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434A -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434A
KR20160002434A KR1020140080455A KR20140080455A KR20160002434A KR 20160002434 A KR20160002434 A KR 20160002434A KR 1020140080455 A KR1020140080455 A KR 1020140080455A KR 20140080455 A KR20140080455 A KR 20140080455A KR 20160002434 A KR20160002434 A KR 20160002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dle screen
information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427B1 (ko
Inventor
이진열
김승구
김선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돌
Priority to KR102014008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를 제공한 이후에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와 관련된 주제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 사용자의 관심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최적화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카테고리에 지정된 컨텐츠만 제공받지 않고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고 간편한 터치 동작만으로 대기화면의 이미지를 변경함으로써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IN STANDBY SCREEN OF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말의 대기화면에 설정한 이미지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말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단말의 대기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34440호(이하, '440호 특허'라고 함)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잠금 화면 팝업 표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440호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잠금 화면 팝업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잠금 상태를 해체하여 배경 화면의 위젯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잠금 화면 상태에 팝업 창을 띄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컨텐츠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잠금 화면 팝업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의 관심사를 실시간 파악하고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최적화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카테고리에 한정된 컨텐츠만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제한된 정보만 제공받는다. 따라서 관심사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444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최적화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고리에 한정된 컨텐츠만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한 터치 동작만으로 대기화면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미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를 제공한 이후에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와 관련된 주제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관련된 주제정보를 상기 서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제공 서버로 특정 이미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요청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에 따라 관련된 주제정보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최적화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고리에 한정된 컨텐츠만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한 터치 동작만으로 대기화면의 이미지를 변경함으로써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관심사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대기화면을 설정하고 주제정보를 수신하여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의 특정영역 클릭에 의해서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단말(100), 서버 데이터베이스(200), 웹(300)으로 구성된다.
단말(100), 서버 데이터베이스(200) 및 웹(300)은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예를 들자면 WiFi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이더넷 네트워크,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여기서 단말(100)은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유저의 터치 및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화면 및 시스템 전환이 가능한 기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대기화면 이미지를 변경하고 설정하는 화면 설정부(110), 통신망을 통해 서버 데이터베이스(200) 및 웹(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연동부(120), 수신 받은 주제정보를 대기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130)로 구성된다.
화면 설정부(110)는 대기화면에 표시될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다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웹(300)에서 검색되는 이미지이다.
화면 설정부(110)의 조작에 의해서 다수개의 이미지를 대기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이미지가 모두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움직임에 따라서 정해진 이미지만 대기화면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널에 인접하여 좌측으로 움직이면 좌측에 대응하는 이미지만 대기화면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에 인접하여 우측으로 움직이면 우측에 대응하는 이미지만 대기화면에 설정된다. 또한 상하 터치 입력에 따라서 대기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숨기거나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단말(100)에 내장된 자이로센서 또는 각속도센서 등을 사용하여 특정한 방향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로 변경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대기화면의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 복잡한 트리메뉴를 거쳐야 하는 구성을 단순화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서버 연동부(12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에 관련된 주제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웹(300)에서 검색된 이미지가 단말(100)의 대기화면으로 설정될 경우 해당 이미지를 서버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하고 이미지와 관련된 주제정보를 수신한다.
정보 표시부(130)는 서버 연동부(120)로부터 수신된 주제정보를 받아서 대기화면의 주제 정보창(400)에 표시한다. 또한 설정에 따라서 팝업메시지(미도시) 표시도 가능하다.
주제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대로 주제 정보창(400)에 표시된다. 주제정보는 대기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웹(300) 내지 서버 데이터베이스(200)에 존재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자면 뉴스 기사, 블로그, 커뮤니티, 동영상, 이미지, 스케쥴, SNS, 매거진, 전자책, 온라인 쇼핑몰, 가상으로 생성된 문자메시지 등의 정보가 주제정보가 될 것이다.
서버 데이터베이스(200)에는 다수의 이미지가 저장되어있다. 저장된 이미지에는 특정 영역마다 상세정보로 연결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면(도 4의 (b) 참조), 할당된 URL로 연결되며 해당하는 상세정보가 배경화면의 상세 정보창(500)에 표시된다(도 4의 (c) 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는 이미지의 특정영역에 대한 상세정보를 얻기 위해 온라인 검색을 하지 않아도 되고 해당 특정 영역의 정보 제공자는 보다 쉽게 사용자에게 홍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서버 데이터베이스(200)는 단말(100)의 대기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를 전송 받아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이미지 분석부(210), 분석된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주제정보를 검색하는 주제정보 검색부(220), 검색된 주제정보들에서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이 작성한 유효 문장을 검색하고 기준 횟수 이상 사용되는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230) 및 정보 검색부(220)를 통해 검색된 주제정보와 정보 분석부(230)를 통해 생성된 문장을 단말(10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40)로 구성된다.
