후퇴하면서 등받이(5)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면부호 14는 로드봉으로서 피스톤로드(16)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이다. 도면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구동모터(12)는 침대프레임(1)에 마련되는 작동버튼, 또는 별도의 리모컨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수동각도조절수단(20)은 가이드봉(22), 가이드스크류(24), 조작핸들(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봉(22)의 일단부위는 구동모터(12) 타측에 고정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봉(22)의 일단부위에는 체결홀(도면미도시)을 형성하고, 구동모터(12)의 타측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삽입단(도면미도시)을 마련한 다음, 삽입단을 가이드봉 일단부위로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핀을 가이드봉 및 삽입단 각각의 체결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봉(22)의 개구된 타측부위는 침대프레임(1)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봉(22)의 내면에는 나사산(21)이 형성된다.
조작핸들(26)은 침대프레임(1) 후방 하측에 마련된다. 조작핸들(26)은 통상적인 수동식 병원침대에 마련되는 조작핸들과 대동소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25는 조작핸들(26)의 회전축(도면부호 미도시)이 거치되는 브라켓이다.
가이드스크류(24)는 그 일단부위가 조작핸들(26)과 결합되고,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가이드봉(22)에 삽입되며, 가이드스크류(24)의 외면에는 가이드봉(22) 내면과의 치합을 위한 나사산(23)이 형성된다. 가이드스크류(24)의 일단부위는 조작핸들(26)의 회전축과 용접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스크류(24)가 가이드봉(22)에 삽입됨에 있어, 가이드스크류(24)의 전체 길이는 가이드봉(22)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동식으로 등받이(5)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가이드스크류(24)가 가이드봉(22)에 충분히 삽입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전술한 설명과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침대에 누워있던 환자가 상반신을 일으키고자 하면, 작동버튼(또는 리모컨)을 조작하여 구동모터(12)를 작동시킨다.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12)가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16)가 서서히 전진하면서 힌지부(6)를 밀어낸다(도 2a). 힌지부(6)는 등받이(5)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16)가 힌지부(6)를 밀면 등받이(5)는 서서히 기립하면서 도 2b와 같이 환자의 상반신을 일으켜 세우게 된다.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등받이(5)를 원상태로 다시 복귀시킬려면, 작동버튼을 다시 조작하여 구동모터(12)를 작동시킨다.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12)는 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고, 피스톤로드(16)는 서서히 후퇴하면서 힌지부(6)를 당긴다. 이에 따라 등받이(5)는 서서히 누우면서 도 2a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환자는 평상시와 같이 침대에 수평으로 눕게 된다.
만일, 등받이(5)가 도 2b와 같이 일정각도로 기립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2)의 작동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보호자는 작동버튼을 입력하는 대신 도 2c와 같이 조작핸들(26)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작핸들(26)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작핸들(26)의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해 가이드스크류(24)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스크류(24)는 가이드봉(22) 내부로 천천히 삽입된다.
이때, 등받이(5)의 힌지부(6)와 고정결합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6)는 작동이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이드스크류(24)는 가이드봉(22) 내부로 천천히 삽입되면 피스톤로드(16)는 그 상태에서 서서히 후퇴하면서 힌지부(6)를 당긴다. 즉, 등받이(5)는 도 2c와 같이 침대프레임(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눕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2a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한 것은 전동각도조절수단(10)을 이용하여 등받이(5)를 일정각도로 기립하였으나 그 이후 전동각도조절수단(10)이 작동하지 않아 수동각도조절수단(20)을 사용한 경우에 대한 것이나, 본 고안은 전동각도조절수단(10) 자체가 아예 작동되지 않거나 전동각도조절수단(10)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만 정전이나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동각도조절수단(20)을 이용하여 등받이(5)를 기립시키거나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침대프레임 3 : 다리
5 : 등받이 6 : 힌지부
10 : 전동각도조절수단 12 : 구동모터
14 : 로드봉 16 : 피스톤로드
20 : 수동각도조절수단 22 : 가이드봉
24 : 가이드스크류 25 : 브라켓
26 : 조작핸들

Claims (1)

  1. 침대프레임(1)과, 침대프레임(1)의 하부 각 모서리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다리(3)와, 침대프레임(1)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등받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등받이(5) 하부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힌지부(6)에 의해 등받이(5)를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병원침대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로서,
    침대프레임(1)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2)와, 구동모터(10) 일측에 마련되되 연장되는 일단부위는 힌지부(6)와 결합되는 피스톤로드(16)로 이루어지는 전동각도조절수단(10)과;
    내면에는 나사산(21)이 형성되되 일단부위는 구동모터(12)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개구된 타측부위는 침대프레임(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봉(22)과, 침대프레임(1) 후방 하측에 마련되는 조작핸들(26)과, 외면에는 나사산(23)이 형성되되 일단부위에 조작핸들(26)과 결합되며 연장되는 타단부위는 가이드봉(22)에 삽입되는 가이드스크류(24)로 이루어지는 수동각도조절수단(20)을;
    포함하는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20150000120U 2015-01-07 2015-01-07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1600025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20U KR20160002504U (ko) 2015-01-07 2015-01-07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20U KR20160002504U (ko) 2015-01-07 2015-01-07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04U true KR20160002504U (ko) 2016-07-18

Family

ID=5661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120U KR20160002504U (ko) 2015-01-07 2015-01-07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50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6080A (zh) * 2019-04-29 2019-07-05 李汝新 一种护理用多功能综合护理床
KR102229718B1 (ko) * 2020-07-06 2021-03-18 이용욱 운구용 이동 대차
KR20230032744A (ko) 2021-08-31 2023-03-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침대용 각도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990A (ko)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패널용 lc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990A (ko)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패널용 lc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6080A (zh) * 2019-04-29 2019-07-05 李汝新 一种护理用多功能综合护理床
KR102229718B1 (ko) * 2020-07-06 2021-03-18 이용욱 운구용 이동 대차
KR20230032744A (ko) 2021-08-31 2023-03-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 침대용 각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1607B1 (de) Operationstisch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operationstischs
US6615429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patient-support deck
DE102012006192B4 (de) Wärmetherapiegerät
US20100064441A1 (en) Hospital bed with electric emergency lowering device
CN204744726U (zh) 一种长度可自动调节的医护病床
DE102005018686B4 (de) Pflegebett mit Doppelmotorantrieb
EP1843732B1 (de) Pflegebett mit symmetrierschaltung
KR20160002504U (ko) 전동 및 수동 겸용의 병원침대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JP5687066B2 (ja) アクチュエータ
US20230100806A1 (en) Lifting devices positionable in high range positions and low range positions
JP2010508101A (ja) 調節可能なヘッドレストを有する介護ベッド
CN204744721U (zh) 一种电动式床头高度可调的病床
KR20140030883A (ko) 장애인 차량용 휠체어 유동 방지장치
DE102009020395A1 (de) Hilfs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manuell zu bewegende Einrichtung zum Transportieren einer Patientenlagerfläche
CN208626051U (zh) 一种外科护理床
JP5970411B2 (ja) ベッド装置
CN203861282U (zh) 一种液压式牵开器
JP3257048B2 (ja) 医療用寝台
CN211156547U (zh) 一种一体化骨科牵引架
CN206342627U (zh) 一种具有防侧滑和防下滑功能的护理床
JP2013078450A (ja) 手動ベッド
CN111938944A (zh) 一种多功能医院专用病床
CN216222083U (zh) 一种重症病患监护辅助装置
CN205515423U (zh) 一种靠背角度可调且方便移动的医疗用椅
WO2018072094A1 (zh) 一种电气柜装置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