먼저 이미지 분석부(210)는 단말(100)에 설정된 대기화면 이미지를 전송받아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설정되는 대기화면 이미지는 서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웹(300)을 통해 검색된 이미지이다.
메타데이터는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속성 정보로 EXIF, IPIC, XMP 및 이미지 태그(tag)등이다. 이미지 분석부(210)는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 시간, 크기, 파일명, 태그(tag)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한다.
주제정보 검색부(220)는 이미지 분석부(210)에서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에 대응하는 주제정보를 웹(300)에서 검색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통하여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이 A로 판별되면 해당 인물 A에 관한 뉴스 기사, 블로그, 커뮤니티, 동영상, 이미지, 스케쥴, SNS, 매거진, 전자책,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등의 주제정보를 검색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 연동부(120)를 통해서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 A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인물 A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개인정보 노출 없이 메시지를 발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30)는 주제정보 검색부(220)에서 검색된 주제정보들 중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이 작성한 유효 문장을 검색한다. 검색된 유효 문장에서 기준 횟수 이상 반복되어 사용하는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한다. 또한 기준 횟수 이상 반복되어 사용되는 이모티콘, 어투, 표현 등을 포함하여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 하자면,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 A가 SNS, 커뮤니티, 홈페이지 등에 직접 작성한 유효 문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유효 문장에서 기준 횟수 이상 반복되어 사용하는 단어, 이모티콘, 어투, 표현 등의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한다.
정보 분석부(230)에서 생성된 문장은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이 직접 작성한 것 같은 문장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로 제공된다. 따라서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느낌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정보 전송부(240)는 주제정보 검색부(220)를 통해 검색된 주제정보와 정보 분석부(230)를 통해 생성된 문장을 단말(100)로 전송한다.
전송받은 주제정보와 생성된 문장은 정보 표시부(130)를 통해 대기화면의 주제 정보창(400)에 표시된다. 여기서 표시 방법은 화면 설정부(110)에서 설정된 방법에 의해서 표시된다.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대로 주제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위젯 또는 팝업 메시지를 통하여 주제정보를 표시한다. 전송받는 주제정보에서 스케쥴 정보는 해당 스케쥴의 날짜, 시간, 단말(100)과 떨어진 거리등이 계산되어 주제 정보창(400)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는 단말(100)의 대기화면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온라인 검색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간편한 터치 동작만으로 대기화면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대기화면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단말(100)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100)의 대기화면 이미지를 선택한다(S10). 서버 데이터베이스(200)는 다수의 이미지를 단말(100)로 제공한다. 제공되는 이미지에는 특정 영역마다 상세정보로 연결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할당된다. 사용자는 다수의 이미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단말(100)의 대기화면으로 설정한다. 또한 단말(100)에서 직접 웹(300) 검색을 통하여 이미지를 검색하고 대기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대기화면 이미지를 서버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한다(S20). 사용자가 서버 데이터베이스(200) 또는 웹(300) 검색을 통하여 단말(100)의 대화면으로 설정한 이미지를 서버 데이터베이스(200)으로 전송한다.
전송받은 이미지에서 메타데이터를 추출한다(S30). 메타데이터는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속성 정보로 EXIF, IPIC, XMP 및 이미지 태그(tag) 등이다. 서버 데이터베이스(200)가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 시간, 크기, 파일명, 태그(tag)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한다.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제정보를 검색한다(S40). 서버 데이터베이스(200)가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웹(300) 상에서 주제정보를 검색한다. 주제정보는 대기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대기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관련된 뉴스 기사, 블로그, 커뮤니티, 동영상, 이미지, 스케쥴, SNS, 매거진, 전자책, 온라인 쇼핑몰 등의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통하여 이미지의 인물이 A로 판별되면 해당 인물 A 에 관한 뉴스 기사, 블로그, 커뮤니티, 동영상, 이미지, 스케쥴, SNS, 매거진, 전자책,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등의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된 주제정보 중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이 작성한 유효 문장을 검색하고 기준횟수 이상 사용되는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한다(S50). 검색된 주제정보들 중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이 작성한 유효 문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유효 문장에서 기준 횟수 이상 반복되어 사용하는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한다. 또한 기준 횟수 이상 반복되어 사용되는 이모티콘, 어투, 표현 등을 포함하여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 A가 SNS, 커뮤니티, 홈페이지 등에 직접 작성한 유효 문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유효 문장에서 기준 횟수 이상 반복되어 사용하는 단어, 이모티콘, 어투, 표현 등의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한다.
생성된 문장은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이 직접 작성한 것 같은 문장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로 제공된다. 따라서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느낌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주제정보와 생성된 문장을 단말(100)로 전송하고 대기화면 주제 정보창(400)에 표시한다(S60). 전송받은 주제정보와 생성된 문장은 대기화면의 주제 정보창(400)에 표시되며 해당 주제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대로 표시된다. 전송받는 주제정보에서 스케쥴 정보는 해당 스케쥴의 날짜, 시간, 단말(100)과 떨어진 거리등이 계산되어 주제 정보창(400)에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100)의 대기화면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단말(100)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100)과 서버 데이터베이스(200)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단말 110 : 화면설정부
120 : 서버연동부 130 : 정보표시부
200 : 서버 데이터베이스 210 : 이미지 분석부
220 : 주제정보 검색부 230 : 정보분석부
240 : 정보전송부 300 : 웹
400 : 주제 정보창 500 : 상세 정보창

Claims (12)

  1. 이미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를 제공한 이후에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와 관련된 주제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주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주제정보는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지정하면, 해당 영역에 맵핑되어 있는 상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정보는 상기 지정된 영역과 관련된 컨텐츠 또는 광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정보는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이 사용하는 단어, 이모티콘, 어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정보는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와 관련된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의 시간 또는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의 인물로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메시지를 해당 인물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인물이 답변으로 보내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답변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련 정보의 제공방법.
  9.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제공 서버로 특정 이미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요청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에 따라 관련된 주제정보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정보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 상에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거나 숨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정보표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 상에서의 좌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정보표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 상에서의 상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이미지를 숨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정보표시 방법.



KR1020140080455A 2014-06-30 2014-06-30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94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55A KR101594427B1 (ko) 2014-06-30 2014-06-30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55A KR101594427B1 (ko) 2014-06-30 2014-06-30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34A true KR20160002434A (ko) 2016-01-08
KR101594427B1 KR101594427B1 (ko) 2016-02-18

Family

ID=5517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455A KR101594427B1 (ko) 2014-06-30 2014-06-30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03B1 (ko) * 2016-05-03 2016-09-28 아이피랩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329B1 (ko) * 2004-04-20 2005-03-14 (주)두모션 모바일폰의 대기화면 변경 방법
KR20100039131A (ko) * 2008-10-07 2010-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4423A (ko) * 2010-09-01 2011-06-30 주식회사 엔알 상세정보 이미지 파일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234440B1 (ko) 2012-10-15 2013-02-18 김경형 스마트 디바이스의 잠금 화면 팝업 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329B1 (ko) * 2004-04-20 2005-03-14 (주)두모션 모바일폰의 대기화면 변경 방법
KR20100039131A (ko) * 2008-10-07 2010-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74423A (ko) * 2010-09-01 2011-06-30 주식회사 엔알 상세정보 이미지 파일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234440B1 (ko) 2012-10-15 2013-02-18 김경형 스마트 디바이스의 잠금 화면 팝업 표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gjtndkql486.blog.me/220041597507(2014.06.2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03B1 (ko) * 2016-05-03 2016-09-28 아이피랩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27B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7571B2 (en)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essage service linked to search service and message server and user terminal to perform the method
CN104395871B (zh) 用于赞同推荐内容的用户界面
US101145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personalized home screens respective of user queries
CN101124576B (zh) 集成有来自信任网络的用户注释的搜索系统和方法
US10878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KR102340228B1 (ko) 검색 서비스와 연결된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사용자 단말
US20110119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information
WO2014190297A1 (en) Dynamic arrangement of content presented while a client device is in a locked state
KR20160010416A (ko) 맞춤형 실시간 지능 채널
CN104685502A (zh) 用于将在线内容关联到第二索引的内容的系统和方法
US11599571B2 (en) Generic card feature extraction based on card rendering as an image
US201400825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query and navigation of an information resource
KR101537555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상의 메시지 바로 검색 지원 방법
KR101594427B1 (ko) 단말의 대기화면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529936B1 (en) Search results using query hints
JP201716227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61588B2 (ja) 情報表示装置、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WO20170019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a browser history
KR20200125372A (ko) 속성 언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18614B1 (ko)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검색서버 및 이의 동작방법
JP5955610B2 (ja) ウェブページ提供装置
CN100390797C (zh) 通过因特网的字词关联内容搜寻方法
JP523071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240004075A (ko)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이모티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30006762A (ko) 스마트폰 문자 서비스 내에서 이모티콘 컨